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6082A -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6082A
KR20030056082A KR1020010086242A KR20010086242A KR20030056082A KR 20030056082 A KR20030056082 A KR 20030056082A KR 1020010086242 A KR1020010086242 A KR 1020010086242A KR 20010086242 A KR20010086242 A KR 20010086242A KR 20030056082 A KR20030056082 A KR 20030056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handle
mold
shel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0800B1 (ko
Inventor
김명덕
박석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800B1/ko
Priority to DE60227777T priority patent/DE60227777D1/de
Priority to US10/380,956 priority patent/US6954967B2/en
Priority to AU2002325560A priority patent/AU2002325560B8/en
Priority to PCT/KR2002/001393 priority patent/WO2003009724A1/en
Priority to CNB028026098A priority patent/CN100399964C/zh
Priority to JP2003515123A priority patent/JP2004522031A/ja
Priority to EP02758898A priority patent/EP1349472B1/en
Publication of KR2003005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6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88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 B29C2045/14696Coating articles provided with a decoration transparent decorate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6Knobs or handles, push-buttons,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가전제품등에 적용되는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도장이 벗겨지거나 양각 또는 음각된 도형 또는 문자등이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더불어 손잡이의 외관미를 기존의 것과는 차별되게 발전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무게를 줄여 조작하기 쉽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손잡이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색채를 띠며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요입홈을 가짐과 더불어 양단부에 체결보스(240a,240b)를 갖는 코어(2)와, 상기 코어(2)를 감싸는 투명재질의 외피(3)로 이루어진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structure of hand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가전제품 등에 적용 가능한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기 냉장고 전자레인지 및 전화기등의 가전제품 뿐만 아니라 자동차 도어등에 적용가능한 손잡이 구조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가전제품등의 도어에 주로 적용되는 기존의 손잡이 구조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에는 원하는 손잡이 형태의 캐비티(cavity)를 갖는 금형을 제작하여 수지를 캐비티 내로 주입하여 성형하였으며, 외관의 고급화를 위해 손잡이(1a) 표면을 도장 처리하였다.
한편, 최근에는 가전제품 등의 수요에 있어, 제품의 기능뿐만 아니라 외관미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생산업체에서는 제품의 전체적 또는 부분적 미감(美感)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추세에 비추어, 각종 가전제품 등에 적용되는 손잡이 또한 기능적 측면뿐만 아니라, 제품의 전체적인 미감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나, 기존의 손잡이 구조 및 제조방법으로는 손잡이의 기능 및 미감을 더 이상 획기적인 형태로 발전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종래 방식에 의해 제작된 손잡이(1a)는 통상 표면에 스프레이 방식등을 통해 도장 처리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반복사용으로 인해 도장이 벗겨지거나 장기간 경과후 탈색(脫色)이 일어나 미감이 저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장된 표면은 화장품등의 화학물질과의 접촉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있었다.
한편, 손잡이(1a)의 표면에 문자나 도형을 음각 또는 양각한 경우, 장기간 사용시 다른 물체와의 간섭등으로 인해 문자나 도형이 그 형태를 잃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음각의 경우에는 표면의 홈에 이물질이 끼게 되고, 양각의 경우에는 타 물체와의 충돌에 의한 파손 및 마모등이 발생하여 표면에 새겨진 문자 또는 도형의 본래 모양을 잃고 지저분하게 되어 오히려 외관미를 해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구조의 손잡이는 무게가 무거워 도어 또는 뚜껑등에 장착된 경우,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어 또는 뚜껑 개폐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장이 벗겨지거나 양각 또는 음각된 도형 또는 문자등이 손상되는 문제를 해결함과 더불어 손잡이의 외관미를 기존의 것과는 차별되게 발전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무게를 줄여 조작하기 쉽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손잡이 구조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가전제품등에 적용되는 손잡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적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저면도
도 5는 도 3의 Ⅰ-Ⅰ선을 따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코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제조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손잡이2:코어
200:클램핑용 리브210:지지리브
240a,240b:체결보스250:요입홈
3:외피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색채를 띠며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요입홈을 갖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는 투명재질의 외피로 이루어진 손잡이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코어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내로 수지를 주입하여 색채를 띠며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요입된 요입홈을 갖는 코어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금형으로부터 성형 완료된 코어를 취출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 성형용 금형에서 취출된 코어를 상기 코어의 체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는 캐비티를 구비한 외피 성형용 금형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외피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로 투명수지를 주입하여 코어를 감싸는 외피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외피 성형용 금형으로부터 코어와 이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손잡이를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손잡이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손잡이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Ⅰ-Ⅰ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코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제조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손잡이(1)는 색채를 띠며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요입홈(250)을 가짐과 더불어 양단부에 체결보스(240a,240b)를 갖는 코어(2)와, 상기 코어(2)를 감싸는 투명재질의 외피(3)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코어(2)는 막대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코어(2)는 파지시의 용이성을 위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어(2)의 양단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유선형을 이루게 되며, 상기 외피(3)의 양단부중 적어도 어느 한 쪽 또한 유선형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외피(3)의 양단부중 적어도 일단부는 그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부채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특히, 상기 부채꼴의 현에 해당하는 부분은 내측으로 만곡되어 손잡이(1)에 대한 파지가 용이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외피(3)의 부채꼴 형상을 이룬 부분중 현에 해당하는 부분이 내측으로 만곡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손잡이(1) 파지시, 인체공학적 관점에서 볼 때 주먹을 쥔 상태에서 손날의 형태 및 엄지와 중지의 형태와 잘 조화되어 손잡이(1)에 대한 파지력을 증가시키고 손잡이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코어(2)에는 외피(3) 형성을 위해 코어(2)를 금형에 투입시 상기 금형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클램핑용 리브(200)를 두게 되는데, 상기 클램핑용 리브(200)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 물리도록 코어(2)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코어(2)의 타단에 형성되는 체결보스(240a)와 더불어 금형 내에서 코어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핑용 리브(200)를 코어(2) 일단의 하부측에 구비되도록 하는 이유는 외피(3) 성형이 완료된 후 클램핑용 리브(200)를 제거할 경우, 외관상 클램핑용 리브(200)를 두었던 흔적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코어(2)의 표면에는 금속층이 형성 가능하다. 이 때, 상기 금속층은 도금 또는 스퍼터링 증착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외피(3)에는 투명성을 유지하되 미관을 유려하게 하는 색채가 가미될 수 있다. 즉, 상기 외피(3)는 투명성을 약화시키거나 해치지 않으면서 미관이 유려해지도록 하는 색채가 가미된 투명수지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2)의 재질은 융점이 외피(3)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코어(2)의 융점은 200도 이상이고, 상기 외피(3)의 융점은 150도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어(2)는 내충격성(耐衝擊性), 고강성(高剛性), 고유동성(高流動性), 고광택성(高光澤性) 재질이자, 도금 밀착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재질의 예로서는 Nylon66 또는 PC(Polycarbonate)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외피(3)는 내충격성, 고강성, 고유동성, 난연성, 내열성, 내화학성, 내후성(耐朽性) 재질이자 대전(帶電)이 방지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한 재질로서는 ABS, PMMA, Surlyn, ASA, ALPHALAC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어(2) 표면에는 문자 또는 도형이 양각 또는 음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피(3)의 하부면은 파지시 미끌림이 방지되어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딤플(dimple) 형태의 요철면(300)으로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코어 성형시 양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보스(240a,240b)는 손잡이(1)를 도어나 뚜껑 등에 나사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손잡이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어 성형용 금형(도시는 생략함)을 준비한 상태에서, 상기 코어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 내로 색채를 갖는 용융수지를 주입한다. 즉, 플라스틱의 대표적인 가공법으로 복잡한 형상의 플라스틱 제품가공에 널리 사용되는 사출성형법에 의해 성형한다.
이 때, 상기 금형은 코어(2) 성형 완료시, 코어 외측에 외피 성형용 금형에 물리도록 하기 위한 클램핑용 리브(200) 및, 손잡이 완성시 도어등에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보스(240a,240b)가 구비되어지고, 그 하부면에는 요입홈(250)이 형성되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상기 금형중 하부금형에는 체결보스(240a,240b)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보스형성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형성홈 중앙부에는 금형빠짐시 체결보스(240a,240b)의 체결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봉형상의 리브가 구비된다.
한편, 성형 완료된 코어(2)를 취출한 다음에는 취출된 코어(2)를 상기 코어의 체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는 캐비티를 구비한 외피 성형용 금형에 투입하여 인서트 사출을 통해 손잡이를 완성한다.
즉, 상기 코어(2)의 일단에 형성된 클램핑용 리브(200)가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 사이에 물림과 동시에 상기 타단에 형성된 체결보스(240a)가 하부금형 내측면에 닿아 코어(2)가 지지되므로써, 외피 성형용 금형에 투입된 코어(2)와 금형의 캐비티 내측벽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어 외피 성형용 금형에 코어(2)가 투입완료 된 후에는, 상기 외피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로 용융된 투명수지가 고속 및 고압으로 주입되며, 주입 완료 후에는주입된 투명수지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냉각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외피 성형용 금형으로부터 코어(2)와 이를 감싸는 외피(3)로 이루어진 손잡이를 취출하게 된다.
이후, 상기 취출된 손잡이의 코어(2) 외측의 형성된 클램핑용 리브(200)를 제거하면 코어(2)와 외피(3)만이 남게 된다.
즉, 상기 클램핑용 리브(200)는 코어(2)의 끝단의 하부측에 형성되므로 클램핑용 리브(200)를 제거하면 도 2에서와 같이 도어 등에 설치시 외관상 클램핑용 리브(200)를 두었던 흔적이 남지 않아 손잡이(1)의 외관이 미려해지게 된다.
또한, 성형 완료된 코어(2)가 외피 성형용 금형에 투입되기 전에 상기 성형 완료된 코어(2) 표면에 필요한 문자 또는 도형이 양각 또는 음각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는 별도로 상기 코어(2) 성형 후에 코어 표면에 금속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코어(2) 표면에 형성되는 금속층은 도금 또는 스퍼터링 증착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손잡이 제조방법에 적용되는 코어(2)의 재질은 융점이 외피(3)보다 높은 재질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어(2)의 융점은 200도 이상이고, 상기 외피(3)의 융점은 150도 이하이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코어(2)는 내충격성, 고강성, 고유동성, 고광택성이자, 도금 밀착강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서는 Nylon66 또는 PC등이 있다.
또한, 상기 외피(3)는 내충격성, 고강성, 고유동성, 난연성, 내열성, 내화학성, 내후성 재질이자 대전이 방지되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그 예로서는 ABS, PMMA, Surlyn, ASA, ALPHALAC등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투명수지는 투명성을 약화시키거나 해치지 않으면서 미관이 유려해지도록 하는 색채가 가미된 투명수지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가전제품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적용 범위가 가전제품에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의 도어 손잡이등 산업 전반에 걸쳐 확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손잡이에 나타나는 문제점인 도장이 벗겨지거나 양각 또는 음각된 도형 또는 문자등이 손상되는 현상을 해소함과 더불어 손잡이의 미감을 기존의 것과는 차별되게 발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무게를 줄여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가 부착되는 도어나 뚜껑등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종래 방식에 의해 제작된 손잡이는 무게가 무겁고 사용자의 반복사용으로 인해 도장이 벗겨지거나 장기간 경과후 탈색(脫色)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중공 성형되고 외피가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문제점이 해소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코어 하부면에 코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요입홈이 형성되므로 인해 코어의 성형용 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요입홈으로 인해 코어의 전체 표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외피와 코어와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위치하는 코어에 문자나 도형을 양각 또는 음각 할 경우, 상기 양각 또는 음각된 문자나 도형이 외피에 의해 보호되어 다른 물체와의 간섭하지 않게 되므로 다른 물체와의 간섭에 의해 문자나 도형을 잃게 되는 종래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종래 손잡이의 도장된 표면은 화장품등의 화학물질과의 접촉에 매우 취약하였으나, 본 발명은 외피가 내화학성 또는 내약품성이 뛰어난 투명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문제점도 해소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내부에 위치한 코어를 투명수지로 된 외피가 감싸게 되어, 기존의 손잡이와는 다른 질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며, 특히 색채가 가미된 투명수지로 외피를 형성할 경우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색채의 손잡이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색채를 띠며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요입홈이 형성되며 양측 단부에 하부쪽으로 향하여 형성된 체결보스가 구비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는 투명재질의 외피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일측 단부에는 코어를 외피 성형용 금형에 투입시 상기 금형에 의해 물려 상기 코어가 지지되도록 하는 클램핑용 리브를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Nylon66 또는 PC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ABS, PMMA, Surlyn, ASA, ALPHALA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5. 색채를 띠며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요입홈을 가짐과 더불어 양단부에 체결보스를 갖는 코어를 금형 내에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를 상기 코어의 체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는 캐비티를 구비한 외피 성형용 금형에 투입하는 단계와,
    상기 외피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로 투명수지를 주입하여 코어를 감싸는 외피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외피 성형용 금형으로부터 코어와 이를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진 손잡이를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된 손잡이 제조방법.
KR1020010086242A 2001-07-24 2001-12-27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82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242A KR100820800B1 (ko) 2001-12-27 2001-12-27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E60227777T DE60227777D1 (de) 2001-07-24 2002-07-24 Handgriffstruktur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S10/380,956 US6954967B2 (en) 2001-07-24 2002-07-24 Structure of handgrip and method for fabrication of same
AU2002325560A AU2002325560B8 (en) 2001-07-24 2002-07-24 Structure of handgrip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PCT/KR2002/001393 WO2003009724A1 (en) 2001-07-24 2002-07-24 Structure of handgrip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CNB028026098A CN100399964C (zh) 2001-07-24 2002-07-24 手柄结构及制造该手柄的方法
JP2003515123A JP2004522031A (ja) 2001-07-24 2002-07-24 取っ手の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EP02758898A EP1349472B1 (en) 2001-07-24 2002-07-24 Structure of handgrip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242A KR100820800B1 (ko) 2001-12-27 2001-12-27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6082A true KR20030056082A (ko) 2003-07-04
KR100820800B1 KR100820800B1 (ko) 2008-04-10

Family

ID=3221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242A KR100820800B1 (ko) 2001-07-24 2001-12-27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8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611B1 (ko) * 2007-08-28 2009-07-09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906612B1 (ko) * 2008-06-25 2009-07-09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KR100910154B1 (ko) * 2007-06-12 2009-07-30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
KR101028895B1 (ko) * 2007-08-28 2011-04-12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6936B2 (ja) * 1995-12-01 2005-02-02 中央化成品株式会社 合成樹脂把手部材とその製造方法
KR19980015530U (ko) * 1996-09-10 1998-06-25 최진호 음료보관용 쇼케이스의 도어핸들
JP2000356053A (ja) * 1999-06-17 2000-12-26 Kikaku Hashimoto:Kk ハンドル部材
KR100808157B1 (ko) * 2001-10-26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808155B1 (ko) * 2001-07-24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154B1 (ko) * 2007-06-12 2009-07-30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제조방법
KR100906611B1 (ko) * 2007-08-28 2009-07-09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895B1 (ko) * 2007-08-28 2011-04-12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906612B1 (ko) * 2008-06-25 2009-07-09 (주)쉘-라인 전자기기용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0800B1 (ko)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9472B1 (en) Structure of handgrip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860001109B1 (ko) 합성수지제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3007504B (zh) 柔性高尔夫球杆握把
US6764626B2 (en) Method of galvanizing part of a piece obtained by injection molding
CN100398772C (zh) 把手结构以及其制造方法
KR100808157B1 (ko)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820800B1 (ko)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004232887A (ja) 冷蔵庫
KR101443913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프레임
KR100808155B1 (ko)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352090B1 (ko) 필름 삽입형 성형부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부품
US7003267B2 (en) Internal part design, molding and surface finish for cosmetic appearance
JP2004278891A (ja) 断熱扉の製造方法および冷蔵庫
KR100808162B1 (ko) 손잡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N217090372U (zh) 面盖部件、家用电器及模具
KR100880628B1 (ko) 손잡이 제조방법
JP2003310343A (ja) 加飾付きコンパクト容器
CN217098690U (zh) 外观部件、家用电器及模具
JP2005104114A (ja)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
CN217073195U (zh) 外观部件、家用电器及模具
US698685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uper-thin advertising and decorative zipper tab
CN218333556U (zh) 一种内嵌式字符的键帽
CN217090353U (zh) 外观部件、家用电器及模具
CN207797497U (zh) 冰箱把手组件
JP2003185330A (ja) 冷蔵庫の扉及び冷蔵庫の扉の製造方法及びハンドルの手掛け部の成型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