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107A -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 Google Patents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107A
KR20110065107A KR1020090121960A KR20090121960A KR20110065107A KR 20110065107 A KR20110065107 A KR 20110065107A KR 1020090121960 A KR1020090121960 A KR 1020090121960A KR 20090121960 A KR20090121960 A KR 20090121960A KR 20110065107 A KR20110065107 A KR 20110065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il spring
shock absorbing
spring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수
Original Assignee
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수 filed Critical 박철수
Priority to KR102009012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5107A/ko
Publication of KR20110065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수용부를 갖는 아웃솔과, 제2 수용부를 갖는 어퍼솔과, 상기 아웃솔의 제1 수용부 및 상기 어퍼솔의 제2 수용부에 각각 배열되고, 나선부가 형성된 지지구와, 상기 각 지지구의 나선부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지지구에 형성된 나선부에 코일스프링 양단부의 일정 부분이 나사 체결방식과 같이 삽입됨으로써 코일스프링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 간의 조립이 쉽고 간편해져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웃솔, 어퍼솔, 지지구, 나선부, 덧살부, 코일스프링, 접촉방지수단, 보호부재

Description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SHOE FOR PROTECTING SHOCK}
본 발명은 지지구에 형성된 나선부에 코일스프링 양단부의 일정 부분이 나사 체결방식과 같이 삽입됨으로써 코일스프링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 간의 조립이 쉽고 간편해져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고 일정한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역할을 함으로써 발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현재에는 이러한 발의 보호와 신발의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된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신발이 소개되고 있다.
특히 충격완화를 위한 신발의 경우에는 탄성 변형을 하는 코일스프링의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코일스프링이 조립되는데,
종래에 코일스프링을 신발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코일스프링 자체를 신발 굽에 내장하거나 또는 일정한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볼트나 또는 지지부재에 코일스프 링을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방법들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조립 방법들은 코일스프링의 안정적인 지지를 담보하기 어렵고,
또한 일정한 하중이 가해져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코일스프링 간의 접촉으로 심한 충격이 전해져 파손 및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고,
아울러 파손된 코일스프링을 교체 및 수리하기 위한 불필요한 사후 작업을 통한 경제적인 부담과 소비자의 신뢰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지구에 형성된 나선부에 코일스프링 양단부의 일정 부분이 나사 체결방식과 같이 삽입됨으로써 코일스프링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 간의 조립이 쉽고 간편해져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에는 나선부와 인접하여 덧살부가 더 구비되어, 나선부에 삽입 결합된 코일스프링의 내측부 또는 외측부, 또는 이들 모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지지구와 코일스프링 간의 조립신뢰성 및 결속력을 보장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방지수단은 각 지지구에 상호 대응하도록 연결되고, 코일스프링 내측에 배열되어 코일스프링의 압축 시 상호 맞닿아 코일스프링이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아울러 보호부재는 각 지지구를 상호 연결하고, 코일스프링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에 일정한 크기의 흙이나 돌, 또는 기타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 는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은 제1 수용부를 갖는 아웃솔; 제2 수용부를 갖는 어퍼솔; 상기 아웃솔의 제1 수용부 및 상기 어퍼솔의 제2 수용부에 각각 배열되고, 나선부가 형성된 지지구; 및 상기 각 지지구의 나선부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구에는 상기 나선부와 인접하여 덧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덧살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측부 또는 외측부, 또는 이들 모두를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 지지부에 상호 대응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내측에 배열된 접촉방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 지지구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감싸는 보호부재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은 지지구에 형성된 나선부에 코일스프링 양단부의 일정 부분이 나사 체결방식과 같이 삽입됨으로써 코일스프링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 간의 조립이 쉽고 간편해져 생산성 및 작업 능률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에는 나선부와 인접하여 덧살부가 더 구비되어, 나선부에 삽입 결합된 코일스프링의 내측부 또는 외측부, 또는 이들 모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지지구와 코일스프링 간의 조립신뢰성 및 결속력을 보장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방지수단은 각 지지구에 상호 대응하도록 연결되고, 코일스프링 내측에 배열되어 코일스프링의 압축 시 상호 맞닿아 코일스프링이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아울러 보호부재는 각 지지구를 상호 연결하고, 코일스프링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코일스프링에 일정한 크기의 흙이나 돌, 또는 기타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을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의 지지구를 다양한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의 접촉방지수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의 보호부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은
제1 수용부(11)를 갖는 아웃솔(10); 제2 수용부(21)를 갖는 어퍼솔(20); 상기 아웃솔(10)의 제1 수용부(11) 및 상기 어퍼솔(20)의 제2 수용부(21)에 각각 배열되고, 나선부(31)가 형성된 지지구(30); 및 상기 각 지지구(30)의 나선부(31)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코일스프링(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에서, 상기 아웃솔(10)은
그 상부에는 제1 수용부(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 수용부(11)는 환형돌기(11a)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용부(11)에는 코일스프링(40)의 하단부분(43)이 결합된 제2 지지 구(30B)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거나 또는 억지 끼움방식에 의하여 끼워지는 형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10)의 제1 수용부(11)는 상기 코일스프링(4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는데,
다만 첨부된 도 2에는 상기 아웃솔(10)의 제1 수용부(11)가 그 상부에 네 개의 지점에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충격흡수 신발의 용도나, 그 용도에 따라 가해지는 충격 하중에 따른 탄성 정도를 설계 시 고려하여 변형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아웃솔(10) 하면부에는 바닥솔(LS)이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며,
상기 바닥솔(LS)은 지면과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 충격 흡수와, 지면과의 접촉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솔(LS)은 발의 앞꿈치 및 뒤꿈치가 연결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바닥솔(LS)이 발의 앞꿈치 및 뒤꿈치로 나누어진 분리형인 경우에는 그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 사이로 돌이나 돌출된 형태의 물체 등에 걸려 보행자가 넘어질 위험이 있고,
또 이러한 물체가 그 틈새에 끼여 보행을 불편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바닥솔(LS)을 일체형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에서, 상기 어퍼솔(20)은
그 하면부에 제1 지지구(30A)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부(21)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 수용부(21)는 환형돌기(21a)로 이루어지고, 코일스프링(40)의 상단부분(41)이 결합된 제1 지지구(30A)가 접착제에 의하여 부착되거나 또는 억지 끼움방식에 의하여 끼워지는 형태로 삽입된다.
아울러 상기 어퍼솔(20)과 아웃솔(10)은 그 전방 부분이 일체로 연결되고,
또 일정한 강도를 갖는 PC 소재이나 또는 이와 유사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어퍼솔(20)과 아웃솔(10) 사이에 배열된 각 지지구(30) 및 코일스프링(40)의 결합체를 일정한 강도로 지지하고,
아울러 충격흡수 신발의 깔창 부분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어퍼솔(20) 상부에는 바로 신발 본체(SB)가 접착되고, 그 내부 에 일정한 깔창이 내장되거나,
또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깔창이 상기 어퍼솔(20) 상부에 접착된 후, 상기 신발 본체(SB)가 깔창 상부에 접착되어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각 지지구(30)와 코일스프링(40) 결합체는 뒤꿈치뿐만 아니라 앞꿈치 부분에도 배열됨으로써
충격흡수신발의 기능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에서, 상기 지지구(30)는
그 상부에 배열되는 제1 지지구(30A)와, 그 하부에 배열되는 제2 지지구(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구(30A)(30B)에는 상기 코일스프링(40)의 상단부분(41)과 하단부분(43)이 일정 부분이 삽입되는 나선부(31)가 각각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30)는 코일스프링(40)의 조립이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또 각 지지구(30)와 코일스프링(4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풀림방지 구조로 이루어져 제품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구(30)에서 제1 및 제2 지지구(30A)(30B)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지지구(30)의 나선부(31)는 나선형 형태의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스프링(40)의 상단부분(41)과 하단부분(43)이 제1 지지구(30A) 및 제2 지지구(30B)의 각 나선부(31)에 나사체결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그 조립은 물론 해체 작업 역시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지지구(30A)(30B)에 삽입되는 코일스프링(40)의 상단부부과 하단부분(43)은 각각 상호 반대 방향을 향해 위치하고,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40)의 상단부분(41)과 하단부분(43)이 삽입 결합되는 제1 및 제2 지지구(30A)(30B)의 결합이나 해체를 위한 체결 방향이 상호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 지지구(30A)(30B)에 코일스프링(40)의 상단부분(41)과 하단부분(43)이 삽입 체결된 후
이용자의 보행 시나 기타 충격에 의한 진동 및 흔들림에 의하여 지지구(30)와 코일스프링(40)이 상호 풀리거나 또는 자연 해체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풀림방지 기능을 갖게 됨으로써 제품의 결합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를 지지구(30)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구(30A)(30B)에는 상기 나선부(31)와 인접하여 덧살부(33)가 더 구비되고,
상기 덧살부(33)는 나선부(31)에 결합된 코일스프링(40)의 내측부 또는 외측 부, 또는 이들 모두를 지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각 지지구(30)에 구비된 덧살부(33)가 상기 제1 및 제2 지지구(30A)(30B)의 나선부(31)에 코일스프링(4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는 코일스프링(40)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지지구(30)와 코일스프링(40) 간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고,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지지구(30A)(30B)의 나선부(31)에 코일스프링(40)이 결합된 후에는 코일스프링(40)이 지지구(30)에 의하여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속력을 보장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 4에는 상기 각 지지구(30)의 덧살부(33)가 코일스프링(40)을 지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우선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덧살부(33)가 상기 코일스프링(40)의 내측부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원반 형태의 지지구(30)에서 상기 나선부(31)는 외측으로 치우쳐 그 외측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덧살부(33)는 상기 나선부(31) 내측에 인접하여 배열되어 나선부(31)에 삽입된 상기 코일스프링(40)의 내측부를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덧살부(33)가 상기 코일스프링(40)의 외측부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각 지지구(30)의 중심부에는 중공 부(35)가 형성되고,
상기 나선부(31)는 상기 중공부(35) 쪽으로 치우쳐 그 내측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덧살부(33)는 상기 나선부(31) 외측에 인접하여 배열되어 나선부(31)에 삽입된 코일스프링(40)의 외측부를 지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덧살부(33)가 상기 코일스프링(40)의 내측부 및 외측부 모두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나선부(31)는 그 양측부가 모두 폐쇄된 형태로 상기 각 지지구(30) 내에 형성되고,
상기 덧살부(33)는 상기 나선부(31)의 양측부에 인접하여 배열되어 나선부(31)에 삽입된 코일스프링(40)의 양측부를 지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지구(30)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0)의 내측에 배열된 접촉방지수단(37)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접촉방지수단(37)은 일정한 하중에 의하여 코일스프링(40)이 압축되는 경우 상호 비접촉하도록 하여 코일스프링(40) 상호간의 충돌 및 충격을 방지하여 코일스프링(40)의 파선 및 손상을 막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접촉방지수단(37)은 상기 제1 지지구(30A) 하면부에 연결된 제1 돌기(37a)와, 상기 제2 지지구(30B) 상면부에 연결된 제2 돌기(37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방지수단(37)의 제1 및 제2 돌기(37a)(37b)는 상기 코일스프링(40)이 일정한 하중에 의하여 압축되는 경우 상기 코일스프링(40)이 상호 접촉되기 전에
상기 제1 돌기(37a)의 하면부와 상기 제2 돌기(37)의 상면부가 맞닿으면서 상기 코일스프링(40)을 상호 이격시켜 코일스프링(40)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구(30A)(30B)의 나선부(31)가 코일스프링(40)의 외측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접촉방지수단(37)의 제1 및 제2 돌기(37a)(37b)는 상기 각 지지구(30)의 중공부(35)에 끼워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상기 각 지지구(30)에 상면부 및 하면부에 연결되는 경우와 대비하여 보다 견고한 지지력을 보장할 수 있게 됨으로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각 지지구(30)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코일스프링(40)을 감싸는 보호부재(5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보호부재(50)는 이용자의 보행 시 흙, 돌이나 이물질 등이 상기 코일스 프링(40) 사이에 끼이는 경우 코일스프링(40)의 압축 시 상기 이물질에 등에 의하여 코일스프링(40)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코일스프링(4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보호부재(50)는 상기 제1 지지구(30A)의 상면부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되고,
또 상기 제2 지지구(30B)의 하면부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보호부재(50)는 연질의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코일스프링(40)의 압축 및 원상 복귀 시 규칙 또는 불규칙한 형태로 변형하여 코일스프링(40)의 반복 동작 시 그 유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도 상기 보호부재(50)는 코일스프링(40)을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흙, 돌이나 기타 이물질 등이 코일스프링(40)으로 침투하는 것을 완전히 봉쇄함으로써
코일스프링(40)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만족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에서, 상기 코일스프링(40)은
상기 지지구(30)에서 제1 및 제2 지지구(30A)(30B)의 나선부(31)에 상단부 분(41)과 하단부분(43)이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40)은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보행을 하거나, 또는 운동이나 작업을 행하는 경우
착용자의 몸무게에 의한 하중이 신발을 통하여 지면에 전달되면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상부 방향, 즉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코일스프링(40)이 탄성을 발휘하여 흡수 및 완화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시간에 걸쳐 보행 및 운동을 하거나 또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발의 피로감뿐만 아니라 신체 전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함으로써 건강하고 편리함이라는 기능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40)은 사각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중에 의하여 코일스프링(40)이 압축되는 경우 상부 및 하부에 배열된 스프링끼리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 경우 코일스프링(40)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호 충돌에 의하여 스프링의 외주면이 파손될 위험이 있게 되나,
코일스프링(40)의 단면을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호 충돌 시 평면과 평면이 맞닿게 되어 상호 충돌에 의한 스프링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40)의 상단부분(41)과 하단부분(43)의 기울기는 대략적으로 수평한 상태에 근접하도록 형성되고,
그 길이는 1회전 정도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코일스프링(40)의 상단부분(41)과 하단부분(43)의 기울기가 다른 부분의 경사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각 지지구(30)의 단면 형상에서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열된 나선부(31)의 단차가 커지게 되고,
이는 각 지지구(30)의 두께 사이즈에 영향을 미쳐 각 지지구(30)가 두꺼워져 신발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높아져 이용자가 신는 경우 신발의 안정감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40)의 상단부분(41)과 하단부분(43)의 기울기 및 길이를 각 지지구(30)의 단면 형상에서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배열되는 나선부(31)의 단차가 최소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지지구(30)의 두께 사이즈를 줄이고 신발의 높이를 낮춰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을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을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을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의 지지구를 다양한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의 접촉방지수단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신발의 보호부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SB : 본체 LS : 바닥솔
10 : 아웃솔 11 : 제1 수용부
11a : 환형돌기
20 : 어퍼솔 21 : 제2 수용부
21a : 환형돌기
30 : 지지구 30A : 제1 지지구
30B : 제2 지지구 31 : 나선부
33 : 덧살부 35 : 중공부
35 : 접촉방지수단 35a : 제1 돌기
35b : 제2 돌기
40 : 코일스프링 41 : 상단부분
43 : 하단부분
50 : 보호부재

Claims (4)

  1. 제1 수용부를 갖는 아웃솔;
    제2 수용부를 갖는 어퍼솔;
    상기 아웃솔의 제1 수용부 및 상기 어퍼솔의 제2 수용부에 각각 배열되고, 나선부가 형성된 지지구; 및
    상기 각 지지구의 나선부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코일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에는 상기 나선부와 인접하여 덧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덧살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측부 또는 외측부, 또는 이들 모두를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구에 상호 대응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 내측에 배열되는 접촉방지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구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코일스프링을 감싸는 보호부재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KR1020090121960A 2009-12-09 2009-12-09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KR20110065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960A KR20110065107A (ko) 2009-12-09 2009-12-09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960A KR20110065107A (ko) 2009-12-09 2009-12-09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107A true KR20110065107A (ko) 2011-06-15

Family

ID=4439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960A KR20110065107A (ko) 2009-12-09 2009-12-09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51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7719A (zh) * 2021-09-10 2021-11-16 福建省莆田市中泰鞋材有限公司 一种超轻橡胶大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47719A (zh) * 2021-09-10 2021-11-16 福建省莆田市中泰鞋材有限公司 一种超轻橡胶大底
CN113647719B (zh) * 2021-09-10 2022-10-04 福建省莆田市中泰鞋材有限公司 一种超轻橡胶大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656B1 (ko) 조립성 및 작동성능이 향상된 충격흡수신발
US9538809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KR101006923B1 (ko) 신발 중창
KR100902651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US8732984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US20120137541A1 (en) Shock absorbing unit,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JPH0556881B2 (ko)
KR101166466B1 (ko) 내구성이 뛰어난 충격흡수수단을 구비한 신발
KR101020012B1 (ko) 기능성 신발
US20090107006A1 (en) Shoe with springs
CN102349726B (zh) 减震防扭伤鞋底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20110030854A (ko) 구조가 개선된 충격흡수 신발
KR20110065107A (ko) 조립성 향상을 위한 스프링 지지구가 구비된 충격흡수신발
WO2012108589A1 (en) Spring cushioned shoe
KR101217094B1 (ko) 충격흡수 신발
KR20090103642A (ko) 고탄력 충격 흡수기능을 갖는 관절보호 건강신발
KR20090109387A (ko) 스프링 완충 신발
KR101101415B1 (ko) 신발 중창
KR100831742B1 (ko) 다이어트용 쿠션 신발
KR102024770B1 (ko)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200191004Y1 (ko) 신발의 충격 완충장치
KR200410356Y1 (ko) 충격 흡수 신발
KR20120003743U (ko) 판 스프링 점핑 신발
KR200408605Y1 (ko) 충격흡수용 신발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