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269B1 -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 Google Patents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269B1
KR100405269B1 KR10-2000-0069362A KR20000069362A KR100405269B1 KR 100405269 B1 KR100405269 B1 KR 100405269B1 KR 20000069362 A KR20000069362 A KR 20000069362A KR 100405269 B1 KR100405269 B1 KR 100405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structure
slope
connector
rockfall
rockfall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9513A (ko
Inventor
재 술 나
Original Assignee
씨엠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엠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씨엠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0-0069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26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9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8Ground anchors anchored by using exclusively a bon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에 있어서, 사면(100)에 낙석방지망을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낙석방지망설치단계와, 상기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구조물을 제작하되 설치지역의 지면에서 연결구(140)의 상하좌우에 H-빔(111)의 일측 단을 연결하고 다시 H-빔(111)의 타측 단에 연결구(140)를 결합하여 H-빔(111)을 상하좌우에 연결하되 이를 반복하여 소정크기로 형성시키는 H-빔구조물제작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110)제작단계에서 연결구(140)로 연결된 다수의 H-빔구조물(110)을 연결구(140)를 중심으로 절곡시켜 낙석방지망이 설치된 사면(100)에 밀착시키면서 연접하여 결합하는 H-빔구조물설치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연결구(140)를 네일(120)로 결합하여 굴곡된 사면(100)의 지중으로 네일(120)을 그라우팅(130) 시키는 낙석방지망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H-빔구조물고정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고정단계에서 H-빔구조물(110)과 굴곡된 사면(100)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에 숏크리트를 뿌려 이를 메움과 동시에 H-빔구조물(110)의 표면을 마감하는 낙석방지망설치완료단계로 구성하므로 낙석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킬 뿐만아니라 지지력을 극대화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 거동으로 인한 토압이나 수압 등이 상승하더라도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Construction method for protecting and reinforcing falling rock of steep slope}
본 발명은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낙석지역 등의 굴곡이 심한 사면에서 발생되는 낙석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이를 보강하여 낙석방지는 물론 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낙석지역 등의 사면에 낙석방지망을 밀착되게 덮고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와이어를 가로와 세로로 다수개 설치하여 낙석방지망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하여 사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사면의 지반 거동 등으로 인하여 압력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 거의 무용지물에 가까워 사면 전체가 붕괴되어 심각한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면은 도로 공사로 인하여 도로의 측면에 주로 위치하게 되므로 사고 발생 후 교통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복구하여야 하나 낙석방지망의 경우 사면에 대한 보강이 전혀 없이 단순히 낙석방지망으로 떨어져 내리는 몇 개의 낙석만을 차단하게 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거동 등으로 큰 압력이 작용할 때에 사면 전체가 붕괴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사면 전체가 붕괴되면, 이를 복구하기 위한 시간과 인력이 상당히 투입되어야 하므로 복구비가 상승되고 교통의 흐름을 차단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더불어 굴곡이 심한 사면의 경우에는 복식 낙석방지망의 설치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포켓식 낙석방지망을 설치하여 사면과 낙석방지망 사이에 포켓(공간)을 형성시켜 낙석이 포켓속으로 떨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낙석방지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다량의 낙석발생시 별다른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도로 측방 등에 위치한 굴곡이 심한 사면을 보호, 보강하여 그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 거동으로 인한 토압이나 수압 등이 상승하더라도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복식 낙석방지망의 낙석의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곡이 심한 사면에서 강한 압력이 상승하더라도 붕괴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고 붕괴되지 않는 한 낙석의 발생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곡이 심한 사면에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낙석방지및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의 네일 설치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용 H-빔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용 H-빔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용 H-빔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0 : 사면 101: 지지공
110 : H-빔구조물 111 : H-빔
112 : 축공 120 : 네일(nail)
121 : 나사부 122 : 와셔
123 : 체결수단 130 : 그라우팅
140 : 연결구 141 : 구멍
142 : 결합편 143 : 축공
144 : 홈부 145 : 체결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은 사면에 낙석방지망을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구조물을 제작하되 설치지역의 지면에서 연결구의 상하좌우에 H-빔의 일측 단을 연결하고 다시 H-빔의 타측 단에 연결구를 결합하여 H-빔을 상하좌우에 연결하되 이를 반복하여 소정크기로 형성시키는 H-빔구조물제작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제작단계에서 연결구로 연결된 다수의 H-빔구조물을 연결구를 중심으로 절곡시켜 낙석방지망이 설치된 사면에 밀착시키면서 연접하여 결합하는 H-빔구조물설치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연결구를 네일로 결합하여 굴곡된 사면의 지중으로 네일을 그라우팅 시키는 낙석방지망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H-빔구조물고정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고정단계에서 H-빔구조물과 굴곡된 사면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에 숏크리트를 뿌려 이를 메움과 동시에 H-빔구조물의 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하는 낙석방지망설치완료단계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의 네일 설치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용 H-빔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용 H-빔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용 H-빔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은 사면(100)에 낙석방지망을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낙석방지망설치단계와, 상기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구조물을 제작하되 설치지역의 지면에서 연결구(140)의 상하좌우에 H-빔(111)의 일측 단을 연결하고 다시 H-빔(111)의 타측 단에 연결구(140)를 결합하여 H-빔(111)을 상하좌우에 연결하되 이를 반복하여 소정크기로 형성시키는 H-빔구조물제작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110)제작단계에서 연결구(140)로 연결된 다수의 H-빔구조물(110)을 연결구(140)를 중심으로 절곡시켜 낙석방지망이 설치된 사면(100)에 밀착시키면서 연접하여 결합하는 H-빔구조물설치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연결구(140)를 네일(120)로 결합하여 굴곡된 사면(100)의 지중으로 네일(120)을 그라우팅(130) 시키는 낙석방지망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H-빔구조물고정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고정단계에서 H-빔구조물(110)과 굴곡된 사면(100)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에 숏크리트를 뿌려 이를 메움과 동시에 H-빔구조물(110)의 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하는 낙석방지망설치완료단계로 구성한다.상기 낙석방지망설치단계는 낙석방지망을 굴곡 또는 경사도가 심한 사면(100)에 어느정도 밀착시켜 가설치한다.
상기 H-빔구조물제작단계는 평탄한 지면에서 굴곡이 심한 사면(100)의 높이와 폭 및 절곡 정도를 고려하여 H-빔(111)을 길이를 결정하고 길이가 결정된 각각의 H-빔(111)을 연결구(140)의 결합편(132) 사이에 끼워 체결수단(145)으로 연결하여 절곡되게 형성한다.
나아가, 다수개의 연결구(140)의 결합편(142)에 H-빔(111)을 각각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연접되도록 함으로써 일정크기의 H-빔구조물(110)을 제작한다.
여기서 사면(100)의 돌출부나 홈부에 연결구(140)가 위치되도록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사면(100)의 돌출부나 홈부가 심한 굴곡으로 평면에서 결합하기 까다로울 경우에는 해당위치의 H-빔(111)을 H-빔구조물을 사면에 위치시킨 다음 체결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H-빔구조물설치단계는 다수개의 연결구(140)를 중심으로 연결된 H-빔구조물(110)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사면(100)에 설치된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위치시킨 다음 또다른 H-빔구조물(110)을 연접시켜 체결하여 사면(100) 전체에 H-빔구조물(110)이 상호 연결되어 설치하여 낙석방지망을 사면(100)에 밀착시켜 지지하도록 한다.
이때, 사면(100)의 돌출부나 홈부에 연결구(140)가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H-빔구조물고정단계는 H-빔구조물(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연결구(140)의 구멍(141)을 통하여 사면(100)의 지중으로 지지공(101)을 천공하고 지지공(101)에 네일(120)을 삽입하여 그라우팅(130)하여 네일(120)을 사면(100)의 지중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므로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설치된 H-구조물(110)을 가압되게 고정시켜 낙석방지망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한다.
여기서 외부에 노출되는 네일(120)의 외부측 단부에는 나사부(121)를 형성시켜 와셔(122)를 끼우고 체결수단(123)으로 체결하여 연결구(140)에 결합시키므로 H-빔구조물(11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H-빔구조물설치완료단계는 H-빔구조물(110)의 연결구(140)에 네일(1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사면(100)이 고르지 못하여 발생되는 H-빔구조물(110)과 사면(100) 사이의 틈새를 숏크리트로 뿜어 메움과 동시에 H-빔구조물(110)의 표면에 숏크리트 층을 형성시켜 표면 처리하여 외관을 마감함과 동시에 사면(100)과 일체화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연결구(140)는 상하좌우에 상호 대향되어 한 쌍으로 된 결합편(142)을 형성하고 결합편(142)에 축공(143)을 형성하되 H-빔(111)에도 축공(143)과 대응되는 축공(112)을 형성시켜 이를 일치시키고 여기에 핀 등의 체결수단(145)을 결합하여 연결구(140)에 결합된 H-빔(111)이 절곡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연결구(140)의 중앙에는 사면(100)을 그라우팅(130) 하여 네일(12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141)을 형성하고 구멍(141)의 상측에 와셔(122)를 가이드하는 홈부(143)를 형성시킨다.
나아가, 연결구(140)는 강도를 향상을 위하여 주물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굴곡이 심한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은 낙석방지망을 설치한 후에 설치할 수 도 있고 기존에 사면(100)에 설치된 낙석방지망에 설치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굴곡이 심한 사면(100)에 낙석방지망을 덮고 가설치한다.이와 동시에 평탄한 지면에서 H-빔(111)의 길이방향으로 수직연결수단(112)으로 연결한 다음 수직연결수단(112)으로 연결된 H-빔(111)을 수평연결수단(113)으로 다른 H-빔(111)의 일 측단을 횡으로 연결하고 다시 수직연결수단(112)으로 연결된 H-빔(111)을 횡으로 설치된 H-빔(111)의 타 측단에 수평연결수단(113)으로 연결하며 이러한 작업으로 반복하여 적정크기의 H-빔구조물(110)을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H-빔구조물(110)은 사면(100)에 가설치된 낙석방지망의 상면에서 연접시켜 위치시키고 연접부분을 연결구(140)로 연결하여 사면(100)에설치된 낙석방지망 전체에 설치한다.
H-빔구조물(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연결구(140)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41)을 통하여 네일(120)을 지중에 그라우팅(130)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네일(120)의 노출부분을 연결구(140)에 고정하므로 H-빔구조물(110) 전체가 견고하게 지지되므로 굴곡이 심한 사면(100)의 낙석방지망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사면(100)을 보강하게 된다.
즉, 사면(100)의 표면에는 H-빔구조물(110)이 견고하게 가로 세로로 밀착되어 사면(100)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보강력이 크게 향상되므로 토압이나 수압이 증가하더라도 사면(100)을 H-빔구조물(110)이 지탱하게 되므로 낙석방지망의 낙석방지효과를 극대화시킬 뿐만 아니라 사면이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키게 된다.
네일(1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숏크리트를 H-빔구조물(110)에 뿜어 표면 처리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사면(100)과 H-빔구조물(110)사이 틈새를 채워 H-빔구조물(110)을 사면(100)과 일체화하므로 낙석방지 효과와 그 견고성은 극대화 된다.
나아가, 이러한 지지력 향상으로 사면(100)이 크게 보강되어 낙석 발생을 원전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면을 견고하게 보강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은 사면(100)에 낙석방지망을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구조물을 제작하되 설치지역의 지면에서 연결구(140)의 상하좌우에 H-빔(111)의 일측 단을 연결하고 다시 H-빔(111)의 타측 단에 연결구(140)를 결합하여 H-빔(111)을 상하좌우에 연결하되 이를 반복하여 소정크기로 형성시키는 H-빔구조물제작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110)제작단계에서 연결구(140)로 연결된 다수의 H-빔구조물(110)을 연결구(140)를 중심으로 절곡시켜 낙석방지망이 설치된 사면(100)에 밀착시키면서 연접하여 결합하는 H-빔구조물설치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연결구(140)를 네일(120)로 결합하여 굴곡된 사면(100)의 지중으로 네일(120)을 그라우팅(130) 시키는 낙석방지망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H-빔구조물고정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고정단계에서 H-빔구조물(110)과 굴곡된 사면(100)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에 숏크리트를 뿌려 이를 메움과 동시에 H-빔구조물(110)의 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하는 낙석방지망설치완료단계로 구성하므로 굴곡이 심한 사면에서도 복식낙석방지망을 견고히게 설치함과 동시에 사면을 크게 보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지지력을 극대화하도록 하므로 태풍이나 장마 또는 지반 거동으로 인한 토압이나 수압 등이 상승하더라도 낙석발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하고 사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붕괴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만일의 경우 신속하게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사면(100)에 낙석방지망을 밀착시켜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낙석방지망의 상면에 밀착시키는 구조물을 제작하되 설치지역의 지면에서 연결구(140)의 상하좌우에 H-빔(111)의 일측 단을 연결하고 다시 H-빔(111)의 타측 단에 연결구(140)를 결합하여 H-빔(111)을 상하좌우에 연결하되 이를 반복하여 소정크기로 형성시키는 H-빔구조물제작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110)제작단계에서 연결구(140)로 연결된 다수의 H-빔구조물(110)을 연결구(140)를 중심으로 절곡시켜 낙석방지망이 설치된 사면(100)에 밀착시키면서 연접하여 결합하는 H-빔구조물설치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설치단계에서 설치된 연결구(140)를 네일(120)로 결합하여 굴곡된 사면(100)의 지중으로 네일(120)을 그라우팅(130) 시키는 낙석방지망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H-빔구조물고정단계와,
    상기 H-빔구조물고정단계에서 H-빔구조물(110)과 굴곡된 사면(100)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에 숏크리트를 뿌려 이를 메움과 동시에 H-빔구조물(110)의 표면을 깨끗하게 마감하는 낙석방지망설치완료단계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2. 삭제
  3. 삭제
KR10-2000-0069362A 2000-11-21 2000-11-21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KR100405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362A KR100405269B1 (ko) 2000-11-21 2000-11-21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9362A KR100405269B1 (ko) 2000-11-21 2000-11-21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410U Division KR200234915Y1 (ko) 2001-03-19 2001-03-19 굴곡이 심한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513A KR20020039513A (ko) 2002-05-27
KR100405269B1 true KR100405269B1 (ko) 2003-11-17

Family

ID=1970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362A KR100405269B1 (ko) 2000-11-21 2000-11-21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2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8928A (ko) * 2000-12-30 2002-07-12 재 술 나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100423257B1 (ko) * 2001-11-12 2004-03-24 윤성호 법면보호블록
KR101031034B1 (ko) * 2009-06-03 2011-04-25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다철근 웨지형 락볼트와 래티스 거더 정착장치를 이용한 사면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보강방법
KR100973484B1 (ko) * 2010-05-03 2010-08-03 주식회사 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굴절 고정식 지압판
KR100978607B1 (ko) * 2010-05-06 2010-08-27 (주)화신엔지니어링 도로, 조경 및 단지 공사용 회동 가변형 지압판
CN113089513B (zh) * 2021-05-07 2022-08-05 四川省交通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适用于应急抢险可折叠式钢棚洞结构及其施工方法
CN113250212A (zh) * 2021-05-21 2021-08-13 广西北投交通养护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边坡滚石防护用缓冲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11Y1 (ko) * 2000-07-21 2000-12-01 한국기술개발주식회사 절취사면의 분할 녹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811Y1 (ko) * 2000-07-21 2000-12-01 한국기술개발주식회사 절취사면의 분할 녹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513A (ko) 200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269B1 (ko) 굴곡이 심한 사면의 낙석방지 및 보강 공법
CN211079944U (zh) 一种破碎山体的边坡生态防护结构
KR100593414B1 (ko) 연결부 파손 방지장치가 구비된 상하수도관 연결구조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66491B1 (ko) 암반붕괴 방지용 락볼트(네일) 연계 고정장치
KR200287832Y1 (ko) 낙석방지울타리의 와이어로프 간격유지장치
KR100538981B1 (ko)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KR100988994B1 (ko) 차수토류벽
KR20020058928A (ko)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200234915Y1 (ko) 굴곡이 심한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용 연결구
KR100483967B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CN211773880U (zh) 隧道施工用防沉棚洞结构
KR100384067B1 (ko)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100505154B1 (ko) 사면 보호 및 보강 공법
KR100440091B1 (ko)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520122B1 (ko)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KR200309072Y1 (ko)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KR100632490B1 (ko) 보강재의 침하를 허용할 수 있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KR100490959B1 (ko) 건축용 2중 옹벽 시설물
KR100483964B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200287888Y1 (ko) 경사면 보강구조물
JP7421835B1 (ja) 防護柵
KR200270165Y1 (ko) 사면 보강 및 보호용 와이어블록
KR200376547Y1 (ko) 사면 보호 및 보강용 구조물
CN212506099U (zh) 一种用于坡道的水利工程护坡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