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069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069A
KR20030046069A KR1020010076456A KR20010076456A KR20030046069A KR 20030046069 A KR20030046069 A KR 20030046069A KR 1020010076456 A KR1020010076456 A KR 1020010076456A KR 20010076456 A KR20010076456 A KR 20010076456A KR 20030046069 A KR20030046069 A KR 20030046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airflow
evaporat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욱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6069A/ko
Publication of KR2003004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06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41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near ventilating openings in the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발기로 공급되는 풍량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풍량을 균일하게 하는 별도의 수단을 부가하거나, 또는 풍량의 정도에 따라 에어필터의 조밀도를 달리하는 실시예가 적용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 1, 2에어필터(70,90)의 풍량과잉부위(H)의 피치(P2)를 풍량결핍부위(L)의 피치(P1)에 비해 조밀하게 하거나, 제 1, 2에어필터(70,90)의 공기유입측 또는 공기배출측에 풍량과잉부위(H)의 풍량을 풍량결핍부위로 분산시키기 위한 풍량배분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증발기로 공급되는 풍량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풍량을 균일하게 하는 별도의 수단을 부가하거나, 또는 풍량의 정도에 따라 에어필터의 조밀도를 달리하는 실시예가 적용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과 같이 일측에 디프로스터(defrostor) 취출구(12)와 벤트(vent) 취출구(14)가 각각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그 내부에 내기 또는 외기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기유닛(20)과, 이 송풍기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저온화하는 증발기유닛(30), 이 증발기유닛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송풍기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고온화하는 히터유닛(40)과, 증발기유닛(30)과 송풍기유닛(20) 사이에 설치되어 증발기유닛(30)을 향해 송풍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 1에어필터(50)로 구성된다. 제 1에어필터(50)는 필터케이스(52)에 의해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송풍기 유닛(20)은 도 2에서와 같이 상부 양측에 실내기유입구(23)와 실외기유입구(24)가 형성되고, 실내기유입구(23)와 실외기유입구(24)를 선회하면서 실내기유입구(23)와 실외기유입구(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 전환도어(25)를 갖는 인테이크 유닛(21)과, 이 인테이크 유닛의 하부에 결합 설치되는 스크롤 케이스(22)와, 이 스크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기유입구(23) 또는 실외기유입구(24)로부터 유입되는 축방향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송풍하는 블로어 휠(26) 및 블로어 모터(27)로 구성되며, 상기 실내외기유입구(23,24)와 블로어 휠(26) 사이에 설치되어 실내기유입구(23) 또는 실외기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나 악취등을 제거하는 제 2에어필터(28)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제 1, 2에어필터(50,28)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산과 골이 연속된 굴곡형상을 이루면서, 산과 골에 의해 형성되는 외형두께(t)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외형두께(t)가 일정한 경우, 제 1에어필터(50)는 송풍기유닛(2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제 1에어필터(50)의 하부와, 증발기(31)의 하부 또는 중앙부에 집중되므로 증발기(31)의 열교환 면적이 한정되어 열교환효율이 떨어지고, 증발기(31)의 공기통과량이 적은 부분에는 응축수의 결빙현상이 발생하며, 제 1에어필터(50)의 이물질 포집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 2에어필터(28)는 이로 유입되는 공기가 특정부위로 편중되므로써 이물질의 포집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동일한 이유에 의해 와류발생을 촉진시켜 송풍효율이 저하되며 이로 인해 공기소음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일본국 특개평 11-267433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공조케이스(10)내에 위치하는 제 1에어필터(50)의 풍량과잉부위(H) 두께(도면상 하부측)(t+Δt)를 풍량결핍부위(L) 두께(t)에 비해 두껍게 하므로써 증발기(31)측에 균일한 풍량이 제공되도록 하였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공기가 제1에어필터(50)의 하부측에 집중될 경우 제 1에어필터(50)의 하부측 두께를 상부측에 비해 두껍게 하면, 이를 통하는 공기가 두께 증가분(Δt)만큼 저항을 많이 받게 되므로 공기투과량은 떨어지며, 반대로 제 1에어필터(50)의 상부측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하부측에 비해 공기투과량이 많다. 따라서, 제 1에어필터(50)를 통과한 후의 풍량분포는 균일하게 보정된 상태가 된다.
하지만, 상기 제 1에어필터(50)는 풍량과잉부위(H)의 두께를 두껍게 하므로써 두께의 증가분(Δt) 만큼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과, 제조공정시 두께 증가분(Δt) 만큼의 재료가 추가되고, 이 제 1에어필터(50)에 적합한 필터 케이스를 별도로 설계해야 하므로 제조비용 측면에서도 불리한 조건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에어필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조케이스내에 설치되는 에어필터(제 1에어필터) 구조를 개선하거나 별도의 수단을 부가하여 균일한 패턴의 공기가 증발기로 공급되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테이크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필터(제 2에어필터)의 구조를 개선하거나 별도의 수단을 부가하여 균일한 패턴의 공기가 블로어 휠로 공급되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차량용 송풍기 유닛의 구성도
도 3은 균일한 피치와 균일한 표면두께를 갖는 종래 에어필터의 풍량분포도
도 4는 균일한 피치와 불균일한 표면두께를 갖는 종래 에어필터의 풍량분포도
도 5a, 5b는 균일한 풍량배분이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케이스용 에어필터
도 6a, 6b는 공조케이스측 풍량배분수단의 구성 및 설치상태도
도 7은 풍량배분수단의 상세도
도 8은 균일한 풍량배분이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유닛용 에어필터
도 9는 송풍기유닛측 풍량배분수단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조기 케이스 30 : 증발기유닛
31 : 증발기 70, 90 : 제 1, 2에어필터
80 : 풍향조절날개 82 : 프레임
H : 풍량과잉부위 L : 풍량부족부위
P1 : 풍량결핍부위의 피치풍량 과잉부위의 피치
P2 : 풍량과잉부위의 피치
제시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증발기 유닛의 내부와 송풍기 유닛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 에어필터의 풍량과잉부위의 피치를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하거나, 각 에어필터의 공기유입측 또는 공기배출측에 풍량이 많은 쪽으로부터 풍량이 적은 쪽으로 풍량을 분산시키기 위한 풍량배분수단을 부가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5b는 균일한 풍량배분이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케이스용 에어필터로서, 이 에어필터(이하 "제 1에어필터"라 함)는 공조케이스(10)의 증발기유닛(30)과 송풍기유닛(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증발기유닛(30)을 향해 송풍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1에어필터(70)는 산과 골이 연속되도록 절곡된 형상에 있어서, 풍량과잉부위(H)의 피치(P2)를 풍량결핍부위(L)의 피치(P1)에 비해 조밀하게 한 것이다.
예컨데, 도 5a와 같이 제 1에어필터(70)의 하부측에 풍량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그 부분의 피치(pitch)를 조밀하게 하고, 도 5b와 같이 제 1에어필터(70)의 중앙부위에 풍량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그 부분의 피치(pitch)를 조밀하게 하는 자유로운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풍량과잉부위(H)의 피치(P2)는 공기저항력이 크기 때문에 공기투과량이 적은 반면, 풍량결핍부위(L)의 피치(P1)는 상대적으로 공기 저항력이 작으므로 공기투과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제 1에어필터(70)를 통과한 후의 풍량분포는 균일한 상태가 된다.
도 6a, 6b는 공조케이스측 풍량배분수단의 구성 및 설치상태도로서, 제 1에어필터(70)의 피치는 일정하게 하되, 제 1에어필터(70)의 공기유입측(72) 또는 공기배출측(74)에 풍량과잉부위(H)로부터 풍량결핍부위(L)로 풍량을 분산시키는 풍량분산수단을 설치하는것도 가능하다. 이 풍량분산수단은 풍량과잉부위(H)로부터 풍량결핍부위(L)를 향하는 다수개의 풍향조절날개(80)를 설치하므로써 구성되며, 이 풍향조절날개(80)를 공조케이스(10)내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82)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데, 도 7에서와 같이 프레임(82)은 사각틀 형상으로 되고, 그 내부에 풍향조절날개(80)들을 상하방향으로 배열 설치한 것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날개(80)는 풍량결핍부위(L)를 향해 적정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풍량과잉부위(H)로는 풍량공급을 줄이고, 풍량결핍부위(L)로는 풍량공급을 늘림에 따라 제 1에어필터(70)와 증발기(31)로 향하는 풍량분포가 균일하게 된다. 이를 위해, 예컨데 도 6a와 같이 제 1에어필터(70)의 하단부에 풍량이 과잉 공급되는 경우에는 풍향조절날개(80)를 풍량과잉부위(H)에 한해 설치함과 함께 풍향조절날개(80)의 토출측(84)이 풍량결핍부위(L)인 제 1에어필터(70)의 상부를 향하도록 하거나, 도 6b와 같이 제 1에어필터(70)의 중앙부위에 공기가 집중되는 경우에는 풍향조절날개(80)를 전반적으로 배열하되, 풍향조절날개(80)의 토출측(84)이 제 1에어필터(70)의 상·하부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공조케이스(10)에 설치되는 제 1에어필터(70)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송풍기유닛(20)의 인테이크 유닛(21)내에 설치되는 제 2에어필터(9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데, 도 8과 같이 송풍기유닛(20)의 단면을 보면, 실내기유입구(23) 및 실외기유입구(24)와 블로어 휠(26)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에어필터(90)의 경우, 각유입구(23,24)의 형성위치 및 블로어 휠(26)의 설치방향등의 요인에 의해 제 2에어필터(90)를 통하는 풍량분포가 불균일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와류발생 및 소음증가의 요인이 되었던 바, 제 1에어필터(70)의 경우와 같이 풍량과잉부위(H)의 피치(P2)를 풍량결핍부위(L)의 피치(P1)보다 조밀하게 하거나, 도 9와 같이 제 2에어필터(90)의 공기유입측(92) 또는 공기토출측(94)에 풍량과잉부위(H)로부터 풍량결핍부위(L)로 풍량을 분산시키는 풍량분산수단을 설치하는것도 가능하다. 이 풍량분산수단은 풍량과잉부위(H)로부터 풍량결핍부위(L)를 향하는 다수개의 풍향조절날개(100)를 설치하므로써 구성되며, 이 풍향조절날개(100)를 인테이크 유닛(21)내에 용이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프레임(102)이 포함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증발기 혹은 송풍기로 공급되는 풍량을 에어필터 또는 풍량배분수단에 의해 균일하게 보정하여 주므로써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고, 증발기 표면에서의 응축수 결빙빈도를 줄일 수 있으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1에어필터의 이물질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송풍기유닛측에서는 와류발생을 억제하여 송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기소음을 억제할 수 있고, 제 2에어필터의 이물질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송풍기유닛과 증발기유닛 사이 및 송풍기유닛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여주는 제 1, 2에어필터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 2에어필터(70,90)의 풍량과잉부위(H)의 피치(P2)를 풍량결핍부위(L)의 피치(P1)에 비해 조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송풍기유닛과 증발기유닛 사이 및 송풍기유닛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여주는 제 1, 2에어필터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2에어필터(70,90)의 공기유입측에 풍량과잉부위(H)의 풍량을 풍량결핍부위(L)로 분산시키기 위한 풍량배분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배분수단은 풍량과잉부위(H)로부터 풍량결핍부위(L)를 향하는 다수개의 풍향조절날개(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배분수단은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82)과, 이 프레임의 내부에 풍량과잉부위(H)로부터 풍량결핍부위(L)를 향하도록 배열된 다수의 풍향조절날개(8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010076456A 2001-12-05 2001-12-05 차량용 공조장치 KR20030046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456A KR20030046069A (ko) 2001-12-05 2001-12-05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456A KR20030046069A (ko) 2001-12-05 2001-12-05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069A true KR20030046069A (ko) 2003-06-12

Family

ID=2957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456A KR20030046069A (ko) 2001-12-05 2001-12-05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60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3241A1 (en) * 2006-10-10 2008-04-10 Denso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8723U (ko) * 1986-01-21 1987-07-28
JPH1176729A (ja) * 1997-09-10 1999-03-23 Tennex:Kk 室内空気処理用のフィルタ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8723U (ko) * 1986-01-21 1987-07-28
JPH1176729A (ja) * 1997-09-10 1999-03-23 Tennex:Kk 室内空気処理用のフィルタ部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3241A1 (en) * 2006-10-10 2008-04-10 Denso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6054B1 (en) Decorative panel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ir outlet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N106287948A (zh) 双贯流空调室内机以及双贯流空调
KR101260943B1 (ko) 크린룸용 팬필터유닛
KR100863050B1 (ko) 제습용 공기조화기
EP1316760B1 (en) Decorative panel for air conditioning system, air outlet blow-off unit, and air conditioning system
CN106225063A (zh) 送风组件以及具有其的双贯流空调室内机
JP360900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8278695A (zh) 空气处理模块和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0906327B1 (ko) 응축수 배수 장치를 갖는 친환경 공기조화기
US20090113915A1 (en) Air conditioner
CN106524297A (zh) 空调机及其室内机
KR101568706B1 (ko) 공기조화기
JPH0914742A (ja) 空気調和機
KR10123504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30046069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0234796A (ja) 空気調和機
CN207262677U (zh) 挡风板和空调室内机
CN114440316A (zh) 风道组件和具有其的空气调节设备
KR101165951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
CN107388380B (zh) 空气处理模块及空调器
CN217209560U (zh) 天花机空调器
CN210680712U (zh) 一种轨道车辆空调机组及轨道车辆
CN217994059U (zh) 车载空调室外机及具有其的车辆
CN211650514U (zh) 窗式空调器
CN108386905B (zh) 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