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3158A -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 Google Patents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158A
KR20030043158A KR1020010074189A KR20010074189A KR20030043158A KR 20030043158 A KR20030043158 A KR 20030043158A KR 1020010074189 A KR1020010074189 A KR 1020010074189A KR 20010074189 A KR20010074189 A KR 20010074189A KR 20030043158 A KR20030043158 A KR 20030043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starting
induction motor
phase induction
tri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2329B1 (ko
Inventor
김인석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인석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석,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인석
Priority to KR10-2001-007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2329B1/ko
Priority to RU2002101892/09A priority patent/RU2222095C2/ru
Priority to PL02354506A priority patent/PL354506A1/xx
Priority to ZA200207890A priority patent/ZA200207890B/xx
Priority to US10/265,172 priority patent/US6819075B2/en
Priority to AU2002301320A priority patent/AU2002301320B2/en
Priority to EP02023625A priority patent/EP1315279A3/en
Priority to CA002409469A priority patent/CA2409469C/en
Priority to BR0204442-0A priority patent/BR0204442A/pt
Priority to CNB021469652A priority patent/CN1179478C/zh
Priority to JP2002319438A priority patent/JP3847700B2/ja
Priority to MXPA02011687A priority patent/MXPA02011687A/es
Publication of KR2003004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4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ingle-phase induction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29Restarting, e.g. after power fail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4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ingle-phase induction motor
    • H02P1/44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ingle-phase induction motor by phase-splitting with a capac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자 릴레이는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코일(W3)에 교류전원을 인가 혹은 차단하기 위한 기동 릴레이에 있어서, 브릿지다이오드(BD)로 되어 있고, 단상 유도전동기의 교류전원이 온되면, 기동 릴레이의 회로소자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10)와, 기동코일(W3)에 교류전원을 인가 혹은 차단하기 위한 트라이악(306), 기동코일에 유기된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입력부(322), 초기 기동시 온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신호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유기전압이 소정의 오프 기준전압에 도달하면 트라이악을 오프하기 위한 오프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정상 운전 기간에 유기전압이 소정의 온 기준전압 이하로 낮아지면 트라이악을 다시 온시키기 위한 온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부(324), 및 히스테리시스부(324)의 온제어신호에 따라 트아이악을 온시키고, 오프제어신호에 따라 트라이악을 오프시키는 트리거부(33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파크킬러를 이용하여 트라이악의 양단에 발생되는 임펄스성 노이즈를 제거하고, 내부의 회로에 안정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A VOLTAGE CONTROLLED STARTING RELAY FOR AN INDUCTION MOTOR }
본 발명은 단상 유도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상 유도전동기를 기동하기 위한 전압식 전자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상 유도전동기는 단상 교류전원으로 운전되는 전동기로서, 그 내부에 운전코일과 기동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데, 기동코일은 전동기가 기동할 순간만 통전되어 기동 회전력을 공급해 주고, 기동 후 정상 운전중에는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코일을 온/오프시켜주는 장치를 원심개폐기 혹은 기동 릴레이라 하는데, 전압식 전자 릴레이는 기동코일의 양단에 유기되는 전압이 전동기의 회전속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되는 특성을 이용한 기동 릴레이이다. 즉, 전압식 전자 릴레이는 단상 유도전동기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에 기동코일에 전원을 공급한 후, 기동코일의 양단에 유기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일정 전압 이상이 되면(즉, 정상운전 상태에 도달하면) 기동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정상 운전중에 중부하가 걸려 구속상태에 이르게 되면, 기동코일의 양단에 유기되는 전압은 다시 낮아지게 되는데, 이 유기전압을 감지하여 일정 전압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다시 기동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재기동시킨다. 여기서, 릴레이를 오프시키게 되는 유기전압은 상대적으로 높고, 릴레이를 다시 온시키게 되는 기동코일의 유기전압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두 전압의 차를 '히스테리시스폭'이라 한다.
한편, 종래의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로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한국 특허공보에 공고번호 제 91-2458 호로 공고된 '전압식 전자 릴레이'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압식 전자 릴레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상 유도전동기(110)와,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코일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자 릴레이 회로(120)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상 유도전동기(110)는 운전코일(W1,W2)과 기동코일(W3)을 구비하고 있는데, 운전코일(W1,W2)은 전원입력단자(L1, L2)를 통해 바로 상용 교류전원(AC110V)을 입력받도록 연결되어 있으나 기동코일(W3)은 기동 커패시터(SC)와 전자 릴레이(120)를 통해 전원을 입력받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릴레이(120)는 기동 커패시터(SC)를 통해 기동코일(W3)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소자로서 트라이악(121)과, 트라이악(121)의 게이트를 트리거하기 위한 제어회로로 구성되는데, 제어회로는 전자 릴레이의 회로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22)와 기동코일(W3)의 양단 전압을 감지하여 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123), 제어신호 생성부(123)의 출력에 따라 상기 트라이악(121)의 게이트를 트리거하기 위한 트리거부(124)로 이루어진다.
도 1에서 전원부(122)는 연결단자(T1, T2)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원을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D2)와, 다이오드(D2)의 출력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커패시터(C4), 분배저항(R7, R8), 제너다이오드(ZD) 및 필터 커패시터(C2)로 이루어져 낸드게이트(M1, M2, M3, M4)에 전원(Vcc)을 공급한다.
제어신호 생성부(123)는 기동코일(W3)의 양단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다이오드(D1) 및 분할 저항(R1,R2), 히스테리시스폭 조정저항(R3), 2개의 낸드게이트(M1,M2)로 이루어져 기동코일(W3)의 양단 유기전압을 감지하여 트라이악(121)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트리거부(124)는 제어신호에 따라 발진을 일으키기 위한 낸드게이트(M3,M4)와 픽업코일(PC)의 일차 코일을 단속하기 위한 트랜지스터(TR) 및 트라이악(121)의 게이트를 트리거하기 위한 픽업코일(PC)로 구성된다. 여기서, 낸드게이트(M2)의 출력은 저항(R4)을 통해 낸드게이트(M1)로 정궤환되어 히스테리시스폭을 크게 하고, 커패시터(C3)와 저항(R5)은 낸드게이트(M4)의 출력을 부궤환시켜 발진을 일으키게 하며, 미설명부호 R4, R9는 한류저항, C1은 필터 커패시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단상 유도전동기(110)에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전원부(122)를 통해 회로소자에 전원(Vcc)이 공급되어 전자 릴레이(120)가 동작하게 된다. 기동코일(W3)의 양단 유기전압은 연결단자(T3)에 연결된 다이오드(D1)와 분배저항(R1, R2)과 히스테리시스폭 조정저항(R3)을 통해 낸드게이트(M1)로 입력되는 데, 전원인가 초기에는 기동코일(W3)에 유기되는 전압이 낮으므로 낸드게이트(M1)로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 낸드게이트(M1)는 로우입력을 하이로 반전하여 낸드게이트(M3)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낸드게이트(M3,M4)로 이루어진 발진회로는 발진을 일으키게 된다. 낸드게이트(M4)의 발진신호는 트랜지스터(TR)를 온/오프하여 픽업코일(PC)의 일차코일을 단속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픽업코일(PC)의 이차코일에는 트라이악(121)의 게이트를 트리거시킬 수 있는 신호전압이 유기되어 트라이악(121)을 온(ON)시키게 된다.
트라이악(121)이 온(ON)되면 기동코일(W3)에는 트라이악(121)과 기동 커패시터(SC)를 통해 교류전원이 인가되어 단상 유도전동기(110)가 기동동작을 하게 된다.
단상 유도전동기(110)의 기동동작에 의해 전동기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기동코일(W3)에 유기되는 전압도 차츰 증가하게 되고, 이 유기전압이 히스테리시스폭 조정저항(R3)에 의해 설정된 일정전압에 도달하게 되면 낸드게이트(M1)로 입력된 신호레벨이 하이가 되어 낸드게이트(M1)는 로우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낸드게이트(M3,M4)에서의 발진동작은 중단되고, 픽업코일(PC)을 통한 트라이악(121)의 게이트 트리거 동작이 중단됨으로써 트라이악(121)은 오프(OFF)된다.
트라이악(121)이 오프(OFF)되면, 기동 커패시터(SC)를 통해 기동코일(W3)에 인가되던 교류전원이 차단되게 되고, 이후 단상 유도전동기(110)는 운전코일(W1,W2)에 의해서만 동작하게 된다.
도 2 는 종래의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의 다른 회로도로서, 전체적인 동작은 도 1 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과 유사하다. 다만, 도 2의 전자 릴레이(120)에서는 트라이악(TRIAC)을 트리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트라이악(TRIAC)의 게이트와 캐소드 사이에 저항(R10)과 커패시터(C6)가 병렬 연결되어 픽업코일(PC)의 2차측에 연결되고, 일단이 접지된 1차측에 커패시터(C5)를 통해 낸드게이트(M4)의 출력신호가 전달되어 트라이악(TRIAC)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압식 전자 릴레이는 낸드게이트의 정궤환 특성과 입력신호의 세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히스테리시스폭을 전원 전압의 절반 이상인 75V까지 넓게 조정할 수 있어 전원 전압이 낮거나 높을 경우, 즉, 전압 변동율이 큰 악성 전원 설비지역에서도 기동장치가 무리없이 안전 운전할 수 있고, 아크발생이 없으며, 설치장소에도 제한을 받지 않는 잇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전압식 전자 릴레이는 낸드게이트(M1, M2, M3, M4)로 인가되는 전압이 다소 불안정하고, 임펄스성 노이즈에 의해 트라이악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트라이악을 사용하는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의 트라이악에 임펄스성 노이즈를 제거하는 스파크킬러를 병렬로 설치하여 임펄스성 노이즈로부터 트라이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회로소자에 안정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의 회로도.
도 2 는 종래의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의 다른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의 회로도.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전자 릴레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교류전원302: 단상 유도전동기
306: 트라이악308: 스파크 킬러
310: 전원부320: 제어신호 발생부
322: 신호입력부324: 히스테리시스부
330: 트라이악 트리거부332: 발진부
334: 게이트 트리거부PC: 픽업코일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코일에 교류전원을 인가 혹은 차단하기 위한 기동 릴레이에 있어서, 브릿지다이오드로 되어 있고, 단상 유도전동기의 교류전원이온되면, 기동 릴레이의 회로소자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기동코일에 교류전원을 인가 혹은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소자; 상기 기동코일에 유기된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초기 기동시 온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유기전압이 소정의 오프 기준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스위칭소자를 오프하기 위한 오프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정상 운전 기간에 상기 유기전압이 소정의 온 기준전압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스위칭소자를 다시 온시키기 위한 온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부; 및 상기 히스테리시스부의 온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시키고, 상기 오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를 오프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의 회로도로서, 단상 유도전동기(302)와, 단상 유도전동기(302)의 기동코일(W3)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자 릴레이(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상 유도전동기(302)는 운전코일(W1,W2)과 기동코일(W3)을 구비하고 있는 데, 운전코일(W1,W2)은 전원입력단자(L1, L2)를 통해 바로 상용 교류전원(301)을 입력받도록 연결되어 있으나 기동코일(W3)은 기동 커패시터(SC)와 전자 릴레이(300)를 통해 교류전원(301)을 입력받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 릴레이(300)는, 기동 커패시터(SC)를 통해 기동코일(W3)에 교류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소자로서 트라이악(306)과, 트라이악(306)에 병렬로 연결되어 트라이악(306)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소자(308), 트라이악(306)의 게이트를 트리거하기 위한 트라이악 제어계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트라이악 제어계통은 전자 릴레이의 회로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310)와, 기동코일(W3)의 양단 전압을 감지하여 트라이악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320), 제어신호 생성부(320)의 출력에 따라 트라이악(306)의 게이트를 트리거하는 트라이악 트리거부(330)로 이루어진다.
도 3에서 전원부(310)는 연결단자(T1, T2)로부터 입력된 교류전원(301)을 정류하기 위한 브릿지다이오드(BD)와, 브릿지다이오드(BD)의 출력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커패시터(C2), 제너다이오드(ZD), 저항(R2)으로 이루어져 회로소자에 전원(Vcc)을 공급한다. 이때 브릿지다이오드(BD)로 입력되는 교류전원(301)은 한류용 저항(R1)과 커패시터(C1)를 통해 연결되고, 필터 커패시터(C2), 제너다이오드(ZD), 저항(R2)은 브릿지다이오드(BD)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신호 발생부(320)는 기동코일(W3)에 유기된 전압(VST)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입력부(322)와, 유기된 전압에 따라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온/오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부(324)로 이루어진다. 신호입력부(322)는 연결단자(T3)에 직렬 연결되는 히스테리시스폭 조정저항(AR)과, 저항(R3), 정류 다이오드(D2), 보호 다이오드(D1), 저항(R4), 커패시터(C3), 한류용 저항(R5)으로 구성되고, 히스테리시스부(324)는 직렬 연결된 2개의 낸드게이트(NG1,NG2)와 정궤환을 위한 저항(R6)으로 구성된다.
또한 트라이악 트리거부(330)는 히스테리시스부(324)의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발진동작을 하는 발진부(332)와, 발진부(332)의 발진출력을 승압시켜 트라이악의 게이트를 트리거하기 위한 게이트 트리거부(334)로 구성된다. 발진부(332)는 직렬 연결된 2개의 낸드게이트(NG3,NG4)와 낸드게이트(NG3)의 출력을 궤환하기 위한 저항(R8), 낸드게이트(NG4)의 출력을 부궤환하기 위한 커패시터(C4) 및 저항(R7)으로 구성되고, 게이트 트리거부(334)는 커패시터(C5)를 통해 입력된 발진신호를 승압하여 트라이악(306)의 게이트를 트리거시키기 위한 픽업코일(PC)과 픽업코일(PC)의 2차 코일에 병렬로 연결되는 저항(R9) 및 커패시터(C6)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상 유도전동기의 동작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모든 단상 유도전동기는 운전코일(W1, W2)과 기동코일(W3)로 구성되는 데, 기동코일(W3)은 전동기가 기동할 순간만 기동전류가 통전되어 기동 회전력을 공급해 주고 기동 후 즉, 정상 운전중에는 오프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전압식 전자 릴레이는 기동코일(W3)에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스위칭하여 전동기의 기동시에만 통전되도록 하고, 이후 정상 운전중에는 기동코일을 오프상태로 계속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단상 유도전동기를 기동시키기 위하여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운전코일(W1,W2)에는 교류전원(301)이 그대로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나 기동코일(W3)에는 전자 릴레이(300)의 트라이악(306)과 기동 커패시터(SC)를 거쳐 교류전원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트라이악(306)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된다.
교류전원이 연결단자(T1,T4)에 인가되면, 이 교류전원이 한류용 저항(R1)과 커패시터(C1)를 통해 브릿지다이오드(BD)로 전달된 후 브릿지다이오드(BD)에서 전파정류가 이루어져 직류전원(Vcc)이 된다. 전파정류된 이 직류전원(Vcc)은 커패시터(C2)에서 평활화되고, 제너다이오드(ZD)에서 일정한 크기의 전압으로 안정되어 전자 릴레이의 회로소자(예컨대, 낸드게이트)에 공급된다.
한편, 전동기의 회전에 의해 기동코일(W3)에 유기된 전압(VST)은 단자(T3)와 조정저항(AR)을 거쳐 다이오드(D2)에서 정류된 후 한류용 저항(R5)을 거쳐 낸드게이트(NG1)로 입력된다. 이때 다이오드(D2)의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D1)는 역전압으로부터 회로소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커패시터(C3)는 정류된 감지신호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낸드게이트(NG1)로 입력되는 입력전압(Vi)은 다음 수학식1과 같이 구해지고, 그 값은 조정저항(AR)을 가변하여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1에서 VNG2는 낸드게이트(NG2)에서 저항(R6)을 거쳐낸드게이트(NG1)로 궤환되는 전압을 나타내고, VST는 기동코일에 유기된 전압의 크기를 나타낸다.
초기 기동시에 기동코일(W3)의 양단에 유기된 전압(VST)은 거의 0V에 가까우므로 낸드게이트(NG1)로 입력되는 전압(Vi)도 거의 0V에 가까워 로우레벨의 신호가 되고, 이에 따라 낸드게이트(NG1)는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낸드게이트(NG1)의 하이 출력은 발진부(332)의 낸드게이트(NG3)로 입력되어 발진부(332)가 발진을 일으키게 함과 아울러, 낸드게이트(NG2)로 입력된 낸드게이트(NG1)의 하이신호는 로우레벨로 바뀌어 저항(R6)을 통해 다시 낸드게이트(NG1)로 정궤환된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1에서 낸드게이트(NG1)로 궤환되는 전압(VNG2)은 로우레벨이므로 낸드게이트(NG1)는 주로 유기전압(VST)에 의해서만 출력레벨을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낸드게이트(NG1~NG4)의 하이레벨과 로우레벨신호는 낸드게이트(NG1~NG4)에 인가되는 Vcc전압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되므로 낸드게이트(NG1~NG4)의 전원전압(Vcc)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낸드게이트(NG1)의 하이 출력에 의해 발진부(332)에서 발진된 신호는 커패시터(C5)를 거쳐 픽업코일(PC)의 일차코일로 전달되고, 픽업코일(PC)의 일차코일에 전달된 발진신호는 픽업코일(PC)의 이차코일로 승압 유기되어 트라이악(306)의 게이트를 트리거함으로써 트라이악(306)을 온(ON)시킨다.
트라이악(306)이 온(ON)되면 기동코일(W3)에는 트라이악(306)과 기동 커패시터(SC)를 통해 교류전원이 인가되어 단상 유도전동기(302)가 기동동작을 하게 된다.
단상 유도전동기(302)의 기동동작에 의해 전동기의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기동코일(W3)에 유기되는 전압(VST)도 차츰 증가하게 되고, 이 유기전압(VST)이 히스테리시스폭 조정저항(R3)에 의해 설정된 오프 기준전압(VOFF)에 도달하게 되면 낸드게이트(NG1)로 입력된 신호레벨(Vi)이 하이레벨이 되어 낸드게이트(NG1)는 로우레벨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낸드게이트(NG1)의 출력이 로우레벨이 되면 발진부(332)의 낸드게이트(NG3,NG4)에서의 발진동작은 중단되고, 이에 따라 픽업코일(PC)을 통한 트라이악(306)의 게이트 트리거 동작이 중단됨으로써 트라이악(306)은 오프(OFF)된다.
트라이악(306)이 오프(OFF)되면, 기동 커패시터(SC)를 통해 기동코일(W3)에 인가되던 교류전원이 차단되게 되고, 이후 단상 유도전동기(302)는 운전코일(W1, W2)에 의해서만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상 운전중에는 낸드게이트(NG1)의 로우 출력이 낸드게이트(NG2)에 의해 반전되어 저항(R6)을 통해 하이레벨의 궤환전압(VNG2)을 낸드게이트(NG1)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1에서 낸드게이트(NG1)로 궤환되는 전압(VNG2)이 하이레벨이 되므로 낸드게이트(NG1)는 감지된 유기전압(VST)과 궤환신호(VNG2)의 합에 의해서 출력레벨을 결정하게 된다. 즉, 단상 유도전동기의 교류 입력전압이 변동되어 기동코일(W3)에 유기되는 전압(VST)이 다소 낮아진다하더라도 궤환전압(VNG2)에 의해 하이레벨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기동코일(W3)을 온시키기 위한 기동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만일, 중부하가 발생하여 유기전압(VST)이 온 기준전압(VON)까지 낮아질 경우에는 다시 기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유기전압과 전자 릴레이의 동작 관계를 정리하면 도 4에 도시된 그래프 및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NG1출력 NG2출력 발진부 트라이악 기동코일 유기전압(VST)
기동기간 하이 로우 발진 ON 통전(온) 상승
정상 운전기간 로우 하이 오프 OFF 오프 VOFF이상~
재기동기간 하이 로우 발진 ON 통전(온) VON부터 상승
도 4 및 표 1을 참조하면, 횡축은 시간축으로서 전자 릴레이의 동작 상태에 따라 초기 기동기간, 정상 운전기간, 재기동기간 등으로 구분되고, 종축은 기동코일(W3)에 유기되는 전압(VST)의 크기를 나타낸다. 그리고 VOFF는 기동동작을 중지하기 위한 오프 기준전압이고, VON은 정상운전 후 재기동을 시작하기 위한 온 기준전압이다.
교류전원이 온되면 초기 기동기간이 시작되면서 유기전압(VST)은 전동기의 회전에 따라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 초기 기동기간에 낸드게이트(NG1)는 하이레벨을 출력하고, 낸드게이트(NG2)는 로우를 출력하여 낸드게이트(NG1)로 정궤환시킨다. 낸드게이트(NG1)의 하이출력에 의해 발진부(332)는 발진동작을 일으켜 발진신호를 출력하고, 게이트 트리거부(334)는 이 발진신호로 트라이악(306)의 게이트를 트리거하여 트라이악(306)을 온(ON)시키고, 이에 따라 기동코일(W3)에는 교류전원이 인가된다.
유기전압(VST)이 상승하여 오프 기준전압(VOFF)에 도달하면, 낸드게이트(NG1)는 로우를 출력하고, 낸드게이트(NG2)는 하이를 출력하며, 발진부(332)는 발진동작을 중지하고, 이에 따라 트라이악(306)이 오프된다. 트라이악(306)이 오프되면 기동코일(W3)로 공급되던 교류전원은 차단된다. 이와 같이 기동코일(W3)이 오프되고 운전코일(W1,W2)에 의해서만 전동기가 회전하는 기간이 정상 운전기간이다.
정상 운전기간 중에는 유기전압(VST)이 변동하도라도 계속적으로 운전코일(W1,W2)에 의해서만 동작하다가 중부하 발생 등과 같이 장애가 발생되어 유기전압(VST)이 온 기준전압(VON) 이하로 떨어지면 재기동이 이루어진다. 재기동기간의 동작은 기동기간의 동작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원전압이 110V인 경우에 전동기의 회전이 가속되어 정격속도의 70% 부근에 도달할 때 기동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인 약 125V 정도를 오프 기준전압으로 설정하고, 정격속도의 약 25%~30% 범위내인 약 50V 정도를 온 기준전압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정할 경우에 히스테리시스폭은 약 75V 정도가 된다.
한편, 트라이악의 온/오프시, 혹은 서지 입력 등에 의해 트라이악(306)에 임펄스성 노이즈가 인가되면 트라이악(306)에 병렬로 연결된 스파크 킬러(308)가 이를 흡수하여 트라이악(306)을 보호하고, 전원부(310)는 브릿지다이오드(BD)를 통해 안정된 전원(Vcc)을 낸드게이트(NG1~NG4)에 계속적으로 제공한다. 그리고 신호입력부(322)는 부가된 다이오드(D1)에 의해 입력전압의 변동에도 안정적으로 동작하고, 낸드게이트(NG1,NG2)에 인가되는 전원이 안정됨에 따라 전자 릴레이가 보다 정확하게 동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릴레이의 회로소자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을 전파 정류용 브릿지다이오드와 필터 커패시터 등을 이용하여 안정되게 공급함으로써 전자 릴레이의 동작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고, 트라이악에 병렬로 스파크 킬러를 설치하여 임펄스성 노이즈가 인가되는 경우 트라이악을 보호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7)

  1.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코일에 교류전원을 인가 혹은 차단하기 위한 기동 릴레이에 있어서,
    브릿지다이오드로 되어 있고, 단상 유도전동기의 교류전원이 온되면, 기동 릴레이의 회로소자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기동코일에 교류전원을 인가 혹은 차단하기 위한 스위칭소자;
    상기 기동코일에 유기된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초기 기동시 온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감지된 유기전압이 소정의 오프 기준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스위칭소자를 오프하기 위한 오프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정상 운전 기간에 상기 유기전압이 소정의 온 기준전압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스위칭소자를 다시 온시키기 위한 온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부; 및
    상기 히스테리시스부의 온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를 온시키고, 상기 오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를 오프시키는 트리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트라이악이고, 상기 트라이악에 병렬로 보호소자가 연결되어 상기 트라이악이 임펄스성 노이즈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소자는 스파크 킬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입력측이 한류용 저항(R1) 및 커패시터(C1)를 거쳐 상기 교류전원과 연결되고, 출력측에 평활 커패시터(C2)와, 제너다이오드(ZD)가 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B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유기전압을 분할하기 위한 분할저항과, 분할된 유기전압을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D2), 및 다이오드(D2)의 출력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커패시터(C3), 상기 다이오드(D2)의 입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D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부는 입력을 반전시키도록 결선된 제1 낸드게이트(NG1)와, 상기 제1 낸드게이트(NG1)의 출력을 반전하여 다시 상기 제1 낸드게이트(NG1)로 저항(R6)을 통해 정궤환시키는 제2 낸드게이트(NG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기준전압은 단상 유도전동기의 정격속도의 약 70%에 도달할 경우 기동코일에 유기된 전압의 크기로 설정되고, 상기 온 기준전압은 단상 유도전동기의 정격속도의 약 25%~30%에 도달할 경우 기동코일에 유기된 전압의 크기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KR10-2001-0074189A 2001-11-27 2001-11-27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KR10042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189A KR100422329B1 (ko) 2001-11-27 2001-11-27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RU2002101892/09A RU2222095C2 (ru) 2001-11-27 2002-01-24 Управляемое напряжением пусковое реле для асинхро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PL02354506A PL354506A1 (en) 2001-11-27 2002-06-14 Voltage-controlled starting relay for single-phase induction motors
ZA200207890A ZA200207890B (en) 2001-11-27 2002-10-01 Voltage-controlled starting relay for induction motor.
AU2002301320A AU2002301320B2 (en) 2001-11-27 2002-10-04 Voltage-Controlled Starting Relay for Induction Motor
US10/265,172 US6819075B2 (en) 2001-11-27 2002-10-04 Voltage-controlled starting relay for induction motor
EP02023625A EP1315279A3 (en) 2001-11-27 2002-10-18 Voltage-controlled starting relay for induction motor
CA002409469A CA2409469C (en) 2001-11-27 2002-10-23 Voltage-controlled starting relay for induction motor
BR0204442-0A BR0204442A (pt) 2001-11-27 2002-10-29 Relé de partida controlado por tensão para motor de indução
CNB021469652A CN1179478C (zh) 2001-11-27 2002-10-29 用于感应电动机的电压控制的起动继电器
JP2002319438A JP3847700B2 (ja) 2001-11-27 2002-11-01 単相誘導電動機の起動用電圧式電子リレー
MXPA02011687A MXPA02011687A (es) 2001-11-27 2002-11-26 Rele de arranque controlado por voltaje para motor de inducc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189A KR100422329B1 (ko) 2001-11-27 2001-11-27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158A true KR20030043158A (ko) 2003-06-02
KR100422329B1 KR100422329B1 (ko) 2004-03-11

Family

ID=19716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189A KR100422329B1 (ko) 2001-11-27 2001-11-27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819075B2 (ko)
EP (1) EP1315279A3 (ko)
JP (1) JP3847700B2 (ko)
KR (1) KR100422329B1 (ko)
CN (1) CN1179478C (ko)
AU (1) AU2002301320B2 (ko)
BR (1) BR0204442A (ko)
CA (1) CA2409469C (ko)
MX (1) MXPA02011687A (ko)
PL (1) PL354506A1 (ko)
RU (1) RU2222095C2 (ko)
ZA (1) ZA2002078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8197A1 (en) * 2008-06-04 2009-12-10 Young-Jun Kim Electronic relay for single phase induction mo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535B1 (ko) 2005-03-24 2007-06-14 김영준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용 릴레이
EP1708354B1 (de) 2005-03-31 2009-10-14 Grundfos Management A/S Tauchmotor
DE102006021256A1 (de) 2006-04-28 2007-11-08 Danfoss Compressors Gmbh Motorstartschaltkreis
DE102006034499A1 (de) 2006-07-19 2008-01-31 Danfoss Compressors Gmbh Motorstartschaltkreis
DE102006053524B4 (de) 2006-11-07 2011-05-26 Danfoss Flensburg Gmbh Motorstartschaltkreis
CN102025299B (zh) * 2009-09-14 2014-06-11 金荣俊 用于启动单相感应电动机和相应的电子继电器的方法
BRPI1003594A2 (pt) * 2010-09-20 2013-01-15 Whirlpool Sa mÉtodo de partida e controle para um motor À induÇço monofÁsico, sistema de partida e controle para um motor À induÇço monofÁsico e dispositivo eletrânico de partida e controle aplicado a um motor À induÇço monofÁsico
GB201020258D0 (en) * 2010-11-30 2011-01-12 B D G El S P A Motor control systems
US10320313B2 (en) * 2015-03-10 2019-06-11 Young Jun Kim Arc free phase control alternatives for AC motor starters
RU2625566C1 (ru) * 2016-02-10 2017-07-1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Донско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Двухскорост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однофазного асинхро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CN106208820B (zh) * 2016-09-11 2018-12-11 湖南利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单相异步电机软启动功能的高性能逆变电源
CN112003543A (zh) * 2020-08-25 2020-11-27 秦孝文 一种单相交流电机断相检测、启动与运行控制方法及电子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1830A (en) * 1970-06-24 1972-06-20 Westinghouse Electric Corp Single phase motor starting control apparatus
US3882364A (en) * 1972-08-18 1975-05-06 Gen Electric Induction motor control system
JPS5666186A (en) * 1979-10-30 1981-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Starting circuit in single-phase induction motor
JPS57183293A (en) * 1981-05-06 1982-11-11 Katsuyoshi Nomura Controlling circuit device for motor
KR840002367B1 (ko) * 1983-02-21 1984-12-21 김인석 단상 유도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릴레이
US4486700A (en) * 1983-05-09 1984-12-0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Universal single phase motor starting control apparatus
KR850000055Y1 (ko) * 1983-06-04 1985-02-09 나종현 송풍식 해충 방제기
IL75172A0 (en) * 1985-05-12 1985-09-29 Howard Michael S Ballasts and transformerless power supplies
US4843295A (en) * 1987-06-04 1989-06-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single phase motors
US4782278A (en) * 1987-07-22 1988-11-01 Pt Components, Inc. Motor starting circuit with low cost comparator hysteresis
KR910002458B1 (ko) * 1988-08-16 1991-04-22 삼화기연 주식회사 전압식 전자 릴레이
KR940003940B1 (ko) * 1989-07-04 1994-05-09 동국제약 주식회사 해당초에서 김네므산염 농축물을 추출하는 방법과 그 추출장치
BR8906225A (pt) * 1989-11-28 1991-06-04 Brasil Compressores Sa Circuito eletronico para partida de motor a inducao monofasico
US5296795A (en) * 1992-10-26 1994-03-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tarting capacitive start, induction run and capacitive start, capacitive run electric motors
US5528120A (en) * 1994-09-09 1996-06-18 Sealed Unit Parts Co., Inc. Adjustable electronic potential relay
DE10013668A1 (de) * 1999-11-05 2001-05-23 Ralph Heim Ansteuervorrichtung für einen Wechselstromkreis
KR200262061Y1 (ko) * 2001-10-22 2002-02-06 (주)이안테크놀로지 단상 유도전동기의 디지털 기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8197A1 (en) * 2008-06-04 2009-12-10 Young-Jun Kim Electronic relay for single phase induction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204442A (pt) 2004-06-08
CN1179478C (zh) 2004-12-08
KR100422329B1 (ko) 2004-03-11
EP1315279A3 (en) 2005-01-19
AU2002301320B2 (en) 2004-12-23
CA2409469C (en) 2005-09-20
CN1421991A (zh) 2003-06-04
JP3847700B2 (ja) 2006-11-22
RU2222095C2 (ru) 2004-01-20
US20030107343A1 (en) 2003-06-12
PL354506A1 (en) 2003-06-02
CA2409469A1 (en) 2003-05-27
JP2003189650A (ja) 2003-07-04
MXPA02011687A (es) 2003-06-02
US6819075B2 (en) 2004-11-16
EP1315279A2 (en) 2003-05-28
ZA200207890B (en)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2329B1 (ko)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EP0356310B1 (en) Electronic motor starter
RU2528413C2 (ru) Электродинамическое тормо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двигателя
US4751450A (en) Low cost, protective start from coast circuit
US5103154A (en) Start winding switch protection circuit
KR870001708B1 (ko) 교류 유도 전동기용 역률제어장치
US5606232A (en) DC on line AC brushless motor
JPS59159681A (ja) 単相誘導電動機の起動用電圧式電子リレ−
KR20000053348A (ko) 삼상전류 발생기의 출력전압 조절 장치
CA1070757A (en) Field overvoltage protecting apparatus for synchronous machine
KR100527054B1 (ko) 단상유도 전동기 기동용 전압식 전자 릴레이
JP3309494B2 (ja) インバータの停電対策回路
RU2002101892A (ru) Управляемое напряжением пусковое реле для асинхронного двигателя
KR0121247Y1 (ko) 돌입전류 차단회로
KR0127682Y1 (ko) 교류발전기용 자동전압조정기의 전압안정화회로
JP2573123B2 (ja) 溶接機
GB2107139A (en) Circuit arrangement for preventing re-establishment of the starting condition in an electric single-phase motor
JPS59143476A (ja) スタンバイ作動機器用の電源回路装置
KR200409525Y1 (ko) 유도전동기의 기동용 계전기
JPH01136562A (ja) インバータ装置の保護回路
RU2050661C1 (ru) Тиристорный возбудитель электропривода
KR930004375Y1 (ko)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의 인버터 보호회로
RU2262788C1 (ru) Электрогенератор (его варианты)
KR100728535B1 (ko)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용 릴레이
KR20050002774A (ko) 단상유도 전동기의 기동용 전압식 전자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