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368A - 간편한 입구 봉지 수단을 가지는 봉투 - Google Patents

간편한 입구 봉지 수단을 가지는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368A
KR20030047368A KR1020010077841A KR20010077841A KR20030047368A KR 20030047368 A KR20030047368 A KR 20030047368A KR 1020010077841 A KR1020010077841 A KR 1020010077841A KR 20010077841 A KR20010077841 A KR 20010077841A KR 20030047368 A KR20030047368 A KR 20030047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main body
sealing
sealing tap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하
Original Assignee
박종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하 filed Critical 박종하
Priority to KR1020010077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7368A/ko
Publication of KR2003004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36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1616Elements constricting the neck of the bag
    • B65D33/165Flexible elongated elements integral with or attached to bags or sacks ; Fastening thereof to the bag before 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부에 소정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고 상기 내용물을 입출하기 위한 입구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입구 주변에 부착되어 있는 1개 이상의 봉지용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용 테이프는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하부, 상기 하부와 연결되어 있는 중부, 상기 중부와 연결되어 있고 접착면을 가지는 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의 접착면은 상기 중부 및 하부 중의 적어도 일부와 임시 접착되어 있는 봉투를 마련한다. 이렇게 하면 내용물이 채워진 봉투의 입구를 용이하게 봉지할 수 있다. 또한 봉투의 용량을 100% 활용할 수 있어서 자원이 절약되고, 봉투의 봉지를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 봉투의 경우에는 봉지시에 겪어야 하는 고통이 경감된다.

Description

간편한 입구 봉지 수단을 가지는 봉투{an envelop having easy means for closing the mouth}
본 발명은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져 쓰레기 봉투로 사용되거나 의류 등의 유연성 물체나 소형 고형체를 집합적으로 담아 임시 보관 또는 운반할 때 사용하는 소위 비닐 봉투라고 불리는 것과 그 등가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면 도 1을 참고로 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른 비닐 봉투에 대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비닐 봉투(10)는 봉투 본체(11)와 본체(11)의 바닥면을 밀봉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밀봉띠(12) 및 본체(11)의 입구 둘레에 돌출되어 있는 결속용 띠(13, 14, 15, 16)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의 비닐 봉투(10)에서는 봉투 본체(11) 내부에 내용물, 예를 들어, 쓰레기를 투입하여 충분히 채워지면 결속용 띠(13, 14, 15, 16)를 사용하여 입구를 봉지한다. 이 때, 결속용 띠(13, 14, 15, 16)는 마주보는 두 개를 1개조로 하여 매듭을 지음으로써 봉투(10)의 입구를 봉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13과 14를 서로 묶고, 15와 16을 서로 묶어 매듭을 만든다.
그런데, 봉투(10) 내부가 채워진 상태에서는 결속용 띠(13, 14, 15, 16)를 매듭짓기가 쉽지 않다. 특히 봉투(10)의 용량을 100% 채우거나 그보다 약간이라도 초과하여 내용물이 채워진 경우에는 매듭 만들기가 매우 어려워진다. 또한, 봉투를 채우는 내용물이 탄성을 가지는 경우(의류나 쓰레기 등 대부분의 물체가 탄성을 가진다.)에는 혼자서는 매듭을 만들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또, 쓰레기 봉투의 경우에는 그 냄새와 손이 더럽혀진다는 생각 때문에 매듭을 만드는 일이 고통스럽기까지 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종래에는 봉투를 제 용량만큼 채우지 못하고 입구를 봉지하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서 매듭을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간편한 입구 봉지 수단을 가지는 봉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봉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사시도이고,
도 3a는 펼쳐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IIIb-IIIb'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a는 접어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IVb-IVb'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a는 펼쳐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Vb-Vb'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a는 접어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IVb-IVb'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에 있어서 입구를 봉지한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사시도이고,
도 10a는 펼쳐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Xb-Xb'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1a는 접어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11b는 XIb-XI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봉투의 입구 주변에 봉지용테이프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소정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고 상기 내용물을 입출하기 위한 입구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입구 주변에 부착되어 있는 1개 이상의 봉지용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용 테이프는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하부, 상기 하부와 연결되어 있는 중부, 상기 중부와 연결되어 있고 접착면을 가지는 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의 접착면은 상기 중부 및 하부 중의 적어도 일부와 임시 접착되어 있는 봉투를 마련한다.
이 때, 상기 봉지용 테이프는 테이프 기재, 상기 테이프 기재의 제1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와 접착되어 있는 제1 접착제층, 상기 테이프 기재의 상기 제1면 중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형제층 및 상기 테이프 기재의 상기 제1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기재의 상부는 접혀져서 상기 중부와 마주하고 있고, 상기 제2 접착제층은 상기 이형제층에 임시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테이프 기재의 상부 첨단부는 접혀져서 상기 테이프 기재 상부의 나머지 부분과 마주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입구 반대편을 밀봉하기 위하여 형성한 밀봉띠를 가지며, 상기 밀봉띠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본체를 앞장과 뒷장으로 구분할 때, 상기 봉지용 테이프는 상기 앞장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본체는 상기 입구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봉지용 테이프의 하부는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100)는 본체(110), 본체(110)의 바닥 면을 밀봉하기 위하여 형성한 밀봉띠(120) 및 봉지용 테이프(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체(110)와 밀봉띠(1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 밀봉띠(120)는 본체(110)의 하단을 겹쳐진 상태에서 압착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써 본체(110)의 바닥 면을 다른 방식으로 밀봉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봉지용 테이프(130)는 하부(A), 중부(B) 및 상부(C)로 이루어지며, 본체 (110)의 상단부인 봉투의 입구 주변에 하부(A)가 접착됨으로써 본체(110)에 고정되어 있다. 봉지용 테이프(130)의 상부(C)는 안쪽 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접혀져서 중부(B)와 중첩함과 동시에 중부(B)의 안쪽 면에 임시로 접착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C)가 중부(B)로부터 분리되어 펼쳐져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봉투(100)를 제조하는 과정이나 봉투(100)를 보관하는 중, 또는 봉투(100)에 내용물이 채워지고 있는 도중에는 봉지용 테이프(130)의 상부(C)는 중부(B)의 안쪽 면에 임시로 접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를 통하여 봉지용 테이프(130)가 불필요하게 아무 곳에나 접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봉지용 테이프(130)는 본체(110)를 이루는 앞장과 뒷장 중 앞장의 바깥 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2개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110)의 앞장과 뒷장은 밀봉띠(120)를 기준으로 하여 본체(110)를 반으로 접었을 때 겹쳐지는 두장을 구분한 것으로서, 제조 과정에서 이송 장치나 거치대 등과 접하는 쪽을 뒷장이라고 하고 그 반대쪽을 앞장이라고 정의한다. 제조 과정 중에 앞장과 뒷장이 뒤집히는 공정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앞장과 뒷장은 단순히 두 장 중의 어느 하나와 나머지 하나를 구분하는 용어로써 이해하면 될 것이다. 봉지용 테이프(130)의 부착 위치를 모두 본체(110)의 앞장 바깥 면으로 하는 것은 제조상의 편의를 고려한 것이다. 즉, 봉지용 테이프(130)를 본체(110)에 부착하는 공정을 용이하게 자동화하기 위하여는 제조 과정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본체(110)의 앞장 바깥면에 봉지용 테이프(130)를 모두 부착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면 로봇팔이나 로울러 등을 이용하여 자동화된 일회의 공정으로 봉지용 테이프(130)의 부착을 마무리할 수 있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봉지용 테이프(130)를 본체(110)의 앞장과 뒷장에 나누어 부착할 수도 있다.
봉지용 테이프(130) 사이의 거리(d1)는 봉지용 테이프(130)로부터 앞장과 뒷장의 경계까지의 거리(d2)에 비하여 약 2배정도 크다. 이는 봉지용 테이프(130)의 상부(C)를 펼쳐 본체(110)의 뒷장에 부착함으로써 봉투(100)의 입구를 봉지할 때, 두 개의 봉지용 테이프(130)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십자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봉지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봉지용 테이프(130)를 두 개 배치하였으나 용도에 따라서는 1개만 형성하거나 또는 3개 이상을 배치할 수도 있다. 3개 이상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배치는 봉지용 테이프(130)로부터 앞장과 뒷장의 경계까지의 거리(d2)에 비하여 봉지용 테이프(130) 사이의 거리(d1)를 약 2배정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봉투에서 봉지용 테이프(13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펼쳐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IIIb-IIIb'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a는 접어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IVb-IV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봉지용 테이프(130)는 테이프 기재(131)와 제1 및 제2 접착제층(132, 13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접착제층(132)은 테이프 기재(131) 하부(A)의 안쪽 면에 도포되어 접착되어 있고, 제2 접착제층(133)은 테이프 기재(131) 상부(C)의 안쪽 면에 도포되어 접착되어 있다. 테이프 기재(131)의 상부(C) 첨단(134)은 접혀져서 제2 접착제층(133) 윗면에 접착되어 있다. 제1 접착제층(132)은 봉투 본체(110)에 접착하여 봉지용 테이프(130)를 봉투 본체(1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봉지용 테이프(130)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C)가 접혀져서 중부(B)의 안쪽 면에 임시로 접착되어 있는 상태로 보관되다가 봉투(100)를 봉지할 때 비로소 펼쳐져서 봉투 본체(110)에 접착된다. 제2 접착제층(133)은 상부(C)를 중부(B)에 임시로 접착시키고 있다가 봉투(100)의 입구를 봉지할 때에는 봉지용 테이프(130)의 상부(C)를 봉투 본체(110)에 접착하는 역할을 한다. 접혀져 있는 첨단(134)은 중부(B)에 임시로 접착되어 있는 상부(C)를 중부(B)로부터 분리할 때 취급자가 용이하게 상부(C)의 끝부분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해 둔 것이다.제2 접착제층(133)은 테이프 기재(131)의 상부(C)와는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강하게 접착되어 있고, 중부(B)와는 반복적인 접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약하게 접착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테이프 기재(131)의 중부(B) 내면은 상부(C)나 하부(A)의 내면과는 다른 계면 특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부(C)나 하부(A)의 내면의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는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중부(B) 내면을 상부(C)나 하부(A)의 내면과 다른 계면 특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하여 또 다른 층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하여 제2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5a는 펼쳐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Vb-Vb'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a는 접어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IVb-IV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는 테이프 기재(131)의 중부(B) 내면에 이형제층(135)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이형제층(135)은 제2 접착층(133)이 접착 및 분리를 반복하더라도 제2 접착층(133)이 손상되지 않고 접착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약한 접착력으로 제2 접착층(133)과 접착한다. 이형제층(135)은 이형제를 테이프 기재 내면에 얇게 도포하여 형성한 것일 수도 있고, 이형제 처리가 된 다른 기재를 테이프 기재 내면에 부착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봉투에 있어서 입구를 봉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봉투(100)의 본체(110) 내부에 내용물이 다 채워지면 봉지용 테이프(130)의 상부(C)를 중부(B)로부터 분리하여 펼친 후 본체(110)의 맞은편 외부 면에 부착함으로써 봉지한다. 봉지용 테이프(130)가 서로 십자로 교차하도록 봉지하는 것이 내용물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가장 효율적일 것이나 필요에 따라서는 봉지용 테이프(130)의 상부(C)를 부착하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봉지 형태를 달리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에 봉지용 테이프(130)의 부착 위치를 표시하여 봉지 형태가 정확히 십자가 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봉투는 봉지용 테이프(130)가 부착되는 위치에 돌출부(140)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다르다. 돌출부(140)는 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1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돌출부(140)를 형성하고, 여기에 봉지용 테이프 (130)를 부착함으로써 봉지용 테이프(130)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이 쉽게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봉지용 테이프(130)로부터 강한 인장력이 전달되더라도 돌출부(140)가 이를 완충하여 본체에 전달함으로써 봉지용 테이프(130)가 붙어 있는 부분이 찢어져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40)를 둠으로써 본체(140)를 이루는 물질에 비하여 가격이 비싼 봉지용 테이프(130)를 짧게 형성해도 되므로 비용 절감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돌출부(140)는 봉지용 테이프(130)가 부착되는 앞장뿐만 아니라 뒷장에도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앞장과 뒷장을 겹쳐놓으면 완전히 중첩한다. 이는본체(110)를 제조함에 있어서 앞장과 뒷장을 동시에 재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렇게 함으로써 봉지용 테이프(130)를 더욱 절감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사시도이고, 도 10a는 펼쳐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Xb-Xb'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1a는 접어놓은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투의 봉지용 테이프의 평면도이고, 도 11b는 XIb-XI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봉투는 봉지용 테이프(160)가 돌출부(140)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다는 점과 봉지용 테이프(160)의 구조가 다르다는 점이 제3 실시예와 다르다. 봉지용 테이프(160)를 돌출부(140)의 내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봉지용 테이프 (160)의 구조를 도 10a 내지 도 11b와 같이 변형시킨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봉지용 테이프(160)는 제1 기재(161)와 제2 기재(163), 제1 접착층(162)과 제2 접착층(164)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접착층(162)은 제1 기재(161)의 아래 면에 도포되어 접착되어 있고, 제2 접착층(164)은 제2 기재(163)의 윗면에 도포되어 접착되어 있다. 제2 접착층(164)은 제1 기재(161)와도 부분적으로 접착하여 제1 기재(161)와 제2 기재(163)를 연결하고 있다. 제1 기재(161)는 하부(A), 중부(B) 및 상부(C)에까지 걸쳐 있고, 제2 기재(163)는 상부(C)만을 구성한다. 제1 접착층(162)이 도포되어 있는 부분이 하부(A)로서 봉투(100)의 돌출부(140)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봉지용 테이프(160)는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C)가 접혀져서 중부(B) 및 하부(A)의 윗면에 임시로 접착되어 있는 상태로 보관되다가 봉투(100)를 봉지할 때 비로소 펼쳐져서 봉투 본체(110) 또는 돌출부(140)에 접착된다. 제2 접착제층(164)은 상부(C)를 중부(B) 및 하부(A)의 윗면에 임시로 접착시키고 있다가 봉투(100)의 입구를 봉지할 때에는 봉지용 테이프(160)의 상부(C)를 봉투 본체(110)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접혀져 있는 첨단(164)은 중부(B) 및 하부(A)에 임시로 접착되어 있는 상부(C)를 중부(B) 및 하부(A)로부터 분리할 때 취급자가 용이하게 상부(C)의 끝부분을 잡을 수 있도록 형성해 둔 것이다. 제2 접착제층(164)은 제2 테이프 기재(163)의 윗면 및 제1 테이프 기재(161)의 아래 면과는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강하게 접착되어 있고, 제1 테이프 기재(161)의 윗면과는 반복적인 부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약하게 접착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테이프 기재(161)의 윗면은 이형제 처리가 되어 있다.
한편, 봉지용 테이프(160)의 하부(A)는 두 갈래로 이루어져 봉투 본체(110) 또는 돌출부(140)의 내면과 외면 양쪽과 동시에 접착될 수 있다.
위에서는 비록, 이 발명의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발명은 위에서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들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봉지용 테이프를 봉투 입구에 설치해 둠으로써 내용물이 채워진 봉투의 입구를 용이하게 봉지할 수 있다. 또한, 봉투의 용량을 100% 활용할 수 있어서 자원이 절약되고, 봉투의 봉지를 위하여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쓰레기 봉투의 경우에는 봉지시에 겪어야 하는 고통이 경감된다.

Claims (5)

  1. 내부에 소정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고 상기 내용물을 입출하기 위한 입구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입구 주변에 부착되어 있는 1개 이상의 봉지용 테이프
    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용 테이프는 상기 본체에 부착되어 있는 하부, 상기 하부와 연결되어 있는 중부, 상기 중부와 연결되어 있고 접착면을 가지는 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의 접착면은 상기 중부 및 하부 중의 적어도 일부와 임시 접착되어 있는 봉투.
  2. 제1항에서,
    상기 봉지용 테이프는
    테이프 기재,
    상기 테이프 기재의 제1면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와 접착되어 있는 제1 접착제층,
    상기 테이프 기재의 상기 제1면 중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형제층 및
    상기 테이프 기재의 상기 제1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접착제층
    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프 기재의 상부는 접혀져서 상기 중부와 마주하고 있고, 상기 제2 접착제층은 상기 이형제층에 임시 접착되어 있는 봉투.
  3. 제2항에서,
    상기 테이프 기재의 상부 첨단부는 접혀져서 상기 테이프 기재 상부의 나머지 부분과 마주보고 있는 봉투.
  4. 제1항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입구 반대편을 밀봉하기 위하여 형성한 밀봉띠를 가지며, 상기 밀봉띠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본체를 앞장과 뒷장으로 구분할 때, 상기 봉지용 테이프는 상기 앞장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봉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입구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봉지용 테이프의 하부는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어 있는 봉투.
KR1020010077841A 2001-12-10 2001-12-10 간편한 입구 봉지 수단을 가지는 봉투 KR20030047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841A KR20030047368A (ko) 2001-12-10 2001-12-10 간편한 입구 봉지 수단을 가지는 봉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841A KR20030047368A (ko) 2001-12-10 2001-12-10 간편한 입구 봉지 수단을 가지는 봉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161U Division KR200266737Y1 (ko) 2001-12-11 2001-12-11 간편한 입구 봉지 수단을 가지는 봉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368A true KR20030047368A (ko) 2003-06-18

Family

ID=2957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841A KR20030047368A (ko) 2001-12-10 2001-12-10 간편한 입구 봉지 수단을 가지는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73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8851A (en) Adhesive tape bag closure
US4982845A (en) Resealable enclosure
US5180059A (en) Package of sanitary tampon
MY138651A (en) individual package of absorbent article
JPH01254557A (ja) 物品収納袋
KR200266737Y1 (ko) 간편한 입구 봉지 수단을 가지는 봉투
JPH03162247A (ja) チャック〔登録商標〕付袋体
KR20030047368A (ko) 간편한 입구 봉지 수단을 가지는 봉투
JPS624062A (ja) 紐付袋
JP3257296B2 (ja) 紙 袋
JP3007092U (ja) 繰り返し開封できる緩衝袋
JP4138149B2 (ja) 封止ラベル付き包装体
FR2801571B1 (fr) Feuille d'emballage refermable et emballage refermable la comportant
JP3063970U (ja) 開封された包装体の封止ラベル
JPH08207940A (ja) 包装袋
CN210527255U (zh) 新型食品包装袋
KR0145461B1 (ko) 위생제품 포장체
JPH0330257Y2 (ko)
JPH10147351A (ja) 袋状包装容器
JPH02242750A (ja) 合成樹脂フィルム製袋
JPS6013793Y2 (ja) 包装用袋体
JPS6213965Y2 (ko)
JP2540059Y2 (ja) 包装材
JPH0738150Y2 (ja) 荷物用袋
CN108688922A (zh) 一种便于密封的纸包装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