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4623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4623A
KR20010054623A KR1019990055510A KR19990055510A KR20010054623A KR 20010054623 A KR20010054623 A KR 20010054623A KR 1019990055510 A KR1019990055510 A KR 1019990055510A KR 19990055510 A KR19990055510 A KR 19990055510A KR 20010054623 A KR20010054623 A KR 20010054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signal
uni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3326B1 (ko
Inventor
홍성신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5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3326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3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3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는 지문을 입력하는 지문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지문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잠영 제거부와, 상기 잠영 제거부를 거친 지문 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만들기 위한 디지털 신호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설정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지문 비교부와, 상기 지문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 허가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문 인식 엔진부와, 상기 사용 허가 신호를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은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의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모드가 잠금 모드이면 지문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지문 데이터와 설정되어 있는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지문이 일치하면 정상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개인의 독특한 특성인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 확인을 하기 때문에 개인정보의 유출이나, 타인에 의한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Method and device for security in mobile sta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원 온(on), 전화 걸기, 개인정보 접근 등을 지문 인식을 통해 사용 허가 유무를 결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제 사용자가 아닌 타인에 의한 무단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두 가지가 있다.
그 첫째는 단말기 기계의 고유 번호인 ESN(Electronic Serial Number)과, 그 기계에 사용 허가된 번호인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을 할당하고 단말기의 전원을 켤 때, 상기의 ESN과 MIN이 일치하는 가를 검사하여 단말기의 사용 유무를 결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단말기를 복제하면 그 기능을 상실한다.
두번째는 단말기의 잠금 기능의 설정 여부에 따라 전원 온(on), 전화 걸기, 개인정보에 접근 시에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확인 과정을 거쳐 그 사용을 제한할 수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밀번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밀번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은 전원을 켤 때나, 전화를 걸 때, 혹은 개인정보에 접근할 때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즉, 사용자가 전원을 켜거나 전화를 걸기 위해 "전송" 버튼(button)을 누를 때, 혹은 개인 정보에 접근하려고 하면(단계 101), 그 때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가를 판단하여(단계 102),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정상적인 동작을 하게 되고(단계 105), 상기 단계 102의 판단에서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단계 103) 사용자 확인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상기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인하여(단계 104) 비밀번호가 맞으면 정상동작을 하게 되고(단계 105), 비밀번호가 맞지 않으면 비밀번호를 재입력하게 하여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 확인을 하여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방법 또한, 단말기의 프로그램(program)을 리셋(reset)을 하면 그 비밀번호가 지워지고 초기 상태가 되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방법은 제대로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개인정보가 쉽게 노출될 수 있고, 단말기의 분실 등으로 타인에 의해 무단 사용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확인 과정을 각 개인마다 그 특성이 다른 지문을 인식하여 사용자 확인을 함으로써 개인정보의 유출이나, 타인에 의한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지문 입력부 202...지문 인식 엔진부
202a...잠영 제거부 202b...디지털 신호부
202c...지문 비교부 202d...인터페이스부
203...MSM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는 지문을 입력하는 지문 입력부와, 상기 입력된 지문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잠영 제거부와, 상기 잠영 제거부를 거친 지문 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만들기 위한 디지털 신호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설정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지문 비교부와, 상기 지문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 허가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문 인식 엔진부와, 상기 사용 허가 신호를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은,
(a)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의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단계의 모드가 잠금 모드이면 지문을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입력된 지문 데이터와 설정되어 있는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 지문이 일치하면 정상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d)의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는 일정횟수를 초과하면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의 독특한 특성인 지문을 이용하여 사용자 확인을 하기 때문에 개인정보의 유출이나, 타인에 의한 단말기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지문 입력이 가능한 버튼을 구비하여 지문을 입력하고 그 정보를 사용자 확인을 하는데 사용한다. 즉, 지문을 입력하는 지문 입력부(201)와, 상기 지문을 인식, 비교하여 사용 허가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지문 인식 엔진부(202)와, 상기 사용 허가 신호를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로서의 MSM(Mobile Station Modem)(2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문 인식 엔진부(202)는 입력된 지문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잠영 제거부(202a)와, 상기 잠영 제거부를 거친 지문 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만들기 위한 디지털 신호부(202b)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설정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지문 비교부(202c)와, 상기 지문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 허가 신호를 상기 MSM(203)으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202d)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단말기에 마련된 지문 입력이 가능한 버튼 등의 지문 입력부(201)를 통해 지문을 입력한다. 그러면, 상기의 입력된 지문은 지문 인식 엔진부(202)의 잠영 제거부(202a)로 입력되어 입력된 지문 신호에 섞여 있는 노이즈가 제거된다. 계속해서, 상기 지문 신호는 디지털 신호부(202b)로 입력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그 지문에 해당하는 디지털 데이터는 지문 비교부(202c)에서 초기에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인터페이스부(202d)에 전송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202d)는 사용 허가 신호를 온/오프(off)의 두 가지 상태의 신호로 하여 상기의 비교 결과로서 지문이 동일하면MSM(203)으로 온 신호를 전송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오프 신호를 MSM(203)에 전송한다.
이에 상기 MSM(203)에서는 상기 사용 허가 신호의 온/오프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의 사용하기 위해 명령을 입력한다(단계 301). 이 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명령은 전원을 켜거나 전화를 걸기 위해 "전송" 버튼을 누를 때, 혹은 개인 정보에 접근하려고 하는 것 등이 해당된다.
그러면, 상기 명령이 입력될 때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단계 302), 상기 단계 302의 판단 결과로서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정상적인 동작을 하게 되고(단계 305), 상기 단계 302의 판단 결과로서 잠금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지문을 입력하는(단계 303) 사용자 확인 과정을 거친다.
그리고, 상기 입력한 지문이 초기에 설정된 사용자 지문과 동일한 지를 확인하여(단계 304) 그 지문이 동일하면 정상동작을 하게 되고(단계 305), 그 지문이 동일하지 않으면 지문을 재입력하게 하여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비밀번호를 재입력하는 과정은 3회를 초과하면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304a).
이렇게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어떤 명령을 입력할 때 지문을 확인하는 사용자 확인 과정을 거침으로서 타인의 무단 사용을 방지하고, 개인정보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은 각 개인마다 특성이 다른 지문을 인식하여 사용자 확인을 하기 때문에, 단말기를 통한 개인정보의 유출이나, 단말기의 분실 등에 의한 타인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지문을 입력하는 지문 입력부;
    상기 입력된 지문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잠영 제거부와, 상기 잠영 제거부를 거친 지문 신호에 해당하는 디지털 신호를 만들기 위한 디지털 신호부와, 상기 디지털 신호를 기설정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지문 비교부와, 상기 지문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사용 허가 신호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문 인식 엔진부; 및
    상기 사용 허가 신호를 입력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2. (a)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b) 상기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의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단계의 모드가 잠금 모드이면 지문을 입력하는 단계;
    (d) 상기 입력된 지문 데이터와 설정되어 있는 지문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에서 지문이 일치하면 정상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를 이용한 보안 방법.
KR1019990055510A 1999-12-07 1999-12-07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 KR100683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510A KR100683326B1 (ko) 1999-12-07 1999-12-07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510A KR100683326B1 (ko) 1999-12-07 1999-12-07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623A true KR20010054623A (ko) 2001-07-02
KR100683326B1 KR100683326B1 (ko) 2007-02-15

Family

ID=1962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510A KR100683326B1 (ko) 1999-12-07 1999-12-07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33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287A (ko) * 2001-11-19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KR20030079358A (ko) * 2002-04-03 2003-10-10 한포테크 주식회사 지문인식 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01411A (ko) * 2002-06-2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보안방법
US7272380B2 (en) 2003-01-21 2007-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771258B1 (ko) * 2000-05-09 2007-10-2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본인 인증 시스템과 본인 인증 방법 및 휴대 전화 장치
KR100871783B1 (ko) * 2006-05-18 2008-12-05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82B1 (ko) * 1996-12-30 200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문인식을이용한보안기능을구비한핸드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258B1 (ko) * 2000-05-09 2007-10-2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본인 인증 시스템과 본인 인증 방법 및 휴대 전화 장치
US7365750B2 (en) 2000-05-09 2008-04-2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and user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and mobile telephonic device
KR20030041287A (ko) * 2001-11-19 200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패드를 이용한 사용자 확인방법
KR20030079358A (ko) * 2002-04-03 2003-10-10 한포테크 주식회사 지문인식 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정보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01411A (ko) * 2002-06-2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지문인식을 이용한 보안방법
US7272380B2 (en) 2003-01-21 2007-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0871783B1 (ko) * 2006-05-18 2008-12-05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휴대형 전자장치 및 기록매체
US7965873B2 (en) 2006-05-18 2011-06-21 Casio Hitachi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3326B1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35689B (zh) 数字钥匙的身份认证方法、终端设备及介质
JP3809067B2 (ja) コンピュータアクセス制御
US7810146B2 (en) Security device, terminal device, gate device, and device
US78776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er access to an electronic device
US20090191846A1 (en) Biometric smart card for mobile devices
CN105825382A (zh) 一种移动支付方法及电子设备
KR100336100B1 (ko) 지문인식 도어-락 구동 제어 방법
US20010037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network from comunication terminal
CN105404802A (zh) 一种权限配置方法以及装置
KR1006833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안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보안 방법
CN105653918A (zh) 安全操作方法、安全操作装置和终端
KR1004925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증모듈(uim)의 무단사용억제방법
KR101860314B1 (ko) 보완인증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192330B1 (ko) 보안단말기를 이용한 저장장치의 데이터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09136A (ko) 지문인식 도어-락(Lock) 구동 제어 방법
KR101796691B1 (ko) 착탈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CN105373743A (zh) 输入法进程的调用控制方法、调用控制系统和终端
CN111556502A (zh) 一种自动鉴权方法和使用自动鉴权方法的门禁锁
RU2260840C2 (ru) Средство защиты
KR20080040859A (ko) 인체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KR1010583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지문 인식에 의한 단말기 부팅/보안장치 및 방법
JP2002175281A (ja) ネットワークログインシステム
KR100981863B1 (ko)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
KR100485074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는 전화기
KR100421874B1 (ko) 차세대 단말기 보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