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497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497A
KR20030048497A KR1020010078403A KR20010078403A KR20030048497A KR 20030048497 A KR20030048497 A KR 20030048497A KR 1020010078403 A KR1020010078403 A KR 1020010078403A KR 20010078403 A KR20010078403 A KR 20010078403A KR 20030048497 A KR20030048497 A KR 20030048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mobile communication
batte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8497A/ko
Publication of KR20030048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4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dependent on the time of the day, e.g. according to expected transmission a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수신 거부 시간 설정 요구에 의거해 수신 거부 기능 시간을 키 입력부를 통해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수신 거부 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부에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제어하고 내부클록 발생기에 동기 되어 현재 시간을 업 데이트 및 표시부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업 데이트된 현재 시간이 상기 설정된 수신 거부 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부에 배터리 전원이 재 공급되게 제어하고 일반 단말기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BATTERY POWER CONTROL METHOD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의 전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충전 배터리는 그 사용 시간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시간에만 전원을 온 시켜 사용하여야 효율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제어부에서 기지국에서 오는 슬롯 사이클(slot cycle)의 주기에 따라 무선부가 기지국과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하여 항상 전원을 소비하며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상황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수신을 거부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을 이용하여 기상을 원하는 사용자는 수면시 일정시간 수신 거부를 해놓고 수면을 취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지 수신 기능만 차단되고 다른 부가적인 기능(예를 들면, 알람기능, 시간 표시 등)은 사용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배터리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거부 방법의 일 예에서는 기지국에서 무선부에 신호가 수신이 되면 기지국에서 오는 슬롯 사이클의 주기에 따른 무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배터리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킨다. 즉,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거부 방법은 기지국에서 무선부를 통해서 신호가 수신이 되면 상위 계층에서의 소프트웨어적 처리를 하지 않고 하위 계층인 네트워크 계층(layer 3)에서만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수신 거부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 거부 방법은 상위 계층에서의 소프트웨어적인 처리가 없어 그 만큼의 배터리 소모 전류가 감소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부에 항상 전원을 공급하며 수신 거부 기능을 위한 네트워크 계층의 트래픽 채널 제어 동작이 수행되고 있어 배터리 전류 소모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류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무선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하드웨어적으로 제어하여 수신 거부 기능을 구현하는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제어 흐름도.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수신 거부 시간 설정 요구에 의거해 수신 거부 기능 시간을 키 입력부를 통해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수신 거부 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부에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제어하고 내부클록 발생기에 동기 되어 현재 시간을 업 데이트 및 표시부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업 데이트된 현재 시간이 상기 설정된 수신 거부 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부에 배터리 전원이 재 공급되게 제어하고 일반 단말기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고,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2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설정된 일정시간 동안에 수신을 거부하는 기능을 위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예컨대 공용되는 MSM(mobile station modem)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부(50)(radio frequency: 이하 "RF부"라 칭함)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 하에 안테나(60)를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키입력부(10)는 다수의 숫자키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키입력데이터를 제어부(20)로 전송한다. MSM(mobile station modem) 전원공급부(80)는 MSM인 제어부(20)에 제2 전원전압 V2를 공급하고, RF 전원공급부(70)는 배터리 전원전압 VBatt에 연결되며 제어부(20)의 전원제어에 의거하여 RF부(50)에 제1 전원전압 V1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제어부(20)의 출력 단자들 중 GPIO 단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RF 전원공급부(70)에 연결되며, RF전원제어신호 Vcnt가 RF 전원공급부(70)에 인가되게 한다. 내부클록 발생기(30)는 RF부(50)의 데이터 송수신이 불가능할 때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을 업 데이트할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클록이다. 표시부(40)는 제어부(20)의 제어하에 각종 메시지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시간을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은, 제어부(20)가 RF전원제어신호 Vcnt를 이용하여 배터리 전원 VBatt가 공급되는 RF전원공급부(70)를 제어하여 제1 전원전압 V1을 RF부(50)로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수신거부 시간 동안에 RF부(50)가 디스에이블(disable)되어 수신 거부 기능을 수행토록 함을 요지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일정시간 동안 수신 거부 기능을 설정하고 싶으면 단말기의 키입력부(10)를 통해서 수신 거부 시간을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20)에서는 RF 전원제어신호 Vcnt를 통해 상기 설정된 수신 거부 시간만큼 RF 전원공급부(70)를 제어하여 턴 오프 시킨다. 따라서 RF부(50)로 공급되는 제1 전원전압 V1은 차단되고, 이로 인하여 RF부(50)는 디스에이블 되어 기지국과의 수신 거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제어부(20)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슬롯 사이클(slot cycle) 주기에 따라 RF부(50)의 기지국과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 거부 시간 동안에는 제어부(20)가 RF전원제어신호 Vcnt를 통해 배터리 전원 VBatt와 연결된 RF 전원공급부(70)의 동작을 턴 오프 시킨다. 따라서 RF부(50)로의 제1 전원전압 V1 공급이 차단되고 RF부(50)는 디스에이블 되어 기지국과의 수신 거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RF부(50)로 제1 전원전압 V1이 공급되지 않게 되면, 제어부(20)는 내부클록 발생기(30)를 동기 시켜 현재 시간을 업 데이트하고 표시부(40)상으로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업 데이트된 현재 시간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수신 거부 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제어부(20)는 RF전원제어신호 Vcnt를 통해 배터리 전원 VBatt에 연결된 RF 전원공급부(70)의 동작을 턴 온 시킨다. 따라서 제1 전원전압 V1이 RF부(50)로 다시 공급되고 RF부(50)가 인에이블(enable)되어 기지국과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키입력부(10)를 통해 수신 거부 시간 설정에 대응된 기능키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20)는 도 2의 10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 거부 시간 설정에 대응된 키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도 2의 100단계에서 수신 거부 시간 설정에 대응된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20)는 도 2의 10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 2의 114단계로 진행한다. 도 2의 102단계에서 제어부(20)는 키입력부(10)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수신 거부 시간을 설정한다. 이 후, 제어부(20)는 도 2의 1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도 2의 102단계에서 설정된 수신 거부 시간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 거부 시간이면 제어부(20)는 도 2의 1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 2의 1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도 2의 106단계에서 제어부(20)는 RF전원제어신호 Vcnt를 통해 RF 전원공급부(70)를 턴 오프 시켜 RF부(50)로 공급되는 제1 전원전압 V1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가 RF 전원공급부(7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20)의 출력단자들 중 GPIO 단자의 RF전원제어신호 Vcnt를 통해 배터리 전원 VBatt와 연결된 RF 전원공급부(70)를 턴 오프 시킨다. 따라서, 기지국과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RF부(50)에 입력되는 제1 전원전압 V1이 차단되어 RF부(50)가 수신거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의 106단계 수행 후 제어부(20)는 도 2의 108단계로 진행한다. 도 2의 108단계에서 제어부(20)는 내부클록 발생기(30)를 동기 시켜 시간을 업 데이트하고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 한다. 즉, 상기 도 2의 106단계에서 RF부(50)로 제1 전원전압 V1의 공급이 차단되게 되면 단말기는 기지국과의 송수신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부가적인 기능 예를 들어 알람기능을 사용하는 단말기 사용자를 위하여 제어부(20)는 내부클록 발생기(30)를 동기 시켜 현재 시간을 계속 업 데이트하여 표시부(40)에 디스플레이 해주는 것이다.
도 2의 108단계 수행 후 제어부(20)는 도 2의 110단계로 진행하여 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설정된 수신 거부 종료 시간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수신 거부 종료 시간이면 제어부(20)는 도 2의 112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 2의 108단계로 진행한다. 도 2의 112단계에서 제어부(20)는 RF전원제어신호 Vcnt를 통해 RF 전원공급부(70)를 턴 온 시켜 RF부(50)에 제1 전원전압 V1을 다시 공급시킨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는 RF 전원공급부(7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20)의 출력단자들 중 GPIO 단자의 RF전원제어신호 Vcnt를 통해 배터리 전원 VBatt와 연결된 RF 전원공급부(70)를 턴 온 시킨다. 따라서, 기지국과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RF부(50)에 제1 전원전압 V1이 다시 공급되어 RF부(50)가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2의 112단계 수행 후 제어부(20)는 도 2의 114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 과정을 종료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와 특허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시간 동안 수신 거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배터리의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수신 거부 시간 설정 요구에 의거해 수신 거부 기능 시간을 키 입력부를 통해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수신 거부 시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부에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제어하고 내부클록 발생기에 동기 되어 현재 시간을 업 데이트 및 표시부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업 데이트된 현재 시간이 상기 설정된 수신 거부 시간을 경과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무선부에 배터리 전원이 재 공급되게 제어하고 일반 단말기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KR1020010078403A 2001-12-12 2001-12-1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KR200300484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403A KR20030048497A (ko) 2001-12-12 2001-12-1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8403A KR20030048497A (ko) 2001-12-12 2001-12-1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497A true KR20030048497A (ko) 2003-06-25

Family

ID=2957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8403A KR20030048497A (ko) 2001-12-12 2001-12-1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84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829B1 (ko) * 2005-09-01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자립형 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7265A1 (en) * 1996-08-12 1998-02-19 Gateway 2000, Inc. Programmable cellular telephone with scheduled funct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KR19990002939A (ko) * 1997-06-24 1999-01-15 윤종용 무선 휴대기기의 밧데리 전류소모 절감 방법
KR19990010385A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휴대폰에서 전원 절약방법
KR20010018926A (ko) * 1999-08-24 2001-03-15 박종섭 강제 슬립 모드를 이용한 절전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및 그절전방법
KR20010058799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방법
KR20010073370A (ko) * 2000-01-14 2001-08-01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방법
JP2001268219A (ja) * 2000-03-16 2001-09-28 Nec Saitama Ltd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JP2001326707A (ja) * 2000-05-18 2001-11-22 Nec Corp 携帯電話機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07265A1 (en) * 1996-08-12 1998-02-19 Gateway 2000, Inc. Programmable cellular telephone with scheduled function activation and deactivation
KR19990002939A (ko) * 1997-06-24 1999-01-15 윤종용 무선 휴대기기의 밧데리 전류소모 절감 방법
KR19990010385A (ko) * 1997-07-16 1999-02-18 윤종용 휴대폰에서 전원 절약방법
KR20010018926A (ko) * 1999-08-24 2001-03-15 박종섭 강제 슬립 모드를 이용한 절전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및 그절전방법
KR20010058799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의 호 수신 거부방법
KR20010073370A (ko) * 2000-01-14 2001-08-01 윤종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방법
JP2001268219A (ja) * 2000-03-16 2001-09-28 Nec Saitama Ltd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制御方法
JP2001326707A (ja) * 2000-05-18 2001-11-22 Nec Corp 携帯電話機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829B1 (ko) * 2005-09-01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자립형 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0442B2 (ja) 無線システム
KR100742009B1 (ko) 전자 디바이스내의 클록 인에이블먼트를 동기화
US7366549B2 (en) Integrated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isplay unit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AU735496B2 (en) Portab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JP3332548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300484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KR20000020591A (ko) 전원 자동 온/오프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
US20040223479A1 (en) Method of interference control and radio terminal equipment arrangement
JP2001320312A (ja) 移動電話装置及びその動作切替方法
KR100936583B1 (ko) 휴대단말기의 음영지역 동작전원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2004001804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준시간 표시 방법
KR100614940B1 (ko) 휴대폰 절전 방법 및 그 장치
KR10109422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이동통신단말기
JP3865334B2 (ja) 移動体通信装置
JP3572028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H1169409A (ja) 無線通信携帯端末装置
KR200200559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JP2004241868A (ja) 無線電話装置及びそのバッテリの消費電力低減方法
KR100269344B1 (ko) 무선휴대용단말기의전류공급제어방법
KR2003000293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타이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JPH08172375A (ja) 携帯型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200699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절약 방법 및 장치
KR20000074571A (ko) 휴대전화 자동 온/오프 장치와 그 제어방법
JPH05227263A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表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