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561Y1 - 조깅용 신발 - Google Patents

조깅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561Y1
KR200265561Y1 KR20010037079U KR20010037079U KR200265561Y1 KR 200265561 Y1 KR200265561 Y1 KR 200265561Y1 KR 20010037079 U KR20010037079 U KR 20010037079U KR 20010037079 U KR20010037079 U KR 20010037079U KR 200265561 Y1 KR200265561 Y1 KR 200265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late
jogging
foot
shoe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37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홍빈
Original Assignee
노홍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홍빈 filed Critical 노홍빈
Priority to KR20010037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5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5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6Running shoes; Track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5Elasticated plates sandwiched between two interlocking components, e.g. thrusto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adjustable as to length or siz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30Protecting the ball-joint against pressure while stan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깅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깅등과 같이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이 운동 중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관절 손상, 관절 무리등을 개선할 수 있는 조깅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에 따라 조깅용 신발의 중량, 탄성등을 선택하여 스스로 교체/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깅용 신발의 사용을 보다 편하게 하는 조깅용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신발을 신은 상태로 발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발 고정구(50)를 포함하는 조깅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한 발 고정구(50)의 하단에 고정됨과 아울러 아치형으로 구성된 제1스프링판(1)과, 상기한 제1스프링판(1)의 양단이 끼워지도록 내측면에 결합홈(2)이 형성되고 상기한 제1스프링판(1)과 반대 방향으로 아치형 구성된 제2스프링판(3)과, 상기한 제2스프링판(3)의 양단과 연결됨과 아울러 발 고정구(50)의 전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스프링판(3)의 확장/수축을 보조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깅용 신발{SHOES FOR JOGGING}
본 고안은 조깅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깅등과 같이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이 운동 중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관절 손상, 관절 무리등을 개선할 수 있는 조깅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건강을 위해 아침에 공원등을 달리는 조깅을 많이 하게 되는 바, 상기한 조깅을 하는 사람은 비교적 가벼운 운동화(조깅용)와 트레이닝복을 착용하고 달리게 된다.
즉, 비교적 몸에 가벼운 것을 착용한 상태에서 비교적 느린 속도로 달리는 것이 조깅인 바, 상기한 조깅을 할 때는 무릅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달리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별도의 조깅용 운동화를 착용하지만, 상기한 조깅용 운동화는 보통의 운동화에 비해 약간 가볍고 탄성이 개선되도록 제작하였으나, 상기한 것만으로는 관절에 무리를 주는 것을 감소시키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별도의 조깅용 운동화를 사용하게 되었는 바, 이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화를 신은채로 발을 집어넣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발고정구(50)와, 상기한 발 고정구(50)의 저면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2개의 양단이 결합되어 아치형을 이루는 스프링판(51)과, 상기한 스프링판(51)의 중간에 설치됨과 아울러 스프링판(51)의 결합된 양단을 연결하는 고무재질의 탄성판(52)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발 고정구(50)에 발을 넣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조깅을 하게 되면 상기한 스프링판(51)이 압축/확장 운동을 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무릅 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됨으로써, 조깅등과 같은 무리한 운동 시 무릅 관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스프링판(51)을 연결하고 있는 탄성판(52)은 스프링판(51)의 압축 시 보다 천천히 확장되도록 하여 스프링판(51)의 탄성을 보조하고, 확장될 때는 스프링판(51)의 양단을 당기면서 확장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발 고정구의 저면에 아치형으로 설치된 스프링판을 설치하고, 그 중간에 고무재질인 탄성판을 연결하여 탄성을 보조하게 되면, 상기한 스프링판의 탄성 및 탄성판의 탄성이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조깅용 신발의 전체 중량이 일정하기 때문에, 사람에 따라 중량을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스프링판 및 탄성판의 탄성과 중량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예를 들면, 성인 남성, 성인 여성, 아이들등과 같이 각자의 근력에 맞춰선택 사용할 수 없거나 스스로 조절할 수 없게 됨으로써, 조깅용 신발의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따라 조깅용 신발의 중량, 탄성등을 선택하여 스스로 교체/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깅용 신발의 사용을 보다 편하게 하는 조깅용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신발을 신은 상태로 발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발 고정구를 포함하는 조깅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한 발 고정구의 하단에 고정됨과 아울러 아치형으로 구성된 제1스프링판과, 상기한 제1스프링판의 양단이 끼워지도록 내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한 제1스프링판과 반대 방향으로 아치형 구성된 제2스프링판과, 상기한 제2스프링판의 양단과 연결됨과 아울러 발 고정구의 전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스프링판의 확장/수축을 보조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조깅용 신발을 도시한 사시도,
도2a는 도1의 조립 단면도,
도2b는 도2a에서 스프링판이 눌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도1에서 사용되는 중량 조절 밴드의 여러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1에서 사용되는 중량 조절 밴드의 다른 실시예인 일체형 중량 조절 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1에서 스프링판의 저면에 부착되는 미끄럼 방지판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6은 도1의 B-B 선 단면도,
도7은 도6에서 너트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8은 일반적인 조깅용 신발을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판스프링 2: 결합홈
3: 제2판스프링 4: 핀
5: 탄성판 6: 완충판
7: 볼트 8: 완충 돌기
9: 안정 돌기 10: 연장부
11: 이동공 12: 너트
13: 나사 14: 미끄럼 방지 패드
도1과 도2a와 도2b는 본 고안에 따른 조깅용 신발을 도시한 사시도와 조립 단면도로서, 신발이 수납 고정되도록 형성된 발 고정구(50)와, 상기한 발 고정구(50)의 하단에 고정됨과 아울러 아치형으로 구성된 제1스프링판(1)과, 상기한 제1스프링판(1)의 양단이 끼워지도록 내측면에 결합홈(2)이 형성되고 상기한 제1스프링판(1)과 반대 방향으로 아치형 구성된 제2스프링판(3)과, 상기한 제2스프링판(3)의 양단과 연결됨과 아울러 발 고정구(50)의 전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스프링판(3)의 확장/수축을 보조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탄성 수단은 제2스프링판(3)의 양단에 핀(4)으로 일단이 결합되어 회전 운동 가능한 소정 크기의 고무재질인 탄성판(5)과, 상기한 탄성판(5)의 타단이 핀(4)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발 고정구(50)의 전후에 형성된 고정홈(6)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탄성판(5)이 제2스프링판(3)의 수축/확장을 제한하면서 조깅용 신발의 탄성을 조절하게 되는 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탄성판(5)의 탄성이 여러 가지로 조절(중량, 탄성, 형태등을 여러 형태로 조절한 것)된 탄성판(5)을 교체하여 끼우게 되면, 사용자에 적합한 탄성을 갖도록 조깅용 신발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탄성판(5')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하고, 상기한 발 고정구(50)의 저면에 고정홈(6)을 관통하여 형성한 관통공(미 도시)을 형성하여 이를 끼움과 아울러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2스프링판(3)과 결합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한 제2스프링판(3)의 저면에는 조깅 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등과 같은 재질로 판상 제작된 완충판(6)이 볼트(7)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한 제2스프링판(3)의 상면에는 제1, 2스프링판(1, 3)이 수축될 때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고무재질인 완충 돌기(8)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완충판(6)의 저면에는 제2스프링판(3)이 아치형이기 때문에 조깅하는 사람이 서있기가 힘든 것을 개선하도록,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면에안정돌기(9)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조깅을 하지 않고 서있을 때 제2스프링판(3)의 전후면을 지지하여 안정된 상태로 서있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발 고정구(5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발 크기, 발 형상에 적합하도록 발 고정구(5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수단을 통해 연장부(1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도1과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고정구(50)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장방형의 이동공(11)과, 상기한 발 고정구(5)의 상단에 밀착되어 있고 발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연장부(10)와, 상기한 연장부(10)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한 장방형의 이동공(11)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너트(12)에 나사 결합된 나사(13)로 구성되어, 상기한 나사(13) 및 너트(12)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연장부(10)가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나사(13)를 풀게 되면 상기한 발 고정구(50)와 연장부(10)가 느슨하게 되어 연장부(10)를 이동공(11)을 따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한 이동 후 발에 맞춰지게 되면 나사(13)를 조여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이동공(11)은 발의 형태에 적합하게 연장부(10)가 이동하도록 경사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발 고정구(50)의 전면에는 신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 패드(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조깅을 하기 위해 트레이닝복등을 입고 조깅용 신발을 신은 후, 상기한 연장부(10)를 조절하여 자신의 발에 적합하도록 한다.
즉, 상기한 연장부(10)의 나사(13)를 풀고 자신의 발 형태에 적합하게 연장부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다시 나사(13)를 조여 이를 고정시키게 된다.
연장부(10)가 고정되어 자신의 발에 적합하게 되면, 운동을 위해 뛰게 되는 바, 조깅을 할 때 상기한 제1, 2스프링판(1, 3)이 수축/확장 운동을 반복하면서 조깅을 하는 사람의 무릅 관절등에 과다한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면, 지면에 발을 밟을 때 제1, 2스프링판(1, 3)이 압축되는 바, 이때 제2스프링판(3)에 연결되어 있는 탄성판(5)이 확장되면서 상기한 제1, 2스프링판(1, 3)이 급작스럽게 확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1, 2스프링판(1, 3)이 급작스럽게 확장되지 않게 되면, 상기한 조깅 시 발을 지면에 밟는 동작이 보다 부드럽게 됨과 아울러 상기한 발을 지면에서 뗄 때에도 상기한 탄성판(5)의 복귀 탄성에 의해 보다 쉽게, 탄성적으로 조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사용자의 체중, 조깅하는 습관에 맞춰 상기한 탄성판(5)을 교체함으로써, 조깅 시의 탄성을 사용자에 맞게 조절하면 보다 쉽고 즐겁게 조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제2스프링판(3)의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완충판(6)이 지면과 제2스프링판(3)의 접촉에 따른 충격량을 완화시킴으로써, 조깅시의 충격량이 무릅 관절에 인가되는 것을 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탄성판(5)의 교체는 상기한 발 고정구(50)측과 제2스프링판(3)의 핀(4)을 빼낸 후, 자신에게 맞는 다른 탄성판을 결합시키면 쉽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조깅용 신발을 신고 높이 뛰어 오르거나 또는 높은 곳에서뛰어내리게 되면, 상기한 제1, 2스프링판(1, 3)이 거의 닿을 정도로 확장되는 바, 상기한 완충 돌기(8)가 제1, 2스프링판(1, 3)의 접촉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깅을 하다가 휴식을 위해 정지하게 되면, 상기한 완충판(6)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안정 돌기(9)가 지면에 닿게 됨으로써, 조깅을 하는 사람이 전후방향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감있게 서 있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발 고정구의 저면에 제1, 2스프링판을 아치형으로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한 제2스프링판의 양단을 발고정구와 연결된 탄성판으로 연결함으로써, 탄성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조깅, 편안한 조깅을 가능하게 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신발을 신은 상태로 발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발 고정구를 포함하는 조깅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한 발 고정구의 하단에 고정됨과 아울러 아치형으로 구성된 제1스프링판과, 상기한 제1스프링판의 양단이 끼워지도록 내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한 제1스프링판과 반대 방향으로 아치형 구성된 제2스프링판과, 상기한 제2스프링판의 양단과 연결됨과 아울러 발 고정구의 전후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스프링판의 확장/수축을 보조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깅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 수단은 제2스프링판의 양단에 핀으로 일단이 결합되어 회전 운동 가능함과 아울러 소정 탄성을 갖고 신축 자재한 소정 크기의 탄성판과, 상기한 탄성판의 타단이 핀으로 결합되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발 고정구의 전후에 형성된 고정홈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깅용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판을 중량, 탄성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깅용 신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발 고정구의 저면에 고정홈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한 관통공과, 상기한 관통공에 삽입되어 양측이 돌출되면서 제2스프링판과 결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깅용 신발.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스프링판의 저면에 고정 설치됨과 아울러 조깅 시 지면으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탄성 재질로 제작된 완충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깅용 신발.
  6.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스프링판의 상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제1, 2스프링판이 수축될 때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탄성 재질로 구성된 완충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깅용 신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완충판의 저면에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아치형인 제2스프링판에 의해 사용자가 서있을 때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구성된 안정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깅용 신발.
  8.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발 고정구의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발 크기, 발 형상에 적합하게 발 고정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절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깅용 신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절 수단은 발 고정구의 상단 양측에 형성된 장방형의 이동공과, 상기한 발 고정구의 상단에 밀착되어 있고 발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연장부와, 상기한 연장부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한 장방형의 이동공에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너트에 나사 결합된 나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깅용 신발.
KR20010037079U 2001-11-30 2001-11-30 조깅용 신발 KR200265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7079U KR200265561Y1 (ko) 2001-11-30 2001-11-30 조깅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7079U KR200265561Y1 (ko) 2001-11-30 2001-11-30 조깅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561Y1 true KR200265561Y1 (ko) 2002-02-21

Family

ID=3993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37079U KR200265561Y1 (ko) 2001-11-30 2001-11-30 조깅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5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1806A1 (en) * 2007-03-13 2008-09-18 Sun-Gyu Chun Elastic device
WO2014084497A1 (ko) * 2012-11-29 2014-06-05 Lee Won Yong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1806A1 (en) * 2007-03-13 2008-09-18 Sun-Gyu Chun Elastic device
WO2014084497A1 (ko) * 2012-11-29 2014-06-05 Lee Won Yong 신발 보행충격 완충보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7404B2 (en) Health shoes
JP2000502925A (ja) 足収容部と崩壊防止型スプリング部を有するスポーツ及び運動用装置
JP2011529352A (ja) バランストレーニング・システム
US20040110604A1 (en) Rocking exercise device
KR20190036748A (ko) 발목 보조장치
US5295932A (en) Stilts
CN101474472A (zh) 具有分离脚跟和脚趾部的行走脚柱
KR200265561Y1 (ko) 조깅용 신발
KR20130103862A (ko) 높낮이 조절용 깔창
US6722670B1 (en) Roller skate provided with means to absorb shock
US9107476B2 (en) Adjustable spring device for walking and running
JPH08173208A (ja) 靴用バネ部材およびバネ部材搭載靴
KR20220122014A (ko) 기능성 헬쓰 슈즈
EP0993326B1 (en) Ergonomic skate boot with shock absorber
KR200279025Y1 (ko)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KR200409798Y1 (ko) 다기능성 신발
KR200429740Y1 (ko) 운동용 신발 완충 장치
KR200191004Y1 (ko) 신발의 충격 완충장치
JP2019076443A (ja) 歩行補助具
KR200290570Y1 (ko) 충격 완충장치를 구비한 신발
KR20120003743U (ko) 판 스프링 점핑 신발
US20050043144A1 (en) Auxiliary equipment for exercise treadmill
KR200332205Y1 (ko) 충격완화용 신발밑창
KR200367999Y1 (ko) 충격완화 인라인 스케이트
KR200298750Y1 (ko) 점핑보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