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1696A -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 및 이 오천자 방지구를구비한 날개부착바늘 - Google Patents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 및 이 오천자 방지구를구비한 날개부착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1696A
KR20030051696A KR10-2003-7004740A KR20037004740A KR20030051696A KR 20030051696 A KR20030051696 A KR 20030051696A KR 20037004740 A KR20037004740 A KR 20037004740A KR 20030051696 A KR20030051696 A KR 20030051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wing
needle cover
cover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7173B1 (ko
Inventor
나까지마마사꾸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030051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7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71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1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having means for fully covering the needle after its withdrawal, e.g. needle being withdrawn inside the handle or a cover being advanced over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61M25/0637Butterfly or winged devices, e.g. for facilitating handling or for attachment to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12Devices for protecting the needle; Devices to help insertion of the needle, e.g. wing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61M5/3243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being axially-extensible, e.g. protective sleeves coaxially slidable on the syringe barr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가요성 도관이 결합된 날개부착바늘 전체가 들어가는 선단측 개구부와 상기 가요성 도관이 통과할 수 있는 기단측 개구부를 갖고, 또한 상기 날개부착바늘의 바늘관부가 재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날개부착바늘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날개부착바늘의 바늘커버로서, 상기 선단측 개구부에서 상기 날개부착바늘 전체가 상기 바늘커버내로 들어갈 때에, 상기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를 상방향으로 반전시켜 절첩할 수 있는 날개부 절첩 촉진 수단을 상기 선단측 개구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착바늘 전체를 수용하는 바늘커버이며, 날개부착바늘을 사용한 후에 수용하기 쉽고, 게다가 수용된 바늘이 재돌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재돌출 방지를 위한 특별한 수단도 형성하지 않으므로 제조가 쉬워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 및 이 오천자 방지구를 구비한 날개부착바늘 {WING RETRACTION TYPE MIS-PIERCING PREVENTER AND WINGED NEEDLE HAVING THE MIS-PIERCING PREVENTER}
의료 시설에서, 주사바늘ㆍ천자바늘 등의 오천자로 인한 오염ㆍ감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오천자 등의 우발적인 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미국의 각 주에서 오천자 방지구를 의무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법안이 성립되었다. 또한, 미국처럼 법제화되지는 않았지만, 일본, 유럽, 그 밖에 여러 나라에서 오천자 방지를 위한 방법ㆍ수단이 의료 종사자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상기 오천자 방지구란 기존의 단순하고 저렴한 바늘커버가 아니라 사용후에바늘을 수용할 때, 오천자 우려가 있는 조작을 하지 않고 바늘을 피복할 수 있는 것, 또는 오천자 위험성이 적은 조작에 의해 바늘을 피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천자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하여 바로 모든 의료 시설이나 부서에서 채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또한 오천자 방지구의 채용에 따라 적지 않은 비용이 들고, 시술자의 수고도 증대되기 때문에, 의료비 삭감이나 업무 간이화 등이 요구되고 있는 현재의 의료 시설에서는 상기 오천자 방지수단이나 방법이 뜻대로 확산되지 않고 있다.
또한, 주사바늘ㆍ유치(留置) 바늘에 대해서는 파지나 유치를 쉽게 하기 위해 허브 (바늘기) 에 날개가 형성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 날개부착바늘을 수용하는 바늘커버는 사용후의 수용시, 날개가 방해가 되기 때문에 날개가 없는 것에 비해 바늘 전체가 커지므로, 바늘커버를 컴팩트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구가 필요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서 가장 간단한 것이 바늘커버에 슬릿을 형성한 오천자 방지구이고, 이전부터 많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공보 평6-78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06195호, 일본 특허공보 평4-36026호 등으로 대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바늘커버는 슬릿을 따라 날개부를 삽입해야만 하기 때문에 수용시에 위치정렬이 필요하여 번거로웠다. 그리고, 이 때문에 날개가 슬릿에 삽입되기 쉽도록 바늘커버의 슬릿 형성 위치, 각도, 폭에 대해서도 유의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날개부착바늘이 바늘커버내에서 쉽게 이동해야만 하기 때문에 상기 슬릿은 날개가 슬라이드하기 쉬운 형상ㆍ치수ㆍ구조로 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이들 선행 기술에 대해 슬릿을 형성하지 않은 바늘커버에 천자바늘을 수용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공보 No. 5030212호에 개시된 바늘커버이다. 이 바늘커버는 선단부가 나팔 모양으로 개구된 것으로, 사용후에 (허브에 장착된) 날개를 바늘커버내에 접어 넣어 수용시킨 것이다. 이 바늘커버는 슬릿을 형성하지 않았으므로, 상기와 같은 슬릿에 관한 위치정렬ㆍ형상ㆍ치수 등의 각 요구 사항에 대해 유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ㆍ성형이 쉽다.
그러나, 상기 선원 (미국 특허 No. 5030212호) 에 예시된 오천자 방지수단은 날개부착바늘의 수용성이나 수용된 바늘의 재돌출의 관점에서 이하에 기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갖고 있었다. 먼저, 날개부착바늘의 수용성 관점에 관해서는 바늘커버의 선단 개구부가 나팔 모양 (선단 확경부) 으로 벌어져 있으므로, 처음에는 날개부착바늘이 바늘커버내에 수용되기 쉽지만, 내경이 작은 원통 형상부로 변하는 부분에서 날개부착바늘의 바늘커버내에서의 이동성은 극단적으로 나빠진다. 또한, 이동성 개선을 위해 원통 형상부의 내경을 지나치게 넓히면 바늘커버가 커져버리고, 또한 바늘커버내에 인입된 날개부착바늘의 위치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상기와 같은 나팔 모양 바늘커버 특유의 결점은 아니지만,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바늘커버에는 다음과 같은 공통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즉, 바늘의 바늘커버내에서의 이동성은 날개 접이 (수용)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처음에 날개부착바늘의 날개 일부분이 바늘커버내에 걸리거나 비틀어진 상태에서 삽입되면 극단적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또는 날개부착바늘의 수용 자체가 어려워진다.이 같이 바늘커버내에서의 날개부착바늘의 이동성ㆍ수용성은 날개의 (바늘커버내에서의) 접이 상태에 영향을 받으며, 날개부의 접이 상태를 규제하지 않는 바늘커버에서는 일정한 이동성이나 인입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날개부착바늘을 바늘커버내에 인입할 때, 날개부를 바늘커버의 확경부 (나팔 모양의 테이퍼가 있는) 위치에 둔 상태이면 테이퍼와 접혀진 날개의 복원력에 의해 바늘 선단부가 (인입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기 쉽다. 즉 수용된 바늘의 재돌출 위험성이 있다. 미국 특허 No. 5030212호에 개시된 것은 바늘의 재돌출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커버 기단측에 날개를 거는 개공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 날개부착바늘의 걸림 수단은 제조시에 번거로우며, 비용상승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바늘 수용 위치에서 접혀진 날개가 개공부로부터 돌출되기 어려워 걸림 수단으로 기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첫째, 날개부착바늘 전체가 들어가는 선단측 개구부와 상기 날개부착바늘에 결합된 가요성 도관이 통과할 수 있는 기단측 개구부를 갖고, 또한 상기 날개부착바늘의 바늘관부가 재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날개부착바늘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날개부착바늘의 바늘커버로서, 상기 선단측 개구부에서 상기 날개부착바늘 전체가 상기 바늘커버내로 들어갈 때에, 상기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를 상방향으로 반전시켜 절첩할 수 있는 날개부 절첩 촉진 수단을 상기 선단측 개구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착바늘 전체를 수용하는 바늘커버이다.
본 발명은 둘째, 날개부착바늘, 이 날개부착바늘에 접속된 가요성 도관, 및 이 가요성 도관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 상기 바늘커버로 적어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가 부착된 날개부착바늘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늘커버의 구성 부재, 및 이 바늘커버를 장착한 날개부착바늘의 구성에 대해 구성 부재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바늘커버
본 발명의 바늘커버는 날개부착바늘 전체가 들어가는 선단측 개구부와 상기 날개부착바늘에 결합된 가요성 도관이 통과할 수 있는 기단측 개구부를 갖고, 또한 상기 날개부착바늘의 바늘관부가 재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요성 날개부착바늘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그 형상으로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평탄한 저면부와, 이 저면부에 이어지는 양측면부와, 이 양측면부에 이어지는 상면부로 구성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이 바늘커버의 기단측의 소경 개구부는 그 안을 날개부착바늘에 결합된 가요성 도관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이면 되지만, 날개부착바늘이 불필요하게 인입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소경 개구부는 상기 가요성 도관의 외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가요성 도관의 도관 통과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지만, 이 가요성 도관에 가해지는 외력을 개방한 경우에 이 소경 개구부에서 가요성 도관을 가볍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가요성 도관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늘커버는 하기와 같은 날개부를 상방향으로 반전시켜 절첩할 수 있는 날개부 절첩 촉진 수단을 갖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은 날개부 수용 보조 수단, 날개부의 슬라이딩 저항 감소 수단, 또는 날개부의 방향 규제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바늘커버를 구성하는 소재는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의 변형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이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날개부착바늘의 인입 위치나 날개의 수용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바늘커버의 소재로는 투명 내지 반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류, 폴리스티렌,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다.
날개부 절첩 촉진 수단
상기 날개부 배향 수단이란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를 선단측 개구부 (대경 개구부) 에서 바늘커버내로 인입할 때에, 양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를 상방향으로 반전시켜 날개부의 절첩을 촉진하는 수단을 가리키고, 예컨대 바늘커버의 선단측 개구부를 경사 개구면으로 하는 수단을 들 수 있다.
상기 날개부 절첩 촉진 수단으로서 채용하는 선단측 경사 개구면으로는 도 1, 2, 3, 4, 5, 8, 9, 10 및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커버 저면부에 대해 바늘커버의 선단측에서 기단측으로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 개구면을 형성한 것 (전자의 날개부 배향 수단) 을 들 수 있다.
상기 경사면에서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가 걷어 올려지고, 무리없이 웅크러진 날개부의 측면부 또는 저면부를 바늘커버 선단측의 개구부의 가장자리 단부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측 개구부에서 다시 바늘커버를 기단측으로 향해 그 내강내로 밀어넣으면 날개부의 기단측 저면이 바늘커버의 저면 내강측에 맞닿고,날개의 단부측 저면이 바늘커버의 양측면 내강측 또는 상면 내강측에 맞닿은 채, 날개부가 반전, 또는 반전되며 비틀어진 상태에서, 날개부착바늘이 바늘커버내에 쉽게 수용된다. 이 같이 무리없이 웅크러진 날개는 바늘커버에 수용시키기가 매우 쉬워진다.
또한, 이 때 반전된 날개 단부는 인입 방향 (기단측) 과 거의 반대측으로 향해 접혀지기 때문에, 날개부착바늘은 바늘커버내에서 인입 방향 (순방향) 으로는 이동하기 쉽고, 선단측의 재돌출 방향 (역방향) 으로는 날개 단부가 걸리게 되어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특별한 재돌출 방지수단을 바늘커버에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순방향으로의 이동시에도 날개부가 바늘커버 내강벽에 맞닿고 있기 때문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날개부착바늘은 커버내에서의 수용 위치를 유지하여 자유로운 이동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늘커버에 있어서, 날개의 폭ㆍ길이에 의해 규정되는 날개 면적 S 와 바늘커버의 상기 선단 개구부에서의 내부 둘레 L 의 관계도 중요하다. 날개 면적 S 가 내부 둘레 L 에 비해 너무 크면 바늘커버내에 날개부가 넘쳐나서 수용하기 어렵다. 반대로, 날개 면적 S 가 내부 둘레 L 에 비해 너무 크면 방해가 되어 쓸모없다.
특히 상기 바늘커버의 경사 개구부의 내부 둘레 길이를 L (도 5), 상기 바늘커버내에 수용되는 날개부착바늘의 날개 양단부간 거리를 d1 이라 하였을 때에 (도 7), L/3 ≤d1 ≤L 의 범위내에 있는 바늘커버는 날개 (6) 를 바늘커버 (1) 내로 인입하기 쉽고, 또한 컴팩트한 크기의 슬릿 비형성식 바늘커버로 할 수 있다. 내부 둘레 L 이 상기 요건을 만족하지 못할 정도로 작으면, 오그라들어 바늘커버내에서 꽉낀 날개가 날개부착바늘의 커버내로의 인입 (삽입) 이나 슬라이딩을 방해하고, 반대로 내부 둘레 L 이 상기 요건을 만족하지 못할 정도로 크면 바늘커버가 커져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L 은 3 ∼ 9㎝, 바람직하게는 4 ∼ 8㎝,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7㎝ 정도이다.
날개부 수용 보조 수단
본 발명의 날개부착바늘의 바늘커버내에서의 접이 상태는 날개부의 삽입시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특히 선단측 개구부에 날개부 수용 보조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바늘커버내에서의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의 수용 (접이) 상태를 안정화, 균질화시킬 수 있다.
이 날개부 수용 보조 수단으로는 적어도 선단측 개구부의 측면부 및/또는 상면부의 형상이 이 바늘커버의 내강내와는 반대 방향인 바깥 방향으로 볼록 형상을 갖는 것이고, 이러한 형상의 것으로는 예컨대 도 2 ∼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커버의 양측면부 (4a,4b) 가 선단측 개구부를 포함하여 바늘커버의 축방향 바깥 방향 (내강 내측과 반대측) 으로 볼록하게 팽출된 형상의 것을 들 수 있다 (도 8, 9, 10 도 동일).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바늘커버의 적어도 선단측 개구부의 양측면부 (4a,4b) 가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팽출된 것은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를 선단측 개구에 인입할 때에, 날개가 걷어 올려지기 쉬워지고, 또한 바깥 방향으로 볼록한팽출부 (12) 를 따라 날개가 배치되고, 또한 날개 선단부가 소정 방향으로 절첩되므로, 바늘커버의 양측면부 (4a,4b) 가 수직인 것보다 날개가 원활하게 접혀져 바늘커버내로 삽입되기 쉬워지고,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바늘커버내에서의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의 수용 (접이) 상태를 안정화, 균질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같이 팽출부를 형성한 바늘커버는 다시 수용 조작을 반복하였을 때에 양호한 수용 상태의 재현성을 나타내고, 날개 인입시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 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용 상태가 유도된다. 반대로 바늘커버내에서 날개가 걸린 경우, 또는 날개부 또는 허브가 90 ∼ 180 도 회전한 경우에는 날개부착바늘을 커버내로 인입하고자 해도 큰 저항이 가해져 바르지 못한 상태에서의 날개 인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단측 개구부에 형성된 팽출형상은 바늘커버의 양측면부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형성하면 날개부의 수용성 뿐만 아니라 이동성에도 큰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팽출부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바늘커버의 양측면부의 축방향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해도 되지만, 날개 수용 개시시의 접이에 관계되는 상기 선단측 개구부로부터 바늘이 바늘커버에 의해 완전히 피복되었을 때에 날개가 맞닿는 양측면부 영역까지 형성하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팽출부의 양측면부의 상하 방향에서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는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 형성 위치에 의해 그 바람직한 위치가 결정되지만, 통상적으로 바늘커버의 저면부와 상면부의 대략 중간에 위치한 것이 날개부착바늘을 바늘커버에 수용할 때의 날개부 수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허용 범위가 넓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팽출부의 형상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깥 방향 (축방향에 대해 횡방향) 으로 팽출된 모가 난 정상부(頂部; 12) 를 가질 수도 있고, 바깥 방향 (축방향에 대해 횡방향) 으로 팽출된 곡선형상의 정상부 (또는 팽출부) 를 가질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음). 팽출부의 형상이 모가 난 경우나 곡선형상인 경우라도 이 정상부의 각도는 110 ∼ 170 도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정상부의 각도가 너무 작거나, 반대로 너무 커도 날개를 걷어 횡방향으로 위치하게 하는 공간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날개의 자연스러운 웅크럼 효과가 저하되어 수용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바늘커버의 측면부에 형성한 경우보다 효과는 낮지만, 상기와 같은 팽출부의 형상의 날개부 수용 보조 수단을 바늘커버 상면부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바늘커버의 측면부에 형성된 팽출부에 추가하여 이 상면부에 팽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바늘커버 상면부에 형성하는 팽출부도 바늘커버의 상면부를 바깥 방향 (상방향) 으로 팽출시킨 형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형상도 측면부에 형성한 팽출부와 마찬가지로 바깥 방향 (상방향) 으로 팽출되어 모가 난 정상부를 갖는 것일 수도 있고, 바깥 방향 (횡방향) 으로 팽출된 곡선형상의 정상부 (또는 팽출부) 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바늘커버 상면부에 팽출부를 형성하는 경우, 예컨도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 방향 (상방향) 으로 팽출된 형상을 형성한 경우, 그 팽출부의 정상부는 직선인 심줄형상 리브 (14) 에 의해 날개부 방향 규제 수단을 형성하기 위해, 평탄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 상면부의 모가 난, 또는 곡선형상의 팽출부도 바늘커버의 축방향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바늘커버로의 날개 수용 개시시의 접이에 관계되는 상기 선단측 개구부에서 바늘이 바늘커버에 의해 완전히 피복되었을 때에 날개가 맞닿는 측면부 영역까지 형성하면 충분하다.
날개부 슬라이딩 저항 감소 수단
다른 날개부 수용 보조 수단으로서 이하에 언급하는 슬라이딩 저항 감소 수단을 채용해도 된다. 즉, 날개부착바늘을 바늘커버내에 수용할 때, 날개부와 맞닿을 가능성이 있는 선단부의 개구부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둥글게 하여 슬라이딩 저항을 감소시키거나, 슬라이딩 저항이 적어지도록 바늘커버 내강면의 날개부와 맞닿을 가능성이 있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분에 미소한 요철을 형성하는 엠보스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날개부 방향 규제 수단
또한, 다른 날개부 수용 보조 수단으로서 날개부착바늘의 바늘커버내로의 바르지 못한 수용을 방지하고, 또한 바늘의 커버내에서의 이동ㆍ후퇴를 대략적으로 소정 방향으로 되도록 규제할 수 있는 방향 규제 수단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 규제 수단으로는 예컨대 도 2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커버 내강면의 적당한 부분에 직선인 심줄형상 돌기 (14) 를 형성하고, 이 리브를 따라 날개부 선단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날개부가 커버내에 수용된 대부분의 경우, 날개 단부는 바늘커버 상면 내강측에 있기 때문에, 상기 직선인 심줄형상 돌기 (14) 가 형성되는 장소는 상면부 내강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면부 내강 중앙측이 목적으로 하는 상기와 같은 규제 효과를 가장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 방향 규제 수단을 형성한 날개부착바늘은 날개 선단부가 상기 리브 (14) 에 맞닿아 위치 규제를 받으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직선인 심줄형상 리브를 따른 직선적인 궤적을 취하게 되므로, 수용시에 날개부착바늘이 커버에 대해 비스듬하게 수용되는 경우나, 커버 저면부가 날개의 평탄부와 평행하지 않은 경우라도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면 날개부를 바늘커버내에 수용하였을 때에, 날개 단부가 직선인 심줄형상 리브 (14) 에 의해 방향이 규제되어 수용 상태를 간단하게 수정할 수 있다.
유지 (누름) 부재
유지 (누름) 목적을 위해, 도 1, 2, 3, 4, 8, 9 및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측 개구부 근방의 상면부에 원호 형상 돌기 (21) 를 형성하면, 이것에 의해 바늘 사용후에 바늘커버 상면을 누른 상태에서 도관을 후방 (기단측) 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그럼으로써, 날개부착바늘을 간단하게 커버내에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천자 방지구가 부착된 날개부착바늘에서 특징이 되는 요건은 대부분 바늘커버측에 있는데, 날개부착바늘이 바늘커버내에 수용되기 쉽도록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를 특유의 구조ㆍ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컨대 JIS-A 로 규정되는 날개부의 경도가 10 ∼ 100 에 있는 것, 또는 상기 바늘커버의 날개부 배향 수단에 의해 상방향으로 뒤접혀지기 쉬운 구조를 갖는 날개부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날개부로는 상방향으로 뒤접혀지기 쉬운 자국이 생기기 쉬운 구조의 날개부, 또는 미리 자국이 만들어진 구조의 날개부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날개부착바늘로는 종래 공지된 절첩 가능한 날개부착바늘, 예컨대 날개부가 가요성인 날개부착바늘을 모두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날개부착바늘의 사용 수순
가요성 도관을 결합시킨 날개부착바늘의 상기 도관에 바늘커버를 유동 가능하게 끼운 상태에서 장착한 날개부착바늘의 바늘관부를 환자 체내에 천자한다. 날개부착바늘이 환자에게 천자되고 있는 동안에는 날개 부분을 테이프 등으로 환자 피부에 고정해 두는 경우가 많다. 약액의 주입이나 채혈 등이 종료되면 상기 테이프를 떼어내고 바늘 끝을 소독 솜 등으로 누르면서 환자 체내에서 날개부착바늘을 발거한다. 이 때, 날개부착바늘의 발거와 동시에 바늘관을 바늘커버내에 수용하는데, 발거 조작과 바늘커버로의 수용 조작은 바늘커버의 일부를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도관을 기단측 (바늘 끝과는 반대 방향) 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행해진다.
본 발명은 주사바늘ㆍ천자바늘 등의 오천자(誤穿刺:mis-piercing)로 인한 오염ㆍ감염, 또는 오천자 등의 우발적인 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날개부착바늘을 그 사용후에 전체를 바늘커버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 내에 쉽게 인입하고, 이 인입된 날개부착바늘을 바늘 선단부가 이 바늘커버로부터 다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로 수용할 수 있고, 또한 바늘 수용시에 날개부착바늘의 날개와의 위치정렬이 필요한 슬릿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바늘커버 (오천자 방지구), 및 이 바늘커버를 적어도 장착한 날개부착바늘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늘커버를 장착한 날개부착바늘의 개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바늘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늘커버의 상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본 발명의 바늘커버의 측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선단측 개구부 (대경 개구부) 측에서 본 본 발명의 바늘커버의 정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늘커버의 기단측 개구부 (대경 개구부) 의 치수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 형상 또는 치수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날개부착바늘에 접속한 가요성 도관에 바늘커버를 유동 가능하게 끼운 상태로 장착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날개부착바늘의 바늘커버로의 수용시의 수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 수용시의 날개부의 절첩 작용, 또는 기구에 대해 설명한 도면이다. 도 11 은 상기 유지부재로서 바늘커버 기단측에 오목부 (18) 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바늘커버의 개략도이다. 도 12 는 바늘커버 선단측 상면 상면부에 복수의 유지돌기 (19) 를 갖는 것을 나타내는 바늘커버의 개략도이다. 도 13 은 힌지 결합으로 결합된 상부 덮개 (20) 와 하부 덮개 (25) 로 구성되는 바늘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도 13 의 바늘커버의 상부 덮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힌지 결합으로 결합된 상부 덮개 (20) 와 하부 덮개 (25) 로 구성되는 바늘커버의 상부 덮개 (20) 와 하부 덮개 (25) 의 내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의 날개부착바늘은 날개부착바늘 (2), 이 날개부착바늘에 접속된 가요성 도관 (8), 및 이 가요성 도관 (8) 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 본 발명의 바늘커버를 갖는 날개부착바늘 (2) 이다.
바늘커버 (1) 는 그 선단측에 날개부착바늘 (2) 의 날개부 (6) 를 상방향으로 절첩하면서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 (대경의 개구부 (7)) 와, 기단측에 날개부착바늘 (2) 의 가요성 도관 (8) 이 통과할 수 있는 이 도관보다 약간 소경의 개구부 (9)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의 바늘커버 (1) 는 선단측 개구부가 저면부에 대해 선단측에서 기단측으로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개구면을 형성하여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의 절첩 촉진 수단을 구성하고, 또한 이 바늘커버 (1) 는 환자 피부 위에 안정적으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평탄해진 저면부 (3) 와, 저면부 (3) 에 이어지는 양측면부 (4a,4b) 와, 양측면부에 이어지는 상면부 (5) 를 갖고, 이들 벽면에 둘러싸인 바늘커버 (1) 의 내강내에 날개부착바늘 (2) 이 수용된다.
도 3 및 도 4 의 바늘커버 (1) 는 상기 도 2 와 동일하게 선단측 개구부가 저면부에 대해 선단측에서 기단측으로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개구면을 형성한 바늘커버이다. 도 4 의 기단측 개구부의 경사각 α는 일정한 경사각일 수도 있고, 기단측이 될수록 증가되는 것일 수도 있다. 기단측이 될수록 증가하는 경우, 다단계로 계단형상, 또는 곡선형상으로 증가해도 된다. 또한, 상기 경사각 α는 22.5 ∼ 80.0 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이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날개부착바늘을 바늘커버내에 수용하기 쉽지만 바늘커버는 길어진다. 반대로, 경사각이 상기 범위보다 크면 날개의 배향ㆍ접이 효과가 작기 때문에 바늘을커버내에 삽입하기 어렵고, 이동 (슬라이딩) 성도 저하된다.
도 5 의 바늘커버 (2) 는 날개부가 웅크러지기 쉽도록 날개 (6) 의 형상 및 위치를 교정하는 보조 수단으로서 양측면부 (4a,4b) 를 내강내 방향과는 반대측의 바깥 방향으로 팽출된 형상의 것으로 하여 구성된 바늘커버이다. 본 도면의 팽출부의 형상은 내강내에서 바깥 방향으로 향해 모가 난 정상부 (12) 를 갖는 것이지만, 상기 팽출부의 정상부 (12) 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곡선형상의 정상부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도면과 같이 바늘커버의 양측면부가 내강내 방향과는 반대측의 바깥 방향으로 팽출된 형상의 것이 바늘커버의 양측면부 (4a,4b) 가 수직인 것보다 날개부 (6) 의 상방으로의 배향과 접이가 일어나기 쉽고, 바늘커버내로의 삽입이 쉬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도 5 의 바늘커버에는 바늘커버내로의 날개부착바늘의 삽입ㆍ이동시의 보조 수단으로서 바늘커버 내강 상면 중앙부에 2 개의 직선인 심줄형상 리브 (14; 이하, 가이드 리브라고도 함) 로 날개부 방향 규제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8 도 동일). 이 가이드 리브 (14) 는 선단측 개구부에 그 일단을 갖고 있으며, 날개부착바늘 (2) 의 바늘커버 (1) 내에서의 이동시에, 접혀진 날개 선단부 (11) 를 가이드하기 위해 날개부착바늘의 이동 진로가 규제된다.
즉, 날개 선단부 (11) 가 가이드 리브 (14) 에 맞닿고, 이것을 따라 날개부착바늘 (2) 이 바늘커버 (1) 내를 이동하므로, 이동시에 바늘 (13) 의 바늘 끝이 흔들거리지 않는다. 또한, 날개부착바늘 (2) 을 환자 체내에서 발거함과 동시에 바늘커버 (1) 내에 수용하는 것을 요구하는 케이스가 임상에서는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가이드 리브 (14) 는 유효하다. 즉 바늘 (13) 을 커버 (1) 내에 수용하면서 환자 체내에서 발거할 때에 가이드 리브 (14) 가 있으면 바늘 끝이 방향 규제되어 똑바로 잡아뺄 수 있다. 발거시에 바늘 끝이 흔들거리면 혈관 손상을 유발할 위험성이 있지만, 바늘 끝이 흔들거리지 않으므로 시술자는 바늘 끝에 신경을 쓸 필요없이 바늘커버만 누른 상태에서, 기단측 도관 (8a) 을 인입할 수 있다. 그리고, 가요성 도관 (8) 의 인입에 의해 바늘은 환자 체내에서 발거됨과 동시에 바늘커버내에 수용된다.
도 6 의 바늘커버 (1) 는 개구부의 형상이 L/3 ≤d1 ≤L (L: 경사 개구부의 내부 둘레 길이, d1: 이 바늘커버내에 수용되는 날개부착바늘의 날개 양단부간 거리) 이라는 요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이다.
도 7 의 날개부착바늘은 그 날개부의 기단측 가장자리부 (16) 가 도관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 각도 γ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착바늘이다.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의 기단측 가장자리부 (16) 가 날개부착바늘의 도관축에 대해 경사각을 가짐으로써,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가 바늘커버내에 수용되기 쉬워진다.
도 8 의 날개부착바늘 (2) 은 도 7 에 나타내는 경사 각도의 날개부를 갖는 날개부착바늘 (2) 에 결합된 가요성 도관 (8a,8b) 에 도 3 ∼ 6 에 나타내는 바늘커버 (1) 를 유동 가능하게 끼운 상태로 장착한 날개부착바늘이다. 또한, 본 도면의 바늘커버에도 바늘커버 (1) 내로의 날개부착바늘 (2) 의 삽입ㆍ이동시에 보조하는 수단으로서 도 5 와 동일하게 방향 규제 수단 (14) 이 형성되어 있다.
도 9 는 상기 도 8 의 날개부착바늘 (2) 을 이 날개부착바늘 (2) 에 결합된 가요성 도관 (8) 의 기단측 도관 (8a) 을 기단측으로 잡아당겨 상기 날개부착바늘 (2) 을 바늘커버 (1) 에 수납하는 조작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 에서 사용하는 날개부착바늘 (2) 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그 날개부가 도관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 각도를 가지므로, 날개부착바늘 (2) 을 바늘커버 (1) 에 수용시에 선단측 개구부 (대경 개구부) 주연 (7a,7b) 에 대해 기단측 가장자리부 (16) 가 비스듬하게 맞닿게 되므로 날개부 경사각이 없는 것에 비해 보다 작은 힘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쉽다.
본 발명의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 수용시에서의 날개부의 절첩 작용, 또는 기구는 도 10 에 의해 설명된다.
즉, 바늘커버 (1) 를 억제시키면서 기단측 도관 (8a) 을 기단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날개부착바늘을 바늘커버내에 수용한다. 그리고, 선단측 개구부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날개부착바늘 (1) 을 커버 (2) 내로 인입할 때에, 날개 (6) 가 대경 개구부 (7) 의 경사진 양측면부 (4a,4b) 에 눌려지므로, 경사면을 따라 날개 (6) 가 서서히 (자연스럽게) 상방으로 걷어 올려진다. 이 상태에서, 도관 (8a) 을 기단측으로 더 잡아당기면 날개 선단부 (11) 측이 바늘관 (13) 측으로 반전된 상태에서 날개 (6) 가 바늘커버 (1) 내강에 수용된다. 이 때, 날개 양단부 (11a,11b) 가 바늘관 (13) 측으로 절첩되어 수용되므로, 날개부착바늘은 바늘커버내에서 기단측 (순방향) 으로 인입하기 쉽고, 역방향 (바늘 끝측) 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도 11 의 바늘커버는 기단측 개구부가 경사 개구부인 것, 및상기 유지부재로서 바늘커버 기단측에 오목부 (18)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이다. 또한, 도 12 의 바늘커버는 기단측 개구부가 경사 개구부인 것, 및 선단측 상면부에 복수의 유지돌기 (19)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이다.
도 13 및 도 15 의 바늘커버는 힌지 결합에 의해 일체화된 상부 덮개 (20) 와 하부 덮개 (25: 한쌍의 분할형 부재) 로 구성되는 바늘커버이다. 이 바늘커버의 상부 덮개 (20) 에는 원호 형상 돌기 (21; 유지부재), 이 라인에서 기단측으로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가 수납되는 것을 지지하는 안전 라인 (22) 및 날개부착바늘의 수납 방향을 나타내는 마크 (23)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5 의 바늘커버는 한쌍의 분할형 부재가 힌지 결합과 함께 일체 성형되어 제조된 것이지만, 이 한쌍의 분할형 부재는 별개로 제조된 각 분할형 부재를 힌지 결합에 의해 결합시킨 것일 수도 있다.
도 14 는 도 13 의 바늘커버의 상부 덮개를 나타내고, 또한 도 14 및 도 15 의 바늘커버의 저면 부재 선두에는 날개부착바늘의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날개부 절첩 촉진 수단인 경사 개구면은 바늘커버의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 13 ∼ 도 15 의 바늘커버는 힌지 (24) 로 연결된 2 개의 분할형을 슬롯 (26) 과 훅 (27) 에 의한 스냅 로크에 의해 걸어맞추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복잡한 형상ㆍ구조의 것이라도 성형하기 쉽다. 또한 도 13 은 바늘커버 기단부측에도 슬롯 (30) 과 훅 (31) 에 의한 스냅 로크 걸어맞춤 수단을 갖고 있으므로기단측으로부터의 날개부착바늘의 탈리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본 실시예의 바늘커버 (1) 의 형상은 도 1 ∼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측 개구부의 개구부는 다각형 (8 각형) 이다. 바늘커버의 폭 (가장 직경이 넓은 부분) x 는 22㎜, 축방향 길이 (가장 긴 부분) y 는 70㎜, 높이 (가장 높은 위치) z 는 12㎜ 이다. 바늘커버 내강의 내부 둘레 L 은 65.7㎜ 이고, 날개부 (6) 의 길이 d1 은 34㎜ 이고, 날개부 면적 S 는 300 ∼ 400㎟ 이다.
저면부 (3) 의 폭은 18.3㎜ 이고, 거의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 (12) 는 저면부로부터 약 3 ∼ 4㎜ 의 높이 위치에 형성되고, 그 정각 β는 약 131 도이다. 팽출부 (12) 는 양측면부 (4a,4b) 에 형성되고, 그 단부는 대경 개구부 (7) 에서 시작되어 축방향으로 55.0㎜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다.
선단측의 대경 개구부 (7) 는 경사각 α가 45 도로 형성되고, 개구부 면적으로서 약 330㎟ 이다. 소경 개구부 (9) 는 도관 (8) 의 외경 5.5㎜ 보다 약간 작은 4 ×5 (변형 형상의 원)㎜ 이다. 바늘커버의 상면부 (5) 의 외면측에는 유지수단으로서 높이 2 ∼ 3㎜, 폭 0.2㎜ 의 원호 형상 돌기 (21) 를 복수개 형성하였다. 또한, 상면부 (5) 의 내강측 중앙에는 방향 규제 수단으로서 2 개의 직선인 심줄형상 리브 (14) 를 형성한다. 약 1.5㎜ 의 간격을 두고 축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2 개의 직선인 심줄형상 리브 (14) 는 대경 개구부 (7) 에서 시작되어 축방향으로 약 35.0㎜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다. 리브 (14) 의 높이는 약 1.8㎜ 이다.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 (6) 는 기단측 가장자리부 (16) 가 도관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약 3 도 경사져 있고, 이 기단측 가장자리부 (16) 의 경사각 γ를 변화시킴으로써, 수용하기 쉬워지도록 하고 있다. 바늘기에서 노출되어 있는 바늘관의 길이는 22㎜ 이고, 날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늘기의 축방향 길이는 약 10㎜ 이다.
바늘커버의 소재는 폴리프로필렌제이고, 그 내강의 날개부와 접촉하는 부분은 엠보스 가공되어 있다. 또한 날개부착바늘의 날개의 소재는 경도 JIS-A 가 70 인 염화 비닐 수지제이다. 또한, 날개부의 두께는 약 1.0㎜ 이고, 유연하여 접혀지는 자국이 생기기 쉬운 것이다.

Claims (18)

  1. 날개부착바늘 전체가 들어가는 선단측 개구부와 상기 날개부착바늘에 결합된 가요성 도관이 통과할 수 있는 기단측 개구부를 갖고, 또한 상기 날개부착바늘의 바늘관부가 재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착바늘 전체를 수용할 수 있는 날개부착바늘의 바늘커버로서, 상기 선단측 개구부로부터 상기 날개부착바늘 전체가 상기 바늘커버내로 들어갈 때에, 상기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를 서서히 상방향으로 반전시켜 절첩할 수 있는 날개부 절첩 촉진 수단을 상기 선단측 개구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부착바늘 전체를 수용하는 바늘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바늘커버가 실질적으로 평탄한 저면부와, 이 저면부에 이어지는 양측면부와, 상기 양측면부에 이어지는 상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날개부 절첩 촉진 수단이 선단측 개구부의 형상을 상기 바늘커버의 저면부에 대해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향해 상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개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바늘커버가 L/3 ≤d1 ≤L (L: 경사 개구부의 내부 둘레 길이, d1: 상기 바늘커버내에 수용되는 날개부착바늘의 날개 양단부간 거리) 이라는 요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날개부 수용 보조 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날개부 수용 보조 수단이 적어도 선단측 개구부의 측면부 및/또는 상면부의 형상이 상기 바늘커버의 내강(內腔)내와는 반대 방향인 바깥 방향으로 볼록 형상의 정상부를 갖는 것이고, 또한 상기 볼록 형상이 상기 바늘커버의 양측면부의 축방향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선단측 개구부로부터 바늘부가 바늘커버에 의해 완전히 피복되었을 때에 날개부가 맞닿는 양측면부 영역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형상의 정상부가 110 ∼ 170 도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
  8.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날개부의 슬라이딩 저항 감소 수단 및/또는 방향 규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유지 (누름)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기단측 개구부의 구멍 직경이 날개부착바늘에 결합된 가요성 도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이보다 약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
  11.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선단측 개구부의 상기 L 이 4 ∼ 8㎝ 의 대구경인 바늘커버.
  12.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힌지에 의해 걸어맞춤 가능한 한쌍의 분할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커버.
  13.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를 형성한 힌지 형성부와, 한쌍의 분할형 부재를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면부가 모두 상기 날개부 수용 보조 수단인 볼록 형상의 정상부를 따라 형성된 것인 바늘커버.
  14. 날개부착바늘, 이 날개부착바늘에 접속된 가요성 도관, 및 이 가요성 도관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진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기재된 바늘커버로 적어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가 부착된 날개부착바늘.
  15. 제 14 항에 있어서, 날개부착바늘의 날개부의 경도가 JIS-A 로 규정되는 10 ∼ 100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입식 오천자(誤穿刺) 방지구가 부착된 날개부착바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날개부착바늘의 양 날개부가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기재된 바늘커버의 날개부 절첩 촉진 수단에 의해 상방향으로 반전되기 쉬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가 부착된 날개부착바늘.
  17. 제 14 항,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날개부착바늘의 양 날개부의 기단측 가장자리부가 도관축에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 각도를 구비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가 부착된 날개부착바늘.
  18. 제 14 항, 제 15 항,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각도가 22.5 ∼ 80.0 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가 부착된 날개부착바늘.
KR1020037004740A 2000-10-06 2001-10-05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 및 이 오천자 방지구를구비한 날개부착바늘 KR100777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08213 2000-10-06
JP2000308213 2000-10-06
JP2001308952 2001-10-04
JPJP-P-2001-00308952 2001-10-04
PCT/JP2001/008784 WO2002030491A1 (fr) 2000-10-06 2001-10-05 Moyen de prevention de mauvais perçage de type a retraction d'ailette et aiguille papillon dotee de ce moy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696A true KR20030051696A (ko) 2003-06-25
KR100777173B1 KR100777173B1 (ko) 2007-11-16

Family

ID=26601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740A KR100777173B1 (ko) 2000-10-06 2001-10-05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 및 이 오천자 방지구를구비한 날개부착바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53293B2 (ko)
EP (1) EP1323442B1 (ko)
JP (1) JP4182756B2 (ko)
KR (1) KR100777173B1 (ko)
CN (1) CN1284607C (ko)
AU (2) AU2001294191C1 (ko)
CA (1) CA2424406C (ko)
TW (1) TW526070B (ko)
WO (1) WO2002030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1819B2 (ja) * 2001-07-18 2006-04-26 株式会社トップ 翼状針用プロテクター
AU2003201340A1 (en) * 2002-03-19 2003-10-1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Needle device
US7591804B2 (en) 2006-04-20 2009-09-22 Dsu Medical Corporation Short winged needle and guard
BRPI0716265B1 (pt) 2006-08-28 2016-05-24 Poly Medicure Ltd conjunto de cobertura protetora
JP4801561B2 (ja) 2006-10-11 2011-10-26 日本シャーウッド株式会社 医療用針の引抜具
WO2010038844A1 (en) * 2008-10-01 2010-04-08 Kawasumi Laboratories, Inc. Anti-needlestick system
US8323249B2 (en) 2009-08-14 2012-12-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US8814833B2 (en) 2010-05-19 2014-08-26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Safety needle system operable with a medical device
US8771230B2 (en) 2010-05-19 2014-07-08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EP2571562A4 (en) * 2010-05-19 2015-05-06 Tangent Medic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VASCULAR DELIVERY SYSTEM WITH SAFETY NEEDLE
US20120143151A1 (en) * 2010-12-03 2012-06-07 Jms Singapore Pte Ltd Needle shield and a winged needle assembly
JPWO2014033903A1 (ja) * 2012-08-31 2016-08-08 テルモ株式会社 翼状針
JPWO2014033902A1 (ja) * 2012-08-31 2016-08-08 テルモ株式会社 翼状針
WO2014033901A1 (ja) * 2012-08-31 2014-03-06 テルモ株式会社 翼状針組立体
CA2937744C (en) 2014-02-04 2022-08-09 Icu Medical, Inc. Self-priming systems and methods
CN209221155U (zh) 2015-08-08 2019-08-09 纳科斯达格医药股份有限公司 针头套件和护针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297365C (en) * 1986-09-10 1992-03-17 Michael L. Kvalo Winged catheter assembly
US4820282A (en) * 1986-10-20 1989-04-11 City Of Hope National Medical Center Sheath for butterfly needles
JPH067861B2 (ja) 1988-02-18 1994-02-02 テルモ株式会社 翼付医療用針
JP2673682B2 (ja) 1988-03-03 1997-11-05 テルモ株式会社 翼付医療用針
US5266072A (en) 1988-09-30 1993-11-30 Utterberg David S Guarded winged needle assembly
EP0558162B1 (en) 1988-09-30 1996-03-06 David S. Utterberg Guarded needle assembly
JPH0436026A (ja) 1990-05-22 1992-02-06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吸気装置
IT1238965B (it) 1990-05-29 1993-09-17 Giuseppe Barbieri Dispositivo per perfusione monouso con protezione dell'ago a fine uso.
US5030212A (en) * 1990-07-30 1991-07-09 Rose Peter J Puncture guard for needle administration set
JP3084384B2 (ja) * 1991-01-17 2000-09-04 統一 石川 翼付針
US5192275A (en) * 1991-09-18 1993-03-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V infusion or blood collection guard assembly
AUPM432794A0 (en) * 1994-03-09 1994-03-31 Noble House Group Pty Ltd Protection assembly
US5498241A (en) 1994-12-08 1996-03-12 Abbott Laboratories Winged needle assembly with protective member
JP3134920B2 (ja) * 1996-09-20 2001-02-13 株式会社ニッショー 翼付留置針
JP4115587B2 (ja) * 1998-05-19 2008-07-09 株式会社トップ 翼付針用プロテ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3442A1 (en) 2003-07-02
EP1323442A4 (en) 2009-01-07
TW526070B (en) 2003-04-01
AU2001294191C1 (en) 2005-11-24
CA2424406C (en) 2007-09-11
WO2002030491A1 (fr) 2002-04-18
CN1284607C (zh) 2006-11-15
CA2424406A1 (en) 2003-04-01
CN1468116A (zh) 2004-01-14
JP4182756B2 (ja) 2008-11-19
KR100777173B1 (ko) 2007-11-16
US7153293B2 (en) 2006-12-26
JPWO2002030491A1 (ja) 2004-02-19
US20040102739A1 (en) 2004-05-27
AU2001294191B2 (en) 2005-05-12
EP1323442B1 (en) 2015-06-03
AU9419101A (en) 2002-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7173B1 (ko) 날개 인입식 오천자 방지구, 및 이 오천자 방지구를구비한 날개부착바늘
US6736798B2 (en) Needle guard and capped needle guard and guarded winged needle assembly
US20120143151A1 (en) Needle shield and a winged needle assembly
EP0566769B1 (en) Retractable intravenous needle assembly
US5242421A (en) Needle cap
US5772638A (en) Protector for needle
JP3928025B2 (ja) 医療用針
US20050080386A1 (en) Needle device having retractable needle providing enhanced safety
JP2003534878A (ja) 傾いた状態で収納される針を有する液体採取装置
WO2005110225A1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JP6566159B2 (ja) 留置針組立体
JPH0345696Y2 (ko)
US7497845B2 (en) Needle device having slideable member providing enhanced safety
JP5356515B2 (ja) 穿刺防止システム
CN209221155U (zh) 针头套件和护针器
JP6540092B2 (ja) 医療用針
JP5322023B2 (ja) 針先保護用プロテクタ及び留置針組立体
AU717410B2 (en) Easy use needle protector sheath
AU743589B2 (en) Easy use needle protector sheath
JPH0582446U (ja) 翼付留置針
JP2002078795A (ja) 注射針の廃棄用安全カバー
CA2065895A1 (en) Retractable intravenous needle assembly
JPH07303698A (ja) 注射針と一体の注射針用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