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3417A -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3417A
KR20120063417A KR1020110051442A KR20110051442A KR20120063417A KR 20120063417 A KR20120063417 A KR 20120063417A KR 1020110051442 A KR1020110051442 A KR 1020110051442A KR 20110051442 A KR20110051442 A KR 20110051442A KR 20120063417 A KR20120063417 A KR 20120063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fixing body
shock absorbing
elastic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운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쉘톤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쉘톤스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쉘톤스포츠
Priority to KR1020110051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3417A/ko
Publication of KR2012006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3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밑창은 아웃솔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부에 배열되며, 상면에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1 고정체와, 상기 제1 고정체의 수용부에 안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배열되고, 저면에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체와, 상기 제2 고정체의 상부에 배열되는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상부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위한 제2 수용부를 갖는 어퍼솔과,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제1 고정체와 제2 고정체에 접합되는 서포팅부재를 포함함으로써, 탄성부재의 이탈 및 분리방지를 위한 서포팅부재가 구비되어 충격흡수와 내구성을 높이고, 보행 시 탄성부재가 압축된 후 복원 시 탄성부재와 서포팅부재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IMPACT ABSORBING MEMBER, SOLE AND SHO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뒤꿈치의 아치(ARCH)부 및 종골(踵骨)부를 받치는 반발탄성 부재인 코일스프링의 이탈 및 분리방지를 위한 에어백 튜브형태의 서포트부재가 구비되어, 신발의 내구성을 높이고 상기 튜브를 고주파 열처리 접착방식에 의하여 쉽고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 및 조립작업이 쉽고 접착성이 매우 우수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의 발을 보호하고 일정한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 역할을 함으로써 발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신발의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된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신발이 소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격흡수용 신발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충격완화 신발의 경우에는 탄성 변형을 하는 코일스프링(40)의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조립된다.
종래에 코일스프링을 신발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신발 굽에 내장하거나 또는 일정한 지지부재를 사용하여 볼트나 또는 지지부재에 삽입하여 결합시키는 방법들이 채용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충격흡수용 신발의 충격흡수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충격흡수부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일예에서는 아웃솔(10)과 어퍼솔(60)의 사이에 탄성체로서 코일스프링(40)이 배열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0)의 상단과 하단에 코일스프링(4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체(35)(37)와, 상기 고정체(35)(37)를 잡아주기 위한 지지부재(30a)(30b)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30a)(30b) 및 고정체(35)(37)를 관통하여 코일스프링(40)을 잡아주기 위한 연결핀(5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용 신발은 상기 코일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착용자의 보행 시 받는 충격에 대한 충격 흡수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부는 일정한 하중이 지속적으로 코일스프링(40)에 가해져 코일스프링(40)이 압축되는 경우 코일스프링 간의 접촉으로 인한 심한 충격이 전해져 파손 및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충격흡수부는 하중이 가해질 때마다 상기 연결핀(50)의 머리 부분이 상기 어퍼솔(60)에 형성된 홈(61)을 계속하여 가격하므로, 상기 어퍼솔(60)의 'A'부분이 파손되어 상기 연결핀(50)의 머리부분이 어퍼솔(60)을 뚫고 외부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40)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이물질 등에 취약하고 코일스프링(40)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 파손된 코일스프링(40)을 교체 및 수리하기 위한 불필요한 사후 작업을 통한 경제적인 부담의 문제가 있고, 무엇보다도 이로 인한 소비자들의 신뢰성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35)(37)와 지지부재(30a)(30b)는 재질이 서로 상이하여, 고정체와 지지부재 간을 본드 등의 접착제로 접착시키는데, 신발을 사용하는 중 접착제의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면 상기 고정체(35)(37)와 지지부재(30a)(30b)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에어백(AIR BAG) 튜브 형태의 서포팅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서포팅부재 내부에 코일스프링을 수용함으로써, 코일스프링의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하면서도 다양한 종류의 신발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발을 편안하게 할 수 있는 충격흡수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에어백 튜브 형태의 서포팅부재가 코일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와 접착되어, 이물질, 녹, 파손 및 이탈이 방지되고 코일스프링의 장착상태가 안정되어 신발의 내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충격흡수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체와 서포팅부재의 재질을 동일한 계열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재질로 함으로써, 고주파 열접착방식으로 접착이 가능하여 접착부위가 견고하여 절대 분리되지 않으므로 착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충격흡수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종래의 연결핀을 생략하고 코일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는 에어백 튜브 형태의 서포팅부재를 구비하여 어퍼솔이나 코일스프링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흡수용 밑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어퍼솔, 지지부재에 각각 서포팅부재가 접착되어 보행 시 코일스프링이 압축된 후 복원될 때 서포팅부재의 상대적인 동작을 수용하고 가이드하여 코일스프링의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며, 더 나아가 코일스프링이 수용된 서포팅부재와 이를 상부 및 하부에서 고정하는 지지부재를 쉽고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작업이 쉽고,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충격흡수용 밑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체와 지지부재 간의 접착력을 월등히 향상시켜 신발의 사용 중 고정체와 지지부재가 분리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신발의 밑창 또는 굽에 삽입되는 충격흡수부재로서, 보행 시 착용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1 고정체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배열되고, 저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체와,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제1 고정체와 제2 고정체에 접합되는 서포팅부재를 포함하는 충격흡수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판코일 스프링과,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면서 보행 시 탄성부재가 압축 또는 복원될 때 상기 탄성부재의 동작에 대응하여 압축 또는 복원 동작이 가능한 에어백 튜브 형태이다.
이 경우, 상기 서포팅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어 착용자의 보행 시 충격을 받으면 상기 수용부가 압축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팅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에 복수개의 주름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보행 시 충격을 받으면 상기 수용부의 주름이 접혀지면서 압축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고정체와 서포팅부재는 고주파 열처리 접착방식에 의해 열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고정체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Temperature polyurethane))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포팅부재는 연질의 TPU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아웃솔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와,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부에 배열되는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상부에 배열되는 어퍼솔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보행 시 착용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1 고정체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배열되고, 저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체와,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제1 고정체와 제2 고정체에 접합되는 서포팅부재로 이루어지는 충격흡수용 밑창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판코일 스프링과,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면서 보행 시 탄성부재가 압축 또는 복원될 때 상기 탄성부재의 동작에 대응하여 압축 또는 복원 동작이 가능한 에어백 튜브 형태인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서포팅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어 착용자의 보행 시 충격을 받으면 상기 수용부가 압축되면서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팅부재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에 복수개의 주름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보행 시 충격을 받으면 상기 수용부의 주름이 접혀지면서 압축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고정체와 서포팅부재는 고주파 열처리 접착방식에 의해 열융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2 고정체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Temperature polyurethane))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포팅부재는 연질의 TPU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고정체와 제1, 제2 지지부재는 고주파 열처리 접착방식에 의해 열융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제2 고정체와 제1, 제2 지지부재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Temperature polyurethan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착용자의 종골부에 접하는 위치에 한 개가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착용자의 종골부를 지지하도록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충격흡수부재가 착용자의 종골부에 접하는 위치의 굽 내부에 삽입되거나 굽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재의 이탈 및 분리방지를 위한 서포팅부재가 구비되어 충격흡수와 내구성을 높이고, 보행 시 탄성부재가 압축된 후 복원될 때 서포팅부재가 일차적으로 초압을 잡아준 후 반발탄성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여 주므로 신발의 충격흡수기능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를 상부 및 하부에서 고정하는 제1, 제2 고정체를 서포팅부재에 고주파 열접착에 의하여 쉽고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종래의 충격흡수 신발에 비하여 조립작업이 쉽고, 조립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4개의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되는 경우, 자동차의 4륜구동 방식의 쇽업소버(SHOCK ABSOBER)처럼 체중의 하중을 상기 4개의 탄성부재가 현격하게 분산하여 발목 무릎, 척추 등을 보호 및 보완하여 신체교정 및 반발탄성으로 걸음이 보다 빨라지고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하고 피로감을 줄이며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이완, 수축시켜 변형된 다리, 척추 등을 보완하여 4방향 즉 전후좌우 등 균형을 지지하여 강력한 힘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충격흡수용 신발을 신고 보행하는 동작에 의해서도 신체의 변형된 체형을 교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백 튜브 형태의 서포팅부재를 고주파 열접착방식으로 고정체에 접착시켜 이물질, 녹, 파손 및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충격흡수용 신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충격흡수용 신발의 충격흡수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충격흡수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가 4개 구비된 신발의 밑창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가 4개 구비된 신발의 밑창을 도시한 배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가 한 개 삽입된 신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가 한 개 삽입된 신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가 여성용 구두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가 여성용 구두의 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용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100)는 신발의 밑창 또는 굽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보행 시 착용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140)와, 상기 탄성부재(140)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면에 상기 탄성부재(140)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1 고정체(135)와, 상기 탄성부재(140)의 상부에 배열되고, 저면에 상기 탄성부재(140)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체(137)와, 상기 탄성부재(140)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제1 고정체(135)와 제2 고정체(137)에 접합되는 서포팅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재(140)는 보행 시 뒤꿈치 즉 종골(踵骨)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하고 반발탄성 작용으로 신체와 발의 피로감을 줄일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14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판코일 스프링 또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판코일스프링을 상기 탄성부재(140)의 일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는 하중에 의하여 일반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는 경우 상, 하 배열된 스프링끼리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상호 충돌에 의하여 코일스프링의 외주면이 파손될 위험이 있지만, 사각단면을 갖는 판코일스프링의 경우에는 상호 충돌 시 평면과 평면이 맞닿게 되어 상호 충돌에 의한 스프링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상기 탄성부재(140)의 하단 및 상단부는 각각 제1 및 제2 고정체(135,137)에 결합되는데,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140)는 각 고정체(135,137)의 내측면에 형성된 환형의 안착부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140)를 신발의 밑창에 구비하면,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의 보행을 하거나, 또는 운동이나 작업 하는 경우 착용자의 몸무게에 의한 하중이 신발을 통하여 지면에 전달되면 반발탄성 작용으로 지면으로부터 충격이 상 방향, 즉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상기 판코일스프링이 충격흡수 및 반발탄성을 발휘하여 체중의 분산 흡수 및 완화하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장시간에 걸쳐 보행 및 운동을 하거나 또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발의 피로감뿐만 아니라 신체 전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및 완화함으로써 전후좌우 4방의 밸런스로 인하여 건강하고 편리함과 신체 교정이라는 기능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신발은 상기 탄성부재(140)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제1 고정체(135)와 제2 고정체(137)에 접합되는 서포팅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팅부재(150)는 상기 탄성부재(140)를 수용하는 에어백 튜브(AIR BAG TUBE) 형상으로서, 보행 시 탄성부재(140)가 압축되거나, 복원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40)에 대하여 상대적인 체중에 의한 압축 동작을 함으로써, 판코일스프링(140)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포팅부재(150)는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어 착용자의 보행 시 충격을 받으면 상기 수용부가 압축되면서 상기 탄성부재(14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포팅부재(150)는 상기 제1, 제2 고정체(135)(137)와 고주파 열처리 접착방식에 의해 열융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제2 고정체(135)(137)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하, TPU(Temperature polyurethane)로 기재함)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포팅부재(150)는 연질의 TPU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서포팅부재(150)와 상기 제1, 제2 고정체(135)(137)가 모두 TPU 재질로 됨으로써, 열융착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동일 계열의 TPU 재질로 이루어지는 서포팅부재(150)와 제1, 제2 고정체(135)(137)는 각각의 표면이 열에 의해 용융되었다가 접합되므로 완벽하게 접착될 수 있으며, 신발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절대 분리되지 않고 서포팅부재(150) 내부의 공기가 에어 백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충격흡수의 효과 및 탄성부재(140)를 지지하는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서포팅부재(150)는 연질의 TPU 재질로 됨으로써, 탄성부재(140)가 압축되거나 복원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40)에 대응하며 압축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포팅부재(250)(350)의 수용부에 복수개의 주름(250a)(350a)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름(250a)(350a)은 도 5a에서처럼 2줄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5b에서처럼 3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주름(250a)(350a)은 착용자의 보행 시 충격을 받으면 주름(250a)(350a)이 접혀지면서 압축되어 상기 탄성부재(140)를 지지하게 되며, 탄성부재(140)가 압축되거나 복원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40)에 대응하며 압축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부재가 구비된 밑창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가 4개 구비된 신발의 밑창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가 4개 구비된 신발의 밑창을 도시한 배면도로서, 본 발명의 밑창은 아웃솔(OUT-SOLE)(110)과 어퍼솔(160) 사이에 탄성부재(140)가 배열되는 것으로, 상기 아웃솔(110)은 그 상면부에는 제1 지지부재(130a)가 장착되는데, 상기 제1 지지부재(130a)의 하면부와 본드나 강력접착제에 의하여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기 아웃솔(110)의 바닥면은 직접 지면에 맞닿게 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면에는 지면과 직접 맞닿는 부분으로 충격 흡수와 지면과의 접촉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나, PU(폴리우레탄), 고무 재질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아웃솔(110)은 탄성 및 미끄럼방지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소재 자체가 갖는 특성은 물론, 바닥면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철로 이루어진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바와 같은 탄성 및 미끄럼방지를 위한 보다 향상된 기능성을 보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110)은 발의 전반부 및 후반부가 연결된 일체형으로 형성 되는데, 이는 아웃솔(110)이 발의 전반부 및 후반부로 나누어진 분리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돌이나 돌출된 형태의 물체에 걸려 보행자가 넘어질 위험이 있고, 또 이러한 물체가 그 틈새에 끼어 보행을 불편하게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아웃솔(110)을 일체형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어퍼솔(160)은 아웃솔(110) 상부에 배열되고, 그 하면부에는 제2 지지부재(130b)와 본드나 강력 접착제에 의하여 견고하게 부착되어 착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닿거나 또는 그 상면부에 깔창이 얹히게 된다.
상기 아웃솔(110)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 지지부재(130a)의 상부에는 제1 고정체(135)가 배열되고, 상기 제1 고정체(135)는 상기 탄성부재(140)가 안착되도록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탄성부재(140)가 안착된다.
상기 탄성부재(140)의 상부에는 저면에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체(137)가 배열되고, 상기 제2 고정체(137)의 상부에는 상기 어퍼솔(160)의 하면에 부착되는 제2 지지부재(130b)가 배열된다.
상기 제1, 제2 고정체(135)(137)와 제1, 제2 지지부재(130a)(130b)는 고주파 열처리 접착방식에 의해 열융착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제2 고정체(135)(137)와 제1, 제2 지지부재(130a)(130b)는 TPU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동일 계열의 TPU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고정체(135)(137)와 제1, 제2 지지부재(130a)(130b)는 열융착이 가능하여 보다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으므로 신발의 사용 중 접착력이 약해서 떨어지는 등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재(150)는 상기 제1, 제2 지지부재(130a,130b) 사이에 연결되어 보행 시 탄성 변형을 반복하는 탄성부재(140)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 오염과 이물질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포팅부재(150)는 상기 제1, 제2 지지부재(130a,130b)에 결합 고정된 제1, 제2 고정체(135,137)에 연결되는데, 이 경우 상기 서포팅부재(150)의 하단부는 상기 제1 고정체(135)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서포팅부재(150)의 상단부는 상기 제2 고정체(137)에 연결되어 열융착 내지 고주파 열처리 접착으로 안전하고 편안한 기능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가 한 개 삽입된 신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가 한 개 삽입된 신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가 여성용 구두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가 여성용 구두의 힐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0)는 착용자의 종골부에 접하는 위치에 한 개가 구비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웃솔이 평평하게 이루어지는 캔버스화나 운동화 등의 밑창에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뒷굽이 없는 힐레스형 신발에도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0)가 삽입됨으로써 착용자들의 보행 시 하중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0)는 여성용 구두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굽이 약간 낮은 구두에서는 착용자의 종골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0)가 삽입되어 보행 시 하중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뒷굽이 높은 하이힐의 경우에도 굽의 내부 또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0)가 뒷굽 내부에 삽입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0)는 뒷굽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으며,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여 피로감을 줄이며 변형된 다리, 척추 등을 보완하여 신체의 불균형을 바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조립 및 성능이 향상된 신발을 설명함에 있어 특징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당사자에 의하여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아웃솔 130a : 제1 지지부재
130b : 제2 지지부재 135 : 제1 고정체
137 : 제2 고정체 140 : 탄성부재
160 : 어퍼솔 150 : 서포팅부재

Claims (5)

  1. 신발의 밑창 또는 굽에 삽입되는 충격흡수부재로서,
    보행 시 착용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1 고정체;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배열되고, 저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체; 및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제1 고정체와 제2 고정체에 접합되는 서포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는 판코일 스프링과,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코일 스프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
  2. 신발의 밑창 또는 굽에 삽입되는 충격흡수부재로서,
    보행 시 착용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1 고정체;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배열되고, 저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체; 및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제1 고정체와 제2 고정체에 접합되는 서포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팅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면서 보행 시 탄성부재가 압축 또는 복원될 때 상기 탄성부재의 동작에 대응하여 압축 또는 복원 동작이 가능하도록 에어백 기능을 수행하는 튜브 형태로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에 복수개의 주름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보행 시 충격을 받으면 상기 수용부의 주름이 접혀지면서 압축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
  3. 신발의 밑창 또는 굽에 삽입되는 충격흡수부재로서,
    보행 시 착용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1 고정체;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배열되고, 저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체; 및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제1 고정체와 제2 고정체에 접합되는 서포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고정체와 서포팅부재는 고주파 열처리 접착방식에 의해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
  4. 신발의 밑창 또는 굽에 삽입되는 충격흡수부재로서,
    보행 시 착용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1 고정체;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배열되고, 저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체; 및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제1 고정체와 제2 고정체에 접합되는 서포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고정체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U(Temperature polyurethane))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서포팅부재는 연질의 TPU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
  5. 아웃솔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상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보행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
    상기 충격흡수부재의 상부에 배열되는 제2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 상부에 배열되는 어퍼솔;을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보행 시 착용자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 배열되고, 상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1 고정체와,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에 배열되고, 저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는 환형의 안착부가 형성된 제2 고정체와,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제1 고정체와 제2 고정체에 접합되는 서포팅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서포팅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를 수용하면서 보행 시 탄성부재가 압축 또는 복원될 때 상기 탄성부재의 동작에 대응하여 압축 또는 복원 동작이 가능하도록 에어백 기능을 수행하는 튜브 형태로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에 복수개의 주름이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보행 시 충격을 받으면 상기 수용부의 주름이 접혀지면서 압축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용 밑창.

KR1020110051442A 2011-05-30 2011-05-30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20120063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442A KR20120063417A (ko) 2011-05-30 2011-05-30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442A KR20120063417A (ko) 2011-05-30 2011-05-30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397A Division KR20120063287A (ko) 2010-12-07 2010-12-07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3417A true KR20120063417A (ko) 2012-06-15

Family

ID=4668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442A KR20120063417A (ko) 2011-05-30 2011-05-30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34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2080A (zh) * 2018-11-19 2019-03-26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透气呼吸运动鞋
KR101971502B1 (ko) * 2019-01-22 2019-04-23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면진 테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2080A (zh) * 2018-11-19 2019-03-26 福建起步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透气呼吸运动鞋
KR101971502B1 (ko) * 2019-01-22 2019-04-23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면진 테이블
WO2020153544A1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에스앤와이시스템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면진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3287A (ko)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US11622601B2 (en) Footwear with flexible cage and wedge
US11464280B2 (en) Shoe
US11134750B2 (en) Inflatable shock-absorbing sole structure
US9538809B2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CA2798780C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US20140259785A1 (en) Energy return sole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JP2010512933A (ja) 緩衝作用を有するインソ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077033A3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성 신발
WO2005120271A1 (en) Shoes for absorbing sock
KR20120063413A (ko)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20120063417A (ko) 충격흡수부재,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밑창 및 충격흡수부재를 구비한 신발
KR101600973B1 (ko) 신발창
KR20110112975A (ko) 신발 밑창
KR200361981Y1 (ko) 신발의 충격흡수용 패드 구조
KR20100114261A (ko) 신발용 충격흡수장치
KR101429377B1 (ko) 운동화용 아웃솔
KR101217094B1 (ko) 충격흡수 신발
KR200410356Y1 (ko) 충격 흡수 신발
KR102421694B1 (ko) 완충 신발
KR102001997B1 (ko) 기능성 신발 밑창을 구비하는 신발
KR102670412B1 (ko) 아치 스프링 결합 구조의 신발 물품
KR102024770B1 (ko)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CN209846252U (zh) 一种鞋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