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030A - 충격흡수 신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030A
KR20120138030A KR1020110057291A KR20110057291A KR20120138030A KR 20120138030 A KR20120138030 A KR 20120138030A KR 1020110057291 A KR1020110057291 A KR 1020110057291A KR 20110057291 A KR20110057291 A KR 20110057291A KR 20120138030 A KR20120138030 A KR 2012013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receiving groove
supporting member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094B1 (ko
Inventor
조재영
이철장
Original Assignee
조재영
이철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영, 이철장 filed Critical 조재영
Priority to KR102011005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09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3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태 변형 및 형태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서포팅 부재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의 양단이 장착된 제1,2고정체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매우 간단한 제조 과정에 의하여 충격흡수 부재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사용 도중에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흡수 신발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충격흡수 신발{SHOES FOR SHOCK ABSORBING}
본 발명은 형태 변형 및 형태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서포팅 부재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의 양단이 장착된 제1,2고정체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매우 간단한 제조 과정에 의하여 충격흡수 부재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사용 도중에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충격흡수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고 일정한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역할을 함으로써 발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현재에는 발의 보호와 신발의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된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신발이 소개되고 있다.
한편 충격완화를 위한 신발로서, 코일스프링의 탄성 변형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신발이 제안된 바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034656호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상기 종래 기술은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 사이에 코일 스프링이 장착되며, 제1고정체와 제2고정체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서포팅 부재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서포팅 부재는 플라스틱과 같은 경질 부재로 이루어지며, 아울러 제2고정체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서포팅 부재의 이동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며, 경우에 따라 서포팅 부재에 과도한 응력이 걸릴 수 있어 서포팅 부재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서포팅 부재의 상단이 어퍼솔에 부딪히면서 서포팅 부재의 몸통부가 휘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형태 변형 및 형태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서포팅 부재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의 양단이 장착된 제1,2고정체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매우 간단한 제조 과정에 의하여 충격흡수 부재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사용 도중에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충격흡수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웃솔 ; 상기 아웃솔 상부에 접합 마련되되 상면에 제1수용부가 형성되는 제1지지체 ; 상기 제1지지체의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중앙에 제1관통구가 형성되되, 하면에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되 상기 제1관통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제1서포팅부재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면에 제1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고정체 ;
하단이 상기 제1스프링 수용홈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 ; 상기 제1서포팅부재 수용홈에 채워지는 하부지지부, 상기 하부지지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구에 채워지는 제1연장기둥부, 상기 제1연장기둥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서포팅 몸체, 상기 서포팅 몸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서포팅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연장기둥부, 상기 제2연장기둥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상부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고정체보다 연질의 재질로서 형태 변형 및 형태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서포팅부재 ; 하면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이 장착되는 제2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중앙에 제2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서포팅부재의 제2연장기둥부가 상기 제2관통구에 위치되며, 상면에 상기 제2관통구와 연통되되 상기 제2관통구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서포팅부재의 상부지지부가 상기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에 안착되어 접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제2고정체 ; 상기 제2고정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고정체가 안착되도록 하면에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제2지지체 ; 상기 제2지지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어퍼솔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는 방사상 연장부 및 상기 방사상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수평상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은 상기 상부지지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기둥부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분할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지지부는 각각의 분할기둥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서포팅 몸체에는 상부가 개구된 보조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형태 변형 및 형태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서포팅 부재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의 양단이 장착된 제1,2고정체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 매우 간단한 제조 과정에 의하여 충격흡수 부재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발의 사용 도중에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충격흡수 신발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 분리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조립 단면도 및 그 작동 상태도,
도 4는 충격흡수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충격흡수부재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서포팅부재의 평면도,
도 7은 충격흡수부재의 제조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측면도,
도 9는 평면도상 충격흡수부재의 배치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평면도상 충격흡수부재의 배치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신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요부 분리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조립 단면도 및 그 작동 상태도이며, 도 4는 충격흡수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충격흡수부재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6은 서포팅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7은 충격흡수부재의 제조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9는 평면도상 충격흡수부재의 배치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 신발은 아웃솔(110), 제1지지체(120), 제1고정체(130), 코일스프링(140), 서포팅부재(150), 제2고정체(160), 제2지지체(170), 어퍼솔(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웃솔(110)의 상면부에는 제1지지체(120)의 하면부가 본드나 강력접착제에 의하여 견고하게 부착되며, 아웃솔(110)은 직접 지면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아웃솔(110)의 바닥면에는 지면과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 충격 흡수와 지면과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나, 폴리우레탄, 고무 재질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아웃솔(110)은 탄성 및 미끄럼방지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소재 자체가 갖는 특성은 물론, 바닥면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철이 형성되어 탄성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보다 향상된 기능성을 보유하게 된다.
아웃솔(110)은 발의 앞꿈치와 뒤꿈치가 일체로 연결된 일체형이거나, 혹은 아웃솔(110)이 발의 앞꿈치 및 뒤꿈치로 나누어진 분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어퍼솔(180)은 제2지지체(170)의 상부에 마련되되, 그 하면부에는 제2지지체(170)와 본드나 강력접착제에 의하여 견고하게 부착된다.
어퍼솔(180)은 사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맞닿거나 또는 그 상면부에 깔창이 얹히게 된다.
아울러 어퍼솔(180) 상부에는 갑피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발등을 감싸 보행 시나 운동시에 사용자의 발을 보호하여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아웃솔(110) 상부에 접합 마련되는 제1지지체(120)는 그 상면에 다수의 제1수용부(121)(본 실시예에서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어퍼솔(180) 하부에 접합 마련되는 제2지지체(170)는 하면에 다수의 제2수용부(171)(본 실시예에서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제1지지체(120)와 제2지지체(170) 사이에는 제1고정체(130), 코일스프링(140), 서포팅부재(150), 제2고정체(160)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 부재(A)가 마련된다.
즉 제1수용부(121)와 제2수용부(171) 사이마다 충격흡수 부재(A)가 마련된다.
충격흡수 부재(A)는 보행시 뒤꿈치 부분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여 사용 편의성과 발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한다.
특히 충격흡수 부재(A)에서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는 부위는 코일스프링(140)으로서,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보행을 하거나, 또는 운동이나 작업을 행하는 경우 착용자의 몸무게에 의한 하중이 신발을 통하여 지면에 전달되면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상부 방향, 즉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코일스프링(140)이 탄성을 발휘하여 흡수 및 완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시간에 걸쳐 보행 및 운동을 하거나 또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발의 피로감뿐만 아니라 신체 전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함으로써 건강하고 편리함이라는 기능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코일스프링(140)은 사각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중에 의하여 코일스프링(140)이 압축되는 경우 상부 및 하부에 배열된 스프링끼리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 경우 코일스프링(140)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호 충돌에 의하여 코일스프링(140)의 외주면이 파손될 위험이 있게 되나, 코일스프링(140)의 단면을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호 충돌시 평면과 평면이 맞닿게 되어 상호 충돌에 의한 스프링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코일스프링(140)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은 금속재질의 코일스프링(140)이 단순히 접착에 의하여 합성수지인 제1지지체 등에 접합될 경우 코일스프링(140)은 장시간의 사용의 경우 그 접합성능이 열화되어 제1지지체로부터 분리 및 이탈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코일스프링(140)이 경질의 합성수지에 대하여 접착제로 접착되어 있는 경우 동일하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코일스프링(140)의 이탈을 방지하고 아울러 코일스프링(140)의 압축 및 복원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구조의 충격흡수 부재가 제시된다.
제1고정체(130)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제1관통구(131)가 형성되며, 하면에 제1관통구(131)와 연통되되 제1관통구(1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제1서포팅부재 수용홈(132)이 형성되며, 아울러 상면에 제1스프링 수용홈(13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서포팅부재 수용홈(132)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아울러 제1스프링 수용홈(133)은 링 형태로 형성된다.
제2고정체(160)는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제2관통구(161)가 형성되며, 상면에 제2관통구(161)와 연통되되 제2관통구(16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162)이 형성되며, 아울러 하면에 제2스프링 수용홈(163)이 형성된다.
즉 제1고정체(130)와 제2고정체(160)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다만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162)의 형태와 제1서포팅부재 수용홈(132)의 형태는 서로 상이하다.
제1고정체(130)와 제2고정체(160)가 서로 고정되기 위하여 서포팅부재(150)가 마련된다.
서포팅부재(150)는 경질 수지인 제1고정체(130) 내지 제2고정체(160)에 비하여 연질의 재질로 구성되며, 아울러 형태 변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형태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서포팅부재(150)는 폴리우레탄 발포재와 같은 합성수지 발포재로 구성될 수 있다.
서포팅부재(150)는 하부에서부터 하부지지부(151), 제1연장기둥부(152), 서포팅 몸체(153), 제2연장기둥부(154), 상부지지부(155)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이들은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지지부(151)는 제1서포팅부재 수용홈(132)에 채워지는 형태이다.
제1연장기둥부(152)는 하부지지부(15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1관통구(131)에 채워지는 형태이다.
서포팅 몸체(153)는 제1연장기둥부(15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제1관통구(1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따라서 제1관통구(1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서포팅 몸체(153)와 하부지지부(151)에 의하여 제1고정체(130)는 서포팅 몸체(153)에 결합되는 것이다.
서포팅 몸체(153)는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그 형태가 변형되기 용이하도록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서포팅 몸체(153)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압축되어 그 형태가 변형되기 용이하도록 상부가 개구된 보조홈(153a)이 형성되어 있다.
제2연장기둥부(154)는 서포팅 몸체(153)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서포팅 몸체(15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2연장기둥부(154)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분할기둥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후술하는 상부지지부(155)의 형태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지지부(155)는 제2연장기둥부(154)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태이며, 다수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지지부(155)는 각각의 분할기둥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부지지부(155)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사상 연장부(155a)와 방사상 연장부(155a)의 단부로부터 수평상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155b)로 이루어진다.
갈고리부(155b)는 상부지지부(155)가 보다 견고히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162)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부지지부(155)가 안착되는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162)는 상부지지부(155)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부지지부(155)는 접착에 의하여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162)에 접착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부지지지부(155) 및 서포팅 몸체(153)의 구조에 의하여 제2고정체(160)는 서포팅부재(15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충격흡수 부재가 제작되는 과정을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a)와 같이 제1고정체(130)를 준비한다.
다음으로 (b)와 같이 제1고정체(130)를 인서트 몰드한 상태에서 서포팅부재(150)를 제작한다.
(b) 단계에 의하여 제1고정체(130)와 서포팅부재(150)는 확실히 결합된다.
다음으로 (c)와 같이 제1고정체(130)의 제1스프링 수용홈(133)에 코일 스프링(140)의 하단부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d)와 같이 서포팅부재(150)와 제2고정체(160)를 결합시키는 한편 제2고정체(160)의 제2스프링 수용홈(163)에 코일 스프링(140)의 상단부를 장착한다.
(d) 단계에서 서포팅부재(150)의 상부지지부(155)는 형태 변형이 되면서 제2관통구(161)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한 후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162)에 안착되며, 아울러 접착제에 의하여 제2고정체(160)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충격흡수 부재가 제작되면, 코일 스프링(140)은 제1고정체(130)와 제2고정체(160) 사이에서 확실히 조립되며 그 이탈이 방지된다.
아울러 서포팅부재(150)는 제1고정체(130)와 제2고정체(16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상하로 압축 및 복원된다. 이때 서포팅부재(150)는 제1고정체(130) 또는 제2고정체(160)에 대하여 마찰을 일으키는 부분이 없게 되므로 소음 등의 발생이 방지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서 평면도상 충격흡수 부재의 배치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신발의 뒤꿈치 측에 총 5개의 충격흡수부재(A)가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아웃솔
120 : 제1지지체 121 : 제1수용부
130 : 제1고정체 131 : 제1관통구
132 : 제1서포팅부재 수용홈 133 : 제1스프링 수용홈
140 : 코일 스프링
150 : 서포팅부재 151 : 하부지지부
152 : 제1연장기둥부 153 : 서포팅 몸체
153a : 보조홈 154 : 제2연장기둥부
155 : 상부지지부 155a : 방사상 연장부
155b : 갈고리부
160 : 제2고정체 161 : 제2관통구
162 :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 163 : 제2스프링 수용홈
170 : 제2지지체 171 : 제2수용부
180 : 어퍼솔

Claims (3)

  1. 아웃솔 ;
    상기 아웃솔 상부에 접합 마련되되 상면에 제1수용부가 형성되는 제1지지체 ;
    상기 제1지지체의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중앙에 제1관통구가 형성되되, 하면에 상기 제1관통구와 연통되되 상기 제1관통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제1서포팅부재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면에 제1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고정체 ;
    하단이 상기 제1스프링 수용홈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 ;
    상기 제1서포팅부재 수용홈에 채워지는 하부지지부, 상기 하부지지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관통구에 채워지는 제1연장기둥부, 상기 제1연장기둥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서포팅 몸체, 상기 서포팅 몸체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서포팅 몸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연장기둥부, 상기 제2연장기둥부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상부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고정체보다 연질의 재질로서 형태 변형 및 형태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 서포팅부재 ;
    하면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단이 장착되는 제2스프링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중앙에 제2관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서포팅부재의 제2연장기둥부가 상기 제2관통구에 위치되며, 상면에 상기 제2관통구와 연통되되 상기 제2관통구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서포팅부재의 상부지지부가 상기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에 안착되어 접합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제2고정체 ;
    상기 제2고정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고정체가 안착되도록 하면에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제2지지체 ;
    상기 제2지지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어퍼솔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부는 방사상 연장부 및 상기 방사상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수평상으로 돌출되는 갈고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서포팅부재 수용홈은 상기 상부지지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신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기둥부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분할기둥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지지부는 각각의 분할기둥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서포팅 몸체에는 상부가 개구된 보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 신발.
KR1020110057291A 2011-06-14 2011-06-14 충격흡수 신발 KR101217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291A KR101217094B1 (ko) 2011-06-14 2011-06-14 충격흡수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291A KR101217094B1 (ko) 2011-06-14 2011-06-14 충격흡수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030A true KR20120138030A (ko) 2012-12-24
KR101217094B1 KR101217094B1 (ko) 2012-12-31

Family

ID=4790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291A KR101217094B1 (ko) 2011-06-14 2011-06-14 충격흡수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70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28B1 (ko) 2017-12-07 2018-08-17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신발
EP3850979A4 (en) * 2018-09-13 2022-05-11 Gi Yeon Kim SHOCK ABSORBING SHOE WITH SPR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656B1 (ko) * 2010-05-27 2011-05-16 박철수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228B1 (ko) 2017-12-07 2018-08-17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신발
EP3850979A4 (en) * 2018-09-13 2022-05-11 Gi Yeon Kim SHOCK ABSORBING SHOE WITH SPRING
US11528962B2 (en) 2018-09-13 2022-12-20 Gi Yeon KIM Shock-absorbing shoe using sp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094B1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8809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US10624420B2 (en) Article of footwear, elem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CA2798780C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KR20120063287A (ko)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101166466B1 (ko)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WO2010077033A3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KR101217094B1 (ko) 충격흡수 신발
KR101298196B1 (ko)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101429377B1 (ko) 운동화용 아웃솔
KR101418672B1 (ko) 신발 밑창
KR20120063413A (ko)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20090109387A (ko) 스프링 완충 신발
JPH0420606B2 (ko)
KR20120063417A (ko)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102024770B1 (ko)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1464643B1 (ko) 날개흡수수단을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200410356Y1 (ko) 충격 흡수 신발
CN201782115U (zh) 一种具有抗拉抻功能的高分子吸震鞋垫
KR20110065107A (ko)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KR101445267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1636534B1 (ko) 탄성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완충칼럼의 복원력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물품
GB2515133B (en) Article of footwear, element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of manufacturing
KR101369187B1 (ko) 보조 구두굽
WO2008153291A1 (en) Multi-layered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shoe 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