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823B1 - 석면 부재 작업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석면 부재 작업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823B1
KR100966823B1 KR1020090110728A KR20090110728A KR100966823B1 KR 100966823 B1 KR100966823 B1 KR 100966823B1 KR 1020090110728 A KR1020090110728 A KR 1020090110728A KR 20090110728 A KR20090110728 A KR 20090110728A KR 100966823 B1 KR100966823 B1 KR 100966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asbestos
work
case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창욱
황경욱
장춘일
Original Assignee
황창욱
황경욱
장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창욱, 황경욱, 장춘일 filed Critical 황창욱
Priority to KR102009011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66Disposal of asbest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 부재 작업 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석면 부재 작업 장치는, 작업도구에 장착되는 공구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가 내부면의 하부면에 부착된 후 테두리 영역이 작업면에 부착되어 밀폐 영역을 형성하는 수집부;와, 상기 공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집부에 결합된 후 상기 공구가 수집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상기 밀폐영역 내로 유입되도록 지지하는 공구고정부;를 포함하여, 상기 밀폐 영역의 외부에서 작업자가 작업도구에 결합된 공구를 상기 밀폐영역으로 삽입하여 석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도구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며, 별도의 과대 비용이 발생하는 석면 부재 작업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도 석면분진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안전한 석면 부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석면, 텍스, 음압, 석면 보드, 석면 보드 제거, 석면 보드 교체

Description

석면 부재 작업 장치 및 방법{ASBESTOS MEMBER WORK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별도의 음압시설 및 클리닝룸 등의 설치 없이 석면 부재의 제거 또는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석면 부재 작업의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키고, 신속하고 정확하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석면 부재 작업 중 발생하는 유해 폐기물을 용이하게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면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높고,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보온성, 방음성, 흡음성 등이 뛰어나며 다른 물질과의 결합력이 높아 천정 보드 등의 건축물의 마감재, 용접 장갑, 내열성이 필요한 가전 열기구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특히, 상기 석면은 학교, 건물 등의 건축 마감재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이중 대표적인 것이 천정면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텍스, 외장 마감재로 사용되는 슬레이트 등의 석면 보드를 들 수 있다.
상술한 석면은 분해되면서 미세한 분진 상태로 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 러한 석면 분진 중 백석면을 포함하여 청석면 및 갈석면 등은 장기간 흡입하는 경우 흡입자에게 석면폐(폐선유종), 폐악성중피종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석면 부재는 제거되거나 다른 무해성 부재로 교체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 등의 건축물에서 석면 보드 등의 석면 부재의 제거 교체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 영역 전체를 밀폐하여야 한다. 또한 작업 영역에서 발생하는 석면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폐된 작업 영역 전체에 대하여 음압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규칙에 따라 정확하고 안전한 시공이 수행되었음을 확인받을 수 있도록 하며, 석면의 외부 유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음압 유지 상태를 기록하는 음압 기록 장치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의 모든 석면의 제거 또는 교체 등의 석면 부재 작업을 위한 작업 시설을 갖춘 상태에서 작업자는 밀폐 위생 작업복을 착용한 후 내부로 들어가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에 사용되는 드릴, 드라이버, 커터 등의 작업도구들에 대하여도 밀봉 사용한 후 작업 후에 밀봉된 외부 커버를 분리하여 제거하여 분리 배출하고 작업도구들을 세척한 후에만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또한 석면 부재에 대한 제거 또는 교체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업 영역에 대한 습윤-석면 부재 작업(제거 또는 교체)-점착제 살포-비닐팩 등의 밀봉 부재 제거 등을 수행하도록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이는 석면 부재에 대한 작업 영역에서 석면 분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석면 부재에 대한 제거 또는 교체 작업 등의 석면 부재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그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고, 작업 시간이 장기간 소 요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학교 등의 경우에는 석면의 유해성에 학생들이 노출되거나 학생들의 수업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학 기간 중에만 수행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대규모의 작업을 짧은 시일 내에 종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인력과 장비를 투여해야 하므로 작업 비용이 더욱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밀폐된 석면 부재 작업 영역에 대한 음압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작업 영역 전체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시설, 음압유지장치 및 음압 기록장치는 크기가 크고 고가이어서 석면 보드 작업 비용을 상승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석면 보드 제거 작업이 필요한 영역만을 밀폐하는 것에 의해 석면 보드 작업을 위한 음압실, 음압장치 등의 크기를 현저히 줄이고, 클리닝 룸(cleaning room)의 설치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발명이 개시되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10-923314호의 '석면 해체 장치'(종래기술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903071호의 '석면이 함유된 구조물의 제거 방법'(종래기술 2)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10-833980호의 '석면함유마감재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석면함유마감제제거공법'(종래기술 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 1은 다수의 음압조절 구멍과 내부에 장갑이 구비된 다수의 함몰부를 구비하고 테두리 부분을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비닐상자와, 수거용봉투 및 지지대와 음압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종래기술 1은 작업영 역에 내부에 작업 공구가 삽입된 비닐상자를 부착한 후 작업자가 함몰부의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비닐상자 내부에 위치된 석면 보드 등의 석면 보드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종래기술 2는 스프레이형 본드를 도포한 구조물 전체를 밀봉부재를 이용하여 밀봉하여 구조물에 부착시키고, 밀봉부재에 의해 부착 밀봉된 석면을 구조물을 밀봉부재와 함께 분리하여 폐기하는 것에 의해 석면을 외부 누출됨이 없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종래기술 2는 적어도 일부가 고정된 면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된 석면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석면이 외부로 누출됨이 없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종래기술 3은 타공부재, 저면에 관통구와 분진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 면은 개방된 분진방지통 및 집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종래기술 3은 상기 분진방지통을 석면 부재 작업 위치에 밀폐 고정한 후 집진부를 분진배출구에 연결하고 타공부재를 관통구에 삽입하여 석면 보드 등에 대한 타공, 체결구 분리 등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 중 발생하는 석면물질은 집진부를 통해 수집한다.
상기 종래기술 1은 석면 부재 작업 영역에만 설치되므로 석면 부재 작업을 위한 종래기술의 음압실, 클리닝 룸 등의 설치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석면 부재 작업을 위한 장비들의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종래기술 2의 경우에는 석면을 포함하는 구조물에서 석면을 제거하는 경우 석면의 외부 유출 없이 손쉽게 석면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종래기술 3의 경우에는 석면의 소 영역에 대한 작업시 석면의 유출을 방지하면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 1의 경우 작업공구가 비닐상자 내부에 위치되고, 작업자는 비닐상자에 일체로 형성된 장갑을 착용한 상태로 작업공구를 사용해야 하므로, 함몰부와 장갑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고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 공구를 조작하는 것이 부자연스럽게 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정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종래기술 1은 또한 넓은 영역에 대한 작업을 수행해야할 경우 작업공구의 위치 이동이 어려워 작업 효율을 더욱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종래기술 1은 또한 작업이 종료된 후 비닐상자 내부의 작업공구를 비닐상자와 같이 분리한 후 별도의 클리닝 룸에서 세척한 후 인출하여 하므로 클리닝 룸을 설치해야 한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1은 여러 작업 영역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 공구의 세척 작업을 반복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지연되거나, 작업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각각의 작업 영역별로 작업 공구를 준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종래기술 2는 석면을 포함하지 않는 연결 구조물이 없이 일체로 연결되는 석면보드 등의 제거 적업에는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종래기술 3은 분진 방지통을 제거하는 과정 또는 타공부재의 분리 시 석면 분진의 누출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넓은 영역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매번 분진방지통과 집진부를 작업 영역에 설치해야 하며, 타공부재에 대한 반복적인 세척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석면 부재 작업 이후의 작업 부위의 석면 분진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없어 작업 영역을 차폐하기 위한 설비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밀폐시설, 클리닝 룸(cleaning room) 또는 고가의 음압장치를 구비함이 없이 용이하게 석면 부재를 제거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음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진공청소기 등의 저비용의 장치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석면 부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키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석면 부재 작업을 수행할 작업도구를 외부에 위치시키고 작업도구에 결합된 공구부분만을 작업 영역으로 유입시켜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이 완료된 후 공구를 인출하는 경우 자동으로 세척되도록 함으로써 작업도구에 대한 별도의 세척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며, 이에 의해 작업공구의 이동성 및 재 사용성 등의 이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석면 부재 작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석면 부재 작업을 저 비용으로 용이하며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석면 부재 작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석면 부재 작업 장치는, 공구가 관통하는 제 1 공구구멍과, 케이스부의 중앙부위가 위치되고 양측면은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밀봉테이프를 구비하여 작업도구에 장착되는 공구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가 내부면의 하부면에 부착된 후 테두리 영역이 작업면에 부착되어 밀폐 영역을 형성하는 수집부;와, 상기 공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집부에 결합된 후 상기 공구가 수집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상기 밀폐영역 내로 유입되도록 지지하는 공구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테이프는 상기 공구의 초기 관통 삽입시 관통되고, 상기 공구의 인출 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일 측 단부를 잡아당기는 경우 위치 이동되어 관통되지 않은 면이 상기 제 1 공구구멍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밀폐 영역의 외부에서 작업자가 작업도구에 결합된 공구를 상기 밀폐영역으로 삽입하여 석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도구의 이용을 용이하게 하며, 별도의 과대 비용이 발생하는 석면 부재 작업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도 석면분진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여 안전한 석면 부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구고정부는, 상기 공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구를 고정하고 상기 공구의 인출 시 상기 공구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부재;와, 상기 세척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된 후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공구고정부는 상기 세척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세척 부재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척부재커버는 상기 공구의 삽입시 관통되거나, 상기 공구가 지나는 상부 면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세척부재가 세척수로 적셔진 상기 공구의 삽입 또는 인출 시 상기 세척액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다.
상기 수집부는,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내부면에 필터부재가 결합된 음압호스결합부를 구비한 수집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커버는 외부에서 작업 영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는 또한, 상기 케이스부가 결합된 상기 수집부를 넓은 영역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재는, 다수의 수직지지바;와, 상기 수직지지바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 영역에 대향하는 상기 외부프레임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내부거치대;를 포함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거치대는, 상기 외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지그 재그 형상으로 연결되는 거치케이블, 상기 외부 프레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 또는 상기 거치케이블과 상기 내부 프레임이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것 중 하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는 또한, 상기 거치부재의 저면에 매달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집부의 상부에서 상기 수집부로 낙하하는 석면 부재들을 받쳐 수집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석면 부재 작업 방법은, 제 1 공구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밀봉테이프가 위치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부들의 상부 면을 덮은 후 상기 케이스부들에 고정되는 수집부 및 세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부에 탈부착되는 공구고정부를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를 이용한 석면 부재 작업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테두리 영역을 석면 부재 작업 영역에 부착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밀폐 영역으로 형성하는 밀폐과정;과, 작업도구에 결합된 공구의 외주연으로 삽입된 공구고정부를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하고 상기 수집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공구를 상기 밀폐 영역으로 삽입하는 공구삽입과정;과, 상기 삽입된 공구를 이용하여 석면 부재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석면부재작업과정;과, 상기 석면부재작업과정이 종료된 후 상기 공구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세척부재에 의해 상기 공구를 세척하여 인출하는 공구세척 및 인출 과정;과, 상기 공구를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인출한 후 상기 밀봉테이프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 1 공구구멍을 차폐하는 차폐과정;과, 상기 차폐과정 이후 상기 공구고정부재와 상기 수집부를 분리한 후 상기 공구고정부와 상기 수집부에 수집된 석면부재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하여 폐기하는 폐기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과정은 상기 수집부에 음압호스를 연결하여 음압을 유지하는 음압유지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과정은 또한, 상기 수집부의 설치 이전에 상기 수집부를 지지하는 거치부재를 설치하는 거치부재 설치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밀폐과정은 또한, 상기 거치부재에 수집부를 설치한 후 상기 거치부재에 받침부재를 설치하는 받침부재설치과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공구삽입과정 이후, 상기 공구를 인출한 후 습윤관을 삽입하여 습윤처리를 행하는 습윤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구세척 및 인출 과정 이후, 점착제 분사관을 삽입하여 상기 석면 부재 작업이 수행된 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도포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밀폐시설, 클리닝 룸(cleaning room) 또는 고가의 음압장치를 구비함이 없이 용이하게 석면 부재를 제거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음압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진공청소기 등의 저비용의 장치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 석면 부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석면 부재 작업을 수행한 공구의 분리시 자동으로 세척되도록 함으로서 작업공구에 대한 별도의 세척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 작업공구의 이동성 및 재 사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작업 속도를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석면 부재 작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학교 시설 등의 석면 보드 등의 석면 부재에 대한 교체 또는 제거 작업을 단기간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교 및 작업자에게 석면 부재 제거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하며, 학생들에게 미치는 유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 도록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1)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설치 상태도이다.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1)는 석면 작업 면을 밀봉한 후 석면 부재 작업 장치(1)의 외부에서 공구(2)를 이용하여 석면 부재에 대한 교체 또는 제거 작업(석면 부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과 같이, 케이스부(10), 공구고정부(30'), 고정부재(50) 및 수집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구(2)는 드라이버, 전동드릴 등의 작업도구 중 작업면에 접촉되어 나사의 체결 또는 체결 해제, 천공 등을 수행하는 부위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예로 드라이버의 경우에는 드라이버 헤드를 포함하는 기둥 상의 부재를, 드릴기계의 경우에는 드릴기계에 결합되는 드릴날 등을 통칭하여 지칭한다.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1)의 각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부(10, 도 2 참조)는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6) 및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6)의 사이에 결합된 밀봉테이프(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는 상부 면에 제 1 공구구멍(13)이 관통형성되고, 저면에 하부 케이스(16)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요입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안착 부(12)가 형성되며, 서로 대향 하는 양 측면에는 테이프구멍(1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1)는 또한 외 측면에 고정부재(50)가 상입되는 고정부재홈(미 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밀봉테이프(15)는 양측 단부에 걸림돌기(15')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안착부(12)의 양 측면과 내부의 상부 면을 연장한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밀봉테이프(15)는 상기 케이스부(10)의 하부케이스안착부(12)에 내측에서 양측 단부가 테이프구멍(14)을 통해 상기 케이스부(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10)에 결합된다. 상기 밀봉테이프(15)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대향하는 면이 접착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16)는 상부 면에 제 2 공구구멍(18)이 형성되고, 저면에 공구고정부(3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공구고정부안착홈(17)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안착부(1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상부 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6)는 사각 박스 형 이외에 원통형, 다각기둥 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구고정부(30', 도 2 참조)는 손잡이부(20), 세척부재(30), 세척부재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0)는 상부에 제 3 공구구멍(22)이 관통 형성되며, 외 측면에 요철을 가지는 요철부(23a)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세척부재(30)가 삽입되어 긴밀히 밀착될 수 있도록 저면에서 상부로 요입 형성되는 세척부재결합홈(24)이 형성된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0)의 상부 면에는 제 3 공구구멍(22)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공구구멍(33)은 상부 면 전체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 1 및 제 2 공구구멍(13, 18)을 통해 낙하는 석면 분진이 세척부재커버(40) 또는 세척부재(30)에 의해 수집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제 3 공구구멍(33)은 공구(2)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척부재(30)는 흡습성 및 함수성을 가지는 스폰지 등의 발포성 부재를 이용하여 원뿔대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세척부재(30)는 중심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공구삽입구멍(3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세척부재커버(40)는 상기 세척부재(30) 전체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주머니(또는 봉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세척부재커버(40)는 비닐 등의 방수 기능을 가지며 공구(2)에 의해 관통이 용이한 부재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세척부재커버(40)의 상부 면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에서 낙하하는 석면 분진이 세척부재(30)에 흡착된다. 또한, 상기 세척부재커버(40)는 상기 세척부재(30)의 흡수된 물 또는 세척수 등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면이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세척부재결합홈(24)과 상기 세척부재(30)는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원뿔대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 원뿔대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고무줄 또는 고무링을 포함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된다.
상기 수집부(60)는 가요성이며 내부 관측이 가능한 투명 비닐 등의 폐곡면을 형성하지 않는 판 상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수집부(60)의 일 측은 관통되어 음압 호수구(62)가 형성되며, 상기 음압호수구(62)에는 필터부재(64), 결합구(63)가 결합되는 음압호스결합부(60')가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도 1 내지 도 4의 석면 부재 작업 장치를 이용한 석면 부재 작업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1)의 결합 구조, 설치 상태 및 석면 부재 작업 과정을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11)의 하부케이스안착부(12)에 밀봉 테이프(15)가 삽입된 후 양측 단부가 양측 테이프구멍(140)에 각각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밀봉테이프(50)가 상기 상부케이스(11)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6)는 밀봉테이프(15)가 결합된 상부케이스(11)의 하부케이스안착부(12)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16)의 외 측면은 상기 하부케이스안착부(12)의 내 측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결합된다. 이 경우 분리 방지를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안착부(12)의 내측면과 상기 하부케이스(16)의 외 측면에는 다수의 돌기 등이 마찰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안착부(12)의 내측 상부 면과 하부케이스(16)의 상부 면은 상기 밀봉테이프(15)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밀봉테이프(14)의 상부 케이스(11)의 외부로 돌출된 걸림돌기(15')를 잡아당기는 경우 일 측이 인출되고 타 측이 케이스부(10)의 내부로 인입되는 것에 의해 제 1 공 구구멍(13)과 마주하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10)가 조립된 후 수집부(60)를 이루는 수집커버(61)는 케이스부(10)의 상부 면에 안착시킨 후 고정부재(50)를 수집커버(61)의 상부에서 케이스부(10)의 외주 연에 결합시켜 케이스부(10)에 수집부(60)를 결합시킨다.
상기 케이스부(10)와 수집부(60)가 결합된 후에는 수집커버(61)의 테두리를 상 방향으로 뒤집은 후 접착수단(3)을 이용하여 석면 부재 작업 면을 포함하는 석면 부재 영역에 부착시켜 밀폐된 석면 부재 작업 영역(W)을 형성한다. 도 3의 경우 도면 부호 4는 석면 부재의 일 예인 석면 보드를 나타낸다(밀폐과정(S30), 도 4 참조).
상기 밀폐과정(S10)의 수행 이전에 케이스부(10)가 결합된 수집부(60)를 걸쳐서 지지할 수 있도록 도 5의 거치부재(400)를 설치하는 거치부재설치과정(S10)을 더 수행하고, 상기 밀폐과정(S10, 도 4 참조) 이후에는 도 6의 받침부재(500)를 설치하는 받침부재설치과정(S30, 도 4 참조)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진공청소기 등의 음압호스(5)를 음압호스결합부(60')에 연결하여 작업영역(W) 내부의 음압을 유지한다. 이때 음압은 흡입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의 음압 상태로 조절하게 되고,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석면 분진 등의 이물질은 필터부재(64)에 의해 걸러져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음압유지과정(S40),도 4 참조).
다음으로, 손잡이부(12)의 세척부재결합홈(24)에 세척부재커버(40)가 하부 케이스(16) 또는 손잡이부(1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세척부재(3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세척부재(30)의 상단부는 물 또는 세척액 등에 의해 적셔져 공구(2)의 분리시 공구(2)에 부착된 석면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석면 부재 작업 장치(1)가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필요한 작업도구의 공구(2)를 공구삽입구멍(31)에 삽입하여 수집커버(61)와 밀봉테이프(15)를 관통시켜 공구(2)의 단부를 밀폐된 작업 영역(W)의 내부로 삽입한다(공구삽입과정(S50), 도 4 참조).
상기 공구삽입과정(S50)이 수행된 후에는 공구(2)를 인출한 후 습윤관(미 도시)을 삽입하여 석면 작업 면에 대한 습윤작업을 수행한다(습윤과정(S60), 도 4 참조)
이 후 습윤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공구(2)를 삽입한 후 공구(2)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나사(p) 등의 체결구에 대한 체결 또는 체결해제, 석면 부재 에 대한 천공, 석면 보드의 제거 또는 교체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공구(2)가 부착 또는 장착된 작업도구의 위치를 이동하는 경우 수집커버(61)가 용이하게 변형되어 공구(2)의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수집커버(61)는 공구(2)의 자유로운 이동을 위하여 충분한 여유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업과정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1)와 밀봉테이프(5) 및 하부케이스(16)가 긴밀히 밀착되어 있고, 상기 밀봉테이프(5)가 공구(2)에 의해 관통되면서 공구(2)의 외주면에 밀착되며, 또한 음압이 계속 유지되므로 작업 중 발생하는 석면 분진이 상기 제 1 공구구멍(13)의 하부에 위치되는 밀봉테이프(15)의 상부에서 하부 영역으로 유출 되지 않게 된다(석면부재작업과정(S70), 도 4 참조).
상기 구성의 석면 부재 작업 장치(1)를 이용한 석면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공구(2)를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1)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하나의 걸림돌기(15')를 일 측으로 잡아당겨 제 1 공구구멍(13)을 관통되지 않은 밀봉테이프(15)의 영역으로 차폐한다(차폐과정(S80), 도 4 참조).
그리고 손잡이관(23)을 가압하여 세척부재(30)가 공구(2)의 외측면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 후 공구(2)를 세척부재(30)로부터 인출한다. 이때 세척부재(30)의 적셔진 상단부에 의해 공구(2)에 부착된 석면 분진 등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하부의 건조 부분에 의해 세척액 등이 닦여지는 것에 의해 공구(2)의 세척이 인출과 동시에 수행된다(공구세척 및 인출 과정(S90), 도 4 참조).
이 후 다시 점착제 살포를 위한 분사관(미 도시)을 공구삽입구멍(31), 제 4 ~ 제 1 공구구멍(30', 22, 18, 13)을 통해 삽입하여 석면 작업 영역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분사관을 인출한다. 이때에도 동일하게 밀봉테이프(15)의 위치를 이동시켜 제 1 공구구멍(13)을 차폐한다(점착제도포과정(S100), 도 4 참조).
작업영역에 도포된 점착제가 경화된 후에는 수집커버(61)를 밀봉하여 제거하는 것에 의해 석면 부재에 대한 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폐기과정(S110)에서 다수이 케이스부(10)가 설치된 경우 상기 하부케이스(16)와 상기 공구고정부(30')는 각각의 케이스부(10)를 이용한 작업이 종료된 후 별도로 밀봉 폐기된다. 그리고 수집부(60)는 전체 작용이 종료된 후 음압을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면으로부터 분리된 후 밀봉되어 폐기된다(폐기과정(S110), 도 4 참조).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1)에 의한 작업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석면 작업 면에 대한 습윤, 점착제 도포의 처리과정은 공구(2)에 의해 공구삽입구멍(31), 제 4 ~ 제 1 공구구멍(30', 22, 18, 13)이 일체의 경로를 형성하도록 관통된 후에 습윤관(미 도시), 점착제 분사관(미 도시)을 삽입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1)는 작업영역의 밀폐시설, 클리닝 룸, 고가의 음압장치를 구비함이 없이 석면 분진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면서 석면 부재에 대한 교체 또는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저비용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석면 부재 교체 또는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는 다수의 케이스부(10)를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1a)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1a)는 수집커버(61')에 다수의 케이스부(10)를 부착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해 석면 부재 작업을 넓은 면적에 대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공구고정부(30')를 결합하여 일 측 영역에서 석면 부재에 대한 교체 또는 제거 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공구(2)를 세척부재(30) 측으로 인출한 후 밀봉 테이프(15)의 위치를 이동시켜 제 1 공구구멍(13)을 차폐한다. 이 후 하부케이스(16, 도 2 참조)와 공구고정부재(30')와 공구(2)를 상부 케이스(11)로부터 분리한다. 이 후 손잡이관(23, 도 2 참조)을 가압하여 세척부재(30)에 의해 공구(2)의 외주면이 세척되도록 공구(2)를 인출한다. 공구(2)가 인출된 후에는 하부케이스(16)를 포함하는 공구고정부재(30')를 밀봉하여 폐기한다. 이 후 새로운 공 구고정부재(30')를 공구(2)에 결합한 후 위치 이동하여 다른 케이스부(10)(상부 케이스(11))에 결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석면 부재 작업 장치(1a)를 한번 설치하는 것으로 넓은 면적에 대한 석면 부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케이스부(10)를 이용한 석면 부재 작업의 처리과정은 상술한 도 1 내지 도 3의 작업 과정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는 거치부재(400)를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1b)의 설치 상태도 이다.
도 6과 같이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1b)는 케이스부(10)가 결합된 수집커버(61')를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거치부재(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작업 면적을 더욱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부재(400)는 다수의 수직지지바(410)와 수직지지바(410)의 상부에 고정되어 연결관(c)에 의해 환 형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외부프레임(420), 상기 서로 대향하는 외부프레임(420)을 가로질러 결합되는 다수의 거치케이블(430)과 거치케이블(34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내부프레임(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케이블(340)과 상기 내부프레임(440)이 본 발명의 내부거치대의 실시 예가 된다.
상기 거치케이블(430)의 설치를 위해 상기 외부프레임(420)은 일정 간격을 관통공(4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케이블(420)은 관통공(411)을 통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외부프레임(410)에 결합되어 거치케이블(420)을 형성한다. 상기 거치케이블(410)은 피아노줄 또는 낚싯줄 등 다양한 케이블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케이블(410)은 서로 대향하는 외부프레임(420)에 연결관(c)을 이용하여 가로로 설치되는 상기 외부프레임(420)과 동일한 프레임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1b)의 설치를 위해서는 먼저 도 5에 도시된 거치부재(400)를 설치한다. 그리고 다수의 케이스부(10)가 부착된 수집부(60)의 수집커버(61)를 거치케이블(410) 위에 얹는다.
이에 의해 상기 수집커버(61)가 빨래 형상으로 널려지며 거치케이블(410)의 사이 영역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것에 의해 개별적인 작업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수집부(60)가 거치부재(400) 위에 얹혀진 후에는 거치부재(400)의 외부프레임(420)과 벽면의 사이 영역을 측면커버(450)를 접착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미 도시)을 이용하여 밀폐한다. 이때 접착 테이프 등의 접착 수단은 차후 수집부(600)의 밀봉을 위해 충분한 여유분을 가지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석면 부재 작업 장치(1b)가 설치된 후에는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작업 과정에 의해 석면 부재의 교체 및 제거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측면커버(450)와 수집커버(61')를 일체로 분리한다. 이 후 내부에 수납되는 석면 폐자재를 포함한 채로 여분의 테이프를 이용하여 수집커버(61')을 밀봉한 후 배출하여 폐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는 받침부재(500)를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1c)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7과 같이 상기 석면 부재 작업 장치(1c)는 거치부재(400)의 거치케이블(430) 또는 내부프레임(440)에 매달려 지지되는 받침부재(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재(500)를 받침판(501)과 다수의 걸림바(5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받침부재(500)는 도 6과 같이 거치부재(400)를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1b)가 설치된 후 거치케이블(430) 또는 내부프레임(440)에 걸림바(502)를 매달아 작업 영역의 하부에서 수집커버(61')의 하부에 받침판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석면 부재 작업 중 작업면에서 낙하하는 석면보드를 포함하는 작업 폐기물을 받아서 수집커버(61')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여 수집커버(6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1)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설치 상태도,
도 4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석면 부재 작업 장치를 이용한 석면 부재 작업 방법의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는 다수의 케이스부(10)를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1a)의 설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는 거치부재(400)를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1b)의 설치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르는 받침부재(500)를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1c)의 설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1a, 1b, 1c: 석면 부재 작업 장치
2: 공구 10: 케이스부
11: 보조커버안착부 12: 제 1 공구구멍
13: 테이프구멍 14: 테이프구멍
15: 밀봉 테이프 16: 하부케이스
17: 공구고정부 안착홈 30': 공구고정부
20: 손잡이부 23: 손잡이관
24: 세척부재결합홈 30: 세척부재
40: 세척부재커버 50: 고정부재
60: 수집부 60': 음압호스결합부
61, 61': 수집커버 62: 음압호스
63: 결합구 64: 필터부재
400: 거치부재 410: 수직지지바
420: 외부프레임 430: 거치케이블
440: 내부프레임 450: 측면커버
500: 받침부재

Claims (15)

  1. 삭제
  2. 공구가 관통하는 제 1 공구구멍과, 케이스부의 중앙부위가 위치되고 양측면은 상기 케이스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되는 밀봉테이프를 구비하여 작업도구에 장착되는 공구가 관통하여 삽입되는 것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가 내부면의 하부면에 부착된 후 테두리 영역이 작업면에 부착되어 밀폐 영역을 형성하는 수집부;와,
    상기 공구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집부에 결합된 후 상기 공구가 수집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관통하여 상기 밀폐영역 내로 유입되도록 지지하는 공구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테이프는 상기 공구의 초기 관통 삽입시 관통되고, 상기 공구의 인출 후 상기 외부로 노출된 일 측 단부를 잡아당기는 경우 위치 이동되어 관통되지 않은 면이 상기 제 1 공구구멍을 차폐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고정부는,
    상기 공구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공구를 고정하고 상기 공구의 인출 시 상기 공구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부재;와,
    상기 세척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된 후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고정부는,
    상기 세척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의 사이에 개재되는 세척부재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커버는 상부 면이 개방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일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내부면에 필터부재가 결합된 음압호스결합부를 구비한 수집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
  7.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다수의 수직지지바;와,
    상기 수직지지바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는 외부 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부 영역에 대향하는 상기 외부프레임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내부거치대;를 포함하는 거치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부가 결합된 상기 수집부를 넓은 영역에서 지지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거치대는,
    상기 외부프레임을 관통하여 지그 재그 형상으로 연결되는 거치케이블, 상기 외부 프레임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내부 프레임 또는 상기 거치케이블과 상기 내부 프레임이 교차되도록 설치되는 것 중 하나의 구성을 가지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재의 저면에 매달리도록 설치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
  10. 제 1 공구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밀봉테이프가 위치 이동 가능하게 내장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부들의 상부 면을 덮은 후 상기 케이스부들에 고정되는 수집부 및 세척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스부에 탈부착되는 공구고정부를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장치를 이용한 석면 부재 작업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의 테두리 영역을 석면 부재 작업 영역에 부착하여 상기 작업 영역을 밀폐 영역으로 형성하는 밀폐과정;과,
    작업도구에 결합된 공구의 외주연으로 삽입된 공구고정부를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하고 상기 수집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공구를 상기 밀폐 영역으로 삽입하는 공구삽입과정;과,
    상기 삽입된 공구를 이용하여 석면 부재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 석면부재작업과정;과,
    상기 석면부재작업과정이 종료된 후 상기 공구고정부를 가압하여 상기 세척부재에 의해 상기 공구를 세척하여 인출하는 공구세척 및 인출 과정;과,
    상기 공구를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인출한 후 상기 밀봉테이프를 위치 이동시켜 상기 제 1 공구구멍을 차폐하는 차폐과정;과,
    상기 차폐과정 이후 상기 공구고정부와 상기 수집부를 분리한 후 상기 공구고정부와 상기 수집부에 수집된 석면부재가 유출되지 않도록 밀봉하여 폐기하는 폐기과정;을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과정은,
    상기 수집부에 음압호스를 연결하여 음압을 유지하는 음압유지과정;을 더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과정은,
    상기 수집부의 설치 이전에 상기 수집부를 지지하는 거치부재를 설치하는 거치부재 설치과정을 더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과정은,
    상기 거치부재에 받침부재를 설치하는 받침부재설치과정을 더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삽입과정 이후 상기 공구를 인출한 후 습윤관을 삽입하여 습윤처리를 행하는 습윤과정;을 더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세척 및 인출 과정 이후, 점착제 분사관을 삽입하여 상기 석면 부재 작업이 수행된 면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점착제도포과정을 더 포함하는 석면 부재 작업 방법.
KR1020090110728A 2009-11-17 2009-11-17 석면 부재 작업 장치 및 방법 KR100966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728A KR100966823B1 (ko) 2009-11-17 2009-11-17 석면 부재 작업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0728A KR100966823B1 (ko) 2009-11-17 2009-11-17 석면 부재 작업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823B1 true KR100966823B1 (ko) 2010-07-01

Family

ID=42645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0728A KR100966823B1 (ko) 2009-11-17 2009-11-17 석면 부재 작업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8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41B1 (ko) * 2010-08-11 2011-02-07 주식회사 이솔루션 건축물의 석면제거공법
CN109381119A (zh) * 2018-11-27 2019-02-26 宁波海际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吸尘器用手柄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6810A (ja) 1997-11-27 1999-06-15 Hitachi Chem Co Ltd 電動工具の集塵具
KR20030041608A (ko) * 2001-11-20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341608Y1 (ko) * 2003-11-03 2004-02-14 김점식 햄머드릴용 비산 방지장치
JP2008267011A (ja) * 2007-04-20 2008-11-06 Miuragumi:Kk アスベスト回収方法及び装置
KR20090095968A (ko) * 2008-03-07 2009-09-10 박재철 분진확산 방지 천공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6810A (ja) 1997-11-27 1999-06-15 Hitachi Chem Co Ltd 電動工具の集塵具
KR20030041608A (ko) * 2001-11-20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망동기 장비의 자기진단/주파수 변이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341608Y1 (ko) * 2003-11-03 2004-02-14 김점식 햄머드릴용 비산 방지장치
JP2008267011A (ja) * 2007-04-20 2008-11-06 Miuragumi:Kk アスベスト回収方法及び装置
KR20090095968A (ko) * 2008-03-07 2009-09-10 박재철 분진확산 방지 천공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141B1 (ko) * 2010-08-11 2011-02-07 주식회사 이솔루션 건축물의 석면제거공법
WO2012020872A1 (ko) * 2010-08-11 2012-02-16 Park Chan-Jin 건축물의 석면제거공법
CN109381119A (zh) * 2018-11-27 2019-02-26 宁波海际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吸尘器用手柄组件
CN109381119B (zh) * 2018-11-27 2020-09-22 宁波海际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吸尘器用手柄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9123B2 (en) Filter retainer for a vacuum cleaner
KR100992907B1 (ko) 석면 부재 제거 장치 및 방법
JP5431653B2 (ja) 加工装置
EP0799674A1 (en) Dust collector
JP4811714B2 (ja) グローブバッグ取付治具
KR100966823B1 (ko) 석면 부재 작업 장치 및 방법
JP2008012427A (ja) 建材撤去装置
US8137156B1 (en) Enclosure apparatus and method
JP5057920B2 (ja) カバーおよび被覆材除去方法
KR100935679B1 (ko) 배관에 뿜칠된 석면 제거용 투명 박스장치와 이를 이용한 석면 제거 방법
JP4892501B2 (ja) 作業用袋体及び密閉用作業装置
JP2012121138A (ja) 加工装置
KR101562993B1 (ko) 석면 안전관리를 위한 석면 해체 및 제거장치
JP2001174586A (ja) 放射性ダストの捕集方法および捕集装置
KR101140274B1 (ko) 접착시트 이형지 전용 포집기
KR101026200B1 (ko) 석면 제거장치
JPH08142044A (ja) 工具用集塵装置
JPH031640B2 (ko)
JP4205736B2 (ja) 天井作業装置
JP5635306B2 (ja) 被覆材の除去方法
KR100746191B1 (ko) 휴대용 코어드릴링 분진수거 백
KR20160012691A (ko) 석면함유건축자재의 유지보수를 위한 이동식 보양틀
JP6641089B2 (ja) アスベスト材工事用作業ボックス
CN215656388U (zh) 自动分螺丝螺套设备
CN216225296U (zh) 一种基于塑料母粒的分级筛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