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190A - 격자형 천정 마감재 - Google Patents

격자형 천정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190A
KR20030056190A KR1020010086364A KR20010086364A KR20030056190A KR 20030056190 A KR20030056190 A KR 20030056190A KR 1020010086364 A KR1020010086364 A KR 1020010086364A KR 20010086364 A KR20010086364 A KR 20010086364A KR 20030056190 A KR20030056190 A KR 20030056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grid
main bar
ceiling finish
lat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8471B1 (ko
Inventor
황점수
Original Assignee
황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점수 filed Critical 황점수
Priority to KR10-2001-008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4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56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4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4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 E04B9/345Grid-like or open-work ceilings, e.g. lattice type box-like modules, acoustic baffles consisting of non-parallel slats, e.g. gr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자형 천정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격자살로 엮어진 격자판을 천정의 메인바에 걸어고정하는 방식의 격자형 천정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격자형 천정 마감재는 격자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과 행거에 결합하기 위한 끼움공을 구비하는 메인바 및 4면에 걸쇠를 구비하는 격자판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메인바의 끝단에는 연결편과 결합하기 위한 끼움공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인바의 폭은 미관의 향상을 위해 격자판의 격자살의 폭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 격자형 천정 마감재는 메인바와 행거의 결합, 메인바 상호간의 연결, 격자판과 메인바의 연결이 모두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삽착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분해,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격자형 천정 마감재 {Lattice ceiling}
본 발명은 격자형 천정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격자살로 엮어진 격자판을 천정의 메인바에 걸어고정하는 방식의 격자형 천정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체식 격자형 천정 마감재와 T바를 이용한 격자형 천정 마감재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체식 격자형 천정 마감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식 격자형 천정 마감재는 일측의 격자체(1)와 타측의 격자체(2)가 끼워져 천정 전체를 구성하게 되므로, 천정 전체가 동일한 격자무늬를 지니게 되므로 통일된 모양의 천정 마감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에 천정 전체가 하나로 결합되기 때문에 천정 내부의 조명시설이나 공조시설의 점검, 교환이 불편하고, 또한 천정의 일부가 손상되어도 수리하는데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이 T바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도 2은 이러한 종래의 T바를 이용한 격자형 천정 마감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판(4)은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고, 이러한 단위 격자판(4)들을 T바(3)위에 올려놓는 형태로 천정을 마감하게 된다. 그런데, T바가 단위 격자판 크기의 격자를 구성하고, 단위 격자판(4)이 그 위에 올려지기 때문에 T바(3)에 의한 격자가 노출되어 통일된 천정 마감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고, 반면에 각 격자판의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하여 천정 내부의 조명시설이나 공조시설의 점검, 교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천정의 분리와 결합이 간편하고, 통일된 모양의 천정 마감을 제공하는 격자형 천정 마감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이 간편한 격자형 천정 마감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행거와 메인바의 결합이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각각에 형성된 걸쇠와 결합공을 통해 결합하는 격자형 천정 마감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인바의 결합이 연결편을 끼움으로써 이루어지는 격자형 천정 마감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체식 격자형 천정 마감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T바를 이용한 격자형 천정 마감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격자형 천정 마감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격자형 천정 마감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격자형 천정 마감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격자형 천정 마감재의 결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격자살110 : 걸쇠
200 : 격자판300 : 메인바(main bar)
310 : 걸림홈320 : 결합공
330 : 끼움공400 : 행거(Hanger)
402 : 걸쇠410 : 행거 볼트
500 : 연결편510 : 끼움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격자형 천정 마감재는 격자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과 행거에 결합하기 위한 끼움공을 구비하는 메인바 및 4면에 걸쇠를 구비하는 격자판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메인바의 끝단에는 연결편과 결합하기 위한 끼움공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바는 미관의 향상을 위해 격자판의 격자살의 폭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격자형 천정 마감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판(200)의 걸쇠(110)는 메인바(300)의 걸림홈(310)에 걸쳐져 고정되며, 상기 메인바(300)의 폭은 격자판(200)을 구성하는 격자살(100)의 폭과 동일 하므로 시공이 완료되면 천정 전체가 일체감을 가지게된다.
또한, 각 격자살(100)은 걸쇠(110)를 양측에 대각선의 형태로 구비하게 되는데, 이는 메인바에 고정시 양측의 걸쇠가 간섭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첨부 도면 중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격자형 천정 마감재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부분은 메인바(300)와 행거(400)의 결합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5는 메인바 상호간의 결합부분을 나타내고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300)는 행거(400)의 걸쇠(402)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32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행거(400)는 건축물의 천정면에 부착되어 있는 행거 볼트(410)와 결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300)의 양측 끝 부분에는 다른 메인바와 결합하기 위한 끼움공(3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끼움공(330)은 수직으로 가느다란 구멍을 두 개 형성하고 있고, 내측으로 요입되도록 단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입된 부분에 연결편(500)의 끼움쇠(510)가 삽착되어 양측의 메인바를 결합시킨다.
첨부 도면 중 도 5는 본 고안 격자형 천정 마감재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바(300)는 격자와 동일한 간격으로 걸림홈(310)을 한쌍씩 구비하고 있으며, 각 격자살(100)은 끝단의 일면에만 걸쇠(110)를 구비하고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격자살(100)은 전면의 우측과 후면의 좌측에 걸쇠를 구비하거나, 전면의 좌측과 후면의 우측에 걸쇠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메인바(300)의 양측에서 격자살(100)이 결합하게 되므로 양측의 걸쇠(110)들이 걸림홈(310)에 결합시 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 격자형 천정 마감재를 사용하면, 통일된 모양의 격자형 천정을 달성할 수 있고, 천정에 필수적으로 배치되는 배관이나 조명장치의 교체 및 정비를 천정판에 손상을 주지 않고 쉽게 할 수 있는 효과 있다.
또한, 메인바와 행거의 결합, 메인바 상호간의 연결, 격자판과 메인바의 연결이 모두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삽착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시공이 간편하고 분해,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격자형 천정 마감재에 있어서,
    격자판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홈과 행거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을 구비하는 메인바; 및
    4면에 걸쇠를 구비하는 격자판으로 이루어진 격자형 천정 마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는 끝부분에 연결편과 결합하기 위한 연결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격자형 천정 마감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의 두께는 상기 격자판의 격자살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천정 마감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판은 낱개의 격자살이 끼워 맞춤의 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천정 마감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살은 전면의 우측과 후면의 좌측에 걸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천정 마감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살은 전면의 좌측과 후면의 우측에 걸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격자형 천정 마감재
KR10-2001-0086364A 2001-12-27 2001-12-27 격자형 천정 마감재 KR100448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364A KR100448471B1 (ko) 2001-12-27 2001-12-27 격자형 천정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364A KR100448471B1 (ko) 2001-12-27 2001-12-27 격자형 천정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190A true KR20030056190A (ko) 2003-07-04
KR100448471B1 KR100448471B1 (ko) 2004-09-13

Family

ID=32214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364A KR100448471B1 (ko) 2001-12-27 2001-12-27 격자형 천정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896B1 (ko) 2012-04-10 2012-09-19 주식회사 기연써프라이 격자형 천장 마감재용 연결장치
KR101612924B1 (ko) 2014-06-19 2016-04-15 유옥수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1627772B1 (ko) 2014-06-19 2016-06-07 유옥수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
KR101618778B1 (ko) 2014-06-19 2016-05-18 유옥수 프로파일 안전접합용 다중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KR101591439B1 (ko) 2014-09-04 2016-02-03 유옥수 조립식 수밀 유지용 농수산물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KR20160028769A (ko) 2014-09-04 2016-03-14 유옥수 조립식 수밀 유지용 농수산물 포장상자
KR101689522B1 (ko) 2014-09-15 2016-12-26 유옥수 조립식 농수산물 포장상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87064A (en) * 1973-04-30 1976-04-13 John L. Taylor Louvered ceiling
US4545165A (en) * 1983-08-15 1985-10-08 Integrated Ceilings Inc. Modular monolithic ceiling grid system
US4665674A (en) * 1985-04-11 1987-05-19 Hunter Douglas International N.V. Grid ceiling
US4680910A (en) * 1985-09-20 1987-07-21 Perk William E Hollow-louvered ceilings
JP2790984B2 (ja) * 1994-12-14 1998-08-27 株式会社パイロット 天井格子パネル
JPH08326205A (ja) * 1995-05-31 1996-12-10 Pilot Corp:The 天井格子ル−バ−のランナ−連結構造
JPH08326206A (ja) * 1995-05-31 1996-12-10 Pilot Corp:The 天井格子ル−バ−の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8471B1 (ko) 2004-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13358A (en) Supporting clips
DK2196596T3 (da) Fastgørelsessystem til elementer
KR101477410B1 (ko) 프레임 어셈블리
SK285098B6 (sk) Usporiadanie profilov na montáž výstavných alebo predajných zariadení
KR100448471B1 (ko) 격자형 천정 마감재
KR20090117289A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JP2022176072A (ja) 組み立て式ストレージラック
KR200457039Y1 (ko) 벽면 진열시스템의 구조
US20060260261A1 (en) System for fasterning linings
KR20110085163A (ko) 부스용 블록 프레임
JP2003339478A (ja) ベッド装置
ATE343692T1 (de) Glaselementverbindung
KR20090003896U (ko) 파티션 고정구
KR200231383Y1 (ko) 마루판 침대
JP2007229005A (ja) 固定具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式什器
CN111683564A (zh) 桌子框架组件
JP3048862B2 (ja) ブラケットの取付装置
KR200231417Y1 (ko) 침대틀의 구조
WO2021074880A1 (en) Modular tile element
TWI408301B (zh) 組合間上蓋的改良結構
JPS6324756Y2 (ko)
JP2014113509A (ja) 組立式デスク
KR200169503Y1 (ko) 간주연결구조
ITUD950051U1 (it) Insieme piastra per supporto elettrodomestici in ambienti cucina
KR200344994Y1 (ko) 금속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