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427A -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427A
KR20030042427A KR1020020073032A KR20020073032A KR20030042427A KR 20030042427 A KR20030042427 A KR 20030042427A KR 1020020073032 A KR1020020073032 A KR 1020020073032A KR 20020073032 A KR20020073032 A KR 20020073032A KR 20030042427 A KR20030042427 A KR 20030042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state imaging
imaging device
opening
transmi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145B1 (ko
Inventor
하라조노후미카즈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3Containers; 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of photo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32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31/023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the optical elements not being integrated nor being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고, 관통 개구부를 갖는 구조체; 상기 구조체의 표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 상기 배선 패턴에 접속되고 상기 관통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체에 장착된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고체 촬상 소자와 대향하고 상기 관통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체에 장착된 투광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투광성 부재가 상기 구조체에 장착된 투광성 부재 장착부에 구비된, 상기 관통 개구부로 관통하는 관통홈을 더 포함하는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 프린트 기판 등의 구조체의 열변형을 억제하여, 고체 촬상 소자의 접합을 확실하게 함과 동시에 고체 촬상 소자의 접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SOLID-STATE IMAG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감시 카메라, 의료용 카메라, 차량 탑재용 카메라 등의 반도체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소형의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와 같은 촬상 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이 촬상 장치는 렌즈 등의 광학계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을 전기 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이 촬상 장치의 소형화, 고성능화에 따라 카메라도 소형화되고, 다양한 방면에서 사용되고 있어, 영상의 입력 장치로서의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종래의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촬상 장치는 렌즈, 고체 촬상 소자, 그 구동회로 및 신호 처리 회로 등을 탑재한 LSI 등의 부품을 개개의 하우징 또는 구조체에 형성하고 이들을 조합한다. 통상, 이와 같은 조합에 의한 실장 구조는 평판의 프린트 기판상에 각 소자를 탑재함으로써 형성되었다.
장치의 보다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 일본 특허 공개 번호 제 2001-245186호뿐만 아니라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지제의 입체 프린트 회로 기판(101)이 제안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회로 기판(101)은 직육면체형상의 각부(101A)와 그 위에 형성된 몸체부(101B)를 포함하고, 이 각부(101A)와 몸체부(101B)의 경계부에 개구부(101C)를 갖는다. 프린트 배선 패턴(122)이 이 프린트 회로 기판(101)의 각 각부(101A)의 이면에 형성된다. 렌즈(102)는 몸체부(101B)의 내주에 장착된다. 렌즈(102)의 광축(117)을 중심으로 하여, 광학 필터(103)는 개구부(101C)의 상측에 배치되고, 고체 촬상 소자중의 하나인 반도체 촬상 소자(104), 칩 부품(108)은 개구부(101C)의 하측에 배치된다. 솔더 페이스트(114)에 의해, 반도체 촬상 소자(104)와 칩 부품(108)이 각 각부(101A) 주위에 형성된 단자 패턴(122)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프린트 회로 기판(101)는 솔더 페이스트(114)를 이용하여 이동 전화,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의 메인 기판(113)에 접속된다. 도 7은 프린트 회로 기판(101)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촬상 소자(104)는 표면에 형성된 범프(106)를 통해 각 각부(101A)의 표면에 형성된 단자 패턴(105)에 접속되고, 이것은 입체 프린트 회로 기판(101)과 접속되기 위해, 밀봉 수지(107)에 의해 밀봉된다. 이들 도면에서, 동일 부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8a 내지 8c는 부품들을 촬상 장치에 조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프린트 회로 기판(101)이 성형되고(도 8a); 고체 촬상 소자(104)가 프린트 회로 기판(101)에 장착되며(도 8b); 그 후, 광학 필터(103)가 프린트 회로 기판(101)에 장착된다(도 8c).
이 때문에, 상기 방법에서는 고체 촬상 소자를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가열 공정에서 입체 프린트 회로 기판이 매우 크게 변형되고, 그 결과 고체촬상 소자가 프린트 회로 기판에 접합되는 접합부가 매우 큰 응력을 받아, 크랙에 의한 접속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입체 프린트 회로 기판은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질 수 있지만, 성형 정밀도와, 이와 같은 사출 성형용 금형의 내구성의 관점으로부터 성형 수지 재료의 팽창계수를 감소하기 위해 통상 이용되는 체질안료(충전제)를 일정량 이상 첨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출 성형 방법이 갖는 또 다른 문제점은 통상의 사출 성형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는 직쇄형(linear) 분자 결합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선팽창계수가 분자 결합 방향으로는 작게 되지만 분자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크게 된다는 이방성을 갖는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고체 촬상 소자를 입체 프린트 회로 기판에 실장하는 가열 공정에서는 가열된 기판이 크게 변형되고, 고체 촬상 소자가 기판에 접합되는 접합부에 매우 큰 응력이 가해져, 그 결과 접합부는 크랙에 의한 접합 불량이 발생되었다. 일반적으로, 접합부는 고체 촬상 소자에 부착된 패드와, 입체 프린트 회로 기판의 단자 전극으로 구성된다. 접합부에서는 촬상 소자와 기판이 실버 페이스트와 같은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되거나, 초음파 접합 또는 열압착 접합의 방법으로 접합된다.
그러나, 어떠한 접합 방법에서도 입체 프린트 회로 기판은 열에 의해 변형되어, 고체 촬상 소자는 변형된 기판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알려진 공정에서 생산성 저하의 하나의 원인으로 되었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을 입체 구조로 함으로서, 프린트 회로 기판은 소형의 고체 촬상 장치가 가능하게 되는 반면, 열에 의한 변형은 통상의 평면 기판의 경우에 비해 크게 된다. 입체 프린트 회로 기판이 갖는 하나의 중대한 문제점은 구성 부품들 사이의 팽창율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열변형이 크게 되기 때문에, 알려진 공정에서 생산성 향상을 저해한다.
일반적으로, 광학 필터(103)는 예를 들어 수정 골절판 또는 IR(적외선) 절단 코팅 글라스판의 글라스 재료로 형성되고, 열팽창계수는 수지 재료의 열팽창계수보다 작기 때문에, 열변형도 수지 재료의 열변형보다 작다.
고체 촬상 소자가 장착되기 전에, 우선 광학 필터를 프린트 회로 기판(101)에 장착함으로써, 이것은 촬상 소자를 기판에 장착하는 공정에서 기판의 열변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실제로 고체 촬상 소자는 범프(bump)를 통해 기판에 직접 접합되어야 하고, 그 후 접합부 근방이 밀봉 수지로 밀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방법은 일부 다른 문제점을 수반한다. 예를 들면, 밀봉 공정에서 발생된 가스는 관통 개구부(101c)에 밀봉되어, 열에 의해 고체 촬상 소자의 표면과 반응하거나, 이 가스는 구성된 장치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고체 촬상 소자를 열화시키거나, 이 가스는 입체 프린트 배선 기판을 변형시킨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종래 구조의 촬상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고체 촬상 소자가 장착된 후에 광학 필터가 프린트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고체 촬상 장치의 입체 프린터 회로 기판과 같은 구성요소의 열변형을 억제함으로써, 고체 촬상 소자를 기판에 확실하게 접합함과 동시에, 구성된 촬상 장치에서의 고체 촬상 소자의 접합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장치의 구조체에 장착되는 투광성 부재 접합부가 구조체에 형성된 관통 개구부로 관통하는 관통홈을 갖도록 형성되어, 장치내의 가스가 관통 홈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촬상 장치의 제조시에, 우선 광학 필터가 구조체에 장착되고, 그 후 고체 촬상 소자가 구조체에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은 구조체에 장착된 광학 필터에 의해 장치의 구조체의 열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고, 관통 개구부를 갖는 구조체; 상기 구조체의 표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 상기 배선 패턴에 접속되고 상기 관통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체에 장착된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고체 촬상 소자와 대향하고, 상기 관통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체에 장착된 투광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투광성 부재가 상기 구조체에 장착되는 상기 투광성 부재 접합부에 상기 관통 개구부로 관통하는 관통홈을 더 포함한다.
관련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촬상 장치에서의 상기 구조체의 투광성 부재 접합부는 상기 구조체에 형성된 상기 관통 개구부로 관통하는 관통홈을 갖는다. 따라서, 광학 필터와 같은 투광성 부재가 장착된 후에, 고체 촬상 소자가 상기 구조체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상기 구조체에 장착하는 공정에서 발생된 내부 가스는 상기 관통홈을 통해 배출되고, 그 결과 본 발명은 밀봉 공정에서 생성된 가스는 관통 개구부(1C)에 밀봉되어, 열에 의해 고체 촬상 소자의 표면과 반응하거나, 생성된 가스에 의한 장치의 내부 압력이 증가됨으로써 고체 촬상 소자를 저하시키거나, 상기 장치의 구조체를 변형시키는 문제점이 없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우선 열변형이 작은 투광성 부재가 구성되는 장치의 구조체에 장착되고 나서, 고체 촬상 소자가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구조체는 상기 부재와 소자를 장착하는 공정에서 변형이 크게 저감되고, 접합 불량이 크게 저감된다.
바람직하게는, 장치의 구조체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 각부; 상기 각부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각부 사이에 있는 관통 개구부를 포함한다.
관련된 구성에 의하면, 촬상 장치의 전체 구조가 보다 미세화될 수 있지만, 접합부의 열변형으로 인해 접합 불량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관통홈이 상기 구조체에 형성되기 때문에, 열팽창계수가 구조체를 구성하는 절연성 수지의 열팽창계수보다 작고, 열변형이 작은 광학 필터와 같은 투광성 부재가 장착된 후에 고체 촬상 소자가 구조체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진 구조체의 열변형이 억제되고, 고체 촬상 소자가 확실히 장착되어 접합 확실성을 높인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장치의 투광성 부재는 광학 필터이다.
광학 필터는 고체 촬상 소자 사이와의 거리가 중요하다. 관련된 발명에 의하면, 투광성 부재 접합 개소 및 그 근방에서의 구조체의 열변형이 억제되기 때문에, 고체 촬상 소자의 근방에서의 구조체의 열변형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고체 촬상 소자와 광학 필터 사이의 거리 신뢰성이 증가되어, 보다 우수한 화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광학 필터는 열팽창계수가 구조체를 형성하는 절연성 수지의 열팽창계수보다 작은 재료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 필터가 열팽창계수가 구조체를 형성하는 절연성 수지의 열팽창계수보다 작은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조체의 열변형이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고체 촬상 소자와 구조체상에 형성된 배선 패턴 사이의 접합 확실성이 더 증가된다.
이와 같은 고체 촬상 장치를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관통 개구부; 고체 촬상 소자가 상기 관통 개구부에 장착될 수 있는 고체 촬상 소자 접합부; 투광성 부재가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접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관통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되는 투광성 부재 장착부; 및 상기 투광성 부재 장착부에 상기 관통 개구부로 관통하는 관통홈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절연성 수지로 성형하는 구조체 성형 단계; 상기 구조체상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배선부 형성 단계; 투광성 부재를 상기 투광성 부재 장착부에 장착하는 투광성 부재 장착 단계; 및 상기 투광성 부재가 장착된 상기 구조체의 고체 촬상 소자 접합부에 고체 촬상 소자를 장착하는 고체 촬상 소자 접합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기 구조체의 투광성 부재 장착부는 상기 구조체의 관통 개구부로 관통하는 관통홈을 갖도록 설계되고, 광학 필터와 같은 투광성 부재가 상기 투광성 부재 장착부에 장착된 후, 고체 촬상 소자가상기 구조체의 고체 촬상 소자 접합부에 접합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서는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접합 단계에서 생성된 내부 가스가 밀봉 공정에서 상기 관통 개구부(1C)에 밀봉되지 않고 상기 관통홈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은 생성된 가스가 열에 의해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표면과 반응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열화시키고 상기 구조체를 변형시키는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없게 되어, 증가된 접합 신뢰성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방법에서는 열변형이 작은 상기 투광성 부재가 상기 구조체에 장착된 후에 상기 고체 촬상 소자가 상기 구조체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서는 상기 투광성 부재 및 촬상 소자가 상기 구조체에 장착되면서 상기 구조체의 열변형이 억제되어, 접합 불량의 문제점이 없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에서 구조체 성형 단계는 상기 구조체를 열가소성의 절연성 수지로 사출 성형하는 사출 성형 단계이다.
상기 구조체가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경우, 상기 구조체는 경화시에 변형될 수 있고, 또한 구성된 장치가 고온에서 사용되는 때에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체 촬상 소자가 장치의 구조체(입체 프린트 배선 기판)에 견고하게 접합되지 않을 수 있는 일부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나, 상기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우선 광학 필터와 같은 투광성 부재가 상기 구조체에 장착되고 나서, 고체 촬상 소자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서는 열팽창계수가 상기 구조체를 형성하는 절연성 수지의 열팽창계수보다 작고, 열변형이 적은 글라스 시트 등의 투광성 부재가 열가소성 수지 구조체의 열변형을 억제하고,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상기 구조체로의 접합 확실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상기 관통홈이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관통 개구부를 향하여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조체에 사출 성형하는데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직쇄형 분자 결합 구조를 갖고 있어, 열가소성 수지의 열팽창계수가 분자 결합 방향으로는 작지만, 상기 분자 결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크다는 이방성이 존재한다. 더욱이, 성형 재료의 필러는 수지 유동 방향으로 배향되고, 그 결과 성형된 수지 구조체의 이방성이 수지 유동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통홈이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관통 개구부를 향하여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서, 수지 분자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고체 촬상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광학 필터 장착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광학 필터 장착부를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고체 촬상 장치의 실장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종래의 고체 촬상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고체 촬상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고체 촬상 장치를 보여주는 요부 설명도.
도 8은 종래의 고체 촬상 장치의 실장 공정을 보여주는 요부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조체1A : 각부
1B : 몸체부1C : 관통 개구부
2 : 관통홈3 : 광학 필터
4 : 고체 촬상 소자5 : 단자 패턴
6 : 범프7 : 밀봉 수지
8 : 광학 필터 장착부9 : 고체 촬상 소자 장착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체 촬상 장치의 요부 설명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 촬상 장치는 고체 촬상 소자가 장착되는 구조체(1)의 광학 필터(3) 장착부에 구조체(1)의 관통 개구부(1C)로 관통하는 관통홈(2)을 가지며, 실장되는 장치 내부에서 생성된 가스가 이 관통홈(2)을 통해 배출된다. 광학 필터(3)가 구조체(1)에 장착된 후, 고체 촬상 소자(4)가 장착된다. 광학 필터(3)는 수정 굴절판으로 구성된다.
특히, 구조체(1), 고체 촬상 소자(4) 및 광학 필터(4)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계된다: 구조체(1)는 절연성 폴리프탈아미드로 구성되고, 직육면체 형상의 각부(1A)와 그 위에 형성된 몸체부(1B)를 포함한다. 구조체(1)는 각부(1A)와 몸체부(1b)의 경계부에 관통 개구부(1C)를 가지며, 광학 필터(3)가 장착되는 장착부(8)에 관통 개구부(1C)로 관통하는 관통홈(2)를 갖는다. 구성되는 장치에서 생성된 가스는 관통홈(2)을 통해 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조체(1)의 표면 일부에는 단자 패턴(5)을 포함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된다. 고체 촬상 소자(4)는 관통 개구부(1C)에 장착되고, 단자 패턴(5)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광학 필터(3)는 고체 촬상 소자(4)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관통 개구부(1C)를 덮도록 구조체(1)의 광학 필터 장착부(8)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홈(2)이, 각각 구조체(1)의 광학 필터 장착부의 평면도, 그 측면도 및 A-A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 2a 내지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 성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개구부(1C)를 향하여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구조체(1)에 사출 성형하는데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직쇄형 분자 결합 구조를 가지며, 열팽창계수가 분자 결합 방향으로는 작지만, 분자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크다는 이방성을 갖는다. 따라서, 관통홈은 열가소성 수지가 구조체(1)에 사출 성형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개구부를 향하여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수지 분자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에, 고체 촬상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프탈아미드 수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각부(1A)와 그 위에 형성된 몸체부(1B)로 구성된 구조체(1)에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구조체(1)는 각부(1A)와 몸체부(1C)의 경계부에 관통 개구부(1C)를 가지며, 관통 개구부(1C)로 관통하는 관통홈(2)을 갖는다. 이것에 의해, 단자 패턴(5)을 포함하는 배선 패턴은 구조체(1)의 소정 영역에 도금 또는 스퍼터링법과 같은 박막 형성 공정에 의해 각부(1A)의 이면측에 형성된다.
다음에,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학 필터(3)는 관통홈(2)을 남겨두고 관통 개구부(1C)의 일면을 덮는 방법으로 구조체(1)의 광학 필터 장착부에 장착된다.
다음에,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체 촬상 소자(칩; 4)는 구조체(1)의 관통 개구부(1C)의 다른 면에 장착된다. 범프(6)는 고체 촬상 소자(4)의 접속 전극에 형성되고, 접속 전극은 범프(6)를 통해 구조체(1)의 각부(1A)에 형성된 단자 패턴의 일단에 열압착에 의해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가 수지로 밀봉된다. 구체적으로, 고체 촬상 소자의 표면은 수지 실란트(resin sealant; 7)로 피복된다.
광학 필터(3)는 증착법으로 수정판의 표면에 소망하는 굴절율을 갖는 다구조의 유전체 박막을 증착함으로써 형성된 고체 유전체 간섭 필터이다.
고체 촬상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서는 열변형이 적고, 열팽창계수가 장치의 구조체의 열팽창계수보다 작은 광학 필터가 우선 구조체에 장착되고 나서, 고체 촬상 소자가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방법에서는 광학 필터가 고정 부재로서 작용하고, 구조체의 열변형을 억제하기 때문에, 고체 촬상 소자의 구조체로의 접합 확실성이 증가된다.
기술된 방법에서는 구조체가 폴리프탈아미드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이 수지는 직쇄형 분자 결합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열팽창계수가 분자 결합 방향으로는 작지만, 분자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크다는 이방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홈이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 성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개구부를 향하여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수지 분자 결합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억제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관통홈이 관통 개구부를 향하여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달리 하나의 관통홈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 개구부의 일단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는 광학 필터가 투광성 부재로서 이용되지만, 그것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투광성 밀봉 부재, 렌즈 등이 투광성 부재로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구조체를 형성하는 수지에 대해서는 폴리프탈아미드 수지, PPS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뿐만 아니라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열경화 수지가 또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광통신 분야의 카메라로 한정되지 않고, CD, DVD 등의 판독 장치, 복사기용 판독 장치, 의료기기, 도어 폰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 기기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는 구조체의 투광성 부재 장착부에, 구조체에 형성된 관통 개구부로 관통하는 관통홈을 갖도록 형성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이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우선 광학 필터와 같은 투광성 부재가 구조체에 장착되고 나서 고체 촬상 소자가 장착되어도, 고체 촬상 소자 접합 공정에서 생성된 내부 가스가 밀봉 공정에서 관통 개구부에 밀봉되지 않고 관통홈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는 생성된 가스가 고체 촬상 소자를 열화시키고 구조체를 변형시키는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접합 불량이 회피되고, 접합 확실성이 증가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은 밀봉 공정에서 생성된 가수가 관통 개구부(1C)에 밀봉되고, 열에 의해 장치의 고체 촬상 소자의 표면과 반응하여 내부 압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고체 촬상 소자를 열화시키고 구조체를 변형시키는 문제점이 없게 되어, 접합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더욱이, 상기 방법에서는 구성요소의 장착시에 구조체의 열변형이 억제되어, 접합 불량의 문제점이 없게 된다.

Claims (7)

  1. 고체 촬상 장치로서: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고, 관통 개구부를 갖는 구조체;
    상기 구조체의 표면에 형성된 배선 패턴;
    상기 배선 패턴에 접속되고 상기 관통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체에 장착된 고체 촬상 소자; 및
    상기 고체 촬상 소자와 대향하고 상기 관통 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구조체에 장착된 투광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체는 상기 투광성 부재가 상기 구조체에 장착된 투광성 부재 장착부에 구비된, 상기 관통 개구부로 관통하는 관통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배선 패턴이 형성된 각부, 및 상기 각부 위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개구부는 상기 몸체부와 각부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부재는 광학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터는 열팽창계수가 절연성 수지의 열팽창계수보다 작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
  5.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관통 개구부, 고체 촬상 소자가 상기 관통 개구부에 장착되는 고체 촬상 소자 접합부, 투광성 부재가 상기 고체 촬상 소자 접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관통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되는 투광성 부재 장착부, 및 상기 투광성 부재 장착부에 구비된 상기 관통 개구부로 관통하는 관통홈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절연성 수지로 성형하는 구조체 성형 단계;
    상기 구조체상에 배선 패턴을 형성하는 배선부 형성 단계;
    투광성 부재를 상기 투광성 부재 장착부에 장착하는 투광성 부재 장착 단계; 및
    상기 투광성 부재가 장착된 상기 구조체의 고체 촬상 소자 접합부에 고체 촬상 소자를 장착하는 고체 촬상 소자 접합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 성형 단계는 상기 구조체를 사출 성형에 의해 열가소성 절연 수지로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은 상기 열가소성 절연 수지의 사출 성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관통 개구부를 향하여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20073032A 2001-11-22 2002-11-22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91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57987A JP3646933B2 (ja) 2001-11-22 2001-11-22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1-00357987 2001-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427A true KR20030042427A (ko) 2003-05-28
KR100839145B1 KR100839145B1 (ko) 2008-06-19

Family

ID=19169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032A KR100839145B1 (ko) 2001-11-22 2002-11-22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07125B2 (ko)
JP (1) JP3646933B2 (ko)
KR (1) KR100839145B1 (ko)
CN (1) CN142207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62B1 (ko) * 2005-03-02 2008-03-0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촬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4705B2 (ja) * 2000-02-29 2007-1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と撮像装置組立方法
US7012315B1 (en) * 2000-11-01 2006-03-14 Micron Technology, Inc. Frame scale package using contact lines through the elements
FR2824953B1 (fr) * 2001-05-18 2004-07-16 St Microelectronics Sa Boitier semi-conducteur optique a lentille incorporee et blindage
KR100514917B1 (ko) * 2002-05-07 2005-09-14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촬상소자 장착용 패키지
JP3813944B2 (ja) * 2003-04-28 2006-08-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
JP3981348B2 (ja) * 2003-05-30 2007-09-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09012B1 (ko) * 2004-02-11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배선기판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촬상용 반도체 장치
US7262405B2 (en) * 2004-06-14 2007-08-28 Micron Technology, Inc. Prefabricated housings for microelectronic imagers
CN100586253C (zh) * 2005-11-09 2010-01-27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包装、包装载体及其制造方法、诊断设备及其制造方法
JPWO2007096992A1 (ja) * 2006-02-24 2009-07-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8092532A (ja) * 2006-10-05 2008-04-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携帯電話装置
JP2008148222A (ja) * 2006-12-13 2008-06-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20080165257A1 (en) * 2007-01-05 2008-07-10 Micron Technology, Inc. Configurable pixel array system and method
US7812869B2 (en) * 2007-05-11 2010-10-12 Aptina Imaging Corporation Configurable pixel array system and method
KR100867523B1 (ko) * 2007-07-06 2008-11-1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패키지
CN101689534A (zh) * 2007-07-19 2010-03-31 株式会社藤仓 半导体封装体及其制造方法
US20090179290A1 (en) * 2008-01-15 2009-07-16 Huang Shuangwu Encapsulated imager packaging
US20090206431A1 (en) * 2008-02-20 2009-08-20 Micron Technology, Inc. Imager wafer level module and method of fabrication and use
US9197796B2 (en) * 2011-11-23 2015-11-24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CN103178023B (zh) * 2013-02-28 2016-11-16 格科微电子(上海)有限公司 混合基板、半导体器件的封装方法和封装结构
CN104076475A (zh) * 2013-03-29 2014-10-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摄像头模块及其制造方法
WO2017094777A1 (ja) * 2015-12-02 2017-06-08 マイクロモジュール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光学装置及び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17139258A (ja) * 2016-02-01 2017-08-1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パッケージ及び撮像装置
US10109753B2 (en) * 2016-02-19 2018-10-23 X-Celeprint Limited Compound micro-transfer-printed optical filter device
KR20190088812A (ko) 2018-01-19 201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팬-아웃 센서 패키지
JP7191373B2 (ja) * 2018-11-16 2022-12-19 マイクロモジュール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光学装置、分光センサモジュール、撮像モジュール、及び光学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231A (ja) * 1993-05-31 1994-12-13 Nishishiba Electric Co Ltd 系統連系保護装置
JPH0946909A (ja) * 1995-07-27 1997-02-14 Nissin Electric Co Ltd 並列多重連系分散電源の単独運転検出装置
JP3302898B2 (ja) * 1997-01-30 2002-07-15 東芝アイティー・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発電設備の系統連系保護装置
JP3397608B2 (ja) * 1996-12-26 2003-04-21 西芝電機株式会社 発電設備の系統連系保護装置
US5821532A (en) * 1997-06-16 1998-10-13 Eastman Kodak Company Imager package substrate
JP2001119006A (ja) * 1999-10-19 2001-04-27 Sony Corp 撮像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6396116B1 (en) * 2000-02-25 2002-05-28 Agil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ircuit packaging for optical sensor devices
JP3751829B2 (ja) * 2001-01-16 2006-03-01 株式会社東芝 発電設備の系統連系保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62B1 (ko) * 2005-03-02 2008-03-04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촬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707125B2 (en) 2004-03-16
KR100839145B1 (ko) 2008-06-19
US20030094665A1 (en) 2003-05-22
JP3646933B2 (ja) 2005-05-11
JP2003158252A (ja) 2003-05-30
CN1422071A (zh) 200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145B1 (ko)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6949808B2 (en)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825540B2 (en) Miniaturized, resin-sealed solid state imaging apparatus
US6987312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sensor and/or actuator surface and method for producing it
KR100982621B1 (ko) 고체 촬상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7138695B2 (en) Image sensor modul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755694B2 (en) Image sensor package and image capture device with same
KR20090128374A (ko) 고체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3787765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177925A (ja) 圧力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17225B2 (ja) 固体撮像装置とそれを用いたカメラ
KR100877158B1 (ko)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0269472A (ja) 撮像装置
JP362666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搭載製品ならびに撮像装置製造方法
JP4197228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2242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2003174574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48244B1 (ko)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JP3277308B2 (ja) 電子部品
JP2003174154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7083564A1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45825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