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938A -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938A
KR20030040938A KR1020010071612A KR20010071612A KR20030040938A KR 20030040938 A KR20030040938 A KR 20030040938A KR 1020010071612 A KR1020010071612 A KR 1020010071612A KR 20010071612 A KR20010071612 A KR 20010071612A KR 20030040938 A KR20030040938 A KR 20030040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ulp
barrier film
base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6321B1 (ko
Inventor
정창진
Original Assignee
정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진 filed Critical 정창진
Priority to KR10-2001-0071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63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40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2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with one or more containers located inside the external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펄프 용기에 있어서, 펄프 용기 본체의 내면에 외부로부터의 습기나 세균 등의 오염물질이 용기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용기 내면의 물질이 음식물로 전이하는 것을 방지하며, 중간재에 종이를 사용함으로써 고온의 음식물이 담겨졌을 때, 용기 외부로의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및 그 제조 방법{Pulp container having isolating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통상의 펄프 용기에 있어서, 펄프 용기의 내면에 외부로부터의 습기나 세균 등의 오염물질이 용기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펄프 용기는 목재나 섬유 식물로부터 기계적 또는 화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셀룰로우스 섬유의 집합체인 펄프를 해리하여 건조한 다음, 이를 소정의 용기형상을 갖춘 주형을 이용하여 몰딩함으로써 제조되며, 일회용 용기 또는 계란판, 충격 완충제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종래의 펄프 용기는 그 재질이 강한 섬유질이기 때문에, 음식물과 직접 접촉되어 냉장고 등에서 장기간 보관하였을 경우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이나 기름에 의하여 섬유질의 뭉침이 풀어짐으로 펄프 용기에 포함되는 성분이 음식물로 전이될 수 있는데, 펄프 재료 자체의 오염이나 가공시 혼합되는 화학물질 등의 유해 오염원이 음식물에 전이될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펄프 용기에 고온의 물을 담아두면, 펄프의 뭉침이 풀려서 물이 외부로 새거나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을 담았을 경우 펄프 몰드의 유해 물질이 음식물에 전이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로부터의 습기나 세균등의 오염 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고온의 음식물이 담겨졌을 때 용기 외부로의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차단막을 형성한 펄프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펄프 용기의 개략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차단막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3 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공정의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차단막의 일부 절결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공정의 개략도,
도 6a 내지 도 6b 는 본 발명 접착 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d 는 본 발명 접착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본 발명 펄프 용기
10 ; 용기 본체 11 ; 용기 내면
20 ; 차단막
21, 22 ;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차단막
21a, 22a ; 기재 21b, 22b ; 중간재
21c, 22c ; 표재 30, 40 ; 차단막 원지
100; 접착장치 110; 공정 처리부
120; 원판부 130; 원판 지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통상의 펄프 용기에 있어서, 펄프 용기의 내면에 외부로부터의 습기나 세균 등의 오염물질이 용기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중간재에 종이를 사용함으로써 고온의 음식물이 담겨졌을 때, 용기 외부로의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차단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펄프 용기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 펄프 용기는 용기 본체(10)의 음식물이 담기는 내면(11)에 외부로부터의 습기나 세균 등의 오염물질이 용기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음식물의 성분이 용기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온의 음식물이 담겨졌을 때 용기 외부로의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차단막(20)을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의 차단막(20)은 합성수지재 및 종이재를 다수겹 중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를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면(11)에 부착하여 용기의 차단막(20)을 이루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는 상기 차단막(20)을 형성하는 재질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펄프 용기와 제 2 실시예의 펄프 용기로 이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펄프 용기(1)의 차단막(21)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차단막(21)은 펄프 용기본체(10)의 내면(11)에 접촉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재(21a)와 상기 기재(21a)의 상부에 부착되는 종이 재질의 중간재(21b)와, 상기 중간재 상부에 부착되어 용기 본체(10)에 담기는 내용물과 접촉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표재(21c)가 일체로 중첩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실시예의 차단막(21)의 기재(21a) 및 표재(21c)를 이루는 플라스틱의 재료로서는 통상의 음료수나 식품용기로 이용되는 폴리에틸렌(PE)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PET) 수지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이 재질의 중간재(21b)에 각종의 도안이나 무늬를 인쇄하고,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표재(21c)를 투명하게 형성하면, 중간재(21b)에 인쇄된 무늬가 외부로 보여짐으로 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21a)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재질보다 상기 표재(21c)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용융점을 높게하여, 용기 본체(10) 내부에 고온의 물이나, 음식물이 담겨졌을 경우, 용기의 뒤틀림과 형태 이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기재(21a) 및 표재(21c)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을 생분해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쓰레기로서 매립되었을 때 용기의 신속한 분해가 가능한 환경친화적인 용기로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펄프 용기(1)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펄프 용기(1)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개조식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히팅(Heating) 공정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차단막(21)이 후술할 접착 공정에서 펄프 용기 본체(10)와 용이하게 접착되기 위하여 차단막(21)에 열을 골고루 전달시키기 위한 공정으로서, 먼저, 상기 제 1 실시예의 펄프 용기(1)의 차단막(21)을 이루게 되는 기재(21a)와 중간재(21b) 및 표재(21c)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필름 형상의 차단막 원지(30)를 권취기(K)에 의하여 롤뭉치로서 권취시킨다. 이후, 상기 차단막 원지(30, 이하 원지 라함)는 권취기(K)에 감겨진 롤뭉치로부터 풀려져 고무롤러(A)를 통과하며, 상기 고무롤러(A) 내부에 삽입된 열선에 의하여 원지(30) 전체에 골고루 열을 공급하는 1 차 히팅 공정과,
이어서, 상기 1 차 히팅 공정을 마친 원지(30)는 히팅판(B)을 통과하여 히팅판(B)에 천공된 구멍(B1)을 통하여 상기 히팅판(B1)에 하부에 부설된 송풍기(J)가 열풍을 불어 넣는 2 차 히팅 공정을 거치게 된다.
2) 톰슨(Thomson) 가공 공정
상기 히팅 공정을 마친 원지(30)는 용기 본체(10)와의 접착시 접착되는 원지의 터짐을 방지하고, 원지(30)의 형태가 펄프 몰드의 모양에 알맞도록 접착하기 위하여 톰슨 가공을 실시하며, 통상의 톰슨 가공기(C)를 사용한다. 상기 톰슨 가공시, 원지(30)가 통과되는 톰슨가공 다이(L)에 열선을 내장하여 전술한 히팅 처리 공정을 더욱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접착 공정
상기 톰슨 가공을 마친 원지(30)를 펄프 용기 본체(10)의 내면(11)에 접착하는 공정으로서, 다음에 설명되는 상세 공정을 거치게 된다.
(3-1) 펄프 몰드 투입
펄프 용기 본체(10)를 내부에 적층시킨 투입기(D1)가 용기 본체(10)를 순차적으로 접착다이(M)위에 투입한다. 상기 투입기(D1)의 소정 위치에는 물체 감지 센서(미도시)를 장착하여 용기 본체(10) 투하시 이를 감지하고 투입기(D1)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의 접착다이(M)의 상면에는 제조될 용기 본체(10)의 몰드(M1)가 몰딩되어 있어 용기 본체(10)는 상기 몰드(M1)위로 투입되게 된다. 상기의 접착다이는(M) 접착다이 이송롤러(M2)에 의하여 도면의 오른편으로 공정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이동하게 되어있다.
(3-2) 송풍
투입된 용기 본체(10)에 송풍기(D2)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의 내면(11) 방향으로 열풍을 불어준다. 열풍을 불어줌으로써, 원지(30)가 용기 본체(10)와 더욱 원활하게 접착되며, 동시에 용기 본체(10)의 이물질이 제거되게 된다. 상기 송풍기(D2)에도 물체 감지 센서(미도시)를 장착하여 용기 본체(10)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3) 프레싱
상기 송풍을 마친 용기 본체(10)는 이송롤러(M2)의 이동에 의하여 비로소 톰슨 가공을 마친 원지(30)의 하부에 놓이게 되고, 프레스기(D3)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접착다이(M)의 몰드(M1)위에 놓여진 용기 본체(10)와 원지와 프레싱되어 용기 본체(10)의 내면(11)에 접착되게 된다. 상기 프레싱 가공은 다수회에 걸쳐서 실시하는 것이 원지(30)의 접착상태를 더욱 양호하게 하는데,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 본체(10)와 원지(30)를 5 번의 프레싱 공정을 연속하여 실시(D3 내지 D7)하게 된다.
한편, 프레스기(D3)에 의하여 프레싱 처리된 원지(30)는 처음 프레싱 가공이 종료되고 다음의 프레싱 가공에 들어가기 전에 권취기(K)에 의하여 권취된다.
(3-4) 이송
상기 프레싱 공정이 모두 종료된 용기 본체(10)의 내면(11)은 차단막 원지(30)가 부착된 상태로서, 흡착이송기(D8)에 의하여 흡착되어, 컨베이어(E) 위로 옮겨져 검사 및 포장되게 된다.
4) 검사 포장 공정
자외선 소독기(F)를 이용하여 소독한 다음, 적외선 검사기(G)에서 이물질을 검사하고, 최종 처리된 제 1 실시예의 펄프 용기(1)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검사하게 된다. 검사를 마친 펄프 용기(1)는 포장기(H)에 의하여 개별 또는 덕용으로 포장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펄프 용기(2)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펄프 용기(2)의 차단막(22)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펄프 용기(2)의 제조방법의 개략도이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펄프 용기(2)의 차단막(22)은 펄프 용기본체(10)의 내면(11)에 접촉되는 재습형 접착층인 기재(22a)와, 상기 재습형 접착층(22a)의 상부에 부착되는 종이 재질의 중간재(22b)와, 상기 중간재(22b) 상부에 부착되어 용기본체(10)에 담기는 내용물과 접촉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표재(22c)가 일체로 중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실시예의 차단막(22)의 기재(22a)는 재습형 접착층으로서, 용기 본체(10)의 내면(11)에 접착시 접착이 원할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재습형 접착제가 상기 종이재질의 중간재(22b)에 도포되어 접착층을 이루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의 차단막(21)처럼 표재(22c)를 이루는 플라스틱의 재료로서는 통상의 음료수나 식품용기로 이용되는 폴리에틸렌(PE)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PET) 수지로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간재(22b)에 각종의 도안이나 무늬를 인쇄하고,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표재(22c)를 투명하게 형성하도록 하여, 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제 2 실시예의 펄프 용기(2)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5 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 부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중간재(22b)와 표재(22c)가 일체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필름 형상의 차단막 원지(40, 이하 원지 라함)를 제 1 실시예의 히팅공정 및 톰슨 가공공정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히팅공정 및 톰슨 가공공정을 마친 원지(40)의 중간재(22b) 하면으로 접착롤러(N)에 의하여 재습형 접착제를 도포하여 재습형 접착층인 기재(22a)를 형성하는 접착층 도포 공정을 실시한다.
이하, 용기 본체(10)와 재습형 접착층의 기재(22a)가 형성된 상기 원지(40)를 제 1 실시예의 접착 공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프레싱을 실시한 다음, 이를 검사 포장 함으로써 제 2 실시예의 펄프 용기(2)를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 도포공정에 사용되는 상기 접착롤러(N)의 소정 위치에는 재습형 접착제를 수용할 적절한 공간부(미도시)를 형성하며, 접착 롤러(N)의 하단에는 접착롤러 블레이드(N1)를 부설하여 원지(40)와 밀착되어 접착제가 골고루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내지 도 6b 및 도 7a 내지 도 7d 는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펄프 용기(1,2)의 제조 공정중 전술한 접착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접착장치(100)의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접착장치(100)는 전술한 접착 공정중의 펄프 몰드 투입, 송풍, 프레싱, 이송의 각 단계를 단일한 장치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의 접착장치(100)는 장치 상부에 위치하는 공정처리부(110)과 장치 하부에 위치하는 원판부(120), 및 상기 원판부(1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원판부(120)를 회전시키는 소정의 회전수단(미도시)을 부설한 원판지지부(130)로 나누어지며,
상기 공정처리부(110)는 하부의 원판부(120)의 상면에 용기본체(10)의 형상에 맞추어 몰딩된 하부몰드(121)로 용기 본체(10)를 투입하는 용기 투입기(111)와, 용기 투입기(111)에 의하여 투입된 용기 본체(10)의 내면으로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기(112)와, 톰슨가공을 마친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의 원지(30,40)를 용기 본체(10)와 프레싱하는 프레스기(113)와, 프레스기(113)에 프레싱을 마친 용기 본체(10)를 컨베이어(E)로 흡착 이송하는 흡착이송기(11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스기(113)는 본 발명 실시예의 5 번의 프레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 1 프레스기 내지 제 5 프레스기(113a 내지 113e)로 구성되며, 모든 프레스기(113)의 하단에는 원판부(120)에 몰딩된 하부몰드(121)와 치합되는 상부몰드(122)가 부착되고(도면에는 제 5 프레스기에만 도시), 상기의 하부몰드(121)과 상부몰드(122)는 착탈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용기 본체(10)의 형상에 따라서 하부몰드(121) 및 상부몰드(122)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원판부(120)는 평면상 가운데 부분이 중공(中空)인 도넛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중공 내부에는 전술한 톰슨가공기(C)에서 공급되는 원지(30,40)를 다시 되감아 권취하기 위한 권취기(K)가 위치하며, 상기의 하부몰드(12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부(120)의 상면 주연부를 따라 45°각도로 배치되어, 제 1 하부몰드(121a) 내지 제 8 하부몰드(121h)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원판지지부(130)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공정처리부(110) 및 원판부(120)의 청소나 수선 또는 권취기(K)의 출납을 위하여 제 5 프레스기(113e)부터 송풍기(112)사이가 절개되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판지지부(130)는 장치를 상하로 조정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부(미도시)를 별도로 부설하고, 지상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착장치(100)로 공급되는 원지(30, 40)의 공급 경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몰드(121)중 프레싱 가공이 처음으로 수행되는 제 3 하부몰드(121c)의 상부를 통과한 다음 원판부(120) 내에 위치한 권취기(K)에 의하여 권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접착장치(10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용기 투입기(111)가 그의 부설되는 용기저장고(미도시)에 적층된 용기 본체(10)를 소정의 센싱부의 센싱에 의하여 용기투입기(111)의 하부에 위치한 원판부(120)의 제 1 하부몰드(121a)위로 순차적으로 1 개씩 낙하시킨다. 그러면, 원판부(120)가 회전수단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45°회전되어 송풍기(112)의 하부로 상기 용기 본체(10)를 위치시키고, 송풍기(112)는 열풍을 용기 본체(10)로 송풍하여 원지(30, 40)와 용기 본체(10)와의 접착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면, 원판부(120)가 재차 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여 제 1 프레스기(113a) 하부로 용기 본체(10)를 이송시키는데, 제 1 프레스기(113a)와 그 하부로 이송된 용기 본체(10) 사이로 톰슨가공기(C)에 의하여 톰슨가공을 마친 원지(30, 40)가 권취기(K)에 의하여 접착장치(100)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프레스기(113a)가 원지(30, 40)를 용기본체(10)의 내면(11)으로 프레싱하게 되는데, 프레스기(113a)의 하단에 부착된 상부몰드(122)와 원판부(120) 상면의 하부몰드(121)는 용기 형상에 맞추어 서로 치합되므로 원지(30, 40)가 용기본체(10)의 내면(11)과 일치하게 부착되도록 프레싱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프레스기(113a)에 의한 프레싱이 수행되면, 원판부(120)는 재차 시계방향으로 45°회전하여 제 2 프레스기(113b)에 의하여 용기 본체(10)의 내면(11)에 부착된 원지(30, 40)에 대한 2 차 프레싱 가공이 실시되며, 2 차 프레싱 가공을 마친 용기 본체는 원판부(120)의 시계방향으로의 45 °회전운동을 따라서 이하의 제 3 프레스기(113c) 내지 제 5 프레스기(113e)에 의한 프레싱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원지(30, 40)의 접착상태를 더욱 공고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 5 프레스기(113e)에 의한 프레싱 가공을 마치면, 원판부(120)가 회전하여 용기본체(10)를 흡착이송기(114)의 하부로 위치시키게 되며, 상기의 흡착이송기(114)에 부착된 흡착암(114a)이 용기본체(10)를 흡착하여, 이를 검사 및 포장을 수행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E)로 이송시킨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은 검사 및 포장 공정을 거쳐서 본 발명 차단막이 부착된 펄프 용기(1,2)를 완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오로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업계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가 이루어질 수 있슴은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효과는, 펄프 용기의 내면에 차단막을 형성함으로써, 용기 내부에 음식물을 담았을 경우 펄프 몰드의 유해 물질이 음식물에 전이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막에 의해 용기 자체로 침투되는 외부로부터의 습기나 세균 등의 오염 물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막을 이루는 종이 재질의 중간재에 각종의 도안이나 무늬를 인쇄할 수 있어서 용기의 외관을 다양한 문양에 의하여 생산할 수 있어서, 용기의 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중간재를 종이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고온의 음식물이 담겨졌을 때 용기 외부로의 열전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막을 이루는 요소중 기재보다 표재의 용융점을 높게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고온의 물이나, 음식물이 담겨졌을 경우 용기의 뒤틀림과 형태 이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막을 이루는 요소중 표재 및 기재로 사용되는 재질을 생분해성의 소재를 이용하면, 쓰레기로서 매립되었을 때 용기의 신속한 분해가 가능한 환경 친화적인 효과가 있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5)

  1. 통상의 펄프 용기에 있어서,
    펄프 용기 본체(10)의 내면(11)에 차단막(2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펄프 용기본체(10)의 내면(11)에 접촉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기재(21a)와; 상기 기재(21a)의 상부에 부착되는 종이 재질의 중간재(21b)와; 상기 중간재 상부에 부착되어 용기 본체(10)에 담기는 내용물과 접촉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표재(21c);가 일체로 중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펄프 용기본체(10)의 내면(11)에 접촉되는 재습형 접착층인 기재(22a)와; 상기 재습형 접착층(22a)의 상부에 부착되는 종이 재질의 중간재(22b)와; 상기 중간재(22b) 상부에 부착되어 용기본체(10)에 담기는 내용물과 접촉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표재(22c); 가 일체로 중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21a) 및 표재(21c, 22c)의 플라스틱의 재질이 폴리에틸렌(PE) 수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21a) 및 표재(21c, 22c)의 플라스틱의 재질이 폴리에스테르(PET)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재(21b, 22b)에 도안이나 무늬를 인쇄하고, 상기 표재(21c,22c)를 투명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21a)보다 상기 표재(21c)의 용융점을 높게하여, 용기 본체(10) 내부에 고온의 물이나 음식물이 담겨졌을 경우 용기의 뒤틀림과 형태 이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21a,22a) 및 표재(21c,22c)의 재질이 생분해성의 플라스틱 소재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9. 통상의 펄프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펄프 용기(1)의 차단막(21)을 이루는 기재(21a)와 중간재(21b) 및 표재(21c)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필름 형상의 차단막 원지(30)를 권취기(K)에 의하여 롤뭉치로서 권취하고,
    권취기(K)에 감겨진 롤뭉치로부터 차단막 원지(30)를 풀어, 원지(30)를 내부에 열선이 삽입된 고무롤러(A) 및 히팅판(B)을 통과시켜 원지(30) 전체에 골고루 열을 공급하는 히팅 공정과;
    히팅공정을 실시한 원지(30)에 톰슨 가공기(C)를 사용하여 톰슨 가공을 실시하는 톰슨 가공공정과;
    상기 톰슨 가공을 마친 원지(30)를 펄프 용기 본체(10)의 내면(11)에 접착하는 접착 공정과;
    자외선 소독기(F)를 이용하여 소독한 다음, 적외선 검사기(G)에서 이물질을 검사하여, 포장기(H)로서 포장하는 검사 포장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재(22b)와 표재(22c)가 일체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필름 형상의 차단막 원지(40)를 권취기(K)에 의하여 롤뭉치로서 권취하고,
    상기 히팅공정 및 톰슨 가공공정을 실시한 원지(40)의 중간재(22b) 하면에 재습형 접착제가 공급되는 접착롤러(N)에 의하여 재습형 접착제를 도포하여 재습형 접착층의 기재(22a)를 형성하는 접착층 도포 공정을 실시한 후, 상기 접착 공정과 검사 포장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의 제조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의 접착 공정은,
    펄프 용기 본체(10)를 내부에 적층시킨 투입기(D1)에 의하여 용기 본체(10)를 이송롤러(M2)에 의하여 이동하는 접착다이(M)의 몰드(M1)위로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펄프 몰드 투입 단계와;
    투입된 용기 본체(10)에 송풍기(D2)를 사용하여 용기 본체의 내면(11) 방향으로 열풍을 불어주는 송풍 단계와;
    상기 송풍 단계를 실시한 용기 본체(10)를 이송롤러(M2)의 이동에 의하여 톰슨 가공을 마친 원지(30, 40)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프레스기(D3 - D7)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접착다이(M)의 몰드(M1)위에 놓여진 용기 본체(10)와 원지(30,40)를프레싱하는 프레싱 단계와;
    상기 프레싱 공정을 실시한 용기 본체(10)를 흡착이송기(D8)에 의하여 흡착시켜 컨베이어(E) 위로 이송하는 이송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의 제조방법.
  12. 프레싱 가공을 통한 통상의 접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접착장치(100)는 상부에 위치하는 공정처리부(110)과 하부에 위치하는 원판부(120), 및 상기 원판부(1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원판부(120)를 회전시키는 소정의 회전수단을 부설한 원판지지부(130)로서 구성되며,
    상기 공정처리부(110)는 원판부(120)의 상면에 용기본체(10)의 형상에 맞추어 몰딩된 하부몰드(121)로 용기 본체(10)를 투입하는 용기 투입기(111)와, 용기 투입기(111)에 의하여 투입된 용기 본체(10)의 내면으로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기(112)와, 톰슨가공을 마친 원지(30,40)를 용기 본체(10)와 프레싱하는 프레스기(113)와, 프레스기(113)에 프레싱을 마친 용기 본체(10)를 컨베이어(E)로 흡착 이송하는 흡착이송기(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접착장치(10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기(113)는 제 1 프레스기 내지 제 5 프레스기(113a 내지 113e)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스기(113)의 하단에는 원판부(120)에 몰딩된 하부몰드(121)와 치합되는 상부몰드(122)가 부착되고, 상기의 하부몰드(121)과 상부몰드(122)는 착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접착장치(100).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120)는 평면상 가운데 부분이 중공(中空)인 도넛 모양으로 형성되고, 중공 내부에 톰슨가공기(C)로부터 공급되는 원지(30,40)를 다시 되감아 권취하기 위한 권취기(K)가 위치하며, 하부몰드(121)는 원판부(120)의 상면 주연부를 따라 45°각도로 배치된 제 1 하부몰드(121a) 내지 제 8 하부몰드(121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접착장치(100).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장치(100)로 공급되는 원지(30, 40)는 하부몰드(121)중 프레싱 가공이 처음으로 수행되는 제 3 하부몰드(121c)의 상부를 통과하여 원판부(120) 내에 위치한 권취기(K)에 의하여 권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접착장치(100).
KR10-2001-0071612A 2001-11-17 2001-11-17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456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612A KR100456321B1 (ko) 2001-11-17 2001-11-17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612A KR100456321B1 (ko) 2001-11-17 2001-11-17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용기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545U Division KR200271040Y1 (ko) 2001-11-19 2001-11-19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938A true KR20030040938A (ko) 2003-05-23
KR100456321B1 KR100456321B1 (ko) 2004-11-10

Family

ID=2956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612A KR100456321B1 (ko) 2001-11-17 2001-11-17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63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837B1 (ko) * 2005-07-22 2007-06-11 신정섭 필름막이 형성된 펄프몰드의 제조방법
KR101300637B1 (ko) * 2012-03-08 2013-08-27 최종갑 펄프몰드의 필름 접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1005A (ja) * 1993-06-25 1995-03-28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カ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837B1 (ko) * 2005-07-22 2007-06-11 신정섭 필름막이 형성된 펄프몰드의 제조방법
KR101300637B1 (ko) * 2012-03-08 2013-08-27 최종갑 펄프몰드의 필름 접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6321B1 (ko) 2004-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9806B (fi) Laminerat material och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KR101013206B1 (ko) 가식성 필름 제품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20036716A (ko) 라벨부착방법, 라벨부착장치, 라벨원판시트 및 라벨
KR20040030194A (ko) 물품의 접착 방법 및 장치
KR100456321B1 (ko)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2383878B1 (ko) 인라인형 구강붕해필름 제조방법
KR200271040Y1 (ko) 차단막이 형성된 펄프 용기
KR200395250Y1 (ko) 두부포장장치
KR101977138B1 (ko) 지관에 항균 기능을 갖도록 하는 지관 제조장치
JP2020036672A (ja) Ptp包装機
KR101017190B1 (ko) 포장 라미네이트 재료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
JP3396611B2 (ja) ラベル貼付装置
KR101904688B1 (ko)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설비
EP20930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natural cork stoppers, and multilayer natural cork stopper
CA2083882A1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e barquettes pour le conditionnement de produits alimentaires et barquettes obtenues par ce procede
JPH07315356A (ja) 容器とその製造方法
KR102096449B1 (ko) 대나무통밥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통밥
KR101910320B1 (ko)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식품용 포장필름 제조방법
JP5925128B2 (ja) シュリンクスリーブラベル製造装置
KR102558971B1 (ko) 구강 붕해필름 포장장치
JP2008150104A (ja) 容器検査方法及び容器検査装置
JP3660425B2 (ja) シート包装体の製造装置
KR102510462B1 (ko) 미생물 배양배지 용기 인쇄방법
KR102484961B1 (ko) 친환경 우드스트로우 제조방법
KR20200057874A (ko) 한방침 자동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