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808A -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808A
KR20030040808A KR1020010071392A KR20010071392A KR20030040808A KR 20030040808 A KR20030040808 A KR 20030040808A KR 1020010071392 A KR1020010071392 A KR 1020010071392A KR 20010071392 A KR20010071392 A KR 20010071392A KR 20030040808 A KR20030040808 A KR 20030040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edetermined
output
images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신
Original Assignee
이재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신 filed Critical 이재신
Priority to KR1020010071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0808A/ko
Publication of KR2003004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8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영상을 촬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 상기 각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소정의 방법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상기 각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를 하는 선처리부, 상기 선처리부에서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를 포함하며, 하나의 촬상장치만으로 복수의 촬상장치로 촬상한 것과 같은 화면을 얻을 수 있어 하나의 촬상장치(예를 들면 카메라)로 여러 대의 촬상장치를 대체할 수 있으며, 종래의 QUAD/DVR 등의 장치가 없어도 복수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카메라만을 사용하여 여러 대의 카메라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및 전력 사용의 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Imaging system capable of photographing 360 degree surroundings simultaneously}
본 발명은 영상을 촬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촬영 소자를 사용하여 360도를 동시에 촬상 가능한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촬상 소자(100)를 통해 영상을 촬상하고, 선처리부(100)는 촬상된 영상에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며, 후처리부(120)는 선처리되어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한다. 그리고 후처리된 영상은 비디오드라이브(130)에서 NTSC 혹은 PAL과 같은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가 더해져서 출력된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촬상 장치의 경우 360도를 동시에 촬상하려면 카메라를 회전하고 기울이기 위한 PAN/TILT 장치를 카메라에 구비해야 했다. 이때에 PAN/TILT 장치를 카메라에 설치하기 위해 큰 공간을 차지해야 하며, PAN/TILT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을 위해 별도의 전력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PAN/TILT 장치에 의존하여 360도를 회전하면서 촬상하므로 한 순간에는 어느 한 방향만 촬상하게 되어 다른 부분은 촬상할 수 없는 촬상 불시간대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방범의 목적으로 촬상하는 경우에는 항상 촬상하지 못하는 시간대인 촬상 불시간대가 있어서 방범과 같은 촬상 목적이 제대로 달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 복수개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상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에, 복수개의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여 각 카메라마다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상태로 준비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화면을 번갈아 화면에 표시하거나 혹은 한 화면에 상기 복수개의 영상을 동시에 표현한다. 이와 같은 것은 촬영한 영상을 Quad 보드와 같은 장치를 통해 화면에 영상을 보여주는 시스템이나 DVR(Digital Video Recording)과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이런 경우 중간 단계로 각 카메라의 출력을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고 다시 디지털에서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화질 열화가 불가피해진다. 그 외에도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화면의 숫자만큼의 여러 대의 카메라를 구비해야 하며, 이는 여러 대의 카메라 설치를 위해 큰 공간을 차지해야 하며, 또한 여러 대의 카메라를 확보하기 위해 비용적으로 문제가 된다. 그리고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함에 따른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에러의 발생률도 높아지게 된다.
그 외에도 별도의 PAN/TILT 장치나 여러 대의 카메라를 사용하는 종래의 경우 여러 가지 장치를 유지 보수해야 하는 관리상의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촬영 소자를 사용한 하나의 촬상 장치로 360도를 촬상하고, 촬영한복수개의 영상을 하나의 비디오 출력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장치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영상을 보통의 화질로 하나씩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영상을 고화질로 하나씩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의 구성의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영상을 보통의 화질로 한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영상을 고화질로 한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4개의 촬상 소자를 사용하여 하나 혹은 4개까지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4개의 CCD 소자를 이용하여 4개의 영상을 촬상한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한 화면에 4개의 영상이 주사되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 상기 각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소정의 방법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상기 각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를 하는 선처리부; 상기 선처리부에서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다른 촬상 장치에 있어서,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각 영상에 상기 각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를 하는 선처리부; 상기 선처리된 영상들 중에서 어느하나의 영상을 소정의 방법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서 선택되어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또 다른 촬상 장치에 있어서,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복수의 영상 전부 혹은 일부를 상기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법으로 각 영상들을 서로 더하여 출력하는 애더부; 상기 애더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영상에 대응되는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를 하는 선처리부; 상기 선처리되어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또 다른 촬상 장치에 있어서,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 상기 각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각 영상에 상기 각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부; 상기 선처리부가 처리한 복수의 영상 전부 혹은 일부를 상기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법으로 각 영상들을 서로 더하여 출력하는 애더부; 상기 애더부에서 선택되어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장치들에 사용되는 촬상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임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영상을 하나씩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보통 화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화면에는 복수개의 영상 중 어떤 하나의 영상이 표시되며, 이 영상은 다른 영상으로 바뀌게 된다.
타이밍생성부(200)는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 표시하려는 영상 규격과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촬상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려는 방식이 정해지면 타이밍생성부(200)에서 생성되는 타이밍신호가 결정된다.
둘 이상의 복수개의 촬상소자(210, 212)를 이용해서 영상을 촬영한다. 촬상소자(210, 212)에서 촬상된 영상은 타이밍생성부(200)에서 출력되는 영상표시 규격(예를 들면 NTSC 규격)에 따른 신호에 따라 출력된다.
스위치부(220)는 각 촬상소자들(210, 212)이 촬상하여 출력한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소정의 방법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한다.
선처리부(230)에서는 스위치부(22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상기 각 촬상소자(210, 212)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pre-processing) 작업을 한다.
후처리부(250)는 선처리부(230)에서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post-processing)를 하며, 비디오드라이브부(260)는 후처리된 영상에 타이밍생성부(200)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믹스하여 출력한다.
도 2의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영상을 촬영하려는 곳에 촬상소자(200, 202)를 부착한다. 촬상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CD는 전자 결합 소자의 일종으로 응용 방법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각이 90도인 CCD 소자를 사용하면 최소 4개의 CCD 소자를 사용하여 360도 사방을 촬상할 수 있다. 몰론 촬상소자로 CCD 소자 이외에 다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360도 사방을 촬상하는 경우 PAN/TILT 구동 수단을 구비한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혹은 촬영각이 90도인 카메라 4대를 설치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경우에는 하나의 카메라에 CCD 소자를 4개 설치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만을 필요로 한다.
촬상소자(210, 212)에서 촬상된 영상은 타이밍생성부(200)에서 출력되는 영상표시 규격(예를 들면 NTSC 규격)에 따른 신호에 따라 출력된다. 이하의 동작 역시 영상 표시 규격에 따른 타이밍 신호에 따라 실행될 것이다.
CCD 소자로 촬상한 영상들이 스위치부(220)로 입력되면 스위치부(220)는 CCD 소자의 개수만큼 입력되는 복수의 영상들에서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영상을 선택하고 출력하는 것도 타이밍생성부(200)에서 출력되는 타이밍신호를 기준으로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에 스위치부(220)는 각 촬상소자인 CCD 소자가 촬상한 영상들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번갈아서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분할(time sharing) 방식으로 번갈아 가면서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면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CCD 소자로 촬상된 영상들이 차례로 출력될 것이다. 따라서 소정 장소를 기준으로 사방을 관찰할 수 있다. 스위치부(220)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 역시 가변적으로 정할 수 있으며, 어떤 영상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가도 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 외에도 CCD로 촬상된 영상을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무작위로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촬상된 영상 중 하나만을 필요한 시간만큼 출력할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스위치부(2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소정의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각 촬상소자(200, 202)가 촬상한 영상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영상을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계속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CD 소자로 촬상한 영상들이 스위치부(220)에서 선택되어 선처리부(230)로 입력되면 선처리부(230)는 촬상한 영상에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한다. 제어 인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 전자 셔터(electronic exposure), ??셋(off set) 조정, IRIS 조리개 조절 등을 포함한다. 선처리부(230)와 같은 기능 블록은 통상의 카메라의 경우에도 필요한 기능부이다.
선처리부(230)에서 출력된 신호는 아직 일반적인 모니터와 같은 화면으로 볼 수 있는 신호가 아니므로, 후처리부(250)에서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pre-processing)를 하며, 비디오드라이브부(260)에서는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영상표시규격에 따른 동기(sync)신호를 믹스(mix)하여 출력한다. 또한 비디오드라이브부(260)는 후처리된 비디오 신호에 구동(driving) 능력을 부가하여 최종 출력한다. 최종 출력되는 곳은 TV 모니터, CRT 모니터 혹은 TFT-LCD 모니터와 같은 표시 수단의 화면이 될 것이다.
후처리부(250)와 비디오믹스/드라이브부(260)는 도 1과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영상 촬상용 카메라에도 포함되어 있는 기능부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에 설명된 스위치부(220), 선처리부(230), 후처리부(250)의 동작들은 타이밍생성부(200)에서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 타이밍 신호의 일부는 NTSC, PAL과 같은 영상표시규격에 따른 출력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의 장치는 촬상소자(210 내지 212)가 촬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며, 저장부는 촬상된 영상을 저장하여, 저장된 영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전자적인 확대(zoom)가 같은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의 영상 출력은 후처리부(250)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저장부는 스위치부(220)에서 선택되지 않은 영상을 저장하였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후처리부(250)로 출력하여 다시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을 통해 복수의 촬상소자가 촬상한 영상들을 시분할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출력하여 한 화면으로 볼 수 있다.
종래에는 PAN/TILT 구동 수단을 구비한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혹은 촬영각이 90도인 카메라 4대를 갖추어야 사방을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을, 본 발명을 적용하면 촬영각이 90도인 4개의 촬상 소자를 구비한 하나의 카메라만을 가지고 실현할 수 있다. 물론 종래에도 하나의 카메라만을 가지고 360도 회전시켜 사방을 감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추가적인 기구가 더 필요하여 설치 공간의 문제와 추가되는 비용이 문제가 되었으며, 현재 화면으로 보여지는 부분 외의 다른 부분은 카메라의 렌즈 부분이 이동되어야 촬상이 되어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현재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부분도 촬상되는 중이므로 필요에 따라 현재 보이지 않는 각도의 영상도 화면을 전환하여 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하여 필요시에는 다시 인출하여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의 경우, 관찰하기 위한 필요한 현재 화면에 출력되는 영상은 물론이며, 촬상소자의 개수와 위치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360도 사방의 영상을 시간적으로 빠뜨리지 않고 소정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하였다가 다시 보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영상을 하나씩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도 2의 장치와 거의 유사하나, 도 2보다 고화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각 구성 블록들의 기능은 도 2의 블록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이 많으므로 중복되는 기능 블록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타이밍생성부(300)는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 표시하려는 영상 규격과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촬상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려는 방식이 정해지면 타이밍생성부(300)에서 생성되는 타이밍신호가 결정될 것이다.
둘 이상의 복수개의 촬상소자(310, 312)를 이용해서 영상을 촬영한다. 촬상소자(310, 312)에서 촬상된 영상은 타이밍생성부(300)에서 출력되는 영상표시 규격(예를 들면 NTSC 규격)에 따른 신호에 따라 출력된다.
선처리부들(320, 322)은 각 촬상소자(310, 312)마다 대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각 선처리부는 대응되는 촬상소자에서 출력된 영상에 대응되는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pre-processing) 작업을 한다.
도 2의 경우 선처리부(230)는 스위치부(220)를 거친 영상에 대해 공통으로 선처리를 하는 것이며, 도 3의 경우에는 각 촬상소자에서 출력되는 영상 각각에 대해 선처리를 하게 되어 도 2의 경우보다 영상의 질이 향상될 수 있다.
스위치부(330)는 각 선처리부들(320, 322)이 선치리하여 출력한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소정의 방법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분할 방식으로 영상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처리부(350)는 스위치부(330)에서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post-processing)를 하며, 비디오드라이브부(360)는 후처리된 영상에 타이밍생성부(300)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믹스하여 출력한다.
도 3의 장치에서 상기에 설명된 부분 외의 다른 기능이나 추가되는 부분적인 기능에 대한 것은 도 2의 장치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영상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보통 화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하나의 화면에 촬상된 복수개의 영상 중 일부 혹은 전부인 복수개의 영상을 동시에 표시한다.
이 장치는,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400), 영상을 촬상하여 타이밍생성부(40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410, 412), 촬상소자들(410, 412)이 촬상한 복수의 영상 전부 혹은 일부를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법으로 각 영상들을 서로 더하여 출력하는 애더부(420), 애더부(42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영상에 대응되는 촬상소자(410 혹은 412)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를 하는 선처리부(430), 선처리되어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450) 및 타이밍생성부(400)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460)로 구성된다.
타이밍생성부(400)와 촬상소자(410, 412)에 대한 것은 도 2 및 도 3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촬상소자만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종래의 촬상 장치에 비해 공간적인 면에서 유리하다.
도 4의 경우 촬상소자가 2개 도시되어 있으며, 애더부(420)는 촬상된 2개의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기 위해 두 개의 영상을 더한다.
애더부(420)는 사용자에 선택에 의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복수의 영상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들만을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원상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4개의 촬상 소자를 사용한 경우 화면에 4개의 영상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혹은 4개의 영상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2개의 영상만이 화면에 동시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애드부(420)의 복수의 영상을 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언급될 것이다.
애드부(420)에서 출력된 신호는 선처리부(430), 후처리부(450) 및 비디오드라이브부(460)를 거치면서, 촬상 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고,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며, 타이밍생성부(400)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믹스하여 사용자의 화면으로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개의 영상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의 구성의 다른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도 4의 장치에 비해 고품질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장치는,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500), 영상을 촬상하여 타이밍생성부(50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510, 512), 각 촬상소자들(510, 512)이 촬상한 각 영상에 각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부(520, 522), 선처리부(520, 522)가 처리한 복수의 영상 전부 혹은 일부를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법으로 각 영상들을 서로 더하여 출력하는 애더부(530), 애더부(530)에서 선택되어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550) 및 타이밍생성부(500)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560)로 구성된다.
타이밍생성부(500)와 촬상소자(510, 512)에 대한 것은 도 2 내지 도 4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선처리부1(520)은 촬상소자1(510)이 촬상하여 출력하는 영상에 대해 선처리를 한다. 선처리부2(522)는 촬상소자2(512)가 촬상하여 출력하는 영상에 대하여 선처리를 하여 출력한다. 이를 도 4의 경우와 비교하면 도 4의 경우에는 애더부(420)에서 더해져서 출력되는 복수의 영상에 대해 하나의 선처리부가 한 화면에 표시될 전체 영상에 대해 공통적으로 선처리를 하게되나, 도 5의 경우는 각 촬상된 결과인 영상 각각에 대해 영상별로 촬상 소자의 환경에 따른 별도의 선처리를 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도 4의 장치보다 도 5의 장치에서 더 좋은 화질을 기대할 수 있다.
선처리부(520, 522)에서 선처리된 영상들은 애더부(530)에서 하나의 화면에서 표시되기 위해 소정의 방법에 따라 더해져서 출력된다. 애드부(530)의 복수의 영상을 더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언급될 것이다.
도 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5의 애더부(530)는 사용자에 선택에 의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복수의 영상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들만을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원상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더부(5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은 후처리부(550) 및 비디오드라이브부(560)를 거치면서,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며,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믹스하여 사용자의 화면으로 출력한다.
도 4 또는 도 5의 장치에 대해 상기에 설명된 것과 같이 복수의 촬상소자가 촬상한 영상들 중에서 소정의 방법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영상이나 혹은 두 개 혹은 세 개의 영상 또는 모든 영상을 동시에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촬영각이 90도인 카메라 4대를 갖추어야 사방을 동시에 영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을 본 발명을 적용하면, 예를 들면, 촬영각이 90도인 4개의 촬상 소자를 구비한 하나의 카메라만을 가지고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촬상 장치의 경우 비디오 신호를 인코드하고 디코드하는 부분에서 A/D 컨버터와 D/A 컨버터를 사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하여 원래의 영상 데이터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들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A/D 컨버터와 D/A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영상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으며, 따라서 보다 선명한 화면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여러 대의 카메라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 공간, 유지 보수 및 경제적인 면에서 종래의 QUAD/DVR에 비해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4개의 촬상 소자를 사용하여 하나의 혹은 4개까지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 장치는 도 2 내지 도 5의 장치들을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시킨 것이다.
이 장치는 촬상소자(610 내지 616)가 촬상한 영상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선택부(620)에서 출력되는 선택 신호의 종류에 따라 4가지 방법으로 동작하게 된다. 선택부(6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 신호를 출력한다.
선택 신호는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으로 하여 도 6의 장치의 동작 모드가 복수개의 영상을 보통의 화질로 하나씩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Low Quality Single mode, 이하 'LQS'라고 함), 복수개의 영상을 고품질의 화질로 하나씩 화면에 표시하는 경우(How Quality Single mode, 이하 'HQS'라 함), 복수개의 영상을 보통의 화질로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Low Quality Multi mode, 이하 'LQM'이라 함) 및 복수개의 영상을 고품질의 화질로 한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How Quality Multi mode, 이하 'HQM'이라 함)의 4가지 신호로 구성된다.
LQS의 경우 도 6의 장치는 도 2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하며, HQS의 경우 도 6의 장치는 도 3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하며, LQM의 경우 도 6의 장치는 도 4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하며, HQM의 경우 도 6의 장치는 도 5의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을 한다.
타이밍생성부(600)는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한다. 4개의 촬상소자들(610 내지 616)은 각각 영상을 촬상하여 타이밍생성부(600)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한다.
선택부(620)의 선택이 LQS인 경우에는 촬상된 영상들은 참조번호 a의 경로를 통해 처리된다.
스위치부1(630)은 각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예를 들면 시분할 방식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출력된 영상은 선처리부1(632)에서 촬상소자(610 내지 616)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를 하며, 후처리부(650)에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며, 비디오드라이브부(660)에서는 타이밍생성부(600)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한다. 이는 도 2의 동작과 같은 것이다.
선택부(620)의 선택이 HQS인 경우에는 촬상된 영상들은 참조번호 b의 경로를 통해 처리된다. 촬상소자들(610 내지 616)에서 촬상된 영상들은 각각 대응되는 선처리부들(634 내지 640)에서 각 촬상소자들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가 설정되는 선처리를 받게 된다.
스위치부2(642)에서는 선처리된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시분할 방식으로 혹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한다.
선택된 영상에 후처리부(650)에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며, 비디오드라이브부(660)에서는 타이밍생성부(600)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한다. 이는 도 3의 동작과 같은 것이다.
선택부(620)의 선택이 LQM인 경우에는 촬상된 영상들은 참조번호 c의 경로를 통해 처리된다. 촬상된 4개의 영상들은 애더부1(644)에서 하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더해져서 출력된다.
이하 애더부1(644)의 동작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7은 4개의 CCD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4개의 영상을 촬상한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첫 번째 촬상소자(610)를 이용해서 촬상한 영상이 화면의 CCD1 부분에 표시되고 나머지 부분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표시하기 위해서 화면을 NTSC 표준 및 비월주사(interlaced) 방식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NTSC 표준에 따르려면 도 4와 같은 하나의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화면의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까지 한 줄을 주사하는 시간은 63.5 [usec]이고, 한번에 한 줄씩 주사하여 화면의 제일 위부터 제일 아래 끝까지 주사하는 시간은 1/60 [sec]이다. 도 8은 이와 같이 한 화면에 4개의 영상이 주사되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다.
애더부1(644)은 촬상소자(610 내지 616)들이 촬상한 영상을 입력으로 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 영상들을 서로 더하여 화면에 표시될 영상을 출력한다.
도 8의 화면에 표시되는 첫 번째 줄을 주사할 때에 63.5/2 [usec] 시간동안 촬상소자1(610)에서 촬상된 영상을 CCD1의 화면에 주사한다. 그리고 다음 63.5/2 [usec] 시간동안 촬상소자2(612)에서 촬상된 영상을 CCD2의 화면에 주사한다. 그리고 다시 두 번째 줄을 첫 번째 줄과 같은 방법으로 CCD1의 화면에 주사한다. 이 과정을 1/120초 동안 반복하여 촬상소자1(610)과 촬상소자2(612)가 촬상한 영상을 CCD1과 CCD2의 화면에 주사하는 것을 끝낸다.
그리고 촬상소자3(614)이 촬상한 영상을 CCD3의 화면이 시작되는 부분부터 63.5/2 [usec] 시간동안 주사한다. 그리고 다음 63.5/2 [usec] 시간동안촬상소자4(614)가 촬상한 영상을 CCD4 화면에 주사한다. 그리고 다시 CCD3 화면의 두 번째 줄을 첫 번째 줄과 같은 방법으로 주사한다. 이 과정을 1/120초 동안 반복하여 CCD3의 화면과 CCD4의 화면에 대한 주사를 끝낸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촬상소자들(610 내지 616)이 촬상한 4개의 영상들이 각각 CCD1 내지 CCD 4의 화면에 표시되며, CCD1 내지 CCD 4를 포함하는 한 화면에 대한 주사가 완료되었으며, 애더부1(644)는 촬상소자들(610 내지 616)이 촬상한 다음 영상들을 다음 화면에 다시 주사하기 시작한다.
이때에 실제 구현의 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7이나 도 8에서 화면의 첫 번째 줄을 주사할 때에 CCD1의 화면에 대한 주사가 끝나고 CCD2의 화면의 시작되는 시점에서 의사 수평 블랭크(blank) 신호를 기동하여 한 화면이 끝난 것을 알린다. 이 신호가 기동되면 CCD2 화면을 주사하는 것이 시작된다. 한 줄마다 한번의 의사 블랭크 신호가 기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CCD1과 CCD2의 화면에 대한 주사가 끝나면 CCD3 화면에 대한 주사가 시작되기 전에 의사 수직 블랭크 신호를 기동시킨다.
NTSC, 비월주사 방식인 상기의 예의 경우 의사 수평 블랭크 신호는 31.5[KHz]의 주기로, 의사 수직 블랭크 신호는 120[Hz]의 주기로 기동된다.
애드부1(644)은 저항을 부가한 애드 트랜지스터(add transistor)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고, 혹은 아날로그 스위치 소자를 사용하여 각 화면 구간마다 스위칭을 하여 해당되는 영상을 출력하게 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NTSC, PAL 등과 같은 영상표시규격에 따라 적절한 시간 간격으로 믹스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애드부1(644)는 타이밍신호생성부(600)에서 출력되는 시간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시간 정보가 포함된 신호는 애더부2(648)는 물론이고, 촬상소자들(610 내지 616), 선처리부들(632 내지 640, 646), 후처리부(650), 비디오드라이브부(660)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 설명된 것과 같이 애드부1(644)이 동작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4개 영상 중 한 영상만을 확대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주사하던 화면을 전부 주사하고 다음 주사 화면에서 선택된 영상에 대한 것만 주사하여 한 화면을 채우고, 이런 동작을 일정 시간동안만 혹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원상 상태로 동작할 것을 알리는 신호가 출력되면 이전과 같이 동작하여 한 화면에 4개의 영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한 화면만을 확대하여 표시하는 중에도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하여 이 메모리에 다른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면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다른 영상들에 대한 정보도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애더부1(644)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더해진 영상은 선처리부6(646)에서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가 설정된다. 이때에 하나의 선처리부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제어인수는 공통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각 촬상 소자의 특성에 따라 소자의 출력 바이어스(bias)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선처리부6(646)에서는 클램프(clamp)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처리된 출력은 a 경로 혹은 b 경로와 마찬가지로 후처리부(650)와 비디오드라이브부(660)를 거쳐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c 경로의 처리는 도 4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선택부(620)의 선택이 HQM인 경우에는 촬상된 영상들은 참조번호 d의 경로를통해 처리된다.
촬상된 4개의 영상들이 각각 별도로 선처리되어 애드부2(648)에서 한 화면에 4개의 영상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소정의 방법으로 더해져 출력된다. 애드부2(648)의 동작은 애드부1(644)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에는 다른 경우들과 마찬가지로 후처리부(650)와 비디오드라이브부(660)를 거쳐 사용자에게 출력된다. d 경로의 처리는 도 5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6의 장치는 촬상소자(610 내지 616)가 촬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하며, 이 저장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촬상된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후처리부(6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6의 장치가 LQS 혹은 HQS 모드로 동작할 때에 촬상된 영상 중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영상도 저장하였다가 필요에 의해 다시 재생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도 6은 선택부(620)의 출력에 따라 도 2 내지 도 5의 어느 한 장치와 실질적으로 같은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영상을 촬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 상기 각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소정의 방법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상기 각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를 하는 선처리부, 상기 선처리부에서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를 포함하며, 하나의 촬상장치만으로 복수의 촬상장치로 촬상한 것과 같은 화면을 얻을 수 있어 하나의 촬상장치(예를 들면 카메라)로 여러 대의 촬상장치를 대체할 수 있으며, 종래의 QUAD/DVR 등의 장치가 없어도 복수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카메라만을 사용하여 여러 대의 카메라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유지 보수 및 전력 사용의 면에서도 장점이 있다.

Claims (9)

  1. 복수개의 영상을 촬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
    상기 각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소정의 방법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상기 각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를 하는 선처리부;
    상기 선처리부에서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2. 복수개의 영상을 촬상하는 장치에 있어서,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각 영상에 상기 각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를 하는 선처리부;
    상기 선처리된 영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영상을 소정의 방법에 따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에서 선택되어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3. 복수개의 영상을 촬상하여 한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복수의 영상 전부 혹은 일부를 상기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법으로 각 영상들을 서로 더하여 출력하는 애더부;
    상기 애더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영상에 대응되는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를 하는 선처리부;
    상기 선처리되어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4. 복수개의 영상을 촬상하여 한 화면에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상표시 규격에 따른 소정의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밍생성부;
    영상을 촬상하여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타이밍 신호에 따라 출력하는 둘 이상의 복수의 촬상소자;
    상기 각 촬상소자들이 촬상한 각 영상에 상기 각 촬상소자의 촬상 환경에 따른 제어 인수를 설정하는 선처리부;
    상기 선처리부가 처리한 복수의 영상 전부 혹은 일부를 상기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방법으로 각 영상들을 서로 더하여 출력하는 애더부;
    상기 애더부에서 선택되어 출력된 영상에 휘도 및 칼라 신호 처리를 포함하는 후처리를 하는 후처리부; 및
    상기 타이밍생성부에서 생성된 타이밍 신호에 따라 NTSC 혹은 PAL을 포함하는 소정의 규격에 따른 동기 신호를 상기 후처리된 영상에 믹스하여 출력하는 비디오드라이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각 촬상소자가 촬상한 영상들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번갈아서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소정의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각 촬상소자가 촬상한 영상들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영상을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계속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애더부는 사용자에 선택에 의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영상 중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들만을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원상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가 촬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스위치부에서 선택되지 않은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후처리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KR1020010071392A 2001-11-16 2001-11-16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KR200300408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392A KR20030040808A (ko) 2001-11-16 2001-11-16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392A KR20030040808A (ko) 2001-11-16 2001-11-16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808A true KR20030040808A (ko) 2003-05-23

Family

ID=2956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392A KR20030040808A (ko) 2001-11-16 2001-11-16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08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347B1 (ko) * 2009-06-18 2011-01-13 주식회사 세일티앤엔 전방향 영상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101883981B1 (ko) 2017-08-01 2018-07-31 강서연 가상 현실 동영상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190044884A (ko) 2017-10-23 2019-05-02 강서연 양안 시야각을 고려한 가상 현실 동영상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190096596A (ko) 2018-02-09 2019-08-20 강서연 가상 현실 동영상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0939A (ja) * 1991-03-13 1993-04-30 Sharp Corp 複数の光学系を備えた撮像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H09163360A (ja) * 1995-12-08 1997-06-20 Victor Co Of Japan Ltd ビデオカメラ装置
JPH10155104A (ja) * 1996-11-22 1998-06-09 Canon Inc 複眼撮像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KR19990005761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캠코더의 뷰파인더 화면 절환 장치 및 방법
JPH1145323A (ja) * 1997-07-28 1999-02-16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
JP2000258697A (ja) * 1999-03-05 2000-09-22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内視鏡システム
KR100304428B1 (ko) * 2000-05-09 2001-09-29 이영수 다분할 촬영이 가능한 ccd 비디오카메라
KR20020037640A (ko) * 2000-11-15 2002-05-22 김우성 복수의 영상을 처리하는 카메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0939A (ja) * 1991-03-13 1993-04-30 Sharp Corp 複数の光学系を備えた撮像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H09163360A (ja) * 1995-12-08 1997-06-20 Victor Co Of Japan Ltd ビデオカメラ装置
JPH10155104A (ja) * 1996-11-22 1998-06-09 Canon Inc 複眼撮像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KR19990005761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캠코더의 뷰파인더 화면 절환 장치 및 방법
JPH1145323A (ja) * 1997-07-28 1999-02-16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
JP2000258697A (ja) * 1999-03-05 2000-09-22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内視鏡システム
KR100304428B1 (ko) * 2000-05-09 2001-09-29 이영수 다분할 촬영이 가능한 ccd 비디오카메라
KR20020037640A (ko) * 2000-11-15 2002-05-22 김우성 복수의 영상을 처리하는 카메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347B1 (ko) * 2009-06-18 2011-01-13 주식회사 세일티앤엔 전방향 영상 획득 시스템 및 방법
KR101883981B1 (ko) 2017-08-01 2018-07-31 강서연 가상 현실 동영상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190044884A (ko) 2017-10-23 2019-05-02 강서연 양안 시야각을 고려한 가상 현실 동영상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190096596A (ko) 2018-02-09 2019-08-20 강서연 가상 현실 동영상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85945A1 (en) Imaging apparatus
US6489987B1 (en) Electronic endoscope apparatus
JP2002330329A (ja) 撮像装置
JP3704238B2 (ja) 撮像装置
US6753917B2 (en) Digital camera with changeable processing depending on display device
JP2005260736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画像信号生成方法
KR20030040808A (ko) 360도를 동시 촬상 가능한 촬상 장치
US6122007A (en) Image pickup system having first and second imaging modes
KR100943932B1 (ko) 촬상장치
JP2002247443A (ja) ディジタルカメラ
JP2004260265A (ja) 画素の折り返し機能を有する画素抽出回路、および撮像装置
JPH07322149A (ja) 撮像装置
JP2959823B2 (ja) 画像処理装置
JPH115556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3516071B2 (ja) 撮像装置
JP2000299810A (ja) 撮像装置
JP2713295B2 (ja) 固体撮像素子の駆動方法と撮像装置
JP3221004B2 (ja) ビデオカメラ
JP3459513B2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遊技機器用カメラシステム
JP3043834B2 (ja) ビデオカメラ
JP3048411B2 (ja) ビデオカメラ
JP3048408B2 (ja) ビデオカメラ
KR100240168B1 (ko) 촬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시스템
JPS6386975A (ja) 固体カラ−撮像装置
KR100240165B1 (ko) 촬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