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4108A - 시청환경 조절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청환경 조절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4108A
KR20030044108A KR1020010074461A KR20010074461A KR20030044108A KR 20030044108 A KR20030044108 A KR 20030044108A KR 1020010074461 A KR1020010074461 A KR 1020010074461A KR 20010074461 A KR20010074461 A KR 20010074461A KR 20030044108 A KR20030044108 A KR 20030044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environment
home network
network server
program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7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4108A/ko
Publication of KR2003004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1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1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home appliance, e.g. lighting, air conditioning system, met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방법은, 원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튜너로 선택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시청환경 정보를 필터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시청환경 정보를 홈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시청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를 동작시켜 적절한 제어 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된 시청환경 조절장치를 동작시켜 시청자의 주위 환경을 상기 프로그램의 제작 환경에 가깝게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 시스템은, 원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튜너부와, 상기 튜너부에서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환경 정보를 추출하는 필터부로 구성된 DTV 수신기와; 상기 필터부에서 추출된 시청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합당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시청자의 주위 환경을 상기 프로그램의 제작 환경에 가깝게 조절하는 시청환경 조절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청환경 조절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ircumstances while watching TV}
본 발명은 시청환경 조절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방송에서 제공되는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시청자에게 보다 현장감 있는 시청환경을 제공하는 시청환경 자동 조절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TV는 방송프로그램에 실린 방송신호를 일련의 신호처리를 통해 시청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로서, 연령 또는 계층에 상관없이 시청을 통해 각종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멀티미디어 매체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TV가 가지는 기본적인 역활중 하나는 시청환경과 제작 환경간의 시간적·공간적 거리를 좁혀준다는 것이다. 즉, 시청자는 방안에 가만히 앉아서 유명 선수가 참가하는 운동경기를 TV를 통해 관람할 수 있고, 해외 유명 관광지의 아름다운 광경을 TV를 통해 감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오디오(audio)와 비디오(video) 정보만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였다. 따라서, 시청자에게 보다 생생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노력 즉, 시청환경을 제작 환경에 보다 가깝게 해주려는 노력은 주로 오디오와 비디오에 관한 기술 개발에 집중되었고, 그 결과 컬러 영상 기술이라든가 스테레오 음성 기술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오디오와 비디오만을 이용한 방법은 인간의 오감중 청각과 시각에만 의존하는 것이므로, 시청자에게 실제 제작 환경과 같은 현장감을 주기에는 그 한계가 있었다.
한편, 오늘날 일반화되고 있는 데이터 방송에서는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환경 정보를 별도로 전송한다. 즉,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 이외에 별도의 데이터 콘텐츠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이를 이용할 경우 시각과 청각이 아닌 오감을 이용하여 시청환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여건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데이터 방송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콘텐츠 정보에 포함된 시청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시청환경조절기기를 조절함으로써, 시청자에게 보다 더 생생한 현장감을 제공하는 시청환경 자동 조절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DTV 수신기111: 튜너부
112: 복조부113: 필터부
120: 홈 네트워크 서버130, 130a~130n: 시청환경 조절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방법은, 원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튜너로 선택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시청환경 정보를 필터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시청환경 정보를 홈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시청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Home Network Server)를 동작시켜 적절한 제어 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된 시청환경 조절장치를 동작시켜 시청자의 주위 환경을 상기 프로그램의 제작 환경에 가깝게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 시스템은, 원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튜너부와, 상기 튜너부에서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환경 정보를 추출하는 필터부로 구성된 DTV(Digital Television) 수신기와;
상기 필터부에서 추출된 시청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합당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시청자의 주위 환경을 상기 프로그램의 제작 환경에 가깝게 조절하는 시청환경 조절장치; 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 시스템은, 원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튜너부(111)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를 원래의 방송 신호로 복원하는 복조부(112)와, 상기 복원된 방송신호에서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환경 정보를 추출하는 필터부(113)로 구성된 DTV 수신기(110)와; 상기 필터부(111)에서 추출된 시청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합당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120);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12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시청자의 주위 환경을 상기 프로그램의 제작 환경에 가깝게 조절하는 시청환경 조절장치(13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튜너부(111), 복조부(112) 그리고 필터부(113)는 DTV 수신기(110) 내부에 설치되지만,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120)는 DTV 수신기(110) 내에 설치될 수도 있고 외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1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전 제품(130: 130a~130n)이 연결되며, 상기 가전 제품(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는 편의상 홈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각종 가전 제품을 총칭하여 '시청환경 조절장치'라 하였다. 한편,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120)와 상기 시청환경 조절장치(130
)는 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채널과 적외선 또는 RF(radio frequency) 신호 등과 같은 무선채널로 연결된다.
특히,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130)는 연결된 시청환경 조절장치(12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 예컨대, RS232C, IrDA 등을 지원한다. 만약, 시청환경 조절장치(130)에서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단순히 그 동작만을 제어한다. 즉, 해당 조절장치(130)의 전원을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이른바, 스위칭(switching) 제어를 수행한다.
그럼,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방법에 대해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특정 채널의 프로그램 수신을 명하게 되면, DTV 수상기(110) 내의 튜너(111)는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여, 해당 채널에 실려있는 방송신호중 특정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수신한다(210).
이후, TV 수상기(110)에서는 복조기(112)를 통하여 상기 튜너(111)에서 수신된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하고, 필터(113)를 통하여 상기 신호를 오디오, 비디오 정보 및 데이터 컨텐츠 정보로 분리한다(220). 상기 데이터 컨텐츠 정보에는 프로그램에 관련된 여러 정보가 담겨있는데, 그중에는 시청자에게 보다 현장감 있는 시청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시청환경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한편, 분리된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는 각각 DTV 모니터와 DTV 스피커로 출력되고, 분리된 상기 시청환경 정보는 추합되어 홈 네트워크 서버(120)로 전송된다(230).
이때, 홈 네트워크 서버(120)는 각종 가전 제품과 연결되어 있는 서버로써,입력된 시청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120)에 연결된 각종 가전 제품(130)의 작동을 제어한다(240). 이러한 홈 네트워크 서버(120)는 도 1과 같이 외부에 구축된 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고, DTV 수상기(110)내에 마련된 제어장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120)가 DTV 수상기(110)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는 데이터 통신장치 예컨대, 모뎀이나 랜 등을 이용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120)와 TV 수상기(110)를 인터페이스 해줄 필요가 있다.
이후, 홈 네트워크 서버(120)는 입력된 시청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된 각종 시청환경 조절장치(130)를 구동시킨다(250). 예컨대, 상기 프로그램에 '추운 겨울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면, 에어컨(130a)을 가동시켜 시청자로 하여금 '서늘함'을 느끼게 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더운 여름 장면'이 포함되어 있다면, 난방기(130b)를 가동시켜 시청자로 하여금 '후덥지근함'을 느끼게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이 '공포 영화'인 경우에는 에어컨(130a)과 선풍기(130e)를 동시에 가동시켜 시청자로 하여금 '으스스한' 느낌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방법 및 시스템은 단순한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은 청각과 시각에 의해서만 시청환경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온도, 습도, 조명, 바람, 냄새 등과 같이 인간의 오감으로 느낄수 있는 여러 자극을 발생시켜 시청환경을 조절하므로, 시청자는 마치 자신이 직접 실제 제작 환경에 노출된 것과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이상, 전술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개량, 대체 및 부가 등이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야만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청환경 조절방법 및 시스템은, 단순히 오디오 및 비디오와 같은 청각과 시각에 의해서만 시청환경을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온도, 습도, 조명, 바람, 냄새 등과 같이 인간의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여러 자극을 발생시켜 시청환경을 조절한다. 따라서, TV 프로그램을 보고있는 시청자는 마치 자신이 직접 실제 제작 환경에 노출된 것과 같은 생생한 느낌 즉, 현장감을 느끼게 되고, TV 제작자는 시청자에게 TV 프로그램에 대한 공감대를 보다 손쉽게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원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튜너로 선택하여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시청환경 정보를 필터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시청환경 정보를 홈 네트워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된 시청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를 동작시켜 적절한 제어 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홈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된 시청환경 조절장치를 동작시켜 시청자의 주위 환경을 상기 프로그램의 제작 환경에 가깝게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환경 조절방법.
  2. 원하는 특정 프로그램의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튜너부와, 상기 튜너부에서 수신된 방송신호에서 특정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환경 정보를 추출하는 필터부로 구성된 DTV 수신기와;
    상기 필터부에서 추출된 시청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합당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시청자의 주위 환경을 상기 프로그램의 제작 환경에 가깝게 조절하는 시청환경 조절장치;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환경 조절 시스템.
KR1020010074461A 2001-11-28 2001-11-28 시청환경 조절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4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461A KR20030044108A (ko) 2001-11-28 2001-11-28 시청환경 조절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461A KR20030044108A (ko) 2001-11-28 2001-11-28 시청환경 조절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108A true KR20030044108A (ko) 2003-06-09

Family

ID=2957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461A KR20030044108A (ko) 2001-11-28 2001-11-28 시청환경 조절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41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871B1 (ko) * 2008-06-13 2009-1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확장형 미디어 파싱 장치 및 방법
KR100934690B1 (ko) * 2007-12-03 2009-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재현 방법 및서비스 방법
US8266094B2 (en) 2008-06-13 2012-09-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sing of extensible medi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90B1 (ko) * 2007-12-03 2009-12-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재현 방법 및서비스 방법
KR100929871B1 (ko) * 2008-06-13 2009-1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확장형 미디어 파싱 장치 및 방법
US8266094B2 (en) 2008-06-13 2012-09-1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arsing of extensible medi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077B1 (ko) 주변조명 및 조명 유닛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7269843B2 (en) Broadcasting system and media player
JP4433441B2 (ja) 統合されたテレビ及びインターネット内容との二重ディスプレイ対話のためのシステム
CA2218164A1 (en) Hypertext markup language protocol for television display and control
CN101141353B (zh) 网络相连设备上的通信处理方法及接收装置
JP2005523612A (ja) データ受信器と制御装置の方法及び装置
KR20090102392A (ko) 영상 시스템 및 컨텐츠에 따라 영상기기를 설정하는 방법,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및 서버
JPH09327002A (ja) テレビジョン放送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放送方法並びに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放送信号受信方法
WO2009101997A1 (ja) 放送システム、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10076297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기반의 조명 제어 시스템
KR20030044108A (ko) 시청환경 조절방법 및 시스템
CN114608170B (zh) 室内环境的智能调节方法与智能调节系统
KR20010097955A (ko) 사용자 오에스디(osd) 기능을 갖는 티브이 및 그제어방법
KR20180064010A (ko) 방송 부가 서비스를 이용한 조명 제어 시스템
JP6764456B2 (ja) 家電制御装置、表示装置、制御システム
JPH10136323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放送方法
JP2005223687A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50116916A (ko) 환경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하는 방법과그 재생 장치
KR100518841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 운용 방법
JP2008067130A (ja) 宅内伝送システムおよび受信装置
KR20200131559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1333335A (ja) 映像情報機器
JP2010178392A (ja)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
JP200332466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5333367A (ja) 携帯電話端末、および同端末を用いた放送番組連動型家電機器制御システム、ならびに端末プログラム、同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