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3943A -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 Google Patents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3943A
KR20030053943A KR1020010083979A KR20010083979A KR20030053943A KR 20030053943 A KR20030053943 A KR 20030053943A KR 1020010083979 A KR1020010083979 A KR 1020010083979A KR 20010083979 A KR20010083979 A KR 20010083979A KR 20030053943 A KR20030053943 A KR 20030053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block
protection
slop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3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3967B1 (ko
Inventor
재 술 나
Original Assignee
재 술 나
주식회사 성원전문
금호엔지니어링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술 나, 주식회사 성원전문, 금호엔지니어링 (주) filed Critical 재 술 나
Priority to KR10-2001-0083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39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5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3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8Ground anchors anchored by using exclusively a bon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에 관한 것으로, 기하학적인 다양한 형상으로 와이어(112)를 형성하되 지중에 네일(150)을 고정시켜 고정된 네일(150)과 결합하는 중앙지지구(120)를 형성하여 구성된 와이어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10)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대각선상이나 횡선상 또는 종선상에서 상호 한 쌍을 이루는 와이어(110)를 상호 중첩되게 교차시켜 교차부(111)를 형성하므로 와이어블록으로 도로 측방 등에 위치한 사면을 견고하게 보강, 보호하여 그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므로 토압이나 수압의 상승으로 인한 지반 거동이 크게 발생하더라도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면에서 강한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붕괴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고 부분 붕괴 또는 붕괴 초기 현상이 발생되면 이들 부분을 분리하여 견고하게 재조립하거나 새로운 와이어블록과 교체하여 견고하게 재조립하므로 붕괴 징후 또는 부분 붕괴시 신속하게 보강하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며 낙석방지망의 표면에 설치하여 낙석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와이어블록의 와이어가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며 와이어 교차부분을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시켜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고 고리를 형성하여 상호 연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WIRE BLOCK FOR REINFORCING AND PROTECTING THE SLOPE}
본 발명은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낙석지역 등의 사면을 보호 및 보강하여 낙석 발생 또는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낙석지역 등의 사면에 낙석방지망을 밀착되게 덮고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와이어를 가로와 세로로 다수개 설치하여 낙석방지망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사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사면의 지반 거동 등으로 인하여 압력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 거의 무용지물에 가까워 사면 전체가 붕괴되어 심각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면은 도로 공사로 인하여 도로의 측면에 주로 위치하게 되므로 사고 발생 후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복구하여야 하나 낙석방지망의 경우 사면에 대한 보강이 전혀 없이 단순히 낙석방지망으로 떨어져 내리는 몇 개의 낙석만을 차단하게 되므로 수압 또는 토압에 의한 지반거동 등으로 큰 압력이 작용할 때에 사면 전체가 붕괴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사면 전체가 붕괴되면, 이를 복구하기 위한 시간과 인력이 상당히 투입되어야 하므로 복구비가 상승되고 교통의 흐름을 차단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사면 보강의 경우에는 사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표면에 상호 연접되게 다수개 시공하여 보강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사면에서 직접 거푸집을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여기에 철근 골조 등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 몰탈 등을 부어 경화시켜 사면을 보강하므로 사면의 경사로 인하여 시공이 매우 까다롭고 심지어 경사가 큰 사면인 경우 시공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은 가변성이 전혀 없어 지반 거동의 초기 현상이 발생되면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부분 붕괴시 지형의 변화로 인하여 재시공하기 거의 불가능하여 넓은 면적을 다시 시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은 시공의 번거롭고 까다로움으로 인하여 공사비가 크게 상승되고 공사 기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사면의 지지력이 거의 표면에서만 작용하므로 사면에 대한 지지력의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원인 선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1-68368호도 있으나 이 경우 사면에서 압력이 발생되는 경우 와이어가 벌어지는 현상의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와이어블록으로 도로 측방 등에 위치한 사면을 견고하게 보강, 보호하여 그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므로 토압이나 수압의 상승으로 인한 지반 거동이 크게 발생하더라도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블록으로 사면에서 강한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붕괴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블록으로 사면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호,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블록으로 부분 붕괴 또는 붕괴 초기 현상이 발생되면 이들 부분을 분리하여 견고하게 재조립하거나 새로운 와이어블록과 교체하여 견고하게 재조립하므로 붕괴 징후 또는 부분 붕괴시 신속하게 보강하여 이로 인한 사면 전체의 붕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블록으로 사면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강할 수 있도록 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블록을 낙석방지망의 표면에 설치하여 낙석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키고 낙석지역을 보강하여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블록의 와이어가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블록의 와이어 교차부분을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시켜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블록에 고리를 형성하여 상호 연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네일 설치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세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중앙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다른 중앙지지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다른 중앙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고정구를 나타낸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다른 고정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다른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a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b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나타낸 정면도.
도 11c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나타낸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낙석방지망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사면 11 : 그라우팅공
100 : 와이어블록 110 : 와이어
111 : 교차부 112 : 고리
120 : 중앙지지구 121 : 지지공
122 : 가이드홈 123 : 체결부재
124 : 로울러 125 : 지지공
126 : 덮개 127 : 지지공
128 : 몰딩부 130 : 고정구
131 : 가이드홈 132 : 덮개
133 : 몰딩부 134 : 로울러
140 : 연결부재 150 : 네일
160 : 그라우팅 170 : 낙석방지망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은 다양한 형상의 와이어로 구성된 와이어블록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와이어를 상호 중첩되게 교차시켜 교차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네일 설치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중앙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다른 중앙지지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다른 중앙지지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다른 고정구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의 다른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a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b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1c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상의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을 낙석방지망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은 기하학적인 다양한 형상으로 와이어(112)를 형성하되 지중에 네일(150)을 고정시켜 고정된 네일(150)과 결합하는 중앙지지구(120)를 형성하여 구성된 와이어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10)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와이어(110)를 상호 중첩되게 교차시켜 교차부(111)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교차부분은 대각선상이나 횡선상 또는 종선상에서 상호 한 쌍을 이루는 와이어를 교차시켜 교차부(111)가 형성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와이어블록(100)의 최외각 와이어(110)에 다수개의 고리(112)를 형성하여 턴버클 등의 연결부재(140)로 와이어블록(100)과 와이어블록(100)을 상호 조립하여 연결하기 용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블록(100)의 중앙지지구(120)는 외주연에 다수개의 가이드홈(122)을 형성하고 여기에 와이어(110)가 끼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중앙지지구(120)의 내부에는 에폭시 충진하여 와이어(110)의 교차부분을 일체화시키는 몰딩부(128)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중앙지지구(120)의 내부에는 로울러(120)를 삽입하여 와이어(110)가 원활하게 가이드되도록 하되 와이어(110)의 결합 후에 몰딩부(128)를 형성할 수 도 있다.
더불어, 중앙지지구(120)에는 덮개(126)를 구비하여 와이어(110)의 연결작업 후에 외관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앙지지구(120)에는 중앙을 관통하는 지지공(121,125,127)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중앙지지구(120)에 결합된 와이어의 교차부분에는 고정구(130)를 이용하여 와이어(1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구(130)는 외주연에 다수개의 가이드홈(131)을 형성하고 여기에 와이어(110)가 끼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구(130)의 내부에는 에폭시 충진하여 와이어(110)의 교차부분을 일체화시키는 몰딩부(133)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고정구(130)의 내부에는 로울러(134)를 삽입하여 와이어(110)가 원활하게 가이드되도록 하고 와이어(110)의 결합이 완표되면 몰딩부(133)를 형성하여 고정시킬 수 도 있다.
더불어, 고정구(130)에는 덮개(132)를 구비하여 와이어(110)의 연결작업 후에 외관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와이어(110)는 한 가닥으로 형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이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면 또는 낙석방지망(170)이 설치된 지역에 와이어블록(100)을 순차적으로 연접되게 결합시킨다.
이때 최초 와이어블록(100)의 중앙지지구(120)에 형성된 지지공(121.125,127)을 통하여 지중에 그라우팅(160)한 다음 네일(150)을 끼워 여기에 중앙지지구(120)를 고정시켜 세팅하고 다시 연결부재(140)로 다수개의 와이어블록(100)을 연접되게 연결한다.
여기서 연결부재(140)는 와이어블록(100)에 형성된 고리(112)를 이용하여 턴버클 등으로 팽팽하게 연결하므로 와이어(110)가 사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그라우팅(160)이 완전히 경화되면 연결부재(140)를 더욱 조여 와이어블록(100)과 와이어블록(100)이 최대한 당겨지도록 한다.
따라서 조립된 와이어블록(100)은 지면에 완전하게 밀착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면이 더욱 견고하게 보강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와이어블록(100)은 낙석지역에 낙석방지망(170)을 설치한 후 가로 세로로 상호 교차시키는 와이어로프 대용으로 낙석방지망(170)의표면에서 사면(10)에 설치하는 경우, 사면(10)이 크게 보강되고 와이어블록(100)이 낙석 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낙석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와이어블록(100)의 와이어(110)는 중앙지지구(120)와 고정구(130)에 형성된 가이드홈(122,131)에 의하여 와이어(110)의 분할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장되는 로울러(124,134)에 의하여 원활하게 가이드하므로 와이어블록(100)의 제작이 용이하며 에폭시를 충진하여 몰딩부(128,133)를 형성하므로 와이어(110)의 교차부분을 일체화하여 견고하게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대각선상이나 횡선상 또는 종선상에서 상호 한 쌍을 이루는 와이어(110)에서는 교차부(111)가 형성되어 와이어(110)의 벌어지려는 현상을 억제하므로 견고하게 사면(10)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조립되어 설치된 와이어블록(100)의 부분적인 분리 및 재조립이 가능하여 지반의 붕괴 징후나 낙석의 징후 또는 일부에서 초기 붕괴가 발생되는 경우 이들 부분을 분리하고 재조립하여 그라우팅(160)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은 기하학적인 다양한 형상으로 와이어(112)를 형성하되 지중에 네일(150)을 고정시켜 고정된 네일(150)과 결합하는 중앙지지구(120)를 형성하여 구성된 와이어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10)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대각선상이나 횡선상 또는 종선상에서 상호 한 쌍을 이루는 와이어(110)를 상호 중첩되게 교차시켜 교차부(111)를 형성하므로 와이어블록으로 도로 측방 등에 위치한 사면을 견고하게 보강, 보호하여 그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므로 토압이나 수압의 상승으로 인한 지반 거동이 크게 발생하더라도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면에서 강한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붕괴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고 부분 붕괴 또는 붕괴 초기 현상이 발생되면 이들 부분을 분리하여 견고하게 재조립하거나 새로운 와이어블록과 교체하여 견고하게 재조립하므로 붕괴 징후 또는 부분 붕괴시 신속하게 보강하여 이로 인한 사면 전체의 붕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공사기간을 단축시키고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며 낙석방지망의 표면에 설치하여 낙석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와이어블록의 와이어가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하며 와이어 교차부분을 견고하게 일체로 고정시켜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고 고리를 형성하여 상호 연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기하학적인 다양한 형상으로 와이어(112)를 형성하되 지중에 네일(150)을 고정시켜 고정된 네일(150)과 결합하는 중앙지지구(120)를 형성하여 구성된 와이어블록(100)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10)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되 대각선상이나 횡선상 또는 종선상에서 상호 한 쌍을 이루는 와이어(110)를 상호 중첩되게 교차시켜 교차부(111)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블록(100)의 최외각 와이어(110)에 다수개의 고리(112)를 형성하여 연결부재(140)로 와이어블록(100)과 와이어블록(100)을 상호 조립하여 연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블록(100)의 중앙지지구(120)는 외주연에 다수개의 가이드홈(122)을 형성하고 내부에 에폭시 충진하여 와이어(110)를 일체화시키는 몰딩부(128)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지구(120)에 결합된 와이어(110)의 교차부분에는 고정구(130)를 이용하여 와이어(110)를 고정시키되 고정구(130)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가이드홈(131)을 형성하고 고정구(130)의 내부에 에폭시 충진하여 와이어(110)를 일체화시키는 몰딩부(133)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5.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지지구(120)와 고정구(130)의 내부에는 로울러(124,133)를 삽입하여 와이어(110)를 원활하게 가이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10-2001-0083979A 2001-12-24 2001-12-24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100483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979A KR100483967B1 (ko) 2001-12-24 2001-12-24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3979A KR100483967B1 (ko) 2001-12-24 2001-12-24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908U Division KR200270165Y1 (ko) 2001-12-24 2001-12-24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3943A true KR20030053943A (ko) 2003-07-02
KR100483967B1 KR100483967B1 (ko) 2005-04-18

Family

ID=32212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3979A KR100483967B1 (ko) 2001-12-24 2001-12-24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39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384B1 (ko) * 2008-05-02 2010-03-04 장을식 인조암벽 설치시공을 위한 경사면의 지지 구조물
KR20170115122A (ko) * 2016-04-04 2017-10-17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부상식 말뚝기초 연결 장치
KR20190100754A (ko) * 2018-02-21 2019-08-29 차윤호 표면 침식방지형 소일네일링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2482814A (zh) * 2020-12-04 2021-03-12 邱思 一种建筑工程框架梁加固装置
CN114892598A (zh) * 2022-06-10 2022-08-12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边坡防护装置及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5379B2 (ja) * 1995-03-27 2005-06-29 株式会社飛鳥 法面保護工法及び指標治具
KR200242429Y1 (ko) * 2001-05-15 2001-10-29 한성정밀공업(주) 낙석방지용 와이어 로프 고정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384B1 (ko) * 2008-05-02 2010-03-04 장을식 인조암벽 설치시공을 위한 경사면의 지지 구조물
KR20170115122A (ko) * 2016-04-04 2017-10-17 유씨아이테크 주식회사 부상식 말뚝기초 연결 장치
KR20190100754A (ko) * 2018-02-21 2019-08-29 차윤호 표면 침식방지형 소일네일링구조 및 그 시공방법
CN112482814A (zh) * 2020-12-04 2021-03-12 邱思 一种建筑工程框架梁加固装置
CN114892598A (zh) * 2022-06-10 2022-08-12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边坡防护装置及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3967B1 (ko) 2005-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4360B2 (ja) 既設ブロック塀の防護装置
KR101886151B1 (ko) 보강토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483967B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200270165Y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100451954B1 (ko) 와이어블록을 이용한 사면 보강 및 보호 방법
KR100405269B1 (ko)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KR100483964B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100466491B1 (ko) 암반붕괴 방지용 락볼트(네일) 연계 고정장치
JP5758512B2 (ja) 落石防護柵の補強方法および落石防護柵
KR200263621Y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100523962B1 (ko) 건축용 옹벽 보호 시설물
KR20020058928A (ko)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10148996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지주 구조를 갖는 안전펜스
KR100505154B1 (ko)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20090084038A (ko) 지주 구조물 및 지주 시공방법
KR100490959B1 (ko) 건축용 2중 옹벽 시설물
JP4198560B2 (ja) 防護柵用基礎ブロックおよび防護柵の施工方法
KR200370226Y1 (ko) 낙석방지망 휀스용 지주
KR200281831Y1 (ko) 낙석 방지책 조립식 지주
KR200309072Y1 (ko)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KR102541697B1 (ko) 앵커두부 밀폐 및 패널캡을 갖는 음각패널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234915Y1 (ko) 굴곡이 심한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용 연결구
CN218540722U (zh) 一种地基施工防塌方加强装置
KR20060025972A (ko) 낙석방지망 휀스용 지주
KR102670724B1 (ko) 매립형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보도용 방호 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