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025Y1 -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025Y1
KR200279025Y1 KR2020020003645U KR20020003645U KR200279025Y1 KR 200279025 Y1 KR200279025 Y1 KR 200279025Y1 KR 2020020003645 U KR2020020003645 U KR 2020020003645U KR 20020003645 U KR20020003645 U KR 20020003645U KR 200279025 Y1 KR200279025 Y1 KR 200279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late
band
exercise
connecting membe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홍빈
Original Assignee
노홍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홍빈 filed Critical 노홍빈
Priority to KR2020020003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0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025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달리기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운동 중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관절 손상, 관절 무리등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지면에서 돌등을 밟았을 때 스프링판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목에 비정상적인 힘을 받지 않도록 구성한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를 조립할 때 조립 작업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사용 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한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탄성체로 제작됨과 아울러 서로 밀착되었을 때 맞닿는 부분에 공간부(1)가 형성되고 2개가 한조를 이루며 2개조가 대향 배치되는 연결 부재(2)와, 상기한 2조의 연결 부재(2) 가운데에 배치됨과 아울러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3)가 공간부(1)에 위치되고 고정 수단으로 연결 부재(2)와 결합되어 있는 탄성체인 밴드(4)와, 상기한 밴드(4)의 상하부에 위치되어 상기한 2조의 연결 부재(2)를 상하부에서 하나씩 각각 연결하여 타원을 이루며 결합 수단으로 연결 부재(2)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결합부재(3)와 접촉되지 않으며 상부에 발 고정구가 결합되는 스프링판(5)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ABSORBING DEVICE OF SHOES FOR EXERCISE}
본 고안은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달리기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운동 중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관절 손상, 관절 무리등을 개선할 수 있는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건강을 위해 아침에 공원등을 달리는 조깅을 많이 하게 되는 바, 상기한 조깅을 하는 사람은 비교적 가벼운 운동화(조깅용)와 트레이닝복을 착용하고 달리게 된다.
즉, 비교적 몸에 가벼운 것을 착용한 상태에서 비교적 느린 속도로 달리는것이 조깅인 바, 상기한 조깅을 할 때는 무릅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달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별도의 조깅용 운동화를 착용하지만, 상기한 조깅용 운동화는 보통의 운동화에 비해 약간 가볍고 탄성이 개선되도록 제작하였으나, 상기한 것만으로는 관절에 무리를 주는 것을 감소시키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별도의 조깅용 운동화 및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를 사용하게 되었는 바, 이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고정구(5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2개의 양단이 결합되어 아치형을 이루는 스프링판(51)과, 상기한 스프링판(51)의 중간에 설치됨과 아울러 스프링판(51)의 결합된 양단을 연결하는 고무재질의 탄성판(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탄성판(52)과 스프링판(51)의 결합 상태는, 탄성판(52)의 양단에 끼움홈(53)이 형성된 패드(54)와, 상기한 패드(54)의 끼움홈(53)에 스프링판(51)의 양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스프링판(51)의 양단에 돌출된 돌기(55)와, 상기한 돌기(55)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끼움홈(53) 전면부에 형성된 걸림턱(56)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발 고정구(50)에 발을 넣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조깅을 하게 되면 상기한 스프링판(51)이 끼움홈(53)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압축/확장 운동을 하게 되는 바, 상기한 스프링판(51)의 운동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무릅 관절, 발목등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화되어 조깅등과 같은 무리한 운동 시 무릅 관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스프링판(51)을 연결하고 있는 탄성판(52)은 스프링판(51)의 압축 시 보다 천천히 확장되도록 하여 스프링판(51)의 탄성을 보조하고, 확장될 때는 스프링판(51)의 양단을 당기면서 확장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끼움홈(53)에 스프링판(51)의 양단 돌기(55)가 고정되지 않고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한 스프링판(51)에 측면으로부터의 힘이 인가되면 비틀리면서 스프링판(51)이 끼움홈(53)에서 분리되어 사용자를 보호하게 된다.
즉,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E)에 있는 돌(S)을 스프링판(51)이 밟게 되면 스프링판(51)이 기울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발목에 비정상적인 힘(발목을 안쪽으로 구부리는 힘)이 인가되면 스프링판(51)과 탄성판(52)이 분리되면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발 고정구의 저면에 아치형으로 설치된 스프링판을 설치하고, 그 중간에 고무재질인 탄성판을 끼움홈과 돌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여 구성하면, 상기한 돌기 및 스프링판을 탄성판의 끼움홈에 끼우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스프링판과 탄성판이 분리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직접 이를 끼우는 것이 매우 어렵고 불편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판의 일측에 돌등을 밟았을 때 스프링판과 탄성판이 분리되도록 하였지만, 밟은 순간에 발목이 비틀리게 됨으로써, 사용자에 발목에 여전히 부상을 유발할 위험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에서 돌등을 밟았을 때 스프링판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목에 비정상적인 힘을 받지 않도록 구성한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를 조립할 때 조립 작업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사용 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을 보다 편리하게 한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탄성체로 제작됨과 아울러 서로 밀착되었을 때 맞닿는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2개가 한조를 이루며 2개조가 대향 배치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한 2조의 연결 부재 가운데에 배치됨과 아울러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가 공간부에 위치되고 고정 수단으로 연결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탄성체인 밴드와, 상기한 밴드의 상하부에 위치되어 상기한 2조의 연결 부재를 상하부에서 하나씩 각각 연결하여 타원을 이루며 결합 수단으로 연결 부재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결합부재와 접촉되지 않으며 상부에 발 고정구가 결합되는 스프링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발 고정구가 부착된 상태의 조립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완충 장치만을 도시한 평면도,
도4a는 도1에서 사용되는 탄성 조절 밴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4b는 도1에서 사용되는 탄성 조절 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4c는 도1에서 사용되는 탄성 조절 밴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5a는 도1에서 스프링판 고정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5b는 도5a에서 스프링판이 압착될 때의 스프링판 고정구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6a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프링판이 편평한 지면을 밟았을 때를 도시한 개략 상태도,
도6b는 스프링판이 지면에 있는 돌을 밟았을 때를 도시한 개략 상태도.
도7은 일반적인 신발용 완충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8은 도7에 따른 스프링판이 지면의 돌을 밟았을 때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공간부 2: 연결 부재
3: 결합 부재 4: 밴드
5: 스프링판 6: 절단부
7: 고정공 8: 핀
9: 끼움부 10: 연장부
11: 리벳 12: 범퍼
13: 차단홈 14: 차단 돌기
15: 패드 16: 천공부
17: 절단선
도1과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신발 고정구가 설치된 조립 사시도와 개략 평면도로서, 고무등과 같은 탄성체로 제작됨과 아울러 서로 밀착되었을 때 맞닿는 부분에 공간부(1)가 형성되고 2개가 한조를 이루며 2개조가 대향 배치되는 연결 부재(2)와, 상기한 2조의 연결 부재(2) 사이에 배치됨과 아울러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3)가 공간부(1)에 위치되고 고정 수단으로 연결 부재(2)와 결합되어 있는 탄성체인 밴드(4)와, 상기한 밴드(4)의 상하부에 위치되어 타원을 이루고 상기한 2조의 연결 부재(2)를 하나씩 각각 연결하며 결합 수단으로 연결 부재(2)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판(5)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각각의 스프링판(5)은 측면에 위치된 스프링판(5)과 같은 곡률로 이루어져 하나의 판처럼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결합 부재(2)와 접촉되지 않도록 절단부(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판(5)중 상부에 위치된 2개의 스프링판(5)에는 발 고정구(50)가 리벳(R)등과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되어 있게 된다.
상기한 고정 수단은 상기한 연결 부재(2)와 결합 부재(3)에 대응되도록 관통 형성된 고정공(7)과, 상기한 고정공(7)에 삽입되어 상기한 연결 부재(2)와 결합 부재(3)를 고정시키는 핀(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결합 수단은 상기한 연결 부재(2)의 상하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스프링판(5)의 양단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구성된 끼움부(9)와, 상기한 끼움부(9)의 저면에서 비교적 길게 연장된 연장부(10)와, 상기한 연장부(10)와 스프링판(5)을 결합시키는 리벳(11)등과 같은 고정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리벳(11)에 의해 스프링판(5)과 연결 부재(3)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한 연장부(10)는 스프링판(5)의 저면을 지지하는 보조 탄성체의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스프링판(5)중 하부에 위치된 스프링판(5)에는 상하에 위치된 스프링판(5)의 충돌을 막기 위해 범퍼(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한조의 스프링판(5)이 수평 방향으로 밀려 엇갈리는 것을 차단하도록 차단홈(13) 및 차단 돌기(14)가 대향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의 스프링판(5) 저면에는 패드(15)가 설치되어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밴드(4)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도4a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4)의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천공부(16)를 형성하거나 또는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4)의 외관에 절단선(17)을 형성한 후, 사용자가 자기의 체중, 느낌에 적합하도록 하나씩 뜯어낼 수 있게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조깅등과 같은 운동을 하기 위해 발고정구(50)에 신발을 신은 상태로 넣고 발을 고정시키게 된다.
신발이 발고정구(50)에 고정되면 이를 신을 채로 걷거나 운동을 하게 되는 바, 상기한 타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판(5)이 수축/확장 운동을 반복하면서 운동을 하는 사람의 발목, 무릅 관절등에 과다한 충격/비정상적인 측면에서의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지면에 발을 놓을 때 스프링판(5)이 압축되는 바, 이때 스프링판(5)이 연결 부재(2)를 밀어내게 되고 상기한 연결 부재(2)와 핀(8)으로 고정되어 있는 결합 부재(3)가 당겨지게 된다.
결합 부재(3)가 당겨지게 되면 결국 밴드(4)가 양측으로 당겨지는 상태가 되는 바, 상기한 스프링판(5)과 밴드(4)의 탄성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에 의해 자기에게 적합한 탄성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한 하나의 천공부(16)가 형성된 밴드(4) 또는 2개의 천공부(16)가 형성된 밴드(4)를 사용하는 것에 따라 밴드(4)의 탄성이 상이한 바, 이를 적절히 교체하면서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도4c에 도시된 밴드(4)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하나씩 절단선(17)을 따라 뜯어냄으로써 탄성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탄성의 조절이 완료되면 걷거나 뛰게 되는 바, 이때 상기한 연결 부재(2)에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10)가 도5a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팽창 운동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상기한 연장부(10)가 보조 탄성 수단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연장부(10)가 스프링판(5)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스프링판(5)의 압축 후 다시 복원될 때 복원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 탄성 수단의 역할을 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한 연장부(10)가 스프링판(5)의 양단을 지지하고 있게 됨으로써, 상기한 스프링판(5)의 과다한 압축을 방지하여 수명을 향상시킬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운동용 신발을 신고 걷거나 뛸 때, 상기한 스프링판(5)에 지면의 돌등이 밟히게 되면, 상기한 스프링판(5)중 돌을 밟은 부분만이 보다 많이 압축된다.
즉, 도6a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이 편평한 곳을 밟았을 때는 도6a와 같이 2개의 스프링판(5)이 같이 눌리게 되지만, 한쪽에 돌등이 있게 되면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만이 보다 많이 눌리게 된다.
한쪽만이 보다 많이 눌리게 되면, 상기한 한쪽의 스프링판(5)은 지면을 밟고 있는 상태가 되고, 다른 한쪽은 돌을 밟고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실질적으로는 스프링판(5) 및 운동용 신발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돌을 밟아도 운동용 신발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게 되면, 상기한 운동용 신발을 신고 걷거나 뛸 때, 운동을 하는 사람이 보다 균형잡힌 상태로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균형잡힌 상태로 걷거나 뛸 수 있게 됨으로써, 지면의 돌등에 의해 운동용 신발 및 스프링판(5)이 기울어지면서 발목에 비정상적인 힘을 주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운동 중 무릅 관절 부상, 발목 부상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2개의 스프링판(5) 가운데 정확하게 밴드(4)가 위치되어 있는 바, 상기한 중심 부분에서의 인장력이 양측의 스프링판(5)에 정확하게 인가됨으로써, 운동용 신발의 비틀림을 원천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한 스프링판(5)의 기울어지는 힘을 방지하여 발목에 비정상적인 힘이 인가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스프링판(5)을 2개로 분할함과 아울러 그 사이에 밴드(4)를 설치하였지만, 상기한 스프링판(5)의 강성에 영향을 주지않을 정도의 폭으로 스프링판(5)은 2개 이상으로 분할하여도 그 효과는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밴드(4)를 상하 방향으로 하나 이상 설치하여 스프링판(5)의탄성력을 조절하면서 사용하여도 그 효과는 달성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지면과 접촉하는 스프링판을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함과 아울러 그 사이에 탄성체인 밴드를 설치함으로써, 운동용 신발이 지면의 돌 또는 기울어진 부분을 밟아도 사용자가 기울어지지 않거나 발목에 비정상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발목 부상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2부분으로 분할된 스프링판의 가운데에 밴드가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판이 압축/팽창 운동을 반복할 때 밴드가 정확하게 가운데에서 인장력을 인가하고 있으므로, 스프링판이 기울어지는 힘을 보다 감소시켜 균형적인 운동을 가능케 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탄성체로 제작됨과 아울러 서로 밀착되었을 때 맞닿는 부분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2개가 한조를 이루며 2개조가 대향 배치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한 2조의 연결 부재 가운데에 배치됨과 아울러 양단에 형성된 결합 부재가 공간부에 위치되고 고정 수단으로 연결 부재와 결합되어 있는 탄성체인 밴드와, 상기한 밴드의 상하부에 위치되어 상기한 2조의 연결 부재를 상하부에서 하나씩 각각 연결하여 타원을 이루며 결합 수단으로 연결 부재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결합부재와 접촉되지 않으며 상부에 발 고정구가 결합되는 스프링판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 수단은 상기한 연결 부재와 결합 부재에 대응되도록 관통 형성된 고정공과, 상기한 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한 연결 부재와 결합 부재를 고정시키는 핀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 수단은 상기한 연결 부재의 상하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한 스프링판의 양단이 삽입되어 끼워지도록 구성된 끼움부와, 상기한 끼움부의 저면에서 비교적 길게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한 연장부와 스프링판을 결합시키는 고정 부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프링판중 하부에 위치된 스프링판에 설치되어 상하에 위치된 스프링판이 압축 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범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한조의 스프링판이 수평 방향으로 밀려 엇갈리는 것을 차단하도록 스프링판에 대향되도록 구성된 차단홈 및 차단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밴드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밴드의 중앙부에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밴드의 탄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밴드의 외관에 절단선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직접 자신에 맞춰 제거하면서 탄성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KR2020020003645U 2002-02-05 2002-02-05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KR2002790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45U KR200279025Y1 (ko) 2002-02-05 2002-02-05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645U KR200279025Y1 (ko) 2002-02-05 2002-02-05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025Y1 true KR200279025Y1 (ko) 2002-06-21

Family

ID=7311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645U KR200279025Y1 (ko) 2002-02-05 2002-02-05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0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8806B (zh) 具有整体的旋后肌装置的运动鞋和类似物品
KR200416582Y1 (ko) 건강신발
EP0515531B1 (en) Footwear cushioning spring
JPH07298903A (ja) 靴の底
JP2000502925A (ja) 足収容部と崩壊防止型スプリング部を有するスポーツ及び運動用装置
KR20000067994A (ko) 그라인딩 판을 갖춘 신발류 장치와 그 제조 방법
KR101250517B1 (ko) 신발 깔창
US5514054A (en) Stilts
KR200279025Y1 (ko)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KR200429740Y1 (ko)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KR101131280B1 (ko) O형, x형 다리의 예방 및 체중맞춤형 쿠션신발
US20140173931A1 (en) Adjustable spring device f0r walking and running
KR200476129Y1 (ko)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KR20010007846A (ko) 탄력을 갖는 신발
KR200403326Y1 (ko) 트레이닝 신발
KR100263584B1 (ko) 등산용 아이젠
KR102656858B1 (ko) 건강보조 신발
KR200265561Y1 (ko) 조깅용 신발
KR200190655Y1 (ko) 등산용 아이젠
KR200409798Y1 (ko) 다기능성 신발
KR200298750Y1 (ko) 점핑보행기
KR200397212Y1 (ko) 점핑용 탄성신발
KR100406888B1 (ko) 놀이용 점핑기구
KR200226066Y1 (ko) 슬리퍼
KR20140001215U (ko) 착용감이 양호한 안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