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454A - 취입 랜스 노즐 - Google Patents

취입 랜스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454A
KR20030046454A KR10-2003-7003810A KR20037003810A KR20030046454A KR 20030046454 A KR20030046454 A KR 20030046454A KR 20037003810 A KR20037003810 A KR 20037003810A KR 20030046454 A KR20030046454 A KR 2003004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all
central
settlement
lance nozzle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자꿰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자꿰 토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꿰 토마스 filed Critical 자꿰 토마스
Publication of KR2003004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45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06Lances or inj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Nozzle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Furnace Details (AREA)
  • Furnace Housings, Linings, Walls, And Cei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반 가스를 공급하는 중심 관(2), 냉각 유체 유입용의 내부 관 (5), 냉각 유체 배출용의 외부 관(10), 열교환 공간(13) 및 교반 가스를 전방 벽(3)의 각 오리피스(4)로부터 배출하는 배출 도관(15)을 포함하는 취입 랜스 노즐 (1)에 관한 것으로, 전방 벽(12)은 중심 오리피스(8)를 향한 중심 침하부(16)를 구비하고 침하부의 높은 곳과 침하부의 기부 사이에서 비율이 0.35 이상이고, 상기 열교환 공간이 다소 일정한 공간을 관통하는 냉각 유체의 관통 속도를 얻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냉각 유체 관통용 단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취입 랜스 노즐{BLOWING LANCE NOZZLE}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의 취입 랜스 노즐이 오랜 시간동안 공지되었다. 유럽 특허 공개 제0 340 207호, 국제 특허 공개 제97/000973호 및 미국 특허 제4,432,534호에 개시된 취입 랜스 노즐이 실시예의 방법을 통해서 인용되었다.
강을 제조하는 전로 조를 산소를 분사하여 교반시키기 위해서, 랜스 노즐은 약 1400℃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조로부터 1 내지 2.5m 떨어진 거리에서 작동한다. 이러한 작동 조건하에, 노즐의 온도는 400℃ 까지는 빠르게 증가할 수 있고 이 분위기에서 대략 20분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그 다음에, 랜스가 철회될 때, 노즐은 대기 온도, 즉 20℃로 빠르게 냉각된다.
따라서 노즐 내부의 벽을 따라서 높은 속도로 유동하는 냉각 유체와의 효과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아주 우수한 열전도체 재료, 예를 들면 구리로 랜스 노즐의 전방 벽을 구축하기 위한 설비가 제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랜스 노즐은 극도로 임계적인 가열 조건에서의 변화에 노출된 벽의 전체 표면에 걸쳐서 균일하지 않은 냉각을 제공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미 공지되었다. 이는 벽의 다양한 영역 사이에서 기계적 신장을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계속하여 국부적으로 압력이 떨어진 냉각 유체에서 캐비테이션 현상 (cavitation phenomena)이 종종 관찰되었다. 이러한 캐비테이션은 냉각 유체와 냉각될 벽 사이에서 부족한 냉각을 야기하였고, 열 교환기가 액상과 고상 사이에서보다 기상과 고상 사이에서 훨씬 더 우수함을 보였다.
따라서 노즐의 외부 전방 벽에 약간의 침하부를 형성시킴으로써 랜스 노즐내부에서 냉각 유체의 유동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이루어졌다(일례로 미국 특허 제4,432,534호 및 국제 특허 공개 제96/23082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특히 노즐의 중심 영역에서 열교환 표면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럽 특허 공개 제0340207호에 개시된 랜스 노즐의 중심 영역에는, 냉각 유체를 2차로 분사하도록 지향되어 있는 큰 침하부가 제공되어 있는데, 이는 유체 유동시 난류를 유발시킨다.
본 발명은 조(bath)를 교반시키기 위한 취입(吹入) 랜스 노즐에 관한 것으로,
교반 가스를 공급하고, 조를 향하여 거꾸로 돌려진 일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추고 있는 제1 전방 벽에 의하여 폐쇄된 중심 관과,
냉각 유체 관통용의 제1 환상 공동(空洞)을 중심 관과 함께 형성하고, 조를 향하여 거꾸로 돌려진 일단부가 중심 개구와 제1 전방 벽에 설치된 개구마다 하나의 관통 오리피스를 구비한 제2 전방 벽에 의하여 폐쇄된 내부 관과,
냉각 유체 관통용의 제2 환상 공동을 중심 관과 함께 형성하고, 조를 향하여 거꾸로 돌려진 일단부가 제1 전방 벽에 설치된 개구마다 하나의 배출 오리피스를 구비한 제3 전방 벽에 의하여 폐쇄된 외부 관과,
한편으로는 제2 전방 벽과 제3 전방 벽 사이에 위치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중심 개구와 제2 환상 공동 사이에 위치해 있고, 안에서 냉각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공간과,
제1 전방 벽의 개구를 떠나서 대응하는 배출 오리피스까지 진행하는 교반 가스용 배출 도관으로서, 냉각 유체가 통과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관통 오리피스를 관통하여 통과하는 배출 도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세부 사항들 및 특징적 요소가 아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밝혀질 것이며, 이러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입 랜스 노즐의 축방향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변형된 실시예의 축방향 단면을 보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에 필요한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랜스 노즐을 성세히 설명하고 있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당히 많은 횟수의 연속 사용중에도 가해지는 높은 응력에 견딜 수 있고 제조하기에 간편하고 비용에 있어서도 저렴한 랜스 노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중심 개구쪽을 향하고 있는 침하부의 높은 곳과 침하부의 기부 사이의 비율이 0.35 이상인 중심 침하부를 제3 전방 벽이 구비하고, 열교환 공간을 관통하는 냉각 유체의 관통 속도가 침하부의 존재하에 대략 일정하도록 하기 위해 열교환 공간이 실질적으로 일정한 냉각 유체 관통용의 단면을 구비하는, 서론에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취입 랜스 노즐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가 해결되었다.
그러한 침하부를 통하여, 열교환 표면은 조로부터 나오는 열 전방의 동일한 표면과 비교하여 크게 증가하였고, 유체 내에서 난류 또는 캐비테이션이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바람직하게, 중심 침하부에서의 침하부의 높은 곳과 침하부의 기부사이의 비율은 0.4 이상, 특히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이상이다.
"냉각 유체 관통용 단면"이란 열교환 공간 내의 냉각 유체 유동 방향에 수직하게 취해진 단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일정한 유속에서, 유속/단면 비율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따라서 유체의 관통 속도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주어진 관통 속도에서, 그리고 냉각될 전방 벽의 임계 온도에서, 일반적으로 물인 냉각 유체에서 발생하게 되는 캐비테이션 현상의 위험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 지시된 전방 벽 온도를 위해서 액체 유동의 관통 속도가 8과 12m/sec 사이의 범위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은 이러한 단면의 표면 영역이 10% 보다 큰 한계 범위 내에서 변화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랜스 노즐은 중심 축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관통 도관을 포함하고, 중심 침하부가 이러한 도관의 배출 오리피스로부터 연장한다. 따라서 침하부의 기부는 바람직하게 최대이고 침하부에서의 열교환 효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향상된 방법을 통해서, 제3 전방 벽은 외부 직경을 구비하고, 침하부의 기부는 적어도 "0.25 × 외부 직경",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33 × 외부 직경"과 동등한 직경을 구비한 원(circle)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중심 침하부는 강도를 재강화시키기 위해서 노즐의 벽에 제공된 작은 중심 중공이 결코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3 전방 벽은 원추형인 중심 침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향상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방 벽은 중심 개구 둘레에 제1 전방 벽을 향하여 지향된 절두 원추형의 형태인 중심 변형부를 구비한다. 원추형과 절두 원추형이 공통 축선(common axis)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추형인 중심 침하부는 이러한 공통 축과 절두 원추형인 중심 변형부 사이에 형성된 각도보다 큰 각도를 상기 축과 함께 형성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심지어 제3 전방 벽의 중심 침하부와 제2 전방 벽의 중심 변형부 사이에 위치한 열교환 공간에서 단면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유동 유체의 관통 속도도 역시 전체 제3 전방 벽을 따라 얻어진 것과 동등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침하부는 높은 내열성을 가진 재료로 제조된 보호 스크린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어 씌워진다. 이는 중심 침하부에 의해 이동되고 그에 대항하여 죄어지고 따라서 용접하지 않고 고정될 필요가 있는 디스크의 형태인 플레이트일 수 있다. 냉각 유체와 제3 전방 벽 사이의 열교환은 변화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면서 제3 전방 벽의 표면 영역의 주요 부분이 과도하게 과열되는 것으로부터 보호를 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랜스 노즐의 다른 실시예들이 첨부된 청구범위를 통해서 개시되었다.
다수의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인다.
도 1은 취입 랜스 노즐(1)을 도시하고 있다. 노즐은 교반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중심 관(2)을 포함한다. 이러한 중심 관(2)은 설명된 실시예에서 다수의 개구 (4)가 제공된 전방 벽(3)에 의해 폐쇄된다.
내부 관(5)은 중심 관(2) 둘레에 동축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관은 화살표(F1)의 방향으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 환상 공동 (6)을 그들 사이에 형성한다. 또한, 내부 관(5)은 분리기로서 언급된 전방 벽 (7)에 의해 폐쇄된다. 이 전방 벽(7)에는 중심 관(2)에서 각 개구(4)와 직렬 상태로 놓인 중심 개구(8)와 오리피스(9)가 제공된다.
외부 관(10)은 중심 관 둘레에 동축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외부 관은 일반적으로 강으로 제조되고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화살표(F2) 방향으로 냉각수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환상 공동(11)이 내부 관(5)과 함께 형성된다. 이러한 외부 관(10)은,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교반될 조를 향하고 있고, 임계 열 응력을 받는 전방 벽(12)에 의해 폐쇄된다. 내부 관(5)의 전방 벽(7)과 외부 관(10)의 전방벽(12) 사이에 설치된 열교환 공간(13)을 관통하여 통과하는 냉각수와 가열된 전방 벽(12) 사이에서 가능한 한 효율적인 열교환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방 벽은 우수한 열 전도체인 재료, 예를 들면 구리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예와 같이, 공동(6)으로부터 나오는 냉각수가 열교환 영역(13)의 중심 개구(8)를 관통하여 통과한다. 외부를 향하여, 즉 공동(11)을 향하여 화살표(F3) 방향으로 유동한다.
또한 전방 벽(12)에는, 전방 벽(3)에 제공된 각 개구(4)와 직렬로 그리고 전방 벽(7)에 제공된 각 통로 오리피스(9)와 직렬로 배열된 배출 오리피스(14)가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된 각각의 오리피스 및 개구에는 교반 가스를 랜스 노즐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배출 도관(15)이 배열된다. 이러한 도관은 내식 재료, 예를 들면 청동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랜스 노즐의 축(9)에 관계하여 비스듬하게 지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외부 전방 벽 (12)에는 그의 중심부에 중심 개구를 향하여 지향되는 원추형 침하부(16)가 제공된다. 이러한 침하부는 원추형(h) 내부 벽의 높이와 기부(基部) 직경(B) 사이의 비율이 0.35이상이 되도록 충분히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된 경우에서, 이러한 비율은 대략 0.5와 동일하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랜스 노즐이 받게되는 동일한 열 전방을 위해서 열교환 영역(13)이 크게 증가되고, 따라서 전방 벽(12)의 냉각 효능이 증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침하부(16)가 배출 도관(15)으로부터 연장하고 따라서 기부가 최대인 원추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침하부의 기부(B)와 전방 벽(12)의 외부 직경(D) 사이의 비율은 대략 0.33이다. 또한, 깊은 침하부를 통해서, 열응력을 가장 많이 받은 외부 전방 벽의 중심 영역은 조의 표면으로부터 가능한 최대한의 범위로 떨어져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랜스 노즐의 파라미터(h, b)를 측정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축(19)에 수직한 랜스 노즐의 하부 접선면(30)과 침하부의 상부에 접하는 평행면(31) 사이에서 높이(h)가 계산된다. 예를 들면 도 2의 결합 막대(tie rod)(20)와 같은 그의 상부에 침하부에 적합하지 않은 요소가 제공된다면, 평면(31)은 전혀 다른 요소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구비하게 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그 다음에 침하부의 상부는 측정시에 고려되어야 할 가상 지점으로 간주된다.
기부(B)는 하부 접선면(30)에 위치되어진다. 이는 평면(30)과 침하의 내면 (34)의 연장부(33) 간의 상호 교차에 의한 라인(32)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다. 따라서, 둥근 부품은 고려되지 않는다.
도 1을 통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벽(12)의 외부 직경의 값은 최대가 된다.
물 공급부와 물 배출부 사이에서 분리기로써 사용되는 전방 벽(7)은 전방 벽 (3)을 향하여 지향된 중심 변형부(17)를 구비한다. 이러한 변형부(17)는 중심 개구 (8)를 관통하여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절두 원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절두 원추형부(17)는 침하부(16)에 의해 형성된 원추형과 동축을 이루고, 그들의 공통 축이 랜스 노즐의 축이 된다. 침하부(16)의 원추형은 축과 상기 축까지의 절두 원추형부(17)의 가상 연장부 사이에 형성된 각보다 큰 각을 축(9)과함께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절두 원추형부(17)는 그의 기부에서보다 그의 정점에서 원추형 (16)으로부터 더욱 떨어진다. 그러나, 그의 정점에서, 절두 원추형부는 더욱 좁게 된다. 따라서, 전방 벽(7)과 전방 벽(12) 사이에 위치하고, 냉각 유체의 유동 방향에 수직한 평면에서 측정된 열교환 공간의 단면은 도 1에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중심 침하부(16)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배출 도관(15)에서, 냉각 유체는 열교환 공간(13) 내의 도관들 사이에 완곡하게 위치한 틈을 통해서만이 관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점을 유지하기 위해서, 냉각 유체용의 일정한 유동 단면 및 주어진 유속에서 일정한 유동 속도, 분리기로써 사용된 전방 벽(7)의 내부 팽창부(18)가 각각의 틈에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랜스 노즐은 열교환 영역(13)의 전체 범위에 걸쳐서 냉각 유체용의 일정한 유동 단면을 제공하기 위해 배열된다. 제공된 물 공급 유속에서 유속(d)과 랜스가 작용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는 단면(S) 사이의 비율이 얻어지고, 이러한 비율은 m/sec로 표현된 유동 유체의 관통 속도와 일치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유동 속도 및 단면은 대략적으로 일정한 8과 12m/sec 사이로 되는 유속을 얻기 위해서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캐비테이션 현상을 가능한 최대한으로 피할 수 있고, 노즐에서 얻는 열교환 효능이 크게 향상된다.
도 2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랜스 노즐은 침하부(16)가 더욱 가능한 사실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하나와는 구별됨을 보이고 있다. 침하부(16)의 상부는 개구 (18)를 관통하여 돌출하고, 심지어는 전방 벽 3과 7 사이의 공간에 있게 되고, 0.8이상인 h 내지 B의 비율을 얻을 수 있다. 더 우수한 침하부(16)의 기계적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침하부의 상부와 중심 관(2)의 전방 벽(3) 위 또는 내에 배열된 너트 사이에 지지요소, 예를 들면 결합 막대(2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에서, 중심 침하부(16)는 내열 플레이트(21)로 완전히 덮어 씌워져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 냉각수와 침하부(16)에 의해 형성된 원추형 사이에서 불변의 열교환을 제공하고, 랜스 노즐의 중심부가 조 내의 열로부터 열적으로 절연되고, 열교환 효능이 증가되고 랜스 노즐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얻는다.
도 2에서 설명된 일실시예에서, 플레이트(21)는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이는 내화 재료, 예를 들면 세라믹, 또는 내화 강으로 이루어진 외부 층과 예를 들면 섬유질 알루미나와 같은 열적으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내부 층으로 구비된다.
설명된 일례에서, 이러한 플레이트는 플레이트(21)를 관통하여 통과하는 나사산 막대(23)의 머리부(22) 사이에 간단히 죄어지고 고정 막대(20)의 두부에 제공된 나사산으로 체결된다. 물론, 이러한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다른 방법들이 제공될 수 있다.
비교 시험이 강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조 내의 동일 조건하에 실행되었다.
이 시험은 세 개의 경쟁사 제품(아래 표에서 시험 Ⅰ내지 Ⅲ)인 종래 노즐로 실행되었고, 본 발명자에 의해 제조된 노즐이 비율 h/B = 0.15 및 비율 D/B = 0.15(시험 Ⅳ)인 약간의 중심 침하부를 구비하였고, 비율 h/B = 0.44 및 비율 D/B = 0.30(시험 Ⅴ)인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을 구비하였다.
시험
평균 사용 수명 130 130 223 282 366
노즐의 사용 수명이 이러한 노즐을 폐기하기 전에 교반하는 것이 가능한 다수의 주물에 대하여 산출되었다. 이 표를 통해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평균 사용 수명은 예상하지 못할 정도로 개선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경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12)

  1. 교반 가스를 공급하고, 조(bath)를 향하여 거꾸로 돌려진 일단부가 적어도 하나의 개구(4)를 갖추고 있는 제1 전방 벽(3)에 의하여 폐쇄된 중심 관(2)과,
    냉각 유체 관통용의 제1 환상 공동(空洞)(6)을 중심 관과 함께 형성하고, 조를 향하여 거꾸로 돌려진 일단부가 중심 개구(8)와 제1 전방 벽(3)에 설치된 개구(4)마다 하나의 관통 오리피스(9)를 구비한 제2 전방 벽(7)에 의하여 폐쇄된 내부 관(5)과,
    냉각 유체 관통용의 제2 환상 공동(11)을 중심 관(5)과 함께 형성하고, 조를 향하여 거꾸로 돌려진 일단부가 제1 전방 벽(3)에 설치된 개구(4)마다 하나의 배출 오리피스(14)를 구비한 제3 전방 벽(12)에 의하여 폐쇄된 외부 관(10)과,
    한편으로는 제2 전방 벽(7)과 제3 전방 벽(12) 사이에 위치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중심 개구(8)와 제2 환상 공동(11) 사이에 위치해 있고, 안에서 냉각 유체가 유동하는 열교환 공간(13)과,
    제1 전방 벽(3)의 개구(4)를 떠나서 대응하는 배출 오리피스(14)까지 진행하게 하는 교반 가스용 배출 도관으로서, 냉각 유체가 통과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관통 오리피스(9)를 관통하여 통과하는 배출 도관(15)을 포함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1)에 있어서,
    상기 제3 전방 벽(12)은 중심 개구(8)쪽을 향하고 있는 침하부의 높은 곳과 침하부의 기부 사이의 비율이 0.35 이상인 중심 침하부(16)를 구비하고, 열교환 공간(13)은 열교환 공간을 관통하는 냉각 유체의 관통 속도가 침하부의 존재하에 대략 일정하도록 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냉각 유체 관통용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bath)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중심 축(19) 둘레에 배치된 다수의 관통 도관(15)을 포함하고, 상기 중심 침하부(16)가 파이프의 배출 도관(14)으로부터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제3 전방 벽은 외부 직경을 구비하고, 상기 침하부의 기부는 적어도 "0.25 × 외부 직경"과 동등한 직경을 구비한 원(circ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방 벽(7)은 중심 개구(8) 둘레에, 상기 제1 전방 벽(3)을 향하여 지향된 절두 원추형인 중심 변형부 (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침하부(16)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추형 및 상기 절두 원추형은 공통 축선(common axis)(19)을 갖고 상기 원추형의 중심 침하부(16)는 상기 축과 절두 원추형의 중심 변형부(17) 사이에 형성된 각도보다 더 큰 각도를 상기 축과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침하부(16)는 중심 개구(8)를 통해서 상기 제1 전방 벽(3)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 침하부(16)의 상부를 상기 제1 전방 벽(3)에 고정하는 지지 요소(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침하부(16)가 고내열성 재료로 제조된 보호 스크린(21)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어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스크린(21)이 상기 중심 침하부(16)의 상부에 고정된 막대(23) 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틈에 의해 완곡하게 분리된 다수의 관통 도관(15)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방 벽은 상기 틈 각각에 내부로 향한 팽창부(18)를 각각의 틈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침하부의 높은 곳과 침하부의 기부의 비율이 0.4 이상, 바람직하게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12. 열교환 공간(13)에는 물이 소정 유속으로 공급되고, 유체 유체의 관통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유속과 상기 단면(d/s)의 비율이 8과 12m/sec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를 교반하기 위해 사용된 취입 랜스 노즐.
KR10-2003-7003810A 2000-09-15 2001-09-11 취입 랜스 노즐 KR200300464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E2000/0588A BE1013686A3 (fr) 2000-09-15 2000-09-15 Nez de lance de soufflage.
BE2000/0588 2000-09-15
PCT/BE2001/000148 WO2002022892A1 (fr) 2000-09-15 2001-09-11 Nez de lance de souff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454A true KR20030046454A (ko) 2003-06-12

Family

ID=389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810A KR20030046454A (ko) 2000-09-15 2001-09-11 취입 랜스 노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849228B2 (ko)
EP (1) EP1325161B1 (ko)
JP (1) JP2004524437A (ko)
KR (1) KR20030046454A (ko)
CN (1) CN1201024C (ko)
AT (1) ATE294245T1 (ko)
AU (1) AU2001289429A1 (ko)
BE (1) BE1013686A3 (ko)
BR (1) BR0113900A (ko)
DE (1) DE60110446D1 (ko)
WO (1) WO20020228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2274B2 (en) 2005-12-07 2008-07-22 Berry Metal Company Metal making lance slag detection system
US20070246869A1 (en) * 2006-04-21 2007-10-25 Berry Metal Company Metal making lance tip assembly
JP5379073B2 (ja) * 2009-06-09 2013-12-25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冷却ノズル及びそれを用いた冷却方法並びに脆性材料基板の割断方法
BRPI1102243B1 (pt) * 2011-05-20 2018-04-17 Magnesita Refratários S/A Lança refrigerada para injeção em vasos metalúrgicos
BE1023685B1 (fr) * 2016-05-25 2017-06-14 Soudobeam Sa Nez de lance de soufflage
BE1023609B1 (fr) * 2016-04-15 2017-05-16 Soudobeam Sa Nez de lance de soufflage
BE1023582B1 (fr) 2016-04-15 2017-05-09 Soudobeam Sa Nez de lance de soufflage
WO2017178608A1 (fr) 2016-04-15 2017-10-19 Soudobeam Sa Nez de lance de soufflag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337989U (de) * 1974-01-17 Thyssen Huette A Ag Blaslanze mit gekühltem Düsenkopf für das Sauerstoffaufblasverfahren
AT313945B (de) * 1969-08-14 1974-03-11 Voest Ag Düsenkopf für Sauerstoffblaslanzen und Brennerlanz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E2712745C2 (de) 1977-03-23 1979-03-15 Stahlwerke Peine-Salzgitter Ag, 3150 Peine Lanzenkopf für Frischlanze
FR2521167B1 (fr) 1982-02-10 1987-04-30 Siderurgie Fse Inst Rech Lance d'injection de gaz pour convertisseur metallurgique
JPS61213311A (ja) * 1985-03-18 1986-09-22 Nippon Kokan Kk <Nkk> 転炉吹錬用ランス
DE3509795C1 (de) * 1985-03-19 1986-06-05 Klöckner CRA Technologie GmbH, 4100 Duisburg Wassergekuehlte Blaslanze zum Aufblasen von Sauerstoff auf eine Metallschmelze
AT389710B (de) * 1988-04-25 1990-01-25 Voest Alpine Ind Anlagen Blaslanze
RU2051974C1 (ru) * 1995-01-25 1996-01-10 Александр Леонидович Кузьмин Наконечник кислородно-конвертерной фурмы
JPH08302414A (ja) * 1995-05-10 1996-11-19 Nippon Steel Corp 転炉吹錬用ランスノズル
BE1009743A3 (fr) 1995-06-23 1997-07-01 Thomas Jacques Tuyere de soufflage a oxygene siderurgique.
DE29907794U1 (de) * 1999-05-03 1999-07-22 Impact Ges Fuer Nichteisenmeta Lanzenkopf für eine wassergekühlte Sauerstofflanze
US6217824B1 (en) * 1999-05-20 2001-04-17 Berry Metal Company Combined forged and cast lance tip assembly
US6599464B1 (en) * 1999-10-06 2003-07-29 Bernd Feldhaus Steelmaking lance with integral temperature pro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1013686A3 (fr) 2002-06-04
EP1325161B1 (fr) 2005-04-27
WO2002022892A1 (fr) 2002-03-21
ATE294245T1 (de) 2005-05-15
CN1201024C (zh) 2005-05-11
DE60110446D1 (de) 2005-06-02
BR0113900A (pt) 2003-07-22
CN1457368A (zh) 2003-11-19
US6849228B2 (en) 2005-02-01
EP1325161A1 (fr) 2003-07-09
JP2004524437A (ja) 2004-08-12
AU2001289429A1 (en) 2002-03-26
US20030178186A1 (en) 200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95734B2 (ja) 製鋼用吹き込みアセンブリ
CN101139641B (zh) 在燃烧器板中实现水冷系统的方法及相关装置
SK45494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ineral wool, and mineral wool thereby produced
KR20030046454A (ko) 취입 랜스 노즐
US6234406B1 (en) Blasting nozzle with welded lance head for the agitation of baths
CN1012738B (zh) 喷枪
US20120067983A1 (en) Use of an altitude-compensating nozzle
EP0802262B1 (en) Converter top-blow refining method having excellent decarburization characteristics and top-blow lance for converter
EP0076538B1 (en) Liquid cooled lance for blowing oxygen onto a steel bath
US5571295A (en) Process for cooling of a partial oxidation crude gas
EP0745428B1 (en) Flame spraying burner
US5370309A (en) Liquid cooled nozzle
JP4119336B2 (ja) 多孔バーナー・ランス及び冷鉄源の溶解・精錬方法
JPH1030111A (ja) スカル蓄積防止用製鋼用ランスとスカル清浄方法
JPH0390508A (ja) 支持環に支持された冶金容器用の空気冷却装置
KR100688111B1 (ko) 내화물 구조물의 내화물의 냉각방법 및 냉각장치
KR20050055265A (ko)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의 수냉벽
KR100683461B1 (ko) 내화물 구조물의 내화물의 냉각방법
KR100706590B1 (ko) 내화물 구조물의 내화물의 냉각방법 및 내화물 구조물의 내화물의 냉각용 분무 노즐
US20220003498A1 (en) Sloped sidewall for a furnance
KR0184694B1 (ko) 화염용사용 버너
JP3448599B2 (ja) ランス
RU2058398C1 (ru) Многосопловая головка фурмы
JP2023542557A (ja) セラミック吹込器の流路を有する交換可能な被冷却ノーズ
SU1121294A1 (ru) Фурма доменной печ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