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287A -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287A
KR20030041287A KR1020010071928A KR20010071928A KR20030041287A KR 20030041287 A KR20030041287 A KR 20030041287A KR 1020010071928 A KR1020010071928 A KR 1020010071928A KR 20010071928 A KR20010071928 A KR 20010071928A KR 20030041287 A KR20030041287 A KR 20030041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ture
user
mode
touch pad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1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1287A/ko
Publication of KR2003004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28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30Writer recognition; Reading and verifying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정보 단말기 또는 PDA의 터치패드에 입력되는 입력에 의해 사용자를 확인하여 보안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정보 단말기 스탠바이모드에 있어서, 터치패드에 입력한 사인과 사용자가 미리 기 저장해 놓은 사용자의 사인이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기 저장된 사인과 입력한 사인이 일치하면 메모 및 그림등의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 상기 사인을 변경할것인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휴대정보 단말기 혹은 PDA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사인을 기 저장해 놓고 입력되는 사인과 비교하여 사용자 확인작업을 함에 따라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 혹은 PDA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적인 데이터나 중요한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FOR USING TOUCH PAD OF USER CERTIFICATION METHOD}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정보 단말기 또는 PDA의 터치패드에 입력되는 입력에 의해 사용자를 확인하여 보안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DA는 휴대성을 강조하여 수첩의 기능 외에 멀티미디어 지원등을 하기 위해 320*240크기의 엘시디를 기본적으로 채용하고, 터치패드와, 터치펜, 기능키등으로 데이터를 입력 할 수 있고, 스피커와 엘시디를 통해 데이터를 출력하는 형태이며 프로그램의 크기를 줄여 기본적인 기능을 한다.
이러한 종래 PDA의 터치패드는 사용자가 손쉽게 PDA의 엘시디화면에 그림이나 혹은 글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스케줄이나 간단한 메모를 쉽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터치패드는 휴대정보 단말기에 적용되어 통화를 하거나 단문메세지(SMS) 이용시 사용자가 키패드의 키버튼을 조작했던 것을 상기 터치패드와 터치펜으로 대체함으로써, 쉽게 전화를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단문메세지 전송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 휴대정보 단말기, PDA는 보안상 쉽게 사용자 확인과정을 거치지 못할뿐만 아니라 숫자의 조합으로 상기 PDA나 휴대정보 단말기의 사용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사용제한이 되어있는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 또는 PDA를 사용할 수있어 보안상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일정 화면에 사용자 사인란을 표시한후 사인이 기존에 기억되어 있는 사인과 동일할 경우 필요한 작업을 하고, 작업이 끝난후 다시 사인 변경이 가능하여 이를 메모리에 기억한후 다음 작업시 기 기록된 사인과 비교하여 그 사인이 동일할 경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휴대정보 단말기에 터치 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송수신부 22: 중앙처리부
23: 엘시디 24: 터치패드
25: 키패드 26: 메모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정보 단말기 스탠바이모드에 있어서, 터치패드에 입력한 사인과 사용자가 미리 기 저장해 놓은 사용자의 사인이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기 저장된 사인과 입력한 사인이 일치하면 메모 및 그림등의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 상기 사인을 변경할것인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정보 단말기 스탠바이모드에 있어서, 터치패드에 입력한 사인과 사용자가 미리 기 저장해 놓은 사용자의 사인이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기 저장된 사인과 입력한 사인이 일치하면 메모 및 그림등의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 상기 사인을 변경할것인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휴대정보 단말기에 터치 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의 송신신호를 수신하거나 휴대정보 단말기의 출력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수신부(21)와; 상기 송수신부(2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데이터의 저장 제어신호로 출력하거나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처리하는 중앙처리부(22)와; 키패드와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사용자의 보안설정과 해제시 그림이나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부(24,25)와; 상기 입력부(24, 25) 및 송수신부(21)의 상태를 출력하는 엘시디(23)와; 상기 데이터 저장 제어신호에 의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6)로 구성된다.
먼저, 휴대정보 단말기 혹은 PDA의 전원이 온되면 초기화를 거쳐 콜(Call)작업을 수행하고, 그 콜(Call) 작업이 끝나면 대기상태인 스탠바이(STANDBY)모드로 들어간다.(S21, S22)
상기 스탠바이모드 동안에 사용자가 일정 정보를 입력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 혹은 PDA는 그림그리기 또는 메모작성 모드인가를 판단한다.(S23)
상기 판단결과, 상기 그림그리기 또는 메모작성 모드이면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 혹은 PDA의 엘시디(23b)에 사용자의 사인을 입력하라는 사인창이 나타나고,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사인창이 나타나면 터치패드에 미리 설정된 사인과 동일한 사인을 그린다.(S24)
이에 의해, 중앙처리부(MSM5105)(22)는 이를 확인하여 기존에 기억된 사인과 동일할 경우, 상기 그림그리기 또는 메모작성 모드로 들어가 작업을 실시한다.(S25, S26)
상기 작업이 끝나면 사인을 바꿀것인가의 여부를 확인한후 사인을 변경하고자 하면 새로운 사인을 입력하여 변경하고, 다시 상기 그림그리기 또는 메모작성 모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상기 변경된 사인을 상기 터치패드(24)에 입력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27, S28)
본 발명의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정보 단말기 혹은 PDA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 사인을 기 저장해 놓고 입력되는 사인과 비교하여 사용자 확인작업을 함에 따라 상기 휴대정보 단말기 혹은 PDA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적인 데이터나 중요한 데이터의 보안을 유지하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휴대정보 단말기 스탠바이모드에 있어서, 터치패드에 입력한 사인과 사용자가 미리 기 저장해 놓은 사용자의 사인이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제 1과정과; 상기 기 저장된 사인과 입력한 사인이 일치하면 메모 및 그림등의 필요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후 상기 사인을 변경할것인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KR1020010071928A 2001-11-19 2001-11-19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KR20030041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928A KR20030041287A (ko) 2001-11-19 2001-11-19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928A KR20030041287A (ko) 2001-11-19 2001-11-19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287A true KR20030041287A (ko) 2003-05-27

Family

ID=2957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928A KR20030041287A (ko) 2001-11-19 2001-11-19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12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775B1 (ko) * 2004-11-23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4239A (ja) * 1997-05-30 1998-12-18 Tamura Electric Works Ltd 端末装置
KR19990086708A (ko) * 1998-05-29 1999-12-15 윤종용 문자인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비밀기호 등록 및 확인방법
JP2001154753A (ja) * 1999-11-30 2001-06-08 Canon Inc 手書署名認証装置、手書署名認証方法、及び手書署名認証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10054623A (ko) * 1999-12-07 2001-07-02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
JP2001306248A (ja) * 2000-04-20 2001-11-02 Cyber Sign Japan Inc 署名入力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4239A (ja) * 1997-05-30 1998-12-18 Tamura Electric Works Ltd 端末装置
KR19990086708A (ko) * 1998-05-29 1999-12-15 윤종용 문자인식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비밀기호 등록 및 확인방법
JP2001154753A (ja) * 1999-11-30 2001-06-08 Canon Inc 手書署名認証装置、手書署名認証方法、及び手書署名認証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20010054623A (ko) * 1999-12-07 2001-07-02 서평원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
JP2001306248A (ja) * 2000-04-20 2001-11-02 Cyber Sign Japan Inc 署名入力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775B1 (ko) * 2004-11-23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1877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providing access to an application
US20100109920A1 (en) Security - input key shuffle
KR10078496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심카드별 데이터 구분 표시 방법
WO2006045903A1 (en)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notes
KR20000060726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패널을 통해 입력되는사용자 입력 정보 입력 및 처리 방법
US8374549B2 (en) Method for altering communication mod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75698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 모드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487874B1 (ko)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 및 방법
KR20030041287A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JP2008263324A (ja) シークレットモード機能を有する端末装置およびシークレットモード切替制御方法
KR20140118532A (ko) 이동단말기 분실 방지 시스템
KR10067813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문자 편집 방법
JP4087425B2 (ja) スクリーン機能にタッチスクリーンの共通表示領域を共有させること
KR2007005019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한방법
KR100809965B1 (ko) 원격 자원 액세스 및 인터페이스 장치
CN105827644A (zh) 一种实现密码信息处理的方法及终端
KR100427553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멀티키 입력장치
KR100251581B1 (ko) 디지탈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KR20070050314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메시지 표시방법
JPH10126851A (ja) 電話機能付き情報処理装置及び通話処理方法
KR200700051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동 키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00073578A (ko) 스마트폰
KR20200041589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모하는 방법
KR100334817B1 (ko) 터치스크린패널을 구비하는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정보표시방법
KR200281002Y1 (ko) 휴대통신단말제어기능을 갖는 키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716

Effective date: 200904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810100695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716

Effective date: 2009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