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9210A -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9210A
KR20030059210A KR10-2003-7005595A KR20037005595A KR20030059210A KR 20030059210 A KR20030059210 A KR 20030059210A KR 20037005595 A KR20037005595 A KR 20037005595A KR 20030059210 A KR20030059210 A KR 2003005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eye
contact
contact surface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셔콘라드
테이지도주안마누엘
Original Assignee
하그-스트라이트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그-스트라이트 아게 filed Critical 하그-스트라이트 아게
Publication of KR2003005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21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5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with contact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6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measuring intraocular pressure, e.g. ton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9/009Auxiliary devices making contact with the eyeball and coupling in laser light, e.g. gonio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7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examining the anterior chamber or the anterior chamber angle, e.g. goni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26Ophthalmic product dispenser attachments to facilitate positioning near the ey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Prostheses (AREA)
  • Eyeglasses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1.3)는 서로 조립되어 눈에 씌워질 수 있는 본체(2.3)와 부착체(3.3)를 구비하는데, 본체와 부착체의 양자 사이에는 굴절률 정합을 위한 겔형 유동체(14)가 도입된다. 본체와 부착체 양자 사이에 있는 공기 또는 과잉의 유동체가 빠져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부착체는 본체와 부착체 양자 사이의 최소 간격을 보장하는 다수의 융기부(13.1)를 구비한다. 검사/치료 시에 부착체만이 눈 또는 환자와 접촉되고 본체는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단지 부착체만이 살균될 수 있게 형성되면 되고, 그 경우에 제조 공정에 통합된 한 번의 살균으로도 충분하다. 부착체는 저렴한 재료로 간단하게 일회용품으로서 구상되어 제조될 수 있다. 그 반면에, 본체는 소독되기만 하면 된다. 또한, 그와 같이 장치를 본체와 부착체로 분할함으로써, 다수의 상이하게 형성된 본체를 소수의 부착체와 함께 또는 다수의 상이하게 형성된 부착체를 소수의 본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소수의 상이한 본체 또는 부착체만으로도 다수의 여러 눈 검사 또는 눈 치료를 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와 그 방법{DEVICE AND METHOD FOR EXAMINING AND/OR TREATING AN EYE}
선행 기술로부터 직접 눈에 씌워서 눈을 검사 내지 치료하는 각종의 눈 검사 또는 눈 치료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간략히 하기 위해, 이후로 검사라는 개념은 상응하게 눈을 치료하는 것까지 의미하는 것으로 하기로 한다.
그러한 눈 검사 장치에는 소위 눈의 동공을 통해 눈의 이면 부위 또는 눈 내부의 다른 부위를 검사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콘택트 렌즈가 속한다. 아울러, 예컨대 눈과 직접 접촉되어 안압을 측정하는 안압계와 같은 다른 장치도 그에 속한다.
그러한 유형의 장치는 다수의 갖가지 다른 형태로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즉, 예컨대 성인 또는 소아용의 상이한 크기의 콘택트 렌즈가 제공되어 있다. 원하는 용도에 따라, 콘택트 렌즈는 옆으로 배치되어 눈 내부의 주변 부위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검사경을 구비할 수도 있는데, 만일 그러한 검사경이없다면 그 주변 부위를 볼 수가 없다. 또한, 눈과 접촉되는 구역에 소위 공막 링(sclera ring)을 구비하는 콘택트 렌즈도 제공되어 있는데, 그러한 공막 링은 그것이 눈꺼풀에 의해 덮이거나 눈꺼풀에 의해 눈에 유지되도록 눈 위에 놓여진다.
그러한 공지의 장치의 단점은 한편으로 장치의 상이한 구성 형태를 다루어야만 여러 가지 검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검사 시에 눈이 오염됨으로 인해 감염의 위험까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검사 전에 장치를 소독 또는 살균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마모 현상이 생기게 되고, 그 때문에 수시로 장치를 교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눈에 씌워지는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양태 및 특징의 조합은 이후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의 범위 전체로부터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눈 검사용 콘택트 렌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택트 렌즈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조립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체와 부착체 사이에 스냅 결합이 이뤄지는 조립된 콘택트 렌즈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조립 전에 굴절률을 맞추기 위한 겔형 재료가 도포된 콘택트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조립 후에 도 5의 콘택트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콘택트 렌즈의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눈에 씌워진 도 6의 콘택트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공막 링을 구비한 부착체에 의해 눈에 씌워진 콘택트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콘택트 렌즈의 일부를 확대시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체가 검사경을 구비하는, 눈에 씌워진 콘택트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위로부터 바라본 도 11의 콘택트 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의 단점을 회피시키고, 감염 또는 자극 요소의 전이를 간단하게 방지하는 전제된 유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규정된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눈에 씌워서 눈을 검사 및/또는 치료하는 장치는 본체(base body) 및 본체에 조립될 수 있는 부착체(attachment body)를 구비하되, 그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는 부착체에 의해 눈에 씌워질 수 있다.
그와 같이 장치를 본체와 부착체로 분할하는 것에는 다수의 장점이 수반된다. 즉, 본체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검사경 또는 일정한 검사 기구와 같은 특정의 눈 검사용 광학 요소를 임의대로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기계적 또는 광학적으로 복잡한 것들의 대부분은 본체에 끼워진다. 그 결과, 부착체는 광학 작용을 하는 요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전형적으로 광학 투명 재료의 박층으로만 이뤄지게 된다. 그러한 부착체는 간단하고도 저렴하게 대량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으로, 부착체는 한번 사용하거나 적은 회수로 몇 차례 사용하는 일회용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부착체는 여러 번 사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그 경우에도 예컨대 소독 또는 살균으로 인한 마모가 매우 크게 되면 부착체를 간단하게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다만, 부착체가 눈과 접촉되는 구역에서 눈을 상하게 하지 않도록 형성되게끔 유의해야 한다. 즉, 예컨대 부착체를 눈에 씌우는 부착체의 면은 홈이나 모서리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평활하게 형성되어 눈 표면에 맞춰져 한다.
또한, 예컨대 상이한 부착체가 동일한 본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저렴하게 각종의 검사를 할 수 있게 되는데, 선행 기술에서 그렇게 하는데는 각각의 상이한 고가의 장치가 필요하였다.
약간씩 변형된 소수의 부착체와 약간씩 변형된 소수의 본체를 조합시킴으로써, 사실상 모든 장치 변형이 조립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다양하면서도 간단 저렴하게 눈 검사를 할 수 있게 된다.
원칙적으로, 본체의 외형은 임의로 될 수 있다. 그러나, 본체는 전형적으로 그것을 통해 눈을 검사할 수 있는 평탄한 표면을 일 측에 구비한다. 또한, 본체는 전형적으로 평탄한 표면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접촉 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접촉 면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임의로 볼록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정해진 한계 내에서 임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부착체는 본체의 접촉 면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추가의 접촉 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러한 양자의 접촉 면은 장치가 조립되었을 때에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놓인다. 본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라는 것은 접촉 면이 동일하다는 것이 아니라,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태 및 거의 같은 크기로 되어 서로 접촉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자의 접촉 면은 예컨대 대략적으로 동일한 종횡 비(aspect ratio) 및 동일한 면을 갖는 다각형의 형태로 평탄하게 형성되거나, 양자 모두 동일한 직경으로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본체의 접촉 면이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되면, 부착체의 접촉 면은 그에 대응되게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볼록하게 된다.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는 것은 평탄한 접촉 면의 경우에는 그것이 평행 면에 놓여지고, 볼록한 접촉 면의 경우에는 부착체의 볼록부가 본체의 반전된 볼록부와 대략 합치되어 양자가 서로 끼워 맞춰지는 것처럼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볼록부의 곡률 반경은 약간 상이하여 접촉 면이 개별 지점에서만 접촉되게끔 할 수도 있다. 그와 같이 하여, 접촉 면 사이에 경우에 따라 공기로 채워지는 개재 공간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그러한 개재 공간은 눈을 검사할 경우에는 장애가 되는데, 그 이유는 광선이 그와 같이 고체로부터 공기로의 또는 그 역으로의 경계를 이행할 때에 굴절, 반사, 및 산란과 같은 강력한 광학적 장애를 받기 때문이다. 그러한 장애를 피하거나 줄이기 위해, 장치의 조립 시에 본체와 부착체 사이에 광학적으로 투명한변형될 수 있는 개재 재료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재료는 예컨대 겔형 또는 유동형으로 형성된다. 단지 탄성 변형만 될 수 있거나 소성 변형만 될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재료는 조립 시에 접촉 면에 잘 밀착될 정도로만 변형될 수 있으면 되는데, 그 경우에 접촉 면은 조립 시에 기포를 함유하지 않든지 아니면 단지 적거나 작은 기포만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개재 재료로는 그 굴절률이 본체 및 부착체의 굴절률과 대략 일치하는 재료가 사용된다. 본체, 부착체, 및 변형될 수 있는 재료의 굴절률이 정확하게 일치할수록 발생되는 장애가 더욱 더 작아진다. 그럼으로써, 접촉 면이 낮은 광학 품질로, 그에 따라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게 된다. 고 품질의 광학 표면을 제조할 때에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은 연마 과정 및/또는 예컨대 반사 방지 코팅 가공 등의 코팅 가공은 생략된다.
그러한 변형될 수 있는 재료를 본체와 부착체 사이에 도입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추가의 장점도 수반한다: 한편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재료와 본체 사이 또는 다른 한편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재료와 부착체 사이의 접착에 기인한 부착력에 의해, 본체와 부착체가 다른 외력의 작용 없이도 서로 부착되게 된다. 즉, 본체와 부착체 양자의 구성에 따라 예컨대 중량이 작은 부착체의 경우에 본체와 부착체 사이에 추가의 결합제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조립된 장치의 본체를 붙잡아 그 장치를 눈 상에 위치시킨 사용자가 눈을 검사함에 있어서, 변형될 수 있는 재료와 본체 또는 부착체의 접촉 면과의 접착에 의해 생기는 부착력은 부착체를 본체에 유지시키는데 충분하다.
예컨대, 눈 이면의 전방 각(chamber angle) 또는 다른 주변 부위를 공지의장치에 의해 검사하려면, 예컨대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일 측에 검사경을 구비하는 콘택트 렌즈가 사용된다. 눈에 씌워진 그러한 콘택트 렌즈를 위로부터 들여다보면, 옆으로 정확한 각으로 장착된 검사경을 통해 전방 각을 검사할 수 있다. 눈의 주변 부위를 완전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콘택트 렌즈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그 경우에 콘택트 렌즈는 환자의 눈으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그와 관련하여,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장치에서는 부상의 위험이 매우 높다. 예컨대, 눈의 각막이 손상되거나 각막과 콘택트 렌즈 사이에 끼워진 속눈썹이 뽑혀질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이 콘택트 렌즈를 회전시키는 것은 환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구성 양태에서는 본체와 부착체가 조립된 상태에서 서로에 대해 비틀어질 수 있게 형성된다. 즉, 눈의 주변 부위를 완전하게 검사하기 위해, 선행 기술로부터 공지된 콘택트 렌즈와 유사하게 상응하는 검사경을 구비한 본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본체는 그에 적합한 부착체와 함께 눈 검사 장치로 조립되고, 그 장치는 부착체에 의해 검사하려는 눈에 씌워진다. 이제, 본체를 특히 본체와 부착체 양자의 광학 축을 중심으로 하여 부착체에 대해 비틀면, 부착체를 동반 회전시킬 필요가 없이 눈의 주변 부위를 완전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된다. 그 경우, 장치 중에서 눈에 접촉되는 유일한 부품인 부착체는 이동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 가능한 구성 양태에서는 본체뿐만 아니라 부착체도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본체는 예컨대 첨두가 절단된 절두 원추체의 형태로 형성되고, 부착체는 밑면이 평탄하게 된 깔때기의 형태로 형성되되, 본체의 접촉 면이 절단된 첨두의 구역에서 바깥쪽에, 그리고 부착체의 접촉 면이 평탄하게 된 깔때기 밑면의 내면 상에 각각 위치된다. 그 경우, 본체와 부착체의 치수는 본체가 깔때기 내에 끼워져서 그러한 형식으로 접촉 면 사이의 접촉이 이뤄질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접촉 면을 제외하고서 본체와 부착체 사이에, 즉 예컨대 본체의 외벽 또는 부착체의 측벽의 구역에 일정한 최소 간격이 남겨지도록 보장하기 위해, 본체 그 자체 아니면 부착체가 각각의 접촉 면 이외의 구역에 이격 요소, 예컨대 다수의 융기부를 구비한다. 그러한 융기부는 예컨대 다수의 돌기의 형태, 세장형으로 연장된 빗과 같은 유형의 브리지의 형태, 또는 납작한 돌출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 양태는 그것이 조립되어 검사하려는 환자의 눈에 씌워졌을 때에 환자가 단지 부착체와만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즉, 해당 조작을 취했을 때에 환자의 눈은 물론 눈꺼풀도 또는 속눈썹이 본체와 접촉되지 않게 된다.
본체는 그것이 눈 또는 환자와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 후에 소독되기만 하면 되고, 멸균되지는 않는다. 그러한 이유로, 본체는 예컨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유리만큼 간단하게 가공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부착체가 전술된 바와 같이 깔때기의 형태로 될 경우, 깔때기 에지는 예컨대 본체와 눈, 눈꺼풀, 또는 속눈썹과의 접촉을 배제시킬 정도로 넓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체와 부착체는 예컨대 그 사이의 접착력이 그것을 함께 결합시키는데 충분하도록 그 표면이 형성되거나 그 표면 사이에 변형될 수 있는 재료가 배치됨으로 인해 조립 후에 서로 부착되게끔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눈 검사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 양태에서는 본체와 부착체가 분리가 가능한 형상 끼워 맞춤식 결합 및/또는 마찰 결속식 결합에 의해 함께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나사 결합, 일종의 토글 캐치(toggle catch), 스냅 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결합 유형을 이루기 위한 로킹 기구가 고려될 수 있다.
본체와 부착체 사이의 분리가 가능한 결합을 사용함으로써, 부착체가 사용 후에, 즉 눈을 검사한 후에 본체로부터 떼어질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그에 따라, 부착체는 예컨대 폐기되거나, 아니면 예컨대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의한 부착체의 살균을 허용하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본체는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눈의 안과학적 검사, 특히 과학 검사를 가능하게 하도록 형성된다. 본체는 예컨대 광선이 그것을 통해 눈 속으로는 물론 눈 밖으로도 도달될 수 있게 하는 재료로 제조된다. 외래 광을 격리시키거나 장애가 되는 측방 경계 면에의 반사를 줄이기 위해, 측방 경계 면은 어두운 색으로 착색되거나 그에 상응하는 재료로 피복될 수 있다.
눈 배후 또는 전방 각의 측방 부위를 검사하기 위해, 본체는 하나 이상의 검사경을 구비한다. 그 경우, 검사경은 눈 배후의 중심 쪽을 향한 시선이 열린 채로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각각의 검사경은 눈 내부의 정해진 모든 부위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 각을 추가로 갖는다. 검사경이 다수인 경우에는 모든 검사경이상이한 경사 각을 갖는다.
아울러, 전술된 본체와 부착체는 그것이 눈을 검사하는데 뿐만 아니라 예컨대 레이저 광에 의해 눈을 치료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눈 검사 장치는 부착체에 의해 눈에 각각 씌워진다. 따라서, 부착체는 검사하려는 눈의 표면 부위에 대략 들어맞는 접안 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접안 면은 검사하려는 눈의 각막의 융기된 형태와 대략 일치하는 아치형으로 된다. 그러한 접안 면은 대부분 부착체의 접촉 면과 대향된 측에 놓인다.
상이한 크기이자 그에 따라 융기된 형태가 상이한 눈, 예컨대 성인의 눈과 대비되는 소아의 눈을 검사하기 위해, 상이한 아치형으로 된 부착체가 동일한 본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접안 면의 형태는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는데, 바람직한 것은 둥근 형태이다. 접안 면의 크기도 역시 일정한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한 크기의 하한은 한편으로 검사에 필요한 광량에 의해 선택되고, 다른 한편으로 눈에 대한 손상의 위험이 있을 정도로 작지 않게도 선택되어야 한다. 접안 면이 둥근 경우에는 그 직경이 예컨대 눈꺼풀이 열렸을 때에 보일 수 있는 눈의 부위의 최대 직경보다 크지 않도록 선택되기도 해야 한다. 전형적인 부착체의 접안 면은 홍채의 크기와 대략 일치한다.
그러나, 다소간 침착하지 못하거나 눈을 떴을 때의 눈꺼풀의 간격이 다른 사람보다 더 작은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그러한 사람의 경우에는 예컨대 적절한 클램프에 의해 눈꺼풀을 고정시키지 않고서는 눈에 씌워진 장치를 정확한 위치에 유지시키기 어렵다. 환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그러한 절차를 피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눈에 씌워졌을 때에 최소한 환자의 눈꺼풀 밑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넣어질 수 있는 에지 구역을 구비하도록 그 접안 면이 형성된 부착체를 사용하고, 그와 같이 하여 부착체를 눈꺼풀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유지시킨다. 예컨대, 접안 면은 검사를 위한 투명한 구역을 둥글게 둘러싸는 일종의 링, 소위 공막 링을 구비하는데, 그 공막 링은 부착체가 눈에 씌워졌을 때에 눈꺼풀 밑으로 넣어진다.
눈 검사 장치를 정확하고도 최대한 간단하게 취급하기 위해, 부착체는 제조 후에 사용될 준비를 갖춘 채로 보관 및 이송용 용기 내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으로, 부착체는 사전에 살균되어 개별 포장된다. 그와 같이 포장하는데는 예컨대 개별 대상물이 포일로 각각 덮인 용기의 고유 챔버 내에 위치되는 소위 블리스터 팩(blister pack)이 적합하다.
용기는 예컨대 사용자가 부착체를 만지지 않고서도 부착체를 본체에 끼울 수 있게 하도록 형성된다. 사용자는 우선 챔버의 포일을 부착체와 함께 인출하는데, 그 경우에 살균된 부착체는 특정의 유지 장치에 놓여진다. 그러한 유지 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변형될 수 있는 재료, 예컨대 겔형 유동체를 접촉 면 상에 도포하고, 이어서 사용하려는 본체를 부착체 상에 끼우거나 그 속에 끼워 넣어 장치를 조립할 수 있게끔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몇 가지 변형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눈 내부를 검사하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렌즈(1)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한 콘택트 렌즈(1)는 조립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 본체(2) 및 부착체(3)로 이뤄진다. 콘택트 렌즈(1)는 회전 축(4)에 대해 회전 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2에는 콘택트 렌즈(1)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도면에서의 단면은 회전 축(4)을 포함하여 콘택트 렌즈(1)를 동일한 2개의 반쪽으로 분할하고 있다.
본 경우에는 본체(2)가 부착체(3)에 조립되어 콘택트 렌즈(1)를 형성한다. 조립된 본체(2)와 부착체(3)는 일정한 압력 하에 눈에 씌워지는 안압계까지 형성해도 좋다. 눈에 씌우고 나서, 눈 표면의 측정될 수 있는 변형 및 압력으로부터 눈 내부의 안압이 결정될 수 있다. 이후의 도면에 관한 설명은 그것이 눈 내부의 안압을 측정하는 장치의 설명으로서도 상응하는 경우에는 본체가 안압계로서 통합된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체(2)는 그 상측에 평탄한 표면, 본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축(4)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형의 평탄한 표면(5)을 구비한다. 그러한 평탄 표면(5)의 반대편에는 본체(2)의 역시 원형의 접촉 면(6.1)이 위치된다. 부착체(3)는 그 상측에 역시 원형의 접촉 면(6.2)을 구비하고, 그 하측에 역시 원형의 접안 면(7)을 구비한다. 본체(2)는 물론 부착체(3)도 광학 투명 재료, 예컨대 유리 또는 그에 상응하는 플렉시글라스(plexiglass)와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그에 따라 빛에 투명하여 그것을 통한 관찰을 가능하게 한다.
콘택트 렌즈가 접촉 면(6.1, 6.2) 사이에 도입되는 굴절률 정합 수단이 없이도, 즉 상이한 재료의 굴절률을 맞추지 않고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접촉 면(6.1, 6.2)은 높은 광학 품질로 연마 및/또는 폴리싱되고/되거나 반사 방지 코팅으로 개질된다. 그럼으로써, 장애가 되는 접촉 면(6.1, 6.2)에의 반사가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접촉 면(6.1, 6.2) 사이의 접착에 의해 부착체(3)가 본체(2)에 어느 정도 부착되거나 그 역으로 되기까지 한다.
눈을 검사하려면, 사용자는 검사하려는 눈의 동공 부위에서 콘택트 렌즈(1)를 접안 면(7)에 의해 눈에 씌운다. 그런 연후에, 사용자는 다소간 수직하게 평탄한 표면(5) 위를 바라보거나 콘택트 렌즈(1)를 통해 그 속을 들여다봄으로써 검사하려는 눈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콘택트 렌즈(1)는 예컨대 레이저의 적용을 위한 눈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콘택트 렌즈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것으로, 그 변형례에서는 본체(2.1)의 접촉 면(6.3)이 볼록하게, 즉 안쪽을 향해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부착체(3.1)의 접촉 면(6.4)은 그에 상응하게 오목하게, 즉 바깥쪽을 향해 아치형으로 형성된다. 양자의 접촉 면(6.3, 6.4)의 아치형은 정확하게 일치할 필요는 없지만, 대략적으로는 일치해야 한다.
부착체(3.1)는 깔때기형으로 형성된다. 부착체(3.1)는 둥글게 연장되는 측벽(8)을 구비하고, 그 측벽(8)은 본체를 대략 절반까지 덮는다. 그럼으로써, 콘택트 렌즈(1.1)가 눈에 씌워졌을 때에 본체(2.1)가 눈 자체는 물론 환자의 눈꺼풀, 속눈썹, 또는 기타의 어느 부위에도 접촉되지 않는 것이 구현되게 된다.
도 4에는 본체(2.2)가 부착체(3.2)에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될 경우에 가능한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역시 깔때기형으로 형성된 부착체(3.2)는 깔때기의 상측 에지에 안쪽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둘러진 빗 모양의 돌기(9)를 구비하는데, 그 돌기(9)는 본체(2.2)에 조립되었을 때에 본체(2.2)에 있는 대응 환형 홈에 맞물린다. 환형 홈(10)도 역시 본체(2.2)의 둘레에 전체적으로 둘러지거나, 아니면 단절되어 예컨대 본체와 부착체가 반대쪽으로 비틀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또 다른 콘택트 렌즈(1.3)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조립되지 않은 콘택트 렌즈(1.3)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조립된 콘택트 렌즈(1.3)의 단면도이며, 도 7은 회전 축(4)에 수직한 단면(11.1)을 따른 콘택트 렌즈(1.3)의 또 다른 단면도이다.
조립된 콘택트 렌즈(1.3)의 본체(2.3)와 역시 깔때기형으로 형성된 부착체(3.3) 사이에 개재 공간(12)이 남도록 보장하기 위해, 부착체(3.3)의 내면에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세장형으로 연장된 다수의 브리지(13.1, 13.2, 13.3)가 마련된다. 도 5 및 도 6은 단면(11.2)을 따른 종단면도이기 때문에, 브리지(13.1)만이 각각 보일 수 있을 뿐이다. 그러한 브리지의 치수는 콘택트 렌즈(1.3)의 조립 시에 본체(2.3) 또는 부착체(3.3)의 양자의 접촉 면(6.3, 6.4)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얻어지도록 선택된다.
개재 공간(12)은 그러한 브리지 또는 다른 돌기를 본체(2.3)의 외면에 마련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니면, 부착체(3.3)의 내면 또는 본체(2.3)의 외면이 그에 상응하는 홈을 구비해도 좋다. 그러나, 그것은 그 홈이 보다 더 빨리 오염될지 모른다는 단점을 수반한다.
아울러, 도 5 및 도 6은 또 다른 특징을 도시하고 있다. 본체(2.3)와 부착체(3.3)를 콘택트 렌즈(1.3)로 조립하기 전에 우선 광학적으로 투명한 변형될 수 있는 일정량의 겔형 유동체(14)가 접촉 면(6.4) 상에 도포된다. 그러한 유동체(14)는 콘택트 렌즈(1.3)의 조립 시에 본체(2.3)와 부착체(3.3) 사이에서 압착되어 양자의 접촉 면(6.3, 6.4) 상에 골고루 분포된다.
너무 많은 유동체(14)가 도포되면, 양자의 접촉 면(6.3, 6.4) 사이에 있는 공기뿐만이 아니라 과잉의 유동체(14)가 개재 공간(12)으로 부터 이탈될 수 있다. 유동체(14)가 도포됨으로써, 본체(2.3)와 부착체(3.3) 사이에는 더 이상 공기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겔형 유동체(14)를 그 굴절률이 본체(2.3) 또는 부착체(3.3)의 굴절률과 대략 일치하는 것으로 선택하면, 상이한 재료 사이의 경계를 이행할 때에 광선의 반사가 줄어들 수 있다. 환언하면, 접촉 면은 높은 광학 품질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특히, 손상되기 쉬운 고가의 반사 방지 코팅이 생략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체(2.3) 및 부착체(3.3)에 사용되는 재료도 역시 한편으로 그 굴절률이 서로 동일하거나 적어도 대략 동일하도록, 다른 한편으로 그 굴절률이 눈의 굴절률과 대략 동일하도록 선택된다.
약 1.33의 눈의 굴절률에 대해 콘택트 렌즈의 굴절률이 1,5인 경우, 약 4 퍼밀(per mill)의 잔류 반사가 얻어지는데, 약 5 퍼밀까지의 잔류 반사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겔형 유동체(14)는 약 1.3 내지 1.7의 굴절률에 상응하게 선택된다.
그러한 굴절률 정합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유동체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눈 치료 분야에 공지된 유동체는 예컨대 염화나트륨 및 염화벤잘코늄(bezalkonium chloride)을 보존제로 하는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ethylhydroxypropylcellulose)의 2 퍼센트 용액으로서, 메토셀(methocel)2%란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굴절률 정합용 유동체(14)를 사용하는 대신에, 예컨대 소위 "고체 겔(solid gel)"과 같은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의 조립 전에 양자의 접촉 면 사이에 반입되는 그 두께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투명한 실리콘 포일이 그 예로서 거명될 수 있다. 그 경우에도 접촉 면 사이에 공기가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일은 예컨대 중심에서 볼록하게 되거나 접촉 면의 아치형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눈(15)에 씌워졌을 때의 도 6의 콘택트 렌즈를 나타낸 것이다. 2개의 눈꺼풀(16)이 속눈썹(17)과 함께 추가로 도시되어 있다.
부착체(3.3)의 상승된 측벽(8)은 눈(15), 눈꺼풀(16), 또는 속눈썹(17)이 본체(2.3)와 접촉되는 것을 막는다. 즉, 본체(2.3)는 사용 후마다 살균될 필요는 없고, 소독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부착체(3.3)는 살균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 반면에, 부착체(3.3)는 덜 복잡하게, 그리고 예컨대 사출 성형에 의해 극히 간단하게 저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저렴하고, 그에 따라 부착체(3.3)를 한 번 사용한 후에 또는 몇 차례 사용한 후에 폐기되는 일회용품으로서 구상할 수 있다. 소독 또는 살균에는 역시 여러 공지의 방법 또는 수단이 가용될 수 있다.
도 9에는 역시 눈(15)이 눈꺼풀(16) 및 속눈썹(17)과 함께 콘택트 렌즈(1.4)가 씌워진 채로 도시되어 있다. 콘택트 렌즈(1.4)는 마찬가지로 도 8의 콘택트 렌즈(1.3)에서와 동일한 본체(2.3)를 구비하지만, 도 8의 콘택트 렌즈(1.3)에서와는 다른 부착체(3.4)를 구비한다.
부착체(3.4)는 소위 공막 링(18)을 구비한다. 그러한 공막 링(1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체(3.4)가 눈(15)에 씌워질 때에 눈꺼풀(16) 밑으로 넣어져서 그 눈꺼풀(16)에 의해 그 위치에 고정적으로 유지된다. 공막 링은 부착체의 둘레 전체를 따라 연장되거나, 아니면 정해진 구역, 예컨대 눈꺼풀의 구역에만 마련될 수 있다.
도 10에는 도 8의 콘택트 렌즈(1.3)의 일부가 확대 도시되어 있는데, 알아보기 쉽게 하기 위해 그 도면에는 겔형 유동체(14)가 생략되어 있다. 그 도면은 콘택트 렌즈(1.3)의 여러 경계 면의 상이한 아치형을 도시하고 있다. 본체(2.3)의 접촉 면(6.3)은 예컨대 접촉 면(6.4)보다 더 작은 곡률을 갖는다. 또한,부착체(3.4)의 접안 면(7)이 눈에 최적으로 접하기 위해 2개의 상이한 곡면 구역(7.1, 7.2)을 구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접촉 면(6.4)의 곡률 반경과 대략 일치하는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중심 구역(7.1)은 통상적으로 약간 솟아오른 눈의 동공 부위에 위치시키려고 감안된 것이다. 보다 더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외측 구역(7.2)은 동공 둘레의 덜 구부러진 부위에 상응하게 놓여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곡률 반경 또는 다른 곡률 중심을 갖는 다수의 다른 배열도 가능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즉, 예컨대 접촉 면(6.3)의 곡률 반경은 접촉 면(6.4)의 곡률 반경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또는 양자의 접촉 면(6.3, 6.4)이 평탄하게 형성되거나 곡률이 반대 방향으로 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8의 부착체를 구비한, 눈에 씌워진 콘택트 렌즈(1.5)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본체(2.4)는 본체(2.4)에 옆으로 배치된 다수의 검사경(19.1, 19.2, 19.3)을 구비하는데, 도 11의 단면도에서는 단지 검사경(19.1)만이 보일 수 있을 뿐이다. 검사경(19.1, 19.2, 19.3)은 눈 내부의 여러 측방 부위를 검사하려고 형성된 것으로, 그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되거나 회전 축(4)에 대해 상이한 경사 각을 갖는다. 검사경(19.1, 19.2, 19.3)은 예컨대 본체(2.4)를 원하는 구역에서 해당 경사 각으로 평면 연마함으로써 제조되는데, 그 경우에 본체(2.4)의 도시를 생략한 커버에 의해 외래 광의 입사가 저지된다.
도 11에는 회전 축(4)에 평행하게 콘택트 렌즈(1.5)로 들어와서 검사경(19.1)에서 굴절되어 겔형 유동체(14) 및 부착체(3.3)를 통해 눈(15)의 측방 부위로 향하는 광선(20)이 아울러 도시되어 있다. 눈(15) 속에 투과된 그러한광선(20)은 예컨대 눈(15) 내부를 조명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광선(20)이 도시된 방향으로 콘택트 렌즈를 통해 눈 밖으로 나가면, 사용자가 눈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눈(15) 또는 콘택트 렌즈(1.5)의 여러 경계 층 각각에서의 굴절은 광선(20)의 진로에 고려되어 있지 않다. 즉, 콘택트 렌즈(1.5)의 구성 요소의 기하 형태를 어떻게 선택하는지에 따라, 일정한 확대와 같은 여러 광학 효과까지 얻거나 눈(15) 내부의 상이한 시야까지 확보할 수 있다.
검사경(19.1)으로 관찰될 수 있는 눈(15) 내부의 측방 부위를 완전하게 검사하기 위해서는 본체(2.4)가 단지 회전 축(4)을 중심으로 하여 비틀어지기만 하면 된다. 그 경우, 부착체(3.3)는 그 자체가 이동될 필요가 없이 눈(15)에 씌워진 채로 그대로 있고, 그 때문에 눈(15)에 손상이 일어날 수가 없게 된다. 유동체(14)는 그와 같이 본체(2.4)가 부착체(3.3) 내에서 비틀어지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각각의 검사 및 치료를 위해 그에 고유한 장치를 사용하는 대신에, 약간씩 변형된 소수의 본체와 약간씩 변형된 소수의 유형의 부착체에 의해 다수의 눈 검사 또는 눈 치료 장치를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체는 그것이 검사 또는 치료 시에 눈과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살균될 필요가 없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체를 가공하는 것도 저렴하고 간단하게 된다.

Claims (10)

  1. 눈에 씌워지는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로서,
    본체 및 본체에 조립될 수 있는 부착체를 구비하되,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는 부착체에 의해 눈에 씌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는 제1 접촉 면을, 그리고 부착체는 제2 접촉 면을 각각 구비하되, 제2 접촉 면은 제1 접촉 면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되고, 특히 부착체는 접촉 면이 본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본체에 조립될 수 있으며, 본체와 부착체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광학 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비틀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 또는 부착체는 제1 또는 제2 접촉 면을 이격시키는 이격 요소, 특히 다수의 융기부를 구비하고, 조립된 장치는 제1 접촉 면과 제2 접촉 면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변형될 수 있는 개재 재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된 장치는 그것이 환자의 눈에 씌워졌을 때에 부착체를 제외하고는 환자와 접촉되지 않도록, 그리고 부착체가 바람직하게는 분리가 가능한 형상 끼워 맞춤식 결합 및/또는 마찰 결속식 결합에 의해 본체에 유지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
  5. 눈을 안과학적으로, 특히 광학적으로 검사 및/또는 치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본체.
  6. 눈 내부 또는 전방 각의 측방 부위를 검사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검사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5항에 따른 본체.
  7. 눈에 씌워지기 위해 눈의 표면 부위에 대략 들어맞는 접안 면을 구비하고, 특히 소독 또는 살균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장치용 부착체.
  8. 제7항에 있어서, 접안 면은 적어도 환자의 눈꺼풀 밑으로 넣어질 수 있는 에지 구역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체.
  9. 부착체는 사용될 준비를 갖춘 채로 개별 포장, 특히 살균 포장되어 용기 내에 수납되고, 바람직하게는 부착체를 유지시키는 접촉을 필요로 함이 없이 본체와 부착체 사이에 선택적으로 도입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변형될 수 있는 개재 재료에 의해 본체에 조립될 수 있도록 용기 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7항에 따른 부착체의 세트.
  10. 본체와 부착체를 구비하는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 특히 제5항에 따른 본체 및 제7항에 따른 부착체 또는 제9항에 따른 세트로 이뤄진 부착체를 구비한 특히 제1항에 따른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부착체를 본체에 조립하되, 조립 전에 광학적으로 투명한 변형될 수 있는 개재 재료를 본체와 부착체 사이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의 조립 방법.
KR10-2003-7005595A 2000-11-17 2001-11-15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와 그 방법 KR200300592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0811094A EP1208792A1 (de) 2000-11-17 2000-11-17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ntersuchung und/oder Behandlung eines Auges
EP00811094.2 2000-11-17
PCT/CH2001/000669 WO2002039892A1 (de) 2000-11-17 2001-11-15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untersuchung und/oder behandlung eines au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210A true KR20030059210A (ko) 2003-07-07

Family

ID=817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595A KR20030059210A (ko) 2000-11-17 2001-11-15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357504B2 (ko)
EP (2) EP1208792A1 (ko)
JP (1) JP2004524872A (ko)
KR (1) KR20030059210A (ko)
CN (1) CN1474667A (ko)
AT (1) ATE394988T1 (ko)
AU (1) AU2002212038A1 (ko)
BR (1) BR0115405A (ko)
CA (1) CA2427908A1 (ko)
DE (1) DE50113978D1 (ko)
IL (1) IL155865A0 (ko)
MX (1) MXPA03004253A (ko)
NO (1) NO20032223L (ko)
PL (1) PL361314A1 (ko)
WO (1) WO2002039892A1 (ko)
ZA (1) ZA2003036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88Y1 (ko) * 2010-12-16 2011-05-23 주식회사 포시산업 화분의 위치가 이동가능한 받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4025B4 (de) * 2003-11-19 2022-03-24 Carl Zeiss Meditec Ag Adapter zum mechanischen Koppeln einer Laserbearbeitungsvorrichtung mit einem Objekt
EP1591060A1 (de) * 2004-04-29 2005-11-02 SMT Swiss Microtechnology AG Schutzüberzug für ophthalmologische Tonometer und Herstellungsverfahren
US8252769B2 (en) * 2004-06-22 2012-08-28 N. V. Nutricia Intestinal barrier integrity
US20050284774A1 (en) * 2004-06-24 2005-12-29 Mordaunt David H Ophthalmic lens assembly utilizing replaceable contact element
AU2005260743B2 (en) * 2004-06-28 2009-01-29 Optimedic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optical ophthalmic therapy
US20050143718A1 (en) * 2004-12-02 2005-06-30 Sie Ag Surgical Instrument Engineering Method for surgical treatment of a patient's eye by means of a laser
US20080287927A1 (en) * 2004-12-02 2008-11-20 Sie Ag Surgical Instrument Engineering Protective device for ophthalmic laser treatment
US9889043B2 (en) 2006-01-20 2018-02-13 Lensar,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laser beam to the lens of an eye
US10842675B2 (en) 2006-01-20 2020-11-24 Lensar, Inc.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the structure of the human lens with a laser
US8262646B2 (en) * 2006-01-20 2012-09-11 Lensar,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shaped structural weakening of the human lens with a laser
US9375349B2 (en) 2006-01-20 2016-06-28 Lensar,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aser shot patterns to the lens of an eye
US9545338B2 (en) 2006-01-20 2017-01-17 Lensar,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accommodative amplitude and increasing the refractive power of the human lens with a laser
ATE430543T1 (de) * 2006-08-24 2009-05-15 Sie Ag Surgical Instr Engineer Ophthalmologische schutzfolie
US20090211586A1 (en) * 2008-02-22 2009-08-27 Clarity Medical Systems, Inc. Disposable cover for contact-type lens piece
US8480659B2 (en) 2008-07-25 2013-07-09 Lensar,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val and replacement of lens material from the lens of an eye
US8500723B2 (en) * 2008-07-25 2013-08-06 Lensar, Inc. Liquid filled index matching device for ophthalmic laser procedures
WO2010077987A1 (en) * 2008-12-17 2010-07-08 Glaukos Corporation Gonioscope for improved viewing
US8382745B2 (en) 2009-07-24 2013-02-26 Lensar, Inc. Laser system and method for astigmatic corrections in association with cataract treatment
EP2456385B1 (en) 2009-07-24 2015-07-22 Lensar, Inc. System for performing ladar assisted procedures on the lens of an eye
US8758332B2 (en) 2009-07-24 2014-06-24 Lensar, Inc. Laser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nd sealing corneal incisions in the eye
US8617146B2 (en) 2009-07-24 2013-12-31 Lensar, Inc. Laser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on of induced astigmatism
US8556425B2 (en) 2010-02-01 2013-10-15 Lensar, Inc. Purkinjie image-based alignment of suction ring in ophthalmic applications
US8845624B2 (en) 2010-06-25 2014-09-30 Alcon LexSx, Inc. Adaptive patient interface
WO2012031277A1 (en) * 2010-09-02 2012-03-08 Optimedica Corporation Patient interface for ophthalmologic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procedures
US8858581B2 (en) 2010-09-30 2014-10-14 Wavelight Gmbh Interface unit for positioning an object to be irradiated in relation to a radiation source
MX341978B (es) * 2010-09-30 2016-09-07 Wavelight Gmbh Unidad de interfaz para posicionar un objeto de irradiacion con respecto a una fuente de radiacion.
EP4205633A1 (en) 2010-10-15 2023-07-05 Lensar, Inc. System and method of scan controlled illumination of structures within an eye
USD694890S1 (en) 2010-10-15 2013-12-03 Lensar, Inc. Laser system for treatment of the eye
USD695408S1 (en) 2010-10-15 2013-12-10 Lensar, Inc. Laser system for treatment of the eye
US10463541B2 (en) 2011-03-25 2019-11-05 Lensar, Inc.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astigmatism using multiple paired arcuate laser generated corneal incisions
ITMI20111585A1 (it) * 2011-09-05 2013-03-06 Easyopht S R L Cono per tonometro
US8863749B2 (en) 2011-10-21 2014-10-21 Optimedica Corporation Patient interface for ophthalmologic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procedures
US9237967B2 (en) 2011-10-21 2016-01-19 Optimedica Corporation Patient interface for ophthalmologic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procedures
US9044302B2 (en) 2011-10-21 2015-06-02 Optimedica Corp. Patient interface for ophthalmologic diagnostic and interventional procedures
ES2689555T3 (es) 2011-10-21 2018-11-14 Novartis Ag Sistema de lente gonioscópica con mecanismo de estabilización
DE102012009144A1 (de) 2012-05-08 2013-11-14 Carl Zeiss Meditec Ag Aufsatz für ein Kontaktglas sowie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 Kontaktglassystem
US10335315B2 (en) 2013-02-01 2019-07-02 Alcon Lensx, Inc. Bi-radial patient interface
AU2014237843B2 (en) * 2013-03-15 2018-03-08 Amo Development Llc. System and method for ophthalmic laser surgery employing eye tracking without eye docking
DE102014016990B3 (de) * 2014-11-18 2016-02-11 Wavelight Gmbh Düseneinheit zur Vernetzung von Augengewebe
DE102014225636A1 (de) * 2014-12-11 2016-06-16 Carl Zeiss Meditec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estlegung einer relativen geometrischen Lage eines Auges
WO2016154066A2 (en) 2015-03-20 2016-09-29 Glaukos Corporation Gonioscopic devices
GB2537355A (en) * 2015-04-08 2016-10-19 Paul Aviram David Device for measuring intra ocular pressure
RU2703652C2 (ru) * 2015-09-02 2019-10-21 Уэйвлайт Гмбх Сопрягающий блок для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объекта, подлежащего облучению, относительно лазерной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9943226B2 (en) 2015-10-28 2018-04-17 Novartis Ag Lens holder for contact vitrectomy lens
EP3323393B1 (en) * 2016-11-18 2020-05-13 Ziemer Ophthalmic Systems AG Ophthalmological patient interface
US10674906B2 (en) 2017-02-24 2020-06-09 Glaukos Corporation Gonioscopes
USD833008S1 (en) 2017-02-27 2018-11-06 Glaukos Corporation Gonioscope
US11986424B2 (en) 2018-07-16 2024-05-21 Vialase,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maging and surgical scanning of the irido-corneal angle for laser surgery of glaucoma
US11173067B2 (en) 2018-09-07 2021-11-16 Vialase, Inc. Surgical system and procedure for precise intraocular pressure reduction
US11246754B2 (en) 2018-07-16 2022-02-15 Vialase, Inc. Surgical system and procedure for treatment of the trabecular meshwork and Schlemm's canal using a femtosecond laser
US11110006B2 (en) 2018-09-07 2021-09-07 Vialase, Inc. Non-invasive and minimally invasive laser surgery for the reduction of intraocular pressure in the eye
US10821024B2 (en) * 2018-07-16 2020-11-03 Vialase, Inc. System and method for angled optical access to the irido-corneal angle of the eye
DE102018215030A1 (de) * 2018-09-04 2020-03-05 Carl Zeiss Meditec Ag Linsenelement und Kontaktvorrichtung für ein ophthalmologisches Lasertherapiesystem
CN109259736A (zh) * 2018-10-30 2019-01-25 安徽维视阅医疗技术有限公司 一种光学透镜系统及应用该系统的检测设备
CN109998472B (zh) * 2019-05-13 2021-05-28 重庆欣光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房角观察镜
US11564567B2 (en) 2020-02-04 2023-01-31 Vialase, Inc.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a surface of ocular tissue for glaucoma surgery based on dual aiming beams
JP7439552B2 (ja) * 2020-02-06 2024-02-28 株式会社ニコン 水晶体撮影装置、水晶体撮影方法、及び水晶体撮影プログラム
US11612315B2 (en) 2020-04-09 2023-03-28 Vialase, Inc. Alignment and diagnostic device and methods for imaging and surgery at the irido-corneal angle of the ey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5208A (en) * 1974-10-29 1977-12-27 Currey Thomas A Ophthalmoscope
JPS51102291A (ja) 1975-03-07 1976-09-09 Toshitaka Yamagata Nokobasaikenmasochi
DE2716614C3 (de) * 1977-04-15 1980-10-16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Optisches System zur Abbildung der Netzhaut
US4367018A (en) * 1979-05-08 1983-01-04 Konan Camera Research Institute Eyeball microscope
GB2061546B (en) * 1979-09-13 1983-06-29 Konan Camera Res Inst Adaptor for use with ophthalmological microscope
JPS6370630A (ja) 1986-09-12 1988-03-30 Hitachi Cable Ltd チヤネル割り当て方式
JPH0610963Y2 (ja) * 1988-05-28 1994-03-23 株式会社レインボーオプチカル研究所 眼検診補助具
US5031622A (en) * 1990-03-28 1991-07-16 Lahaye Laboratories, Inc. Disposable anticontamination tonometer tip cover or cap
US5347326A (en) * 1992-10-05 1994-09-13 Volk Donald A Diagnostic or therapeutic contact lens
US5501217A (en) * 1992-12-28 1996-03-26 Tomey Corporation Contact lens for intraocular observation
US5479222A (en) * 1993-11-15 1995-12-26 Volk; Donald A. Indirect ophthalmoscopy lens system and adapter lenses
US6183085B1 (en) * 1998-02-11 2001-02-06 Sheri L. Rogg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 standard non-rotatable diagnostic lens into a rotatable diagnostic lens for evaluation of various portions of the eye
US5841510A (en) * 1998-02-11 1998-11-24 Roggy; David L. Rotatable diagnostic lens for evaluation of the irido-corneal angle, retina and other portions of the eye
IL129227A0 (en) * 1999-03-29 2000-02-17 Talia Technology Ltd A disposable diagnostic contact lens
US6698886B2 (en) * 2001-04-24 2004-03-02 Ocular Instruments, Inc. Iridotomy and trabeculoplasty goniolaser lens
US6976758B2 (en) * 2003-04-04 2005-12-20 Ocular Instruments, Inc. Gonioscopy le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88Y1 (ko) * 2010-12-16 2011-05-23 주식회사 포시산업 화분의 위치가 이동가능한 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39892A1 (de) 2002-05-23
JP2004524872A (ja) 2004-08-19
NO20032223D0 (no) 2003-05-16
AU2002212038A1 (en) 2002-05-27
EP1335664B1 (de) 2008-05-14
BR0115405A (pt) 2004-02-17
ZA200303675B (en) 2004-05-13
CA2427908A1 (en) 2002-05-23
EP1208792A1 (de) 2002-05-29
EP1335664A1 (de) 2003-08-20
NO20032223L (no) 2003-05-16
IL155865A0 (en) 2003-12-23
ATE394988T1 (de) 2008-05-15
PL361314A1 (en) 2004-10-04
DE50113978D1 (de) 2008-06-26
US7357504B2 (en) 2008-04-15
CN1474667A (zh) 2004-02-11
MXPA03004253A (es) 2003-09-22
US20040036839A1 (en)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59210A (ko) 눈 검사 및/또는 치료 장치와 그 방법
US20100265461A1 (en) Gonioscope for improved viewing
US6634753B1 (en) Disposable diagnostic contact lens
US6019472A (en) Contact lens element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cular tissues
US7708402B2 (en) Goggles for improved ocular vision
US5537164A (en) Retroilluminating indirect gonioprism
US6942343B2 (en) Optical device for intraocular observation
US6092898A (en) Surgical contact lens, methods for viewing the interior of an ey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uch lenses
US20120257167A1 (en) Gonioscope for improved viewing
RU2537775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колпачок для линзового наконечника контактного типа
JPH09505221A (ja) 間接検眼鏡検査レンズ・システム及びアダプタ・レンズ
US3589800A (en) Gonioscopic lens
US9526428B2 (en) Attachment for a contact lens and production method for a contact lens system
JP2003024366A (ja) 眼科手術用コンタクトレンズ
Romaniuk Fibre optic probes for ophthalmology
TW201906590A (zh) 大視場、高光焦度可拋視網膜觀察系統
US20210030271A1 (en) Ophthalmic Gonioscopic Lens Device with Tilted Lenses
JP7049257B2 (ja) 成形による眼用レンズ
JP6231724B2 (ja) 眼科用レンズアセンブリと組立て方法
Woodward Contact lenses
CN106999039B (zh) 用于眼睛检查的透镜系统
KR101699617B1 (ko) 안구 접촉식 안저 카메라
Care Narcissus Medical Foundation
IL180211A (en) Goggles for improved ocular vision
Nevvs S SYe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