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5951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951A
KR20020055951A KR1020000085214A KR20000085214A KR20020055951A KR 20020055951 A KR20020055951 A KR 20020055951A KR 1020000085214 A KR1020000085214 A KR 1020000085214A KR 20000085214 A KR20000085214 A KR 20000085214A KR 20020055951 A KR20020055951 A KR 20020055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ata
mod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봉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5951A/ko
Publication of KR2002005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9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은 사전 모드예약 설정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키입력부에서 모드 설정키를 조작하면, 제어부는 모드 설정키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인출하여 표시부에 보내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표시 데이터를 보고 원하는 모드 선택키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 데이터 값에 따라 표시 데이터를 조절하여 조절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타이머를 액세스하여 현재의 시간과 예약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설정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일같이 반복되는 생활패턴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적합하도록 생활패턴에 맞게 단말기의 모드를 사전에 설정해 놓음으로서 사용자가 매번 단말기의 모드를 변경하는 수고 없이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Method for preliminary mode reservation set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일상적인 스케줄에 맞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매일같이 반복되는 생활패턴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적합하도록 생활패턴에 맞게 단말기의 모드를 사전에 설정해 놓음으로서 사용자가 매번 단말기의 모드를 변경하는 수고 없이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이에는 키폰 시스템,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호출, 무선전화, 위성이동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동통신에는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는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시스템,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및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 등이 있고,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개인휴대통신)와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in the year 2000, 범세계 이동통신) 등의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PS 시스템의 서비스와 CDMA 시스템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지원하여 가입자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장치인 단말기(10)와, 상기 단말기(10)와 함께 무선구간에서 IS-95에 정의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20)과, 상기 기지국(20)과 연결되고,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며, 가입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30)과, 상기 제어국(30)과 연결되고, 가입자의 통화로를 구성하고 타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교환기(4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기지국(20)과 제어국(30) 및 교환기(40)를 통해 단말기(10)의 통화를 실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는 사용자의 일상적인 스케줄에 맞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에 대한 기술은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일같이 반복되는 생활패턴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사용할 경우 매번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설정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매일같이 반복되는 생활패턴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적합하도록 생활패턴에 맞게 단말기의 모드를 사전에 설정해 놓음으로서 사용자가 매번 단말기의 모드를 변경하는 수고 없이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11 : 제어부
12 : 메모리 13 : 키입력부
14 : RF부 15 : 표시부
20 : 기지국 30 : 제어국
40 : 교환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은, 사전 모드예약 설정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키입력부에서 모드 설정키를 조작하면, 제어부는 모드 설정키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에서 데이터를인출하여 표시부에 보내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표시 데이터를 보고 원하는 모드 선택키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 데이터 값에 따라 표시 데이터를 조절하여 조절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타이머를 액세스하여 현재의 시간과 예약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설정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MPS 시스템의 서비스와 CDMA 시스템의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지원하여 가입자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장치인 단말기(10)와, 상기 단말기(10)와 함께 무선구간에서 IS-95에 정의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20)과, 상기 기지국(20)과 연결되고, 무선링크 및 유선링크를 제어하며, 가입자가 이동 중에도 통화의 지속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핸드오프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30)과, 상기 제어국(30)과 연결되고, 가입자의 통화로를 구성하고 타통신망과의 접속을 수행하는 교환기(4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기지국(20)과 제어국(30) 및 교환기(40)를 통해 단말기(10)의 통화를 실현하게 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타이머를 구비하여 날짜와 시간을 카운트하는 제어부(11)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수행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2)와, 상기 제어부(11)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키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13)와,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기지국(20)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신호를 처리하는 RF부(14)와, 상기 제어부(11)로부터의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모드예약 설정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키입력부(13)에서 모드 설정키를 조작하면, 제어부(11)는 모드 설정키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12)에서 데이터를 인출하여 표시부(15)에 보내 표시하는 단계(S11)(S12)와, 사용자가 상기 표시 데이터를 보고 원하는 모드 선택키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키입력부(13)로부터 입력된 키 데이터 값에 따라 표시 데이터를 조절하여 조절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15)에 표시하며,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S13 ~ S15)와, 상기 판별결과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는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12)에 저장하고 타이머를 액세스하여 현재의 시간과 예약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S17)와, 상기 예약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11)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설정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8)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상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은, 시간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화벨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은, 시간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원이 온/오프 되도록 사전에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은, 시간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예약모드를 설정하는 것은 특정 날짜나 요일 또는 특정 시간에 따라 설정된 값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1)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1)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날짜와 시간을 카운트한다.
메모리(12)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수행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발생한 데이터도 저장한다.
키입력부(13)는 단말기의 각종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키들로 이루어진다.
RF부(14)는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20)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신호를 처리한다.
표시부(15)는 액정표시장치(LCD)로 구성할 수 있고, 이는 제어부(11)로부터 표시데이터를 받아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사전 모드 예약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키입력부(13)에서 모드 설정키를 조작한다. 그러면 제어부(11)는 상기모드 설정키의 데이터를 입력받고(S11), 메모리(12)에서 제 1 표시 데이터를 인출하여 표시부(15)에 표시한다(S12).
이때 제 1 표시 데이터는 날짜, 요일, 시간 등을 포함하는 각종 모드를 설정하도록 안내하는 데이터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표시 데이터를 보고 원하는 모드 선택키를 조작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는 모드 선택키 입력을 인지하고(S13), 입력된 키데이터에 따라 제 2 표시 데이터를 표시부(15)에 표시하고(S14),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한다(S15).
이러한 판별 결과,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제어부(11)는 입력된 데이터를 메모리(12)에 저장한다(S16).
그런 다음 제어부(11)는 타이머를 액세스하여 현재 시간과 사용자가 설정해둔 예약시간을 비교해서(S17), 설정된 시간에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설정된 모드로 동작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제어한다(S18). 그리고 제어부(11)는 사용자가 설정해둔 다음 예약시간과 현재시간을 계속 비교한다(S17).
예를 들어 단말기의 벨소리 기능을 사전에 시간대별로 예약해두면 예약된 시간에 자동적으로 설정해둔 모드로 단말기가 동작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의 ON/OFF 기능을 사전에 예약해두면, 사용자가 매번 모드를 변경하는 수고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밧데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 ON/OFF 기능을 사전에 예약했을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제어부(11)는 예약된 시간에 타이머 블록을 제외한 다른 모든 블록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밧데리 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원 OFF 모드에서도 타이머는 동작하면서 사전에 ON되도록 예약해둔 시간에 맞춰 자동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다른 모든 블록이 온 됨으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매일같이 반복되는 생활패턴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적합하도록 생활패턴에 맞게 단말기의 모드를 사전에 설정해 놓음으로서 사용자가 매번 단말기의 모드를 변경하는 수고 없이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일같이 반복되는 생활패턴을 가진 사용자들에게 적합하도록 생활패턴에 맞게 단말기의 모드를 사전에 설정해 놓음으로서 사용자가 매번 단말기의 모드를 변경하는 수고 없이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학생이나 직장인처럼 규칙적인 생활패턴을 가진 사용자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를 생활패턴에 맞게 사전에 설정해 놓음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드를 매번 변경하지 않고 생활패턴에 맞게 편리하게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직장인인 경우 근무시간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소리를 진동으로 설정하고, 점심시간 동안이나 퇴근시간 이후에는 전화벨로 사전에 지정해두면, 매번 단말기 모드를 변경하는 수고 없이 자기 스케줄에 맞게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곳에 있거나 또는 전화가 거의 오지 않는 야간시간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온/오프를 사전에 설정해두면, 밧데리 사용시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를 온 시키지 않아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맞게 요일별로 단말기 모드를 설정해서 사용할 수도 있고, 특정한 날이나 특정 시간 단위로 단말기 모드를 사전에 설정함으로써 매번 모드 변경의 번거로움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사전 모드예약 설정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키입력부에서 모드 설정키를 조작하면, 제어부는 모드 설정키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인출하여 표시부에 보내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표시 데이터를 보고 원하는 모드 선택키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 데이터 값에 따라 표시 데이터를 조절하여 조절된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결과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타이머를 액세스하여 현재의 시간과 예약된 시간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시간이 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설정된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은,
    시간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벨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은,
    시간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이 온/오프 되도록 사전에 설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은,
    시간변화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예약모드를 설정하는 것은 특정 날짜나 요일 또는 특정 시간에 따라 설정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KR1020000085214A 2000-12-29 2000-12-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KR20020055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214A KR20020055951A (ko) 2000-12-29 2000-12-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214A KR20020055951A (ko) 2000-12-29 2000-12-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951A true KR20020055951A (ko) 2002-07-10

Family

ID=27688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214A KR20020055951A (ko) 2000-12-29 2000-12-29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59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328A (ko) * 2002-03-11 2003-09-1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정시간동안 벨소리/진동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방법과이를 구현하는 휴대전화기
KR100773056B1 (ko) * 2006-02-28 2007-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123B1 (ko) * 1995-12-19 1999-05-15 김광호 무선호출기에서 동작모드를 시간별로 설정하여 자동으로 모드전환하는 방법
JPH11205837A (ja) * 1998-01-14 1999-07-30 Nec Corp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20000040305A (ko) * 1998-12-17 2000-07-05 윤종용 휴대통신단말기의 시간 스케줄링에 의한 착신 경보 자동전환방법
KR20000044488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휴대전화기의 착신링 발생 방법
JP2001251395A (ja) * 2000-03-07 2001-09-14 Nec Corp 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1123B1 (ko) * 1995-12-19 1999-05-15 김광호 무선호출기에서 동작모드를 시간별로 설정하여 자동으로 모드전환하는 방법
JPH11205837A (ja) * 1998-01-14 1999-07-30 Nec Corp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20000040305A (ko) * 1998-12-17 2000-07-05 윤종용 휴대통신단말기의 시간 스케줄링에 의한 착신 경보 자동전환방법
KR20000044488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휴대전화기의 착신링 발생 방법
JP2001251395A (ja) * 2000-03-07 2001-09-14 Nec Corp 携帯電話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328A (ko) * 2002-03-11 2003-09-1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지정시간동안 벨소리/진동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방법과이를 구현하는 휴대전화기
KR100773056B1 (ko) * 2006-02-28 2007-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90442B2 (ja) 無線システム
EP12561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power in an integrated electronic device that includes a pda and a wireless telephone
AU2002336117A1 (en) Radio resource control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40097218A1 (en) Intelligent cellular telephone function
KR20000010344A (ko) 휴대폰의 전원절약방법
JP2001186250A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366549B2 (en) Integrated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isplay unit
KR20020055951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전 모드예약 설정방법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JP4098942B2 (ja) 複数方式携帯電話機
JPH07131404A (ja) 移動通信に於ける可変間欠受信制御方式
KR100936583B1 (ko) 휴대단말기의 음영지역 동작전원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US20070184873A1 (en) Dual-mode phone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06615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절약방법
CN1984399B (zh) 根据cdma2000寻呼消息向HRPD网络切换的终端
GB2323230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oth radio and infrared transceivers
WO2001099450A2 (en) Watch-shap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obile telephone
WO200101720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ing functionality of a device based on time of day
KR1007709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착신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하기 위한방법
KR100240290B1 (ko) 디지탈휴대전화기의밧데리절약방법
KR2003004849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원 제어 방법
KR100262157B1 (ko) 기지국 기능을 갖춘 휴대전화
CN115174742A (zh) 一种智能手表的选择通话方法
KR20000074571A (ko) 휴대전화 자동 온/오프 장치와 그 제어방법
JPH10257557A (ja) 通信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