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9072Y1 -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9072Y1
KR200309072Y1 KR20-2002-0039000U KR20020039000U KR200309072Y1 KR 200309072 Y1 KR200309072 Y1 KR 200309072Y1 KR 20020039000 U KR20020039000 U KR 20020039000U KR 200309072 Y1 KR200309072 Y1 KR 200309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protection
reinforcement
slope
assembly
reinforce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90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술 나
Original Assignee
재 술 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 술 나 filed Critical 재 술 나
Priority to KR20-2002-00390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9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9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9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H-빔(110)과, 상기 H-빔(110)의 단부를 상호 결합시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조립구(120)와, 상기 조립구(120)로 조립된 사각형상의 H-빔(110) 내부 측에 조립하는 익스팬더메탈(140)과, 상기 조립구(120)를 통하여 지중에 고정시키는 락볼트(180)로 구성하므로 도로 측방 등에 위치한 사면을 보호, 보강하여 그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 거동으로 인한 토압이나 수압 등이 상승하더라도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되 만일의 사태로 붕괴되더라도 이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면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호, 보강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의 식생이 용이하도록 하여 녹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Sturcture for protecting and reinforcing slopes}
본 고안은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낙석지역 등의 사면을 보호 및 보강하여 낙석 발생 또는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낙석지역 등의 사면에 낙석방지망을 밀착되게 덮고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와이어를 가로와 세로로 다수개 설치하여 낙석방지망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사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사면의 지반 거동 등으로 인하여 압력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 거의 무용지물에 가까워 사면 전체가 붕괴되어 심각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면은 도로 공사로 인하여 도로의 측면에 주로 위치하게 되므로 사고 발생 후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복구하여야 하나 낙석방지망의 경우 사면에 대한 보강이 전혀 없이 단순히 낙석방지망으로 떨어져 내리는 몇 개의 낙석만을 차단하게 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거동 등으로 큰 압력이 작용할 때에 사면 전체가 붕괴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사면 전체가 붕괴되면, 이를 복구하기 위한 시간과 인력이 상당히 투입되어야 하므로 복구비가 상승되고 교통의 흐름을 차단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도로 측방 등에 위치한 사면을 보호, 보강하여 그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 거동으로 인한 토압이나 수압 등이 상승하더라도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면에서 강한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붕괴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면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호,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면에 식물의 식생이 용이하도록 하여 녹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사면 100 : H-빔구조물
110 : H-빔 120 : 조립구
121 : 고정공 122 : 삽입홈
130 : 조립앵글 140 : 익스팬더메탈
141 : 돌출부 142 : 홈부
150 : 지지편 160 : 턴버클
170 : 매설지지편 180 : 락볼트
210 : 콘크리트지지층 211 : 매설토
212 : 식생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은 H-빔을 사각형상의 형성하되 H-빔의 내부 측에 익스팬더메탈(expander metal)을 결합시킨 H-빔구조물과, 상기 H-빔구조물을 사면에 고정시키는 락볼트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다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은 H-빔(110)과, 상기 H-빔(110)의 단부를 상호 결합시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조립구(120)와, 상기 조립구(120)로 조립된 사각형상의 H-빔(110) 내부 측에 조립하는 익스팬더메탈(140)과, 상기 조립구(120)를 통하여 지중에 고정시키는 락볼트(180)로 구성한다.
상기 조립구(120)는 센터에 고정공(121)을 형성하여 락볼트(180)를 암반에 압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하좌우에 H-빔(110)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삽입홈(122)을 형성하되, 삽입홈(122)은 2방향과 3방향 및 4방향으로 형성시켜 조립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조립구(120)와 H-빔(110)의 결합은 핀으로 결합하여 지형에 따라 구조물(100)이 절곡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익스팬더메탈(140)은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전면 홈부(142)에는 식생토(212)를 고착화시켜 녹화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익스팬더메탈(140)의 돌출부(141) 내부에는 매설토(211)를 채워 형성성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익스팬더메탈(140)의 홈부(142)에는 지지편(150)을 밀착시키되 지지편(150)의 양단을 익스팬더메탈(140)과 함께 H-빔(110)에 고정시킨다.
상기 락볼트(180)는 지압판(도시하지 않음)등을 구비하여 조립구(120)을 통하여 고정시킨다.
여기서 설치지형의 특성에 따라 락볼트(180) 대용으로 조립구(120)의 고정고공에 네일을 삽입하여 조립하고 그라우팅하여 고정시킬 수 도 있다.
상기 H-빔구조물(100)의 상측에는 턴버클(160)을 결합하여 또 다른 H-빔구조물(100)의 하측과 연결하여 계단형상으로 설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턴버클(160)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H-빔(110)에 결합하여 지형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H-구조물(100)과 H-빔구조물(100)의 직접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H-빔구조물(100)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측 H-빔(110)에 매설지지편(170)을 결합하고 계단부분에 콘크리트지지층(210)을 형성하여 매설지지편(170)을 매설하여 고정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H-빔구조물(100)의 좌우 연접부분에는 H-빔(110)을 수직으로 양분시킨 형상의 한 쌍의 조립앵글(130)로 익스팬더메탈(140)을 조립하도록 하므로 작업성을향상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면(10)의 형상에 따라 H-빔구조물(100)의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H-빔구조물(100)의 하부 일측에서 상하 일측으로 연접시키면서 조립하여 전체 사면에 조립한다.
여기서 H-빔구조물(100)의 조립 완료 또는 조립 중에 조립구(120)의 고정공(121)을 통하여 락볼트(180)를 지중에 설치하여 H-빔구조물(100)을 견고하게 사면(10)에 고정시킨다.
나아가, H-빔구조물(100)과 H-빔구조물(100) 사이의 계단부분에는 매설지지편(170)을 콘크리트지지층(210)으로 고정시키므로 사면에 H-빔구조물(1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더불어 H-빔구조물(100)과 사면(10)에 발생되는 공간에는 매설토(211)를 삽입하면서 설치하고 익스팬더메탈(140)의 홈부(142)와, H-빔구조물(100)과 H-빔구조물(100) 사이의 계단부분에 식생토(212)를 고착시켜 식생식물을 식생하므로 녹화공사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은 H-빔(110)과, 상기 H-빔(110)의 단부를 상호 결합시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조립구(120)와, 상기 조립구(120)로 조립된 사각형상의 H-빔(110) 내부 측에 조립하는익스팬더메탈(140)과, 상기 조립구(120)를 통하여 지중에 고정시키는 락볼트(180)로 구성하므로 도로 측방 등에 위치한 사면을 보호, 보강하여 그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 거동으로 인한 토압이나 수압 등이 상승하더라도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되 만일의 사태로 붕괴되더라도 이를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면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보호, 보강할 수 있도록 하고 식물의 식생이 용이하도록 하여 녹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H-빔(110)과,
    상기 H-빔(110)의 단부를 상호 결합시켜 사각형상으로 형성하는 조립구(120)와,
    상기 조립구(120)로 조립된 사각형상의 H-빔(110) 내부 측에 조립하는 익스팬더메탈(140)과,
    상기 조립구(120)를 통하여 지중에 고정시키는 락볼트(18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120)는 센터에 고정공(121)을 형성하여 락볼트(180)를 암반에 압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하좌우에 H-빔(110)을 삽입하여 결합하는 삽입홈(122)을 형성하되, 삽입홈(122)은 2방향과 3방향 및 4방향으로 형성시켜 조립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120)와 H-빔(110)의 결합은 핀으로 결합하여 지형에 따라 구조물(100)이 절곡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팬더메탈(140)은 물결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돌출부(141) 내부에는 매설토(211)를 채워 형성하고 홈부(142)에는 식생토(212)를 고착화시켜 녹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팬더메탈(140)의 홈부(142)에는 지지편(150)을 밀착시키되 지지편(150)의 양단을 익스팬더메탈(140)과 함께 H-빔(11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빔구조물(100)의 상측에는 턴버클(160)을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또 다른 H-빔구조물(100)의 하측과 연결하여 계단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구조물(100)과 H-빔구조물(100)의 상하좌우로 직접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H-빔구조물(100)을 계단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측 H-빔(110)에 매설지지편(170)을 결합하고 계단부분에 콘크리트지지층(210)을 형성하여 매설지지편(170)을 매설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빔구조물(100)의 좌우 연접부분에는 H-빔(110)을 수직으로 양분시킨 형상의 한 쌍의 조립앵글(130)로 익스팬더메탈(140)을 조립하도록 하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KR20-2002-0039000U 2002-12-30 2002-12-30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KR200309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000U KR200309072Y1 (ko) 2002-12-30 2002-12-30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9000U KR200309072Y1 (ko) 2002-12-30 2002-12-30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946A Division KR100520122B1 (ko) 2002-12-30 2002-12-30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9072Y1 true KR200309072Y1 (ko) 2003-03-29

Family

ID=49403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9000U KR200309072Y1 (ko) 2002-12-30 2002-12-30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90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231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09686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KR101945158B1 (ko) 하천 제방의 사면 보호용 결속블록 구조물
KR100505154B1 (ko)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100405269B1 (ko)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KR200309072Y1 (ko)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KR100520122B1 (ko)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KR100523965B1 (ko) 건축용 조경블럭
KR100466491B1 (ko) 암반붕괴 방지용 락볼트(네일) 연계 고정장치
KR100483967B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100538981B1 (ko)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KR100988994B1 (ko) 차수토류벽
KR200376547Y1 (ko)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KR100384067B1 (ko)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20020058928A (ko)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100388353B1 (ko) 사면 보강 및 녹화 공법
KR100970494B1 (ko) 비탈면의 배수용 보호 블록
KR100451954B1 (ko) 와이어블록을 이용한 사면 보강 및 보호 방법
KR200234915Y1 (ko) 굴곡이 심한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용 연결구
KR200270165Y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JP7421835B1 (ja) 防護柵
KR100562225B1 (ko)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 구조물
JP3390132B2 (ja) 落石等の防護柵
KR200263621Y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