KR100679646B1 -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에 착용 가능한 점핑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에 착용 가능한 점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9646B1
KR100679646B1 KR1020050018662A KR20050018662A KR100679646B1 KR 100679646 B1 KR100679646 B1 KR 100679646B1 KR 1020050018662 A KR1020050018662 A KR 1020050018662A KR 20050018662 A KR20050018662 A KR 20050018662A KR 100679646 B1 KR100679646 B1 KR 100679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jumping
shoe
jumping devic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747A (ko
Inventor
강판규
Original Assignee
강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판규 filed Critical 강판규
Priority to KR1020050018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964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7Sole and heel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에 착용가능한 점핑장치가 개시된다. 그러한 점핑장치는 신발이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점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과,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신발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점핑장치는 신발과 분리하여 필요시 착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신발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점핑할 수 있음으로 레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신발, 점핑, 탄성, 스프링, 탄성

Description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에 착용 가능한 점핑장치{SHOES ASSEMBLY AND APPARATUS FOR JUMPING SHOES}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가 부착된 신발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 은 도2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평면도이다.
도4 는 도1 에도시된 점핑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5 는 도1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6 은 도1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7 은 도1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8(a) 내지 도8(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에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9 는 도1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10a 는 도9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스프링 상단이 베이스의 저면에 연결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10b 는 도10a 의 저면도이고, 도10c 는 도9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스프링 하단이 하판부 상면에 연결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1 은 도1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12 는 도1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13a 는 도12 에 도시된 "A-A"에서 본 도면이고, 도13b 는 도12 에 도시된 "B-B"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신발 조립체 및 점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착용시 일정 높이 점프할 수 있어 레저용으로 적합한 신발에 부착할 수 있는 신발 조립체 및 점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보행 혹은 주행시 발바닥을 보호함으로써 부상을 줄이고 피로를 덜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이러한 신발은 발등 부위를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갑피와, 발 바닥을 보호하는 밑창과, 신발에 탄력성을 부여하기 위한 중창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간은 이러한 신발을 착용하여 보행 혹은 주행을 하면서 일상 생활를 하게 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신발이 상기와 같은 본래의 용도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용도로 쓰일 수 있도록 다양한 부가장치가 구비되는 추세이다.
즉, 신발에 롤러를 달아서 레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그러하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신발들은 롤러를 장착하는 등 비교적 좁은 범위 이내 에서 레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으며, 레저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에 탄성수단을 장착함으로써 레저용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의 점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수단을 신발에 탈착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필요시에만 신발에 부착하여 점핑 등의 레저목적과 보행목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의 점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신발이 안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점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과;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신발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점핑장치를 제공한다.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신발과: 상기 신발이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점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과;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신발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신발 조립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점핑장치는 신발에 탄성수단을 장착함으로써 레저용으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신발과 분리하여 필요시 착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신발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점핑할 수 있음으로 레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점핑장치를 설명한다.
도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가 부착된 신발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2 는 점핑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3 은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점핑장치(1)는 신발(S)에 착용가능한 구조를 갖음으로써 필요시 신발(S)에 착용하여 사용한다.
상기 점핑장치(1)는 베이스(Base;3)와, 베이스(3)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점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5,7)과, 베이스(3)상에 구비되어 신발(S)을 고정하는 고정부(17,19)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점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5,7)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탄성부재(5,7)로 이루어진다. 즉, 베이스(3)의 앞부분에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5)와, 뒷부분에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점핑장치를 착용하였을 경우, 제1 및 제2 탄성부재(5,7)에 의하여 신발(S)의 앞뒤부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효율적으로 점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탄성부재(5,7)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 제1 탄성부재(5)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 탄성부재(5)는 베이스(3)의 저면에 구비되는 스프링(33)과, 스프링(33) 의 상부 외부를 커버하는 상부 케이스(9)와, 스프링(33)의 하부 외부를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11)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33)은 통상적인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며, 그 상부는 베이스(3)의 저면에 상부 브래킷(31)에 의하여 연결되고, 그 하부는 하부 케이스(11)의 내저면에 하부 브래킷(35)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점핑하는 경우, 상기 하부 케이스(11)가 상부 케이스(9)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스프링(33)이 수축하게 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9)는 베이스(3)의 저면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다. 물론, 용접 등에 의하여도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11)의 내직경은 상부 케이스(9)의 내직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음으로써 하부 케이스(11)가 상부 케이스(9)의 내부로 삽입되어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반대로, 상부 케이스(9)의 내직경이 하부 케이스(11)의 내직경보다 작은 길이를 갖음으로써 상부 케이스(9)가 하부 케이스(11)의 내부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3)의 저면에는 2개의 탄성부재(5,7)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효율적으로 점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2개의 탄성부재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개의 탄성부재, 혹은 2개 이상의 탄성부재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2개 이상의 탄성부재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이 탄성부재가 서로 동일한 구조의 탄성부재를 적용하거나, 혹은, 스프링과 다른 형태의 스프링, 스프링과 에 어백, 스프링과 고무등의 서로 다른 구조의 탄성부재를 한 조로 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3)의 상부에 배치되는 고정부(17,19)는 신발(S)의 앞부분을 고정하는 제1 고정대(17)와, 신발(S)의 발목부분을 고정하는 제2 고정대(19)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부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조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즉, 제1 고정대(17)는 2개의 덮개부재(20a,20b)로 이루어지고, 일측 덮개부재(20a)에는 제1 걸림편(21)이 부착되고, 타측 덮개부재(20b)에는 제1 수납편(23)이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걸림편(21)을 제1 수납편(23)에/로부터 삽입/이탈시킴으로써 덮개부재(20a,20b)에 의하여 신발(S)의 앞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대(19)는 원통형상을 갖으며, 그 일측에는 제2 걸림편(27)이 부착되고, 타측에는 제2 수납편(25)이 구비됨으로써 제2 걸림편(27)을 제2 수납편(25)에 삽입/이탈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대(19)의 측면에는 발목을 보호하기 위한 발목 보호대(26)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이 발목 보호대(26)가 사용자의 발목을 안정적으로 지자함으로써 발목 골절 등의 부상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점핑장치(1)는 사용자가 신발(S)에 상기 점핑장치(1)를 착용하고 적절하게 제1 및 제2 탄성부재(5,7)를 탄성시킴으로써 점핑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및 제2 고정대를 걸림편 및 수납편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벨크로 방식 혹은 신발끈에 의하여도 고정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점핑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4 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는 베이스(3)의 하부에 하나의 플렉시블한 자바라 형상의 케이스(42)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2개의 스프링(44,46)을 구비한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42)는 러버(Rubber), 합성수지, 가죽 등의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가 빈 주머니 형상을 갖는소위, 자바라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44,46)이 탄력적으로 수축/팽창되는 경우, 이 케이스(42)도 연동하여 펴지거나 접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4,46)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 돌출된 분리턱(48)에 의하여 분리된 공간 내부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도5 에는 이러한 점핑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4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스프링을 다른 종류로 변경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는 베이스(3)의 하부에 하나의 플렉시블한 케이스(52)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2개의 코일 스프링(53,55)을 구비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2개의 코일 스프링(53,55)은 그 상부는 각각 베이스(3)의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케이스(52)의 내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2개의 코일 스프링(53,55)은 스토퍼(59) 및 걸림턱(57)에 의하여 그 하부가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러한 점핑장치를 신발(S)에 착용하여 적절하게 탄성을 하는 경우, 효율적으로 점핑할 수 있다.
한편, 도6 에는 점핑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65)에 구비되는 탄성수단으로써 스프링을 대신하여 에어백(Air bag;64)을 적용하는 차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점핑장치(60)의 하부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케이스(62)가 설치되며, 케이스(62)의 내부에는 에어백(64)이 구비된다. 이 에어백(64)의 내부에는 공기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주입됨으로써 적절한 탄력성을 갖는다.
그리고, 이 에어백(64)의 하부는 지지 브래킷(66)에 의하여 케이스(62)의 내저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는 경우 에어백(64)에 의하여 점핑장치(60)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점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62)는 에어백(64)이 점핑을 하는 동안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62)의 저면에는 돌기(68)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점핑장치(6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7 에는 점핑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점핑장치(61)에서는 탄성수단으로써 스프링을 대신하여 러버(63) 등과 같은 탄력성 있는 재질을 적용하는 차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베이스(3)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의 러버(6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러버는 일정한 부피를 갖는 통형 의 구조를 가지므로 점핑시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러버(63)의 하부에는 돌기(67)가 형성됨으로서 점핑장치(61)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8(a) 내지 도8(c) 에는 상기한 실시예들에 도시된 점핑장치에 적용되는 스프링의 다양한 실시예가 도시된다.
즉, 도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으로써 벌집 형상의 판스프링(70)이 적용가능하다. 즉, 상부판(71) 및 하부판(72)이 구비되고, 이 상부 및 하부판(71,72)의 사이에 탄성편(73)을 서로 대각방향으로 교차하여 설치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판(71,72)과 탄성편(73)이 접촉하는 부분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판스프링(70)을 점핑장치에 적용함으로서 안정적인 탄력성을 갖을 수 있다.
도8(b) 에는 또 다른 구조의 판스프링이 도시된다. 즉, 본 실시예의 판스프링(76)은 상부 및 하부판(78,79)의 사이에 탄성편(80)을 2단으로 배열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판스프링(76)은 1단의 경우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갖는다.
도8(c) 에는 이러한 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로써 스파이럴 방식의 스프링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84) 및 하부판(86)의 사이에 2개의 스파이럴 스프링(87,88)을 배치한 구조이다.
이러한 스파이럴 스프링(82)은 그 상부직경(D1)이 하부직경(D2)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스프링(82)이 압축되었을 경우, 상부가 하부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음으로 통상적인 코일 스프링보다 탄력성이 우수하다. 물론, 반대로 상부직경이 하부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을 수도 있다.
한편, 도9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90)는 탄성수단으로서 스프링(91,92)을 2열로 배치한 구조를 제안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91,92)은 베이스(3)의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상부레그(Upper leg;93)와, 베이스(96)의 상면에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하부레그(Lower leg;94)와, 상기 상부 및 하부레그(93,94)의 중간에 위치하여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고리(95)를 각각 포함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프링(91,92)은 단일 스프링 2개가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혹은 다수개의 스프링이 각각 일열을 이루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스프링으로써 판스프링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점핑장치는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는 경우 스프링(91,92)에 의하여 점핑장치(90)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점프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9 에는 상부레그(93)의 상단부가 베이스(3)의 저면에 고정핀에 의하여 고정되는 방식으로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10(a) 및 도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연결에 의하여도 가능하다.
즉, 베이스(3)의 저면에 힌지 브래킷(130)을 돌출 형성하고, 이 힌지 브래킷(130)에 상부레그(93)의 상단부를 삽입한 구조이다. 따라서, 베이스(3)에 외력이 작용하여, 스프링(91,92)이 수축되는 경우 상부레그(93)의 상단부(132)가 이 힌지 브래킷(130)의 내부에서 힌지운동을 하므로 스프링(91,92)이 원활하게 수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 브래킷(130)은 베이스(3)의 제조과정에서 프레스 가공등을 실시하는 경우, 프레스의 가압에 의하여 베이스(3)의 저면으로 부터 돌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레그(94)의 하단부(134)도 도10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판(136)상에 돌출 형성된 힌지 브래킷(138)에 힌지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11 에도 이와 같이 스프링을 이용한 점핑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100)는 탄성수단으로써 스프링(101)을 1열로 배치한 구조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101)은 일체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104,105)가 베이스(3)의 저면에 고정되는 레그(102)와, 레그(102)의 중간에 원형으로 굴곡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고리(10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리(103)는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6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 스프링(101)의 양단부(104,105)는 베이스(3)의 저면에 상부 브래킷(107)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는 하부판(106)의 상면에 하부 브래킷(108)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이러한 스프링(101)은 단일 스프링 1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혹은,단일 스프링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스프링이 일열을 이루어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점핑장치는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힘으로 가압하는 경우 스프링(101)에 의하여 점핑장치(100)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점프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브래킷(107,108)은 후술하는 도13a 및 도13b에 도시된 브래킷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해당 부분에서 설명한다.
한편, 도12 에도 이러한 점핑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핑장치(110)는 도11 에 도시된 점핑장치의 스프링과 비교하여 고리의 수를 줄인 차이점이 있다.
즉, 상기 스프링(111)은 그 양단부(114,115)가 베이스(3)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레그(112a)와, 하부판에 고정되는 하부레그(112b)와, 상기 상부 및 하부레그(112a,112b)의 중간에 원형으로 굴곡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고리(113a,113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리(113a,113b)는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2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11)의 양단부(114,115)는 베이스(3)의 저면에 상부 브래킷(116)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는 하부판(118)의 상면에 하부 브래킷(117)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11)은 1개의 판스프링에 의하여 베이스(3)를 지지하는 구조일 수도 있고, 혹은 다수개의 스프링이 일열로 배치됨으로써 베이스(3)를 지지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그리고, 스프링(111)이 다수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13a 와 도13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베이스(3)에 고정된다.
즉, 도13a 에는 스프링(111)의 상부레그(112a)가 베이스(3)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바, 다수개의 스프링(111)이 일열로 배치되고, 각 스프링(111)으로부터 돌출된 상부레그(112a)의 양단부(114,115)들이 베이스(3)의 저면에 고정된 상부 브래킷(116)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수직하중이 다수의 스프링(111)들에 작용하는 경우, 스프링(11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단부(114,115)를 일정 각도로 절곡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도13b 에는 스프링(111)의 하부레그(112b)가 하부판(118)의 상면에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바, 다수개의 스프링(111)이 일열로 배치되고, 각 스프링(111)으로부터 돌출된 하부레그(112b)의 절곡부(120)들이 하부판(118)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수직하중이 다수의 스프링(111)들에 작용하는 경우, 이 절곡부(120)가 돌기(119)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스프링(11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점핑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점핑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점핑장치는 신발과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베이스상에 신발의 저면을 직접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신발 과 탄성수단을 직접 고정시킨 구조이다. 따라서, 신발과 탄성수단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신발 조립체 및 이에 구비되는 점핑장치는 탄성수단을 장착함으로써 보행용 혹은 레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필요시 신발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신발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점핑할 수 있음으로 레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을 통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18)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점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과;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신발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에어백을 포함하는 신발의 점핑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점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과;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신발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력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러버와, 상기 러버의 저면에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신발의 점핑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점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과;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신발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1열로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상기 스프링은 그 상부 양단부가 베이스의 저면에 고정되고, 하부는 하부판에 고정되는 레그와, 상기 레그의 중간에 원형으로 굴곡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고리를 포함하는 신발의 점핑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신발의 점핑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부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상부 브래킷에 의하여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하부판의 상면에 하부 브래킷에 의하여 고정되는 신발의 점핑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 및 하단부는 일정 각도 절곡됨으로써 상기 상부 및 하부 브래킷에 의하여 고정되는 신발의 점핑장치.
  17.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발생시킴으로서 점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수단과;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어 신발을 탈착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의 앞부분에 배치되는 제1 고정대와, 뒷부분에 배치되는 제2 고정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대는 각각 걸림편과 수납편을 구비하여 이 걸림편을 수납편에 결합/분리시킬 수 있는 신발의 점핑장치.
  18. 삭제
KR1020050018662A 2005-03-07 2005-03-07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에 착용 가능한 점핑장치 KR100679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662A KR100679646B1 (ko) 2005-03-07 2005-03-07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에 착용 가능한 점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662A KR100679646B1 (ko) 2005-03-07 2005-03-07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에 착용 가능한 점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747A KR20060098747A (ko) 2006-09-19
KR100679646B1 true KR100679646B1 (ko) 2007-02-06

Family

ID=37630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662A KR100679646B1 (ko) 2005-03-07 2005-03-07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에 착용 가능한 점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6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7723B (zh) * 2014-05-15 2019-08-02 钟声 一种穿戴在足部的高效发电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102U (ja) 1984-07-30 1986-02-25 広高 西村 弾性靴
JPH06189801A (ja) * 1992-03-02 1994-07-12 Yoshiro Nakamatsu 翔ッ靴
KR200164049Y1 (ko) 1999-07-09 2000-02-15 신효영 점프용신발부재
KR20010071794A (ko) * 1998-07-10 2001-07-31 하시모토 신이치 광학식 엔코더의 회전디스크 장착 구조
KR20030035605A (ko) * 2001-10-31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서비스 지시자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기법
KR20030059780A (ko) * 2003-06-23 2003-07-10 박영국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102U (ja) 1984-07-30 1986-02-25 広高 西村 弾性靴
JPH06189801A (ja) * 1992-03-02 1994-07-12 Yoshiro Nakamatsu 翔ッ靴
KR20010071794A (ko) * 1998-07-10 2001-07-31 하시모토 신이치 광학식 엔코더의 회전디스크 장착 구조
KR200164049Y1 (ko) 1999-07-09 2000-02-15 신효영 점프용신발부재
KR20030035605A (ko) * 2001-10-31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서비스 지시자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기법
KR20030059780A (ko) * 2003-06-23 2003-07-10 박영국 패널형 스프링 장착 운동화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1717940000
200335605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747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9660B2 (en) Shoes, devices for shoes, and methods of using shoes
CN104287285B (zh) 具有脚跟缓冲系统的鞋类物品
KR100342173B1 (ko) 스프링장착운동화
US7458172B2 (en) Impact attenuating devices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devices
CN101548806B (zh) 具有整体的旋后肌装置的运动鞋和类似物品
US5987781A (en) Sports footwear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inserts with different elastic response to stressing by the user's foot
EP2023760B1 (en) Impact-attenuation members with lateral and shear force stability and products containing such members
JP4511515B2 (ja) 調整可能な特性を備えたソール構造を有するソール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フットウェア製品
JPH0661282B2 (ja) 履物用クッションスプリング
KR20090130804A (ko) 신발용 뒤축 보조구
US20100024246A1 (en) Insole with shock-absorb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05120271A1 (en) Shoes for absorbing sock
KR100679646B1 (ko) 신발 조립체 및 신발 조립체에 착용 가능한 점핑장치
US20090107006A1 (en) Shoe with springs
WO2012108589A1 (en) Spring cushioned shoe
KR101497819B1 (ko) 발지압용 쿠션부재
KR20170022268A (ko) 구두 밑창용 깔창 보조장치
KR200348870Y1 (ko) 점프 신발
KR102345003B1 (ko) 신발의 미드솔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20120138030A (ko) 충격흡수 신발
KR19980066550A (ko) 신발의 충격 자동 완충장치
JP4363991B2 (ja) 靴の中底
KR200226066Y1 (ko) 슬리퍼
KR200429740Y1 (ko)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KR200279025Y1 (ko)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