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863B1 -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863B1
KR100981863B1 KR1020030039196A KR20030039196A KR100981863B1 KR 100981863 B1 KR100981863 B1 KR 100981863B1 KR 1020030039196 A KR1020030039196 A KR 1020030039196A KR 20030039196 A KR20030039196 A KR 20030039196A KR 100981863 B1 KR100981863 B1 KR 100981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portable terminal
password
authentication
opera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9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8274A (ko
Inventor
이경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9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863B1/ko
Publication of KR2004010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8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by operating on the power supply, e.g. enabling or disabling power-on, sleep or resume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정보 보안유지를 위하여 사용자 또는 접근자를 인증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고유번호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해당 중요정보의 접근을 인증하는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외부장치는 파워온 시 휴대단말기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휴대단말기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보안인증 정보와 기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보안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보안 인증이 수행되면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로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로드된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사용이 요청되는 경우 휴대단말기로 패스워드를 요청하여 패스워드 인증을 추가로 수행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DEVICE OF SECURITY CERTIFICATION FOR COMPUTER WITH MOBILE PHONE}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컴퓨터 보안인증방법 순서도 이고,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기능 구성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컴퓨터 20 : 정합부
30 : 휴대단말기
본 발명은 컴퓨터의 정보 보안유지를 위하여 사용자 또는 접근자를 인증하는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고유번호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해당 중요정보의 접근을 허여받는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날이 정보화되는 시대에 컴퓨터(PC)는, 대량의 정보처리를 위한 필수 장비로서, 업무상 필요한 정보와 개인의 신상정보 등과 같이 중요한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컴퓨터에서 처리되고 저장되는 중요정보 및 개인신상정보 등이 타인에게 유출되는 경우에는 예상하지 못하는 손실을 입게 되므로, 허용되지 않은 제3자 또는 타인에게 상기 컴퓨터의 접근을 차단 또는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보안인증은 상기 컴퓨터(PC)에 저장된 중요정보에 접근을 허용하고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보안인증에는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일 예로, 자물쇠와 열쇠를 사용하는 기계적 방식과 키보드(KEY BOARD)를 통해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그 입력한 정보가 정확한 경우에 접근을 허용하는 전자적 방식 등이 있다.
상기 기계적 방식은 비교적 사용하지 않는 방식이고, 전자적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전자적 방식은 키보드를 통해 비교적 간단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하기 때문에 제3자가 옆에서 보고 확인하는 경우 도용되기 쉽고,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타인이 용이하게 해킹(HACKING) 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가입되고,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휴대단말기에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하여 각각의 휴대단말기를 구분할 수 있는 고유일련번호를 내장 또는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유일련번호는 체계가 매우 복잡하여 도용되지 못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컴퓨터 보안인증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컴퓨터 보안인증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컴퓨터의 보안인증 방법은, 정보처리 및 이용을 위하여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를 사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판단하여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 컴퓨터는 키보드를 통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확인된 것 인지의 보안인증 판단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판단하여 입력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보안인증 확인된 것일 경우는 컴퓨터의 접속 및 정보이용을 허락하는 제3 단계(S3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을 상세히 설명하면, 컴퓨터(PC)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S10), 상기 컴퓨터는 키보드를 통하여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동시에 입력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허용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보안인증을 한다(S20).
상기 단계(S20)에서 입력된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보안인증을 통과하여 접속이 허용된 것일 경우, 컴퓨터에 접속하여 정보처리를 하도록 하는 동시에 해당 정보를 이용하도록 하고(S30) 종료로 진행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키보드를 통하여 직접 입력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컴퓨터가 판단하여 보안인증이 통과되는 것인지 확인하고, 상기 보안인증을 통과하여 접속이 허용되는 것일 경우,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처리와 상기 컴퓨터에 기록저장된 각종 데이터 및 개인신장정보 등을 이용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직접 입력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과정에서 제3자 또는 관련 없는 타인에게 용이하게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 고, 또한 비교적 구성이 간단하여 해킹(HACKING)으로 용이하게 도용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일부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외장용 IC 칩을 접속하는 방식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경우는 컴퓨터 접속만을 위하여 별도로 필요한 것이므로, 보관이 쉽지 않고, 별도 휴대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의 보안인증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한 일련번호를 컴퓨터가 인식하고 등록된 일련번호의 경우에 보안인증을 하여 컴퓨터 접속 및 각종 정보를 이용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보안인증된 경우에 시스템을 동작하고 접속을 허락하며 기록저장된 정보를 이용하도록 하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와 접속하고 외부로부터 보안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컴퓨터에 출력하는 정합부와; 상기 정합부와 접속하여 고유일련번호를 출력하고 해당 제어에 의하여 입력된 패스워드를 출력하는 휴대단말기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 인증용 휴대단말기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접속된 휴대단말기의 고유일련번호를 분석하여 인증된 경우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패스워드 인증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판단하여 패스워드 인증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로드하고 실행하며 정보처리를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으로, 도2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방법 순서도 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는 컴퓨터(10), 정합부(20) 및 휴대단말기(30)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10)는 디지털(DIGITAL) 방식으로 대량의 데이터(DATA)를 처리하고, 보안인증된 경우에 시스템을 동작하고 접속을 허락하며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컴퓨터(10)는 후술하는 정합부(20)를 통하여 입력되는 휴대단말기(30)의 고유일련번호가 저장된 번호와 동일한 경우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접속을 허락하며, 상기 휴대단말기(30)에 패스워드(PASSWORD)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휴대단말기(30)로부터 입력된 패스워드가 저장된 것과 동일한 경우(보안인증된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OS: OPERATING SYSTEM)을 구동하여 접속을 허락한다.
상기 정합부(20)는 상기 컴퓨터(10)와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보안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컴퓨터(10)에 출력한다. 상기 정합부(20)는 컴퓨터(10)와 유에스비(USB) 방식으로 접속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와 데이터 포트로 케이블을 통하여 접속되거나 적외선(IRDA) 또는 블루투스(BLUE TOOTH) 방식으로 접속되며, 해당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보안인증 정보는 단말기의 고유일련번호 및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30)는 정합부(20)와 접속하여 고유일련번호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해당 제어에 의하여 패스워드를 출력하는 휴대단말기(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컴퓨터(10)는 디지털 방식으로 입력되는 각종 데이터 정보를 처리하고 해당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고 출력한다. 이때 상기 처리되는 정보는 개인 업무상 중요한 정보로 타인에게 노출될 경우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것과 개인의 상세한 신상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중요한 정보를 입력하고 처리하여 저장하는 컴퓨터가 허가(또는 인증)된 경우에만 접속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컴퓨터(10)에 상기 접속이 허가 또는 허여된 휴대단말기(30)의 고유한 일련번호를 포함하여 해당 패스워드를 지정된 메모리 영역에 기록저장한다.
상기 정합부(20)는 상기 컴퓨터(PC)(10)와는 범용직렬버스인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 케이블 접속되고, 상기 휴대단말기(30)와는 직접 접속 또는 적외선(IRDA) 접속방식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으로 접속한다.
상기 컴퓨터(10)는 동작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정합부(20)를 감시하여 휴대단말기(30)의 접속이 검출되는지 판단하며, 상기 휴대단말기(30)가 정합부(20)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30)의 고유일련번호를 읽어 메모리에 저장된 것과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휴대단말기(30)의 고유일련번호가 컴퓨터(10)에 기록저장된 번호와 동일한 경우에는 컴퓨터(10)를 사용하도록 허가 또는 허여된 것이므로(인증됨), 상기 컴퓨터(10)는 해당 전원부를 제어하여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는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컴퓨터(10)의 각 기능부는 동작을 시작한다. 이때 컴퓨터의 제어부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OPERATING SYSTEM))의 구동을 위하여 패스워드(PASSWORD)를 확인한다.
상기와 같이 패스워드를 확인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일 예로, 상
기 휴대단말기(30)로부터 입력된 고유일련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처리하므로, 인증에 필요한 해당 패스워드를 자체 생성하여 입력하는 방식과, 상기 휴대단말기(30)에 패스워드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가 휴대단말기(30)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하는 패스워드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일 예에 의하여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그 입력된 패스워드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컴퓨터(10)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을 로드(LOAD)하여 실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처리를 하는 동시에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일상생활에 필요하여 항상 휴대하고, 각각 고유한 일련번호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컴퓨터의 접근이 허용되는지 판단하는 아이디로 사용하는 동시에 패스워드로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별도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여 보안인증을 하므로, 제3자에게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노출되지 않으며, 해킹에 의하여 타인이 도용하는 우려가 없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방법을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종 정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1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Power On)컴퓨터(10)의 제어부(미도시)는 보안인증용 휴대단말기(30)가 정합부(20)를 통하여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컴퓨터(10)를 사용하기 위한 시동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00)과; 상기 과정(S100)에서 시동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보안인증용 휴대단말기가 접속되었는지 판단하는 과정(S110)을 수행한다.
상기 과정들이 완료되면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10)의 고유일련번호를 분석하여 인증된 경우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패스워드 인증이 필요한지 판단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접속된 휴대단말기(10)로부터 인가되는 고유일련번호가 자체적으로 등록된 번호와 동일한지 판단하여 인증하는 과정(S120)과; 상기 과정(S120)에서 고유일련번호가 보안인증된 것일 경우 컴퓨터(10)가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과정(S130)과; 상기 컴퓨터(10)가 패스워드를 추가 입력하여 인증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40)을 포함한다.
상기 과정에서 패스워드 인증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은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을 로드(LOAD)하고 실행하며 정보처리를 하기 위하여, 컴퓨터(10)의 해당 메모리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을 읽어 로드(LOAD)하고 컴퓨터(10)가 동작하도록 실행하는 과정(S170); 상기 과정(S170)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실행에 의하여 동작하는 컴퓨터(10)를 이용하여 정보처리하는 과정(S180)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과정(S140)에서 패스워드 인증이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은 컴퓨터(10)가 휴대단말기(30)에 패스워드 입력을 요청하고, 입력된 패스워드를 인증하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10)가 휴대단말기(30)로 패스워드를 직접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과정(S150)과;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가 컴퓨터(10)에 등록된 패스워드와 동일한 것인지 인증하는 과정(S160)을 수행한다.
삭제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종 정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10)를 시동하는 경우(Power On) 컴퓨터(10)의 제어부(미도시)는도시)는, 정합부(20)를 감시하여 휴대단말기(30)의 접속여부를 판단한다(S110). 판단결과 휴대단말기(30)가 상기 정합부(2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휴대단말기(30)의 고유일련번호를 읽은 후 자체적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번호와 비교하여 보안인증 즉, 고유일련번호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S120).
상기 과정(S120)에서 휴대단말기(30)의 고유인증번호가 자체 저장된 번호와 동일하여 보안인증이 되는 경우, 제어부는 전원부를 제어하여 각 데이터 처리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S130),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을 실행하여 운용하기 위한 패스워드 인증이 별도로 필요한지 판단한다(S140).
판단결과 패스워드 인증이 별도로 필요한 경우, 상기 컴퓨터(10)의 제어부는 휴대단말기(30)로 패스워드 전송을 요청한다(S150). 이후 상기 휴대단말기(30)로부터 패스워드가 수신되면 제어부는 수신한 패스워드를 메모리에 기저정된 패스워드와 비교하여 패스워드에 대한 보안인증을 수행한다(S160).
상기 과정(S160)에서 패스워드가 인증되거나 또는 상기 과정(S140)에서 패스워드 인증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은 경우, 상기 컴퓨터(10)의 제어부는 메모리로부터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을 로드(LOAD)하여 실행한다(S170).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 실행하여 동작하는 컴퓨터(10)를 이용하여 각종 정보처리에 활용하는 동시에 내장된 정보를 출력하여 이용한다(S18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매우 복잡한 체계를 갖는 휴대단말기(10)의 고유일련번호를 컴퓨터에서 읽고, 이미 기록되고 등록된 고유번호와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여 보안인증을 하는 동시에, 패스워드를 자체 생성하거나 또는 직접 입력하도록 하므로 보안인증의 단계를 세밀하고 복잡하게 하고, 제삼자에게 보안인증용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복잡한 고유일련번호를 사용하므로, 해킹에 의하여 제삼자에게 도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컴퓨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외부 전자기기 및 하드웨어에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구성 체계가 복잡한 휴대단말기의 고유일련번호를 이용하여 컴퓨터 사용가능한지를 보안인증을 하므로, 타인에게 노출되어 부당하게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기의 고유일련번호를 사용하여 컴퓨터 사용의 보안인증을 하므로, 해킹되어 타인이 도용할 수 없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파워온 시 또는 운영시스템 사용요청시 보안인증 정보를 요청하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와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휴대단말기의 고유일련번호와 패스워드와 같은 보안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컴퓨터로 출력하는 정합부와,
    상기 컴퓨터의 운영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 정합부를 통해 상기 컴퓨터에 접속되어, 컴퓨터의 요청에 따라 보안인증 정보를 출력하는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는 파워온 시에 휴대단말기로 고유일련번호를 요청하여, 수신한 고유일련번호와 기 저장된 번호와 비교하여 컴퓨터에 대한 1차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1차인증 후 휴대단말기가 상기 운영시스템의 사용을 요청하면 휴대 단말기로 패스워드 입력을 요청하여 운영시스템 사용에 대한 2차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컴퓨터는 정합부를 통해 수신한 휴대단말기의 고유일련번호가 기 저장된 번호와 동일한 경우 컴퓨터의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접속을 허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상기 보안인증용 정보에 의해 휴대단말기가 인증된 경우 운영시스템을 구동을 위한 패스워드 인증을 수행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로 패스워드 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부는 컴퓨터와 유에스비 방식으로 접속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와는 데이터 포트 방식 또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5. 파워온 시 휴대단말기가 외부 장치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가 외부장치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장치의 파워가 온되면 상기 외부 장치가 휴대단말기로 고유일련번호 전송을 요청하여 휴대 단말기에 대한 고유일련번호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고유일련번호 인증이 수행되면 상기 외부장치의 각 기능부에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운영시스템을 로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로드된 운영시스템의 사용이 요청되면 휴대단말기로 패스워 입력을 요청하여 패스워드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패스워드 인증이 수행되면 해당 운영시스템을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컴퓨터, 외부 전자기기 및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030039196A 2003-06-17 2003-06-17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 KR100981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196A KR100981863B1 (ko) 2003-06-17 2003-06-17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9196A KR100981863B1 (ko) 2003-06-17 2003-06-17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274A KR20040108274A (ko) 2004-12-23
KR100981863B1 true KR100981863B1 (ko) 2010-09-13

Family

ID=3738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9196A KR100981863B1 (ko) 2003-06-17 2003-06-17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742B1 (ko) * 2006-11-29 2008-10-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 방법 및 장치
KR20080012389A (ko) * 2008-01-17 2008-02-11 임병렬 전자상거래에서 거래 최종 확인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257A (ja) * 2000-06-01 2001-12-14 Akesesu:Kk 携帯型無線端末機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携帯型無線端末機、およびセキュリティ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20007282A (ko) * 1998-11-24 2002-01-26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이동 전화 자동 개인용 컴퓨터 로그온
KR20020035355A (ko) * 2000-11-06 2002-05-11 엄상섭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
KR20030018676A (ko) * 2001-08-30 200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컴퓨터의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282A (ko) * 1998-11-24 2002-01-26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이동 전화 자동 개인용 컴퓨터 로그온
JP2001346257A (ja) * 2000-06-01 2001-12-14 Akesesu:Kk 携帯型無線端末機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携帯型無線端末機、およびセキュリティ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20035355A (ko) * 2000-11-06 2002-05-11 엄상섭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장치
KR20030018676A (ko) * 2001-08-30 200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을 이용한 컴퓨터의 보안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8274A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6493B2 (en) Encryption bridg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TWI452478B (zh) 用以存取系統上的功能之方法及系統
US68710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ccess to a computer system
US8543764B2 (en) Storage device with accessible partitions
US7284697B2 (en) PCMCIA-compliant smart card secured memory assembly for porting user profiles and documents
KR101270379B1 (ko) 잠금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
EP1975839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20070016743A1 (en) Secure storage device with offline code entry
KR101043306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관리 방법, 및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JP4242847B2 (ja) スクリーンセーバ表示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11038684B2 (en) User authentication using a companion device
KR100664680B1 (ko) 다수의 비밀번호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용 관리장치
JP500374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EP2306361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password management
TW201537386A (zh) 具存取安全的資訊處理系統、方法、及電腦程式產品
KR100981863B1 (ko) 휴대단말기의 컴퓨터 보안인증 장치 및 방법
KR100862742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보안 방법 및 장치
KR101655890B1 (ko) 배드 유에스비 방지를 위한 보안 유에스비 장치의 펌웨어 설치 방법
WO2022035021A1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로그인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CA2693318C (en) Multi-level data storage
KR200192534Y1 (ko) 지문인식 키보드
JP2002175281A (ja) ネットワークログインシステム
KR10105832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지문 인식에 의한 단말기 부팅/보안장치 및 방법
JP2008198125A (ja) 情報処理端末および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20004366A (ko) 전자 인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