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9617A - 무동력 자판기 - Google Patents

무동력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9617A
KR20030049617A KR1020010079862A KR20010079862A KR20030049617A KR 20030049617 A KR20030049617 A KR 20030049617A KR 1020010079862 A KR1020010079862 A KR 1020010079862A KR 20010079862 A KR20010079862 A KR 20010079862A KR 20030049617 A KR20030049617 A KR 20030049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ding machine
article
tunnel
sub
s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608B1 (ko
Inventor
은언기
김희식
Original Assignee
은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언기 filed Critical 은언기
Priority to KR10-2001-0079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060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9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02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actuated mechanically by coins, e.g. by a single co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0Pushers actuated directly by ha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에 의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기계적 구성만으로 지정된 주화의 감지 및 적층부 내부에 적재된 물품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동력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정된 동전이 투입되었을 때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레버수단과, 그 레버수단과 연동되어서 내부의 적층부에 적재된 판매물품을 하나씩 인출시키는 판매물품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수단에는 외주의 일정구간에만 기어가 형성된 회전체가 마련되고,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은 상기 회전체에 연동되도록 랙기어를 갖는 이동체와 상기 적층부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를 미끄럼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및 상기 이동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무동력 자판기이다.

Description

무동력 자판기{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이하, "자판기"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에 의하지 아니하고 간단한 기계적 구성만으로 지정된 주화의 감지 및 적층부 내부에 적재된 물품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동력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자판기는 일반적으로 판매자가 직접 상품을 판매하기 어려운 장소나 시간대에 구매자의 편의를 위하여 무인으로 운영되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자판기는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하는 전자식 자판기가 그 주류를 이루고 있는바, 이러한 전자식 자판기는 주화가 투입되면 센서를 통해 그 주화를 감지한 후 판매물품을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거스름돈까지 제공하므로 사용상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자식 자판기는 주화를 인식하고 판별하기 위한 별도의 감지부가 있어야 하고, 그 감지부에 기인해서 판매물품을 제공하기 위한 인출수단도 마련되어야 하며, 또 주화의 금액과 거스름돈을 계산하기 위한 제어부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그 결과 자판기의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고가의 부품으로 인하여 자판기의 단가가 높아지며, 내장된 각종 센서가 자주 고장나는 등 자판기의 수명이 그다지 길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판기는 반드시 전기가 공급되어야만 그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산간지역이나 특히, 지방에까지 전기 공급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개발 도상국에서는 이러한 전자식 자판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도 간단한 기계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되어 구매자가 편리하게 판매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동력에 의하지 않고 자판기가 갖는 본래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무동력 자판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단 한번 설치가 되고 나면 전기사용료와 같은 유지비의 부담이 전혀 없고, 또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이 가능하며, 어떤 곳에 설치하여도 잔고장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이 되는 무동력 자판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자판기의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 적층부의 분해 사시도 및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 레버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 레버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의 정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의 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매물품10 : 자판기본체
11 : 자판기 도어20 : 중량체
30 : 확인창40 : 인디케이터
50 : 동전함100 : 적층부
110 : 메인터널120 : 서브터널
130 : 이송수단200 : 판매물품 인출수단
210 : 이동체211 : 랙기어
220 : 가이드230 : 탄성부재
300 : 레버수단310 : 회전축
320 : 작동레버330 : 회전체
340 : 주화선별부400: 배출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정된 동전이 투입되었을 때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레버수단과, 그 레버수단과 연동되어서 내부의 적층부에 적재된 판매물품을 하나씩 인출시키는 판매물품 인출수단을 포함하는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수단에는 외주의 일정구간에만 기어가 형성된 회전체가 마련되고,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기어에 연동되도록 랙기어를 갖는 이동체와 상기적층부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를 미끄럼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및 상기 이동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무동력 자판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동력 자판기는 자판기본체(10), 적층부(100), 판매물품 인출수단(200), 레버수단(300) 및 판매물품(1) 배출을 위한 배출부(400)로 크게 이루진다.
상기 자판기본체(10)는 전방이 개방된 통체로서, 그 개방부에는 도어(11)가 힌지(12)를 매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자판기본체(10) 내부에는 적층부(100)가 장착되는데, 상기 적층부(100)에는 판매물품(1)이 순차적으로 적재된다.
상기 적층부(100)는 자판기본체(10)와 분리 가능하게 별도의 몸체(101)를 가지며 장착브래킷을 통해 상기 자판기본체(1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판기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적층부(100)는 상기 자판기본체(10)에 수직하게 설치되는데, 다만 상기 적층부(100)의 하단이 상기 자판기본체(10)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되도록 그 적층부(100)의 길이가 고려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상기 적층부(100)의 하단, 즉 상기 자판기본체(10)의 하부로 판매물품(1)이 인출된 후 배출될 때 그 판매물품(1)을 저장하는 배출부(400)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인데, 이 배출부(400)에 대해서는 추후에 다시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적층부(100)는 판매물품(1)이 그 전방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전면이 개방되고, 또한 이렇게 삽입되어 차곡차곡 적층된 판매물품(1)이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적층부(100)의 전면 개방부위에는 판매물품(1)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단턱(102)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판매물품(1)은 상기 적층부(100)에 비스듬하게 넣어져서 아래부터 차곡차곡 수직하게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기 적층부(100)는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판매물품(1)이 한 줄로 적층되는 1개의 단독 라인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자판기본체(10) 내의 다른 여유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보다 많은 판매물품(1)이 적재될 수 있도록 상기 적층부(100)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병렬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적층부가 단독 라인으로만 이루어진 경우에는 수직하게 적층되는 판매물품(1)의 적재구조상 그 내부에 보다 많은 양의 물품을 적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단독 형태의 적층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 병렬 배치하여 어느 하나의 적층부 물품이 다른 쪽의 적층부로 이송되도록 하면 자판기에 보다 많은 양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적층부(1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여기에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층부가 2개 마련되는데, 그 하나는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 쪽으로 판매물품(1)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메인터널(110)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메인터널(110)의 판매물품(1)이 인출되어서 상기 메인터널(110)에 빈 공간이 생기면 그 메인터널(110)로 판매물품(1)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서브터널(20)이다.
상기 서브터널(20)은 상기 메인터널(110)과 병렬 배치되어서 또 다른 다수개의 판매물품(1)이 적재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터널(120)의 판매물품(1)을 상기 메인터널(110)로 보내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송수단(130)이 마련되는데, 이 이송수단(130)은 상기 서브터널(120)에 상하로 승, 하강 가능하게 수용된 푸시패드(131)와, 상기 서브터널(120) 상부 쪽으로 상기 푸시패드(131)를 밀어 올리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2)와, 상기 서브터널(120)의 최상부에 있는 판매물품(1)이 상기 메인터널(110) 쪽으로 하나씩 이송되도록 상기 메인터널(110)과 서브터널(120)의 상단을 왕복하며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체(133) 및 일측단은 상기 슬라이딩체(133)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체(133)가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과 연동되어 움직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링크(134)로 구성된다.
상기 서브터널(120) 쪽으로 위치되는 상기 슬라이딩체(133)의 일측단에는 서브터널(120)의 판매물품(1)을 장전해서 상기 메인터널(110)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걸림편(133a)이 마련되고, 그 걸림편(133a)의 외측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된 롤러(133b)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133b)는 상기 슬라이딩체(133)가 상기 메인터널(110) 쪽으로 이동되었다가 다시 서브터널(120) 쪽으로 복귀될 때 하부의 판매물품(1)이 올라오지 못하도록 물품을 누르는 기능을 갖는다.
그런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체(133)는 판매물품 인출수단(200)의 작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동되게 슬라이딩되어야 하므로 상기 슬라이딩체(133)는 힌지핀(134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링크(134)를 매개로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이 우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체(133)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이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슬라이딩체(133)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은 랙기어(211)를 갖는 이동체(210)와, 상기 메인터널(110)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210)를 미끄럼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220) 및 상기 이동체(21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220)는 상기 메인터널(110)의 하단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터널(110)에 적층된 판매물품(1)이 하부로 떨어지지 못하도록 그 물품(1)을 지지하는 받침부(221)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210)의 이동경로에 속하는 가이드(220)의 받침부(221) 바로 옆에는 상기 판매물품(1)이 충분히 통과될 수 있을 정도의 개구부(2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메인터널(1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상기 받침부(221)에 있던 판매물품(1)은 상기 이동체(210)에 의하여 옆으로 밀려서 개구부(222)에 다다르게 되고, 이 개구부(222)를 통과하여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이동체(210)가 상기 개구부(222) 쪽으로 슬라이딩된 후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체(210)는 탄성부재(230)와 연결되어 있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이송수단(130)의 링크(134)는 상기 이동체(210) 일측에 연결되어서 상기 슬라이딩체(133)가 상기 이동체(210)의 작동방향과 반대로 이동된다.
상기 이동체(210)는 상기 탄성부재(230)를 매개로 하여 원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가이드(220)에 설치된 스톱퍼(223)에 의하여 처음의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210)가 레버수단(300)으로부터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220)의 개구부(222)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체(210)의 전면 일측에는 회전체(330)의 기어(330a)에 걸리는 랙기어(211)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레버수단에 대한 도면인데, 이 레버수단(300)은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과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되는 자판기의 도어(11) 상에 설치되는데, 이 레버수단(300)은 지정된 주화가 투입될 때만 회전된다.
상기 레버수단(300)은 상기 이동체(210)의 랙기어(21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체(330)를 갖는데, 이 회전체(330)에는 그 외주의 일정구간에만 기어(330a)가 형성되어서 레버수단(300)이 회전되면 상기 회전체(330)의 기어(330a)가 상기 랙기어(211)와 치합되어 랙기어(21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이동체(210)는 상기 레버수단(3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개구부(222) 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메인터널(110)의 판매물품(1)을 인출하고, 그 후에는 상기 이동체(210)의 랙기어(211)가 상기 회전체(330)로부터 자유로워져서 상기 이동체(210)는 탄성부재(230)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다시 말하면, 상기 회전체(330)에서 기어(330a)가 형성된 부분이 상기 랙기어(211)와 치합되어 이동체(210)를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이동체(210)에 의해 판매물품(1)이 상기 개구부(222)를 통과하여 자판기본체(10) 하방으로 떨어지고 나면, 상기 랙기어(211)는 회전체(330)의 기어(330a)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의하여 다시 치합이 해제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레버수단(3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버수단(300)은 상기 자판기도어(11)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의 외측단에 일체로 마련된 작동레버(320)와, 상기 회전축(310)의 내측단에 일체로 마련된 회전체(330) 및 상기 작동레버(320)와 회전체(330) 사이에 설치되어서 지정된 동전이 투입될 때만 상기 회전축(310)이 회전되도록 하는 주화선별부(340)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들은 레버수단의 베이스에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341)에는 작동레버(320)의 회전축(310)이 관통되게 끼워지고, 판매기의 내부를 향하는 그 회전축의 후방에는 일측의 턱(342a)이 타측의 턱(342b)보다 높은 주화 포지부(342c)를 갖는 작동원판(342)과 역회전 방지용 래칫기어(311) 및 회전체(330)가 차례로 끼워진다.
상기 작동원판(342)의 상방 일측에는 판스프링(343a)에 의해 탄성 설치된 직경감지용 탄편(343)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작동원판(342)에는 그 외주면 일측에 직경 감지용 돌기(347)가 돌출되고, 상기 주화 포지부(342c)의 좌우측에는 배출홈(348)이 형성되며, 그 하방에는 융기턱(349)이 형성된다.
상기 탄편(343)은 중단의 힌지점(350)을 축으로 그 상단은 작동원판(342)의 일측턱(342a)과 연관되는 작은 직경감지용 돌턱(343b)을 갖고, 그 하단은 작동원판(342)의 주연의 돌기(347)와 연관된 큰 직경감지용 돌턱(343c)을 갖는다.
한편, 상기 작동원판(342)의 배면에는 배면판(344)이 덮혀서 고정되는데, 상기 배면판(344)의 우측 상단에는 래칫기어(311)에 맞대어질 스톱퍼(312)가 설치되고, 그 배면판(344)의 좌측면에는 판스프링(345)에 의해 눌려지는 두께 감지용 누름판(346)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배면판(344)의 스톱퍼(312) 하방에는 끝단이 상기 작동원판(342)의 배출홈(348)과 연관되는 주화배출지시편(351)으로 된 주화배출기구(352)가 부설되고, 그 반대쪽 측면에는 또 다른 두께감지용 누름판(353)이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341)의 좌측 하방에는 작동원판(342)의 융기턱(349)에 의해 상기 주화배출기구(352)를 착탈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주화배출 보조기구(354)가 축봉(355)과 스프링(356)을 매개로 설치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출부(400)를 설명하면, 배출부(400)는 상기 메인터널(110)에서 인출된 판매물품(1)이 사용자에게 안내되도록 상기 자판기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된다.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의 개구부(222)를 통과하여 자판기본체(10)의 하부로 낙하하는 판매물품(1)을 사용자가 자판기 외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자판기의 도어(11) 하부에 구매자의 손이들어간 정도의 소정크기로 형성된 출구(410)와, 상기 개구부(222)에서 배출된 판매물품(1)이 상기 출구(410) 근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222)에서 상기 출구(410)로 안내되는 가이드패널(42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적층부(100)에 적재되는 판매물품(1)이 경량일 경우 정상적인 판매물품(1)의 인출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판매물품(1)이 하중에 의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상기 적층부(100)에는 판매물품(1)의 최상부에 얹히도록 하는 중량체(20)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체(20)를 마련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단독 형태의 적층부(100) 구조에서는 적층부(100)의 판매물품(1) 최상부에 얹히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메인터널(110)과 서브터널(120)로 분할된 경우에는 중량체(20)가 상기 서브터널(120)에 적층된 최하단의 판매물품(1) 하부에 위치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매물품(1)의 잔여 여부를 판매기 외측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자판기의 도어(11) 전방에는 판매물품(1)이 적층된 하부 일측 부위를 볼 수 있는 확인창(30)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판매물품(1)이 얼마남지 않으면 상기 확인창(30)을 통해 그 판매물품(1)의 잔량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판매물품(1)이 품절된 경우에는 상기 확인창(30)을 통하여 판매물품(1)이 품절되었음이 표시되도록 상기 확인창(30)에 대응되는 상기 중량체(20)의 일면으로 품절 상태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40)가 부착된다. 그러나,이것은 상기 중량체(20)의 일면에 품절 상태를 표시하는 문자를 기재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자판기본체(1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레버수단(300)으로 투입된 동전을 저장하며, 상기 자판기 도어(11)를 열지 않고도 자판기본체(10)에서 직접 수취할 수 있도록 키홀을 갖는 동전함(5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레버수단(300)에 투입된 동전을 상기 동전함(50)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판(51)이 상기 레버수단(300)의 내부 일측에 마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자판기에서 판매물품이 인출되고 또 서브터널의 물품이 메인터널로 이송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자판기의 메인터널(110) 및 서브터널(120)에 판매물품(1)이 적층되어 있다.
그 상태에서 구매자가 물품의 가격에 해당하는 지정된 동전을 레버수단(300)에 투입하고 작동레버(320)를 돌리면, 주화선별부(340)에 의해 동전의 직경과 두께가 감지되는데, 이때 지정된 동전일 경우에만 레버수단(300)의 회전축(310)이 회전한다.
도 6b와 같이, 자판기 내측에 상기 회전축(310)과 일체로 마련된 회전체(330)가 회전되기 시작하면, 회전체(330)의 기어(330a)가 이동체(210)의 랙기어(211)에 치합되고 상기 이동체(210)는 가이드(220) 상에서 슬라이딩된다.
이때 상기 이동체(210)는 메인터널(110) 최하부의 판매물품(1)을 가이드(220)의 개구부(222) 쪽으로 밀어서 그 판매물품(1)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이동체(210)가 메인터널(110)의 판매물품(1)을 인출해서 옆으로 슬라이딩되면, 그 이동체(210)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체(210)와 연결된 링크(134)가 힌지 회전되면서 메인터널(110) 상단에 위치한 슬라이딩체(133)를 서브터널(120) 쪽으로 밀어서 상기 슬라이딩체(133)의 걸림편(133a)에 서브터널(120)의 판매물품(1)이 장전된다.
한편, 상기 이동체(210)가 메인터널(110)의 판매물품(1)을 완전히 배출시키고 나면, 상기 랙기어(211)는 상기 회전체(330)에서 기어(330a)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이르게 되어 치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도 6c과 같이 상기 이동체(210)는 탄성부재(23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터널(110)의 판매물품(1)은 한 층 아래로 내려와 다시 하나의 판매물품(1)이 상기 이동체(210)에 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딩체(133)는 링크(134)에 의하여 그 내부에 장전된 서브터널(120)의 판매물품(1)을 상기 메인터널(110) 쪽으로 이동시켜 메인터널(110)의 부족한 판매물품(1)을 하나 더 보충한다. 따라서, 도 6a에서 도 6c까지의 한 사이클이 지나면 상기 서브터널(120)의 물품은 그 물품 하나의 두께만큼 위로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판매물품(1)이 메인터널(110)에서 하나씩 인출될 때마다 서브터널(120)의 판매물품(1)이 하나씩 상기 메인터널(110)로 공급되고, 최종적으로 서브터널(120)에 적재된 판매물품(1)이 전부 다 메인터널(110)로 이동되고 나면 상기 서브터널(120)의 판매물품(1) 최하부에 삽입되어 있던 중량체(20)가 상기 메인터널(110)로 이동되어 그 하부에 적층된 메인터널(110)의 판매물품(1)에 하중을 가하여 판매물품(1)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도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판매물품(1)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그 판매물품(1)의 잔여 여부는 판매기 전방에 형성된 확인창(30)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판매물품(1)이 품절되면 "empty"라고 적힌 인디케이터(40)를 부착한 상기 중량체(20)가 메인터널(110)의 최하부에 위치되고, 구매자는 상기 확인창(30)을 통해 그 인디케이터(40)를 보게 됨으로써 지금 현재 판매기에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이 없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자판기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기계적 메커니즘에 의해 지정된 주화의 감지 및 판매물품의 인출이 이루어지므로 개발 도상국이나 산간오지와 같이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 얼마든지 사용이 가능하다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판기는 구조가 간단하므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일단 설치가 되면 전기 사용료와 같은 별도의 유지비가 필요치 않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동력 자판기는 판매물품이 자판기 내부에서 병렬식 구조로 적재됨으로 종래 보다 많은 양의 물품을 적층할 수 있다.

Claims (8)

  1. 지정된 동전이 투입되었을 때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된 레버수단(300)과, 그 레버수단(300)과 연동되어서 내부의 적층부(100)에 적재된 판매물품(1)을 하나씩 인출시키는 판매물품 인출수단(200)을 포함하는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레버수단(300)에는 외주의 일정구간에만 기어(330a)가 형성된 회전체(330)가 마련되고,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은 상기 회전체(330)의 기어(330a)에 연동되도록 랙기어(211)를 갖는 이동체(210)와 상기 적층부(100)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이동체(210)를 미끄럼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220) 및 상기 이동체(21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2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100)는 판매물품(1)을 상기 판매물품 인출수단(200) 쪽으로 공급하는 메인터널(110)과, 상기 메인터널(110)로 판매물품(1)이 보충되도록 상기 메인터널(110)의 옆에 판매물품(1)이 적층되도록 마련된 서브터널(120)과, 상기 서브터널(120)의 판매물품(1)을 상기 메인터널(110)로 보내는 이송수단(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130)은 상기 서브터널(120) 내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수용된 푸시패드(131)와, 상기 푸시패드(131)를 서브터널(120)의 상부로 밀어 올리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2)와, 상기 서브터널(120)의 최상부에 있는 판매물품(1)이 상기 메인터널(110) 쪽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메인터널(110)과 서브터널(120)의 상단을 오가며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체(133)와, 상기 슬라이딩체(133)가 상기 이동체(210)와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일측단은 상기 슬라이딩체(133)에 연결되고 타측단은 상기 이동체(210)에 연결된 링크(1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수단(300)은 상기 자판기의 내외측을 관통하는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의 외측단에 일체로 마련된 작동레버(320)와, 상기 회전축(310)의 내측단에 일체로 마련된 회전체(330)와, 상기 작동레버(320)와 회전체(330) 사이에 설치되어서 지정된 동전이 투입될 때만 상기 회전축(310)이 회전되도록 하는 주화선별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10)에는 회전축(310)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톱퍼(312)에 의해 걸려서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래칫기어(3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100)에는 적재된 판매물품(1)이 하중에 의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판매물품(1)의 최상부에 중량체(20)가 얹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판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터널(120)에는 그 마지막의 판매물품(1)이 하중에 의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그 내부에 적층된 최하단의 판매물품(1) 하부로 중량체(2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물품(1)의 잔여 여부를 판매기 외측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자판기 전방에는 판매물품(1)이 적층된 하부 일측 부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확인창(30)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자판기.
KR10-2001-0079862A 2001-12-15 2001-12-15 무동력 자판기 KR100450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862A KR100450608B1 (ko) 2001-12-15 2001-12-15 무동력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9862A KR100450608B1 (ko) 2001-12-15 2001-12-15 무동력 자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9617A true KR20030049617A (ko) 2003-06-25
KR100450608B1 KR100450608B1 (ko) 2004-09-30

Family

ID=2957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9862A KR100450608B1 (ko) 2001-12-15 2001-12-15 무동력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0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871B1 (ko) 2009-08-04 2012-05-03 임성일 로우터리형 조작레버가 구비된 디스펜서
KR101645691B1 (ko) * 2016-03-16 2016-08-12 반준호 자판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9166Y2 (ko) * 1976-09-10 1981-05-07
JPS579897Y2 (ko) * 1978-12-29 1982-02-25
US4363393A (en) * 1981-02-23 1982-12-14 Mcdonald Winford G Coin controlled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
JPS6151582U (ko) * 1984-09-06 1986-04-07
KR880004029Y1 (ko) * 1985-12-21 1988-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동식 판매기
KR910003201Y1 (ko) * 1988-03-29 1991-05-13 한국 지. 에이. 피. 전자공업 주식회사 자동 판매기
JP2510909B2 (ja) * 1991-07-02 1996-06-26 旭精工株式会社 レバ―式自動販売機
KR20000056011A (ko) * 1999-02-12 2000-09-15 김재용 무전원 자동 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0608B1 (ko)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6444B2 (en) Product discharge and delivery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US7513390B2 (en) Vending machine with one-way mechanism field of the invention
JP3461507B2 (ja) 自動出納装置
CN1312016C (zh) 介质箱及其操作方法
US20080099496A1 (en) Product detection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NZ504913A (en) Vending machine for vertically stacked goods that dispenses the lowest item
WO2010022357A4 (en) Vending machine user interface guide; electronic coin return; and hinged delivery bin
JP3874998B2 (ja) 包装硬貨投出装置
CN209149451U (zh) 一种开合式旋转取货仓、货道及售货机
JP5113628B2 (ja) 自動販売機
US20080116034A1 (en) Bill acceptor for money exchanging machine
KR100450608B1 (ko) 무동력 자판기
JP4946771B2 (ja) 自動販売機
WO2019066024A1 (ja) 払出装置
KR20020083355A (ko) 자동상점 시스템
EP1256913A2 (en) Packaged product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nti-theft provision
KR100304006B1 (ko) 도서자동판매기
KR20100058000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장치
JP3985380B2 (ja) 自動販売機
JP7064029B2 (ja) 手動商品販売装置
JP6560318B2 (ja) 景品払出装置
JP6240740B2 (ja) 景品払出装置
JPH05290260A (ja) 商品販売装置
JPH10208101A (ja) 機械式販売機
JPH10208119A (ja) 機械式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