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608A -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608A
KR20030041608A KR1020010072450A KR20010072450A KR20030041608A KR 20030041608 A KR20030041608 A KR 20030041608A KR 1020010072450 A KR1020010072450 A KR 1020010072450A KR 20010072450 A KR20010072450 A KR 20010072450A KR 20030041608 A KR20030041608 A KR 20030041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clock
self
value
clock
c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0928B1 (ko
Inventor
최성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9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1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14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36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동기 장비가 스스로 진단을 실시하고 주파수 변이를 측정하여 망동기 장비의 이상유무 및 주파수 발진기의 교정시기를 운용자에게 미리 통지하여 조치토록 함으로써 통신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장치는, 상위 프로세서의 명령 처리 및 DPPLL 상에서 위상 데이터의 평균을 구하고 해당 루프에 대해 디지털 제어값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시험용 기준클럭을 발진하기 위한 기준클럭 발진부와;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다수쌍의 기준클럭을 수신하고 다중화된 망동기 장비에서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장비로부터 각각 시험용 기준클럭을 수신하며, 이처럼 수신된 기준클럭들과 자체 발진된 시험용 기준클럭 중에서 양호한 기준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클럭 선택부와; 기준클럭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기준클럭과 자체발진클럭을 비교하여 위상차를 계수하기 위한 위상차 검출부와; 프로세서로부터 디지털 제어값(DACW)을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제어값에 따라 자체발진클럭을 생성하는 자체클럭 발진부와; 자체클럭 발진부에 의해 발진된 클럭을 분주하여 해당 시스템내 타 장비들이 필요로 하는 시스템 클럭 및 시험용 기준클럭을 만들기 위한 분주 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elf test and frequency shift detection in network synchronization system}
본 발명은 교환기 및 전송장비의 망동기 장비 유지보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망동기 장비가 스스로 진단을 실시하고 주파수 변이를 측정하여 망동기 장비의 이상유무 및 주파수 발진기의 교정시기를 운용자에게 미리 통지하여 조치토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망동기 장비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내의 자원을 관리하고 상위 프로세서의 명령을 처리하며 DPPLL(Digital Processor Phase Locked Loop) 상에서 위상 데이터의 평균을 구하고 루프 제어값을 출력하는 프로세서(110),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롬(ROM)과 프로세서(110)가 각종 연산 수행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램(RAM)으로 구성되는 메모리(120), 프로세서(110)가 보드내의 자원을 관리하는데 필요로 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디코더(130), 사용자의 명령어를 받아들이기 위한 MMI(Man Machine Interface) 정합부(140), 상위 프로세서와 보드 내의 프로세서(110)간 통신 경로를 제공하는 IPC(Inter-processor Communication) 정합부(150)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망동기 장비에는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3쌍의 기준 클럭을 수신하여 이중에 양호한 클럭을 선택하는 기준클럭 선택부(160), 기준클럭과 자체 발진 클럭을 비교하여 위상차를 계수하는 위상차 검출부(170), 검출된 위상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인 축적하기 위한 위상차 데이터 저장부(180), 프로세서(110)로부터디지털 제어값(DACW, 또는 Digital To Analog Control Word)을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190), 자체 발진 클럭을 생성하는 VCX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200), 시스템의 타 장치에서 필요한 클럭을 만드는 분주회로(210), 시스템 클럭을 타 장치에 공급하는 클럭 출력부(220) 등이 더 포함된다.
특히, 전전자 교환기에서 망동기 장비는 그 신뢰성을 고려하여 삼중화로 되어 있다. 즉,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3개의 장치로 구성되어, 그 하나는 마스터(Master)로 동작하고 나머지 둘은 스탠바이(Standby)로 동작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망동기 장비의 핵심 구성품인 VCXO(200)는 주로 OVCXO(Ovenized Voltage Controlled X-tal Oscillator)를 사용하며, 이 부품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파수 변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과금용(Toll)으로 사용되는 교환기의 망동기 장비는 1년에 1~2회 VCXO(200)를 교정한다.
망동기 장비의 유지보수에 관련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용자는 운용자 터미널 상에서 망동기 장비의 디지털 제어값을 확인한다. 망동기 장비의 일반적인 구성에 있어 16비트의 D/A 변환기(190)를 사용하는 경우, 디지털 제어값의 중심값은 7FFFh이고 하한값은 0000h이며 상한값은 FFFFh이다.
운용자는 디지털 제어값이 하한값이나 상한값에 가까우면 VCXO(200)의 조정을 고려하게 되는데, 그 판단이 용이하지는 않은 편이다. 왜냐하면 디지털 제어값이 하한값이나 상한값에 가까워지는 원인은 1) 외부망으로부터 수신되는 기준클럭이 중심 주파수에서 벗어나 있거나, 2) 망동기 장비의 DPPLL 회로에 이상이 있거나, 3) VCXO(200)의 중심 주파수가 변이되어 있는 경우 등 다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용자는 주파수 카운터 등의 외부 계측기를 이용하여 기준클럭을 측정한 후 이에 이상이 없으면 VCXO(200)를 조정하거나 망동기 장비의 수리를 요청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도 여전히 운용자의 경험적인 판단에 의존하여야 한다.
이처럼 종래기술에서 망동기 장비의 이상유무 및 주파수 발진기의 조정시기를 운용자의 경험에 의존하여 판단하게 되므로, 운용자가 망동기 장비의 동작 상태 및 디지털 제어값을 주기적으로 감시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는 시스템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며, 더불어 주파수 발진기의 교정시기를 놓치게 된다면 서비스 품질 저하로 인하여 대고객 신뢰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망동기 장비가 스스로 진단을 실시하고 주파수 변이를 측정하여 망동기 장비의 이상유무 및 주파수 발진기의 교정시기를 운용자에게 미리 통지하여 조치토록 함으로써 통신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는, 상위 프로세서의 명령 처리 및 DPPLL 상에서 위상 데이터의 평균을 구하고 해당 루프에 대해 디지털 제어값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시험용 기준클럭을 발진하기 위한 기준클럭 발진부와;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다수쌍의 기준클럭을 수신하고, 다중화된 망동기 장비에서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장비로부터 각각시험용 기준클럭을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기준클럭들과 자체 발진된 시험용 기준클럭 중에서 양호한 기준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클럭 선택부와;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기준클럭과 자체발진클럭을 비교하여 위상차를 검출하기 위상차 검출부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디지털 제어값을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제어값에 따라 자체발진클럭을 생성하는 자체클럭 발진부와; 상기 자체클럭 발진부에 의해 발진된 클럭을 분주하여 해당 시스템내 타 장비들이 필요로 하는 시스템 클럭 및 시험용 기준클럭을 만들기 위한 분주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방법은, 복수개의 스탠바이와 마스터로 운용되는 다중화된 망동기 장비에서 특정 스탠바이 장비가 다른 스탠바이 장비로부터 공급되는 시험용 기준클럭을 선택하여 DPPLL 루프로 인가하면서 디지털 제어값의 중심값,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디지털 제어값의 상한값과 하한값의 차이로 측정 제어범위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측정 제어범위값을 전체 제어범위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정된 수준을 넘는 경우에 주파수 변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방법은, 망동기 장비의 기준클럭 선택부에서 자체의 기준클럭 발진부에 의해 생성된 시험용 기준클럭을 선택하여 DPPLL 회로로 인가하는 단계와; 프로세서가 상기 선택된 시험용 기준클럭에 따라 디지털 제어값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DPPLL 회로의 자체클럭 발진부에서 상기 디지털 제어값에 따라 자체발진클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시험용 기준클럭의 위상에 상기 자체발진클럭의 위상이 락킹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DPPLL 회로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그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망동기 장비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의 블록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 방법의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 프로세서320 : 메모리
330 : 어드레스 디코더340 : MMI 정합부
350 : IPC 정합부360 : 기준클럭 선택부
370 : 위상차 검출부380 : 위상차 데이터 저장부
390 : D/A 변환부400 : 자체클럭 발진부
410 : 분주 회로부420 : 클럭 출력부(분주용 클럭)
430 : 기준클럭 발진부(시험용 클럭)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의 블록도이며,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망동기 장비의 보드내에서 자체적으로 시험용 클럭을 발진하고, 이 시험용 클럭을 이용하여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를 측정하게 된다.
도1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0)는 보드 내의 자원을 관리하고 상위 프로세서의 명령을 처리하며 DPPLL 상에서 위상 데이터의 평균을 구하고 루프 제어값을 출력한다. 메모리(320)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롬(ROM)과 프로세서(310)가 각종 연산 수행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램(RA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어드레스 디코더(330)는 프로세서(310)가 보드내의 자원을 관리하는데 필요로 하는 각종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MMI 정합부(3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명령어를 받아들이기 위한 것이며, IPC 정합부(350)는 상위 프로세서와 보드 내의 프로세서(310)간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기준클럭 발진부는 시험용 기준클럭 발진기(430)로 구현되어 시험용 기준클럭(T_REF0)을 생성하여 기준클럭 선택부(360)로 공급한다.
기준클럭 선택부(360)는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3개의 기준 클럭(E_REF0, E_REF1, E_REF2)을 수신하고, 삼중화된 망동기 장비의 경우라면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장비로부터 2개의 시험용 기준클럭(T_REF1, T_REF2)을 수신하며, 이처럼 수신된 클럭들과 자체 발진된 시험용 기준클럭(T_REF0)을 포함한 총 6개의 기준클럭(T_REF0, T_REF1, T_REF2, E_REF0, E_REF1, E_REF2) 중에서 양호한 클럭을 선택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는 기준클럭과 자체 발진 클럭을 비교하여 위상차를 계수하는 위상차 검출부(370), 검출된 위상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인 축적하기 위한 위상차 데이터 저장부(380), 프로세서(310)로부터 디지털 제어값(DACW)을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390), 자체 발진 클럭을 생성하는 VCXO(400), 시스템의 타 장치에서 필요한 클럭 및 시험용 기준클럭을 만드는 분주회로(410), 시스템 클럭과 시험용 기준클럭을 타 장치에 공급하는 클럭 출력부(420) 등을 포함한다.
서비스중인 시스템에서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을 위한 시험은 삼중화된 망동기 장비의 경우에 스탠바이로 동작하는 두 개의 장치에서 실행된다. 이때 마스터는 정상 동작한다. 두 개의 스탠바이 장비를 스탠바이1과 스탠바이2로 각각 칭하고 스탠바이2의 주파수 변이를 측정한다고 가정하면, 그 진단및 측정 동작은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계열적 흐름을 따른다. 여기서 도면의 참조번호는 스탠바이1과 스탠바이2에 대해 동일하게 부여하였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취해진 것으로 삼중화 구성에서 각 참조번호의 인용시 스탠바이1과 스탠바이2 중에서 어느 것을 지칭하는지 여부가 불명확한 경우에는 이를 명시한다.
도3에 따르면, 스탠바이1은 D/A 변환부(390)에 디지털 제어값으로 '7FFFh'를 인가하여 중심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한다. 생성된 중심 주파수는 분주회로(410)에 의해 시험용 기준클럭으로 분주되어져 클럭 출력부(420)를 통해 스탠바이2로 공급된다. 스탠바이2는 기준클럭 선택부(360)에서 시험용 기준클럭인 T_REF2를 선택하여 DPPLL 루프에 공급하며,. 이때의 디지털 제어값을 확인하여 이를 '중심값'으로 취급한다(S312~S318).
그리고 스탠바이1은 D/A 변환부(390)에 디지털 제어값으로 '1000h'을 인가하여 상한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한다. 생성된 상한 주파수는 분주회로(410)에 의해 시험용 기준클럭으로 분주되어 클럭 출력부(420)를 통해 스탠바이2로 공급된다. 스탠바이2는 기준클럭 선택부(360)에서 시험용 기준클럭인 T_REF2를 선택하여 DPPLL 루프에 공급하며, 이때의 디지털 제어값을 확인하여 이를 '상한값'으로 취급한다(S320~S326).
더불어 스탠바이1은 D/A 변환부(390)에 디지털 제어값으로 'EFFFh'를 인가하여 하한 주파수를 생성하도록 한다. 생성된 하한 주파수는 분주회로(410)에 의해 시험용 기준클럭으로 분주되어져 클럭 출력부(420)를 통해 스탠바이2로 공급된다.스탠바이2는 기준클럭 선택부(360)에서 시험용 기준클럭인 T_REF2를 선택하여 DPPLL 루프에 공급하며, 이 디지털 제어값을 확인하여 이를 '하한값'으로 취급한다(S328~S334).
이러한 상한값과 하한값의 차이로 '측정 제어범위값'을 산출한다(S336).
산출된 측정 제어범위값 전체 제어범위값인 'DFFFh(=EFFFh-1000h) 보다 작으면 스탠바이2의 중심 주파수 변이가 발생하였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측정 제어범위값이 전체 제어범위값의 절반인 '6FFFh(=DFFFh/2)' 보다 작으면, 50% 이상의 주파수 변이가 발생하였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약간의 주파수 변이는 시스템 운용상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50% 이상의 주파수 변이가 측정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시스템 메시지를 통해 운용자에게 VCXO(400)를 조정토록 권고한다(S338~S340).
또한, 스탠바이2의 DPPLL 회로가 정상이라면 시험용 기준클럭의 위상에 자체발진클럭의 위상이 고정되는 락킹(Locking) 상태에 이르게 될 것이다. 반면, 스탠바이2의 DPPLL 회로가 불량이면 이처럼 동작하지 않을 것이므로, 이 경우에는 해당 DPPLL 회로를 수리하도록 운용자에게 권고하도록 한다(S342).
본 실시예와는 달리 삼중화 구성이 없는 경우라면 기준클럭 선택부(360)에서 자체 시험용 기준클럭인 T_REF0을 선택하여 DPPLL 회로에 공급함으로써, 위상동기루프가 락킹 상태에 이르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 장치의 수리를 요청토록 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변형을 통해 다른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화, 변경 및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대한 기재내용으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우선, 시스템이 망동기 장비의 주파수 변이를 측정하여 운용자에게 주파수 발진기의 교정시기를 알려주어 조정토록 함으로써, 운용자가 망동기 장비의 동작 상태 및 디지털 제어값을 주기적으로 감시해야 하는 종래 시스템 유지보수 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서비스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망동기 장비의 주파수 발진기를 포함한 전체 구성요소에 대한 자기진단이 가능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자기진단 기능을 망동기 장비의 제조 단계에 적용한다면 시험시간 및 불량 수리시간의 단축도 가능하다.

Claims (7)

  1. 상위 프로세서의 명령 처리 및 DPPLL 상에서 위상 데이터의 평균을 구하고 해당 루프에 대해 디지털 제어값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서와;
    시험용 기준클럭을 발진하기 위한 기준클럭 발진부와;
    외부의 통신망으로부터 다수쌍의 기준클럭을 수신하고, 다중화된 망동기 장비에서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장비로부터 각각 시험용 기준클럭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기준클럭들과 자체 발진된 시험용 기준클럭 중에서 양호한 기준클럭을 선택하기 위한 기준클럭 선택부와;
    상기 기준클럭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기준클럭과 자체발진클럭을 비교하여 위상차를 검출하기 위한 위상차 검출부와;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디지털 제어값(DACW)을 받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제어값에 따라 자체발진클럭을 생성하는 자체클럭 발진부와;
    상기 자체클럭 발진부에 의해 발진된 클럭을 분주하여 해당 시스템내 타 장비들이 필요로 하는 시스템 클럭 및 시험용 기준클럭을 만들기 위한 분주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망동기 장비 중에서 스탠바이 장비의 기준클럭 선택부는 상기 외부 통신을 통해 복수개의 기준클럭을 수신하고 다른 스탠바이 장비와 마스터로부터 시험용 기준클럭을 각각 공급받은 후, 이처럼 수신된 상기 기준클럭들과 상기 기준클럭 발진부에 의해 생성된 자체의 시험용 기준클럭을 포함한 복수개의 기준클럭들 중에서 양호한 기준클럭을 선택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3. 복수개의 스탠바이와 마스터로 운용되는 다중화된 망동기 장비에서 특정 스탠바이 장비가 다른 스탠바이 장비로부터 공급되는 시험용 기준클럭을 선택하여 DPPLL 루프로 인가하면서 디지털 제어값의 중심값,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디지털 제어값의 상한값과 하한값의 차이로 측정 제어범위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측정 제어범위값을 전체 제어범위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설정된 수준을 넘는 경우에 주파수 변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값의 중심값,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다른 스탠바이 장비의 프로세서가 제1 디지털 제어값을 인가하여 중심주파수를 생성하여 시험용 기준클럭으로 분주한 후 상기 스탠바이 장비로 공급되도록 하면, 상기 특정된 스탠바이 장비에서 상기 다른 스탠바이 장비로부터 공급된 시험용 기준클럭을 선택하여 DPPLL 루프에 공급한 후 해당 디지털 제어값을 검출하여 중심값으로 취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스탠바이 장비의 프로세서가 제2 디지털 제어값을 인가하여 상한 주파수를 생성하여 시험용 기준클럭으로 분주한 후 상기 특정된 스탠바이 장비로 공급되도록 하면, 상기 특정된 스탠바이 장비에서 상기 다른 스탠바이 장비로부터 공급된 시험용 기준클럭을 선택하여 DPPLL 루프에 공급한 후 해당 디지털 제어값을 검출하여 상한값으로 취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스탠바이 장비의 프로세서가 제3 디지털 제어값을 인가하여 하한 주파수를 생성하여 시험용 기준클럭으로 분주한 후 상기 특정된 스탠바이 장비로 공급되도록 하면, 상기 특정된 스탠바이 장비에서 상기 다른 스탠바이 장비로부터 공급된 시험용 기준클럭을 선택하여 DPPLL 루프에 공급한 후 해당 디지털 제어값을 검출하여 하한값으로 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스탠바이 장비가 기준클럭의 주파수 변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측정 제어범위값이 설정된 전체 제어범위값 보다 작은 경우에 자신의 중심 주파수가 변이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중심 주파수 변이가 발생되고 상기 측정 제어범위값이 상기 전체 제어범위값의 절반보다 작으면 설정치 이상의 주파수 변이가 발생된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치 이상의 주파수 변이가 발생된 경우에는 자신에 속한 프로세서가 자체클럭 발진부의 조정을 요구하는 시스템 메시지를 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된 스탠바이 장비가 상기 다른 스탠바이 장비로부터 공급된 시험용 기준클럭의 위상에 자체발진클럭의 위상이 락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된 스탠바이 장비의 프로세서는 상기 락킹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해당 DPPLL 루프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락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DPPLL 회로가 비정상임을 운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 방법.
  7. 망동기 장비의 기준클럭 선택부에서 자체의 기준클럭 발진부에 의해 생성된 시험용 기준클럭을 선택하여 DPPLL 회로로 인가하는 단계와;
    프로세서가 상기 선택된 시험용 기준클럭에 따라 디지털 제어값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DPPLL 회로의 자체클럭 발진부에서 상기 디지털 제어값에 따라 자체발진클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시험용 기준클럭의 위상에 상기 자체발진클럭의 위상이 락킹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DPPLL 회로의 이상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 및 주파수 변이 측정 방법.
KR10-2001-0072450A 2001-11-20 2001-11-20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0400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450A KR100400928B1 (ko) 2001-11-20 2001-11-20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450A KR100400928B1 (ko) 2001-11-20 2001-11-20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608A true KR20030041608A (ko) 2003-05-27
KR100400928B1 KR100400928B1 (ko) 2003-10-08

Family

ID=2957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450A KR100400928B1 (ko) 2001-11-20 2001-11-20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9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23B1 (ko) * 2009-11-17 2010-07-01 황창욱 석면 부재 작업 장치 및 방법
KR20160057942A (ko) 2014-11-14 2016-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파수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4167829A (zh) * 2021-12-03 2022-03-11 浙江中控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时钟同步测试方法以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823B1 (ko) * 2009-11-17 2010-07-01 황창욱 석면 부재 작업 장치 및 방법
KR20160057942A (ko) 2014-11-14 2016-05-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파수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4167829A (zh) * 2021-12-03 2022-03-11 浙江中控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时钟同步测试方法以及装置
CN114167829B (zh) * 2021-12-03 2024-05-14 浙江中控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时钟同步测试方法以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0928B1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0009A (en) True mean rate measuring system
CN108508343A (zh) 一种印制电路板的检测装置及方法
CN110018919A (zh) 半导体装置及其功率监测方法
JP4051840B2 (ja) 分散されているシステム機器の同期装置
KR20010013491A (ko) 다수결(多數決)용 하드웨어 설계와, 다수결의 테스트 및유지관리
JP4838110B2 (ja) システムクロック供給装置及び基準発振器の周波数ずれ判定方法
KR100400928B1 (ko)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6084394A (en) Electronic measuring device using a correction factor to compensate for measuring errors
EP1024367B1 (en) Frequency measurement test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the same
JP3072720B2 (ja) 情報処理装置
US4099048A (en) Count logic circuit
US4156929A (en) Digital monitoring system
JP3013753B2 (ja) 計量端末器および検針システム
CN113484820A (zh) 一种电能表校准装置和校准系统
KR101876675B1 (ko) 배전반 및 분전반용 디지털 전력 계측기
KR10023177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시스템 클럭 발생장치
US20070296428A1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upply voltage monitoring function
JP2015190951A (ja) 積算量出力機器、積算量入力機器、積算パルス伝送装置、および積算パルス伝送装置のエラー検出方法
CN216559415U (zh) 一种带自校准功能的电力系统无线测温传感器
JP3884674B2 (ja) 時刻監視装置および方法
JP4036013B2 (ja) 周波数監視回路、クロック供給装置、および周波数監視方法
WO2023210295A1 (ja) 測定システム
US11946963B2 (en) Resistance measurement for measurements from multiple devices
KR100333176B1 (ko) 스펙트럼 어날라이저의 레벨평탄화 보상장치 및 보상방법
CN112924915B (zh) 一种电压监测仪互校准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