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502A - 통신 시스템 내의 전송 방식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내의 전송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502A
KR20030040502A KR10-2003-7004430A KR20037004430A KR20030040502A KR 20030040502 A KR20030040502 A KR 20030040502A KR 20037004430 A KR20037004430 A KR 20037004430A KR 20030040502 A KR20030040502 A KR 20030040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bile unit
sequence number
rlp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8896B1 (ko
Inventor
리 미첼 프록터
마크 헤써링톤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4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6Code division or spread-spectrum multiple access [CDMA,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42Formats specially adapted for sequence numbers
    • H04L1/165Variable forma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9Selective-repea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CDMA 통신 시스템에 디스패치하기 위한 필요성을 다루기 위해, 호출에 관련된 각 이동 유닛(309, 319) 및 CBSC(301, 311)은 그들 사이에서 독립적인 RLP 세션을 확립하도록 허용된다. 각 세션은 공유되지 않는 그 자신의 RLP 시퀀스 번호들을 포함한다. 역 링크 시퀀스 번호들은 소스 CBSC(301, 311)("이야기하는(talking)" 이동 유닛 역할)로부터 타겟 CBSC(s)(301, 311)("듣는(listening)" 이동 유닛들 역할)으로 넘겨진다. 그러나, 순방향 링크 RLP 시퀀스 번호에 대해 타겟 CBSC(s)(301, 311)에 의해 직접 이용되는 대신, CBSC(301, 311)에 넘겨진 시퀀스 번호들이 타겟 CBSC(s)(301, 311) 현재 RLP 시퀀스 번호들로 변환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내의 전송 방식{Transmission scheme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 미국 특허 제 6,169,732호에 개시된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상기 특허 제 6,169,73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집중 기지국 제어기들(CBSCs : Centralized Base Station Controllers)(111 및 112) 사이의 데이터 경로는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 Radio-Link Protocol) 프레임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RLP 초기화/동기화는 보통 땅에서 이동 전화로 또는 이동전화에서 땅으로의 호출들에 대해 각각의 이동 유닛(101 및 102)과 그 CBSC 대응부(counterpart) 사이에서 확립된다. 동기화가 확립된 후, 각 RLP는 CBSC와 이동 전화 사이의 표준 부정 확인 응답(NAK : negative acknowledgement) 기반 제어 메시징을 유지하며, 데이터 프레임들은 타겟 CBSC의 수정된 RLP(MRLP : Modified RLP)에 전송된 다음,RLP 프레이밍 정보와 함께 이동 전화에 전송된다. 상향 링크 데이터 경로 상에서 삭제가 발생할 때, 프레임은 정규의 호출로서 소스 CBSC의 대응하는 MRLP에 의해 부정 확인 응답된다. 그 후의 데이터 프레임들은 버퍼링되기보다는 타겟 CBSC에 전송된다. 타겟 CBSC는 이동 유닛이 유실된 프레임에 부정 확인 응답하고 유실된 프레임이 재전송되고 수신될 때까지 그 후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버퍼링할 것을 예상하여(표준 RLP 구현에 따라) 이들 프레임들을 이동 유닛에 전송한다. 또한, 하향 링크 MRLP는 이동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NAKs가 신뢰될 수 있는지(하향 링크 손실들로 인해), 및 피어 MRLP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미 부정 확인 응답되었는지(상향 링크 손실들로 인해)를 결정하기 위해 분실한 데이터 프레임을 검출하고 이러한 정보를 기록할 것이다. NAK 프레임이 상향 링크 MRLP 처리에 의해 수신될 때, NAK 요청을 기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NAK가 알려진 분실된 상향 링크 프레임으로 인해 예상되었는지 또는 하향 링크 삭제에 의해 야기된 새로운 손실 프레임인지를 결정한다.
도 2는 MRLP 방법을 이용하여 전형적 프레임 삭제 시나리오를 설명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분실된 프레임은 소스 CBSC(111)에 의해 부정 확인 응답되지만, 여전히 프레임들은 이동 유닛(102)에 전송을 위해 타겟 CBSC(112) MRLP에 전송된다. 이동 유닛(102)이 분실된 프레임을 검출할 때, 타겟 CBSC(112)에 프레임을 NAK할 것이지만, 타겟 CBSC(112)는 이 프레임이 소스 CBSC(111)에 의해 이미 부정 확인 응답을 받았고 가는 도중임을 알아챌 것이므로, 타겟 CBSC(112)는 이 요청을 무시할 것이다. 네트워크 결과는 상향 링크상의 프레임 삭제가 이동 유닛(102)에 의해 보여진 바와 같이 단지 단일 프레임 데이터 홀만을 결과로서 가져오는 것이며, 상기 이동 유닛(102)은 땅에서 이동 전화로 또는 이동전화에서 땅으로의 호출들에 대해 RLP의 실행과 동일하다.
최근, CDMA 시스템들에 디스패치 특성들을 부가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오늘날의 셀룰러 시스템들에 의해 제공된 상호 접속 서비스들과는 달리, 디스패치 서비스들은 양방향 무선 시스템들에 의해 통상적으로 제공되었다. 그러한 서비스들은, 이용자가 오늘날의 셀룰러 시스템들을 이용하여 힘들고 비싼 방식들로 통신하도록 했다. 디스패치 그룹 호출 서비스는 예를 들면, 보통, 푸시 토크(PTT : push-to-talk) 버튼을 단지 누름으로써 이용자가 동시에 즉시 사람들의 그룹과 통신하게 할 수 있다. 셀룰러 시스템을 이용하면, 세 방향 호출들을 위해 전화 번호들이 다이얼링되어야 하거나 또는 장치들이 회의 호출을 설정하도록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러한 호출이 즉시 발생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디스패치 개개의 호출 서비스는 이용자가 다른 이용자와 빨리 자발적으로 통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특징은 두 사람이 서로 협력하여 작업하지만 건물의 서로 다른 부분들에 있는 것과 같이 함께 작업하고 있지만 서로 직접 이야기 할 수 없는 두 사람에게 이상적이다. 그러한 곳이 무선 전화 호출이 대화하기에 더 적당하고, 두 사람들 사이의 짧은 메시지들은 그들이 작업할 때 디스패치 개개의 호출 서비스에 의해 더 용이하다.
통상, 셀룰러 시스템들 상의 음성 서비스들은 재전송들로 인해 초래되는 부가적 음성 지연들과의 관계들로 인해, NAK 프로토콜들에 이용되지 않는다. 그러나,재전송 없이, 오디오 열화를 최소화하도록 방송에 의해(over the air) 낮은 프레임 삭제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전송들을 허용함으로써 프레임 삭제 레이트 타겟들은 CDMA 시스템에서 상당한 성능 개선들을 결과로서 가져올 수 있도록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지연 대 시스템 성능의 트레이드오프가 존재한다. 디스패치 서비스들에 대해, 시스템에 의해 지원된 디스패치 호출들의 수가 개선되도록 재전송 매카니즘(및 그에 의해 초래된 약간의 부가된 지연)을 도입하는 것이 수용될 수 있다고 간주해왔다. 그러나, 가능한 시스템 지연들을 최소화하는 것이 여전히 중요하다. 상기 특허 제 6,169,73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MRLP 매카니즘의 이용은 표준 RLP 매카니즘이 이용된 경우에 초래되는 것보다 상당히 작은 단 대 단 지연을 결과로서 가져온다.
어떤 시나리오들에 대해, 상기 특허 제 6,169,73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MRLP 방식은 실용적이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계속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이동 유닛들이 디스패치 호출에 이미 확립되었고 제 3 이동 유닛을 부가함으로써 그룹 호출에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원래의 두 이동 유닛들은 확립된 RLP 세션을 가지며 즉, 시퀀스 번호(100) 상에 있다(are on, say, sequence number 100). 제 3 이동 유닛은 그 역할을 하는 CBSC로 RLP 세션을 부가 및 개시한다. RLP 세션들은 시퀀스 번호 0에서 항상 개시하며, 현재 CDMA IS-95/IS-2000 명세들은 영이 아닌 값으로 RLP 세션의 재설정을 허용하지 않는다. 제 3 이동 유닛이 부가되고 MRLP가 적용될 때, 이동 유닛에서 수신된 시퀀스 번호는 즉 1에서 100으로 점프할 것이다. 이것은 부정확한 방식으로 제 3 이동 유닛에 의해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유닛은 1 내지 99의 프레임들이 손실되었고 그들의 재전송을 요청할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3 이동 유닛은 RLP 프로토콜이 중단되고 다시 개시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특히, 그들 각각의 트래픽 채널들 상에 확립되는 두 이동 유닛들 사이의 상당한 시간차가 존재한다면, 유사한 문제들이 개인(두 이용자들) 호출의 확립 동안 발생한다. 이로 인해, 수정된 RLP 방식을 재전송에 이용하고 다중 이용자들이 큰 데이터량들을 전송할 필요 없는 호출을 연결하도록 허용하는 통신 시스템 내의 전송 방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특히, 통신 시스템 내의 전송 방식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수정된 무선 링크 프로토콜(MRLP) 전송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MRLP 전송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집중 기지국 제어기(CBSC)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BSC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BSC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
CDMA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스패치를 위한 필요성을 다루기 위해, 호출에 관련된 각 이동 유닛 및 CBSC들이 그들 사이의 독립된 RLP 세션을 확립하도록 허용된다. 각 세션은 공유하지 않은 그들 자신의 RLP 시퀀스 번호들을 포함한다. 역 링크 시퀀스 번호들(reverse link sequence numbers)이 소스 CBSC("말하는(talking)" 이동 유닛 역할)에서 타겟 CBSC(s)("듣는(listening)" 이동 유닛들 역할)로 전달된다. 그러나 그 순방향 링크 RLP 시퀀스 번호에 대한 타겟 CBSC(s)에 의해 직접 이용하는 대신에, CBSC 통과된 시퀀스 번호들이 현재의 RLP 시퀀스 번호들을 존재하는 타겟 CBSCs로 변환된다.
각 RLP가 그 자신의 독특한 시퀀스 번호들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동 유닛들은 수신된 RLP 시퀀스 번호들에서의 중단들(disruptions)을 관찰하거나 야기하지 않고 현재의 호출을 연결 또는 중지한(join or leave)다. 그 외에도 트래픽 채널 상에서 확립된 이동 유닛들 사이의 임의의 지연차들로 인한 중단들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방법은 제 1 이동 유닛으로부터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제 1 라디오 링크 프로토콜(RLP : Radio Link Protocol) 세션에 대응하는 제 1 시퀀스 번호를 가지며,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제 2 시퀀스 번호로 대체하고,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는 제 2 RLP 세션에 대응하며, 제2 이동 유닛에 제 2 시퀀스 번호를 가진 프레임을 전송하며, 제 2 이동 유닛은 제 2 RLP 세션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방법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 1 이동 유닛으로부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은 제 1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지며, 상기 제 1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제 2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로 대체한다. 제 1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은 제 3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로 대체되고,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은 제 2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과 함께 제 2 이동 유닛에 전송된다. 최종적으로,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은 제 3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과 제 3 이동 유닛에 전송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프레임들과 연관된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에서의 스킵으로 인해 프레임이 삭제되었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 유닛에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고 삭제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 유닛에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는 단계에 응답하여 부정 확인 응답(NAK)이 수신되고, 상기 삭제된 프레임도 또한 수신된다. 상기 삭제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가 제 2 시퀀스 번호로 변환되고, 상기 이동 유닛에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송신한다.
본 발명은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입력으로서 제 1 프레임을 갖는 논리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제 1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세션에 대응하는 제 1 시퀀스 번호를 가지는, 상기 논리 유닛, 상기 논리 유닛에 연결되고, 제 2 RLP 세션에 대응하는 제 2 시퀀스 번호를 제공하는 변환 데이터베이스(translation database), 및 제 2 이동 유닛에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가진 상기 제 1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 회로로서, 상기 제 2 이동 유닛은 제 2RLP 세션을 이용하는, 상기 전송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입력으로서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가지고 상기 제 1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대체하는 제 2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상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출력하는 논리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은 제 1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지는, 상기 논리 유닛, 입력으로서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가지고 상기 제 1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대체하는 제 3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상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출력하는 제 2 논리 유닛, 제 1 이동 유닛에 제 2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출력하는 제 1 전송 회로, 및 제 2 이동 유닛에 제 3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출력하는 제 2 전송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를 더 포함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동일한 부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표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3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300)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EIA/TIA가 2001 펜실베니아 애브뉴에서 접촉될 수 있다. NW 워싱턴 DC 20006), 미국 전자 공업 협회 미국 통신 기기 공업 협회 (Electronics Industry Association/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 Industry Standard)(IS2000)의 셀룰러 시스템 원격 유닛-기지국 호환성 표준(Cellular System Remote unit-Base Station Compatibility Standard)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시스템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그러나, 대안적 실시예들에서, 통신 시스템(300)은, UMTS 광대역 cdma SMG2 UMTS 물리층 전문가 그룹 TdocSMG2 UMTS-L1 221/98(UMTS 221/98)에 기술된 바와 같은 차세대 CDMA 구조, cdma2000 국제 전기 통신 연합 - 전파 통신(ITU-R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Radiocommunication) 무선 전송 기술(RTT : Radio Transmission technology) 지원 제출 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차세대 CDMA 구조, 또는 차세대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 :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프로토콜, "Personal Station-Base Station Compatibility Requirements for 1.8 t 2.0 GHz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CDM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미국 표준 협회(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J-STD-008)에 개시된 바와 같은 CDMA 시스템 프로토콜, 또는 유럽 전기 통신 협회(ETSI : 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광대역 CDMA(W-CDMA) 프로토콜과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디지털 셀룰러 통신 시스템 프로토콜들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시스템(300)은 CBSCs(301 및 311) 사이의 데이터 경로들이 RLP 프레이밍 정보를 존속하고, 두 개의 CBSCs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음성 및 데이터 둘 다에 대한 수정된 RLP 알고리즘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LP 초기화/동기화는 보통 땅에서 이동 유닛으로 또는 이동 유닛에서 땅으로의 호출들에 대해 각각의 이동 유닛과 그 CBSC 대응부 사이에서 확립된다. 동기화가 확립된 후, 각 RLP는 CBSC와 이동 전화 사이의 표준 부정 확인 응답(NAK) 기반 제어 메시징을 유지하며, 데이터 프레임들은 타겟 CBSC의 수정된 RLP(MRLP)에 전송된 다음, RLP 프레이밍 정보와 함께 이동 전화에 전송된다.
상향 링크 데이터 경로 상에서 삭제가 발생할 때, 프레임은 정규의 호출로서 소스 CBSC의 대응하는 MRLP에 의해 부정 확인 응답되지만, 상향 링크 MRLP는 프레임 재전송을 대기하여, 그 후의 데이터 프레임들이 버퍼링되기보다는 피어 MRLP(타겟 CBSC)에 전송된다. 피어 하향 링크 MRLP는, 이동 유닛이 유실된 프레임을 NAK하고 유실된 프레임이 재전송되고 수신될 때까지 그 후의 데이터 프레임들을 버퍼링할 것을 예상하여(표준 RLP 구현에 따라) 이들 프레임들을 이동 유닛에 전송한다. 또한, 하향 링크 MRLP는 이동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NAKs가 신뢰될 수 있는지(하향 링크 손실들로 인해), 및 피어 MRLP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미 부정 확인 응답되었는지(상향 링크 손실들로 인해)를 결정하기 위해 분실한 데이터 프레임을 검출하고 이러한 정보를 기록할 것이다. NAK 프레임이 상향 링크 MRLP 처리에 의해 수신될 때, NAK 요청을 기록된 정보와 비교하여 NAK가 알려진 분실된 상향 링크 프레임으로 인해 예상되었는지 또는 하향 링크 삭제에 의해 야기된 새로운 손실 프레임인지를 결정한다.
상기 논의한 바와 같이, 디스패치 성능들이 CDMA 시스템에 부가될 때, 재전송에 대한 MRLP 방법은 비효과적이다. 더욱 특히, 각 호출이 그 자신의 독특한 RLP 시퀀스 번호들을 관련시키기 때문에, 디스패치 호출에 관련된 다중 이동 유닛들 사이의 한 RLP 시퀀스 번호의 이용(재전송 목적들)은 실용적이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호출에 관련된 각 이동 유닛 및 CBSC들이 그들 사이의 독립된 RLP 세션을 확립하도록 허용된다. 각 세션은 공유하지 않은 그들 자신의 RLP 시퀀스 번호들을 포함한다. 역 링크 시퀀스번호들(reverse link sequence numbers)이 소스 CBSC("말하는(talking)" 이동 유닛 역할)에서 타겟 CBSC(s)("듣는(listening)" 이동 유닛들 역할)로 전달된다. 그러나 그 순방향 링크 RLP 시퀀스 번호에 대한 타겟 CBSC(s)에 의해 직접 이용하는 대신에, CBSC 통과된 시퀀스 번호들이 현재의 RLP 시퀀스 번호들을 존재하는 타겟 CBSCs로 변환된다.
각 RLP가 그 자신의 독특한 시퀀스 번호들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동 유닛들은 수신된 RLP 시퀀스 번호들에서의 중단들을 관찰하거나 야기하지 않고 현재의 호출을 연결 또는 중지한(join or leave)다. 그 외에도 트래픽 채널 상에서 확립된 이동 유닛들 사이의 임의의 지연차들로 인한 중단들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MRLP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소스 CBSC(301)에 의해 수신된 프레임들은 수신된 첨부된 RLP 시퀀스 번호에 따라 타겟 CBSC(311)으로 즉시 전송된다. 타겟 CBSC(311)은 이동 유닛(319)과 별도의 RLP 세션을 갖는다. 상기 이유로 인하여, 타겟 CBSC(311)은 이동 유닛(319)으로 프레임들을 전송하지만, 수신된 RLP 시퀀스 번호들을, 그 자신의 세션에 적당한 것들로 대체한다. 손실된 프레임들이 존재하지 않을 때, 시퀀스 번호들은 서로 단계적으로 증가된다.
이동 유닛(319)과 소스 CBSC(301) 사이의 방송에 의한 전송 동안 한 프레임(예를 들어, 프레임 6)이 손실될 때, 소스 CBSC(301)는 이동 유닛(309)에 NAK를 전송함으로써 손실된 프레임의 재전송을 개시한다. 반면에, 프레임들은 첨부된 RLP 시퀀스 번호들을 가지고 타겟 CBSC(311)으로 계속해서 전송된다. 타겟 CBSC(311)은시퀀스 번호에서의 스킵으로 인한 분실된 프레임을 검출한다. 타겟 CBSC(311)은 그 프레임 시퀀스 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수신된 프레임들(변환된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을 계속해서 전송한다. 이는 이동 유닛(319)과 타겟 CBSC(311) 사이의 RLP 시퀀스 번호들에서 대응하는 스킵(즉, 프레임 16이 스킵됨)으로 인한 것이다. 이동 유닛(319)은 스킵된 프레임 16과 연관된 NAK를 타겟 CBSC(311)에 즉시 전송한다. 타겟 CBSC(311)은 NAK가 소스 CBSC(301)에 이미 전송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저장된 프레임들을 검사하고, 프레임 6이 도달하기를 기다린다. 그후, 프레임 6 시퀀스 번호가 시퀀스 번호 16에 의해 대체되고, 이동 유닛(319)으로 전송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 유닛(319)은 제 1 링크(상향 링크)상에 삭제된 프레임들을 제 2 링크(하향 링크)상에 삭제된 프레임과 구별할 수 없고, 그로 인해, 모든 분실된 RLP 시퀀스 번호들에 대해 NAK를 송신한다. 대안적 실시예에 있어서, "NAK Not Required" 필드는 NAK가 요구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RLP 프레이밍에 부가된다. 예를 들어, 타겟 CBSC(311)가, 이동 유닛(309)과 소스 CBSC(301)(제 1 링크) 사이의 링크상의 삭제로 인해, RLP 시퀀스 번호를 고의로 스킵하는 경우에, "NAK Not Required" 필드를 설정한다. 상기 필드가 설정됨에 따라, 이동 유닛(319)은 시퀀스 번호에서의 스킵이 하향 링크 삭제(제 2 링크)로 인한 것이 아니고, NAK가 타겟 CBSC(311)에 전송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결정한다. 또한, 이는 미래에 분실된 프레임이 도달하는 것을 예측하도록 이동 유닛(319)에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각 RLP가 그 자신의 독특한 시퀀스 번호들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동 유닛들은 수신된 RLP 시퀀스 번호들에서의 중단들(disruptions)을 관찰하거나 야기하지 않고 현재의 호출을 연결 또는 중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트래픽 채널 상에서 확립된 이동 유닛들 사이의 임의의 지연차들로 인한 중단들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집중화 베이스 스테이션 제어기(Centralized Base Station Controller)(CBSC)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시된 것처럼, CBSC 301/311은 논리 유닛(501), 메모리(503), 변환 데이터베이스(505) 및 NAK 펜딩 버퍼(507)를 포함한다. 논리 유닛(501)은 RLP 프레임들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소스 CBSC(301)는 양호한 프레임들 및 대응하는 (제 1) RLP 시퀀스 번호들을 논리 유닛(501)에 전송한다. 그러면, RLP 시퀀스 번호는 RLP 세션들 사이에 변환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변환 데이터베이스(505)에 넘겨진다. 특히, 변환 데이터베이스(505)는 소스 CBSC(301)와 이동 유닛(309) 사이의 원격 RLP 세션을 갖는 고정 단계로 타겟 CBSC(311)와 이동 유닛(319) 사이의 국부적 RLP 세션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변환 데이터베이스(505)는 이전 국부적 및 먼(제 2) RLP 시퀀스 번호들을 포함한다.
논리 유닛(501)으로부터 현재 먼 RLP 시퀀스 번호를 수신함에 따라, 변환 데이터베이스(505)는 이전의 먼 RLP 시퀀스 번호로부터의 오프셋을 결정한다. 그후, 상기 오프셋은 이전의 국부적 RLP 시퀀스 번호에 인가되어 현재의 국부적 RLP 시퀀스 번호를 발생시킨다. 변환 데이터베이스(505)는 변환된 RLP 시퀀스 번호를 논리유닛(501)에 공급할 뿐만 아니라, 분실되었는지를 결정하는 임의의 프레임들의 RLP 시퀀스 번호들을 공급한다.
논리 유닛(501)은 변환된 RLP 시퀀스 번호에 의존하는 위치에서의 메모리(503)에 변환된 RLP 시퀀스 번호를 포함하는 수신된 프레임을 저장한다. 특히, 표준 RLP는 프레임이 하향 링크 전송 상에서 손실된 경우에 수신된 프레임의 저장을 필요로 한다. 프레임이 이동 유닛(319)에의 전송 동안 손실될 때, 이동 유닛은 그 프레임을 NAK하고, 논리 유닛(501)은 재전송을 위해 메모리(503)로부터 프레임을 검색할 것이다.
연속해서, 논리 유닛(501)은 또한 이동 유닛(319)에 의해 다음의 NAK를 생각하여 메모리(503)에 모든 수신된 프레임들 및 시퀀스 번호들을 저장한다. 삭제된 프레임이 접하게 될 때, 논리 유닛(501)은 분실된 프레임들의 변환된 RLP 시퀀스 번호들을 결정하고, "프레임 펜딩(Frame Pending)" 표시를 메모리(503)의 시퀀스 번호 종속 위치에 기록한다. 또한, 논리 유닛(501)은 메모리(503)에서 적절한 "프레임 펜딩" 표시를 확인함으로써 프레임이 지연된 프레임(즉, 이동 유닛(309)에 의해 재전송된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것이 지연된 프레임이 아니라면, 논리 유닛(501)은 전송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이동 유닛(319)에 변환된 (제 2) RLP 시퀀스 번호를 포함한 프레임을 전송한다. 그것이 지연된 프레임이라면, 논리 유닛은 지연된 프레임이 이동 유닛(319)에 의해 이미 NAK되었는지를 NAK 펜딩 버퍼(507)를 액세싱함으로써 확인한다. 그것이 NAK되었다면, 프레임은 이동 유닛에 전송되고 펜딩 NAK이 버퍼(507)로부터 제거된다. 그것이 NAK되지 않았다면, 프레임은 현재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NAK가 수신될 때까지 저장된다. NAK 프레임이 국부적 MRLP 처리에 의해 수신되면, 메모리(503)에 기록된 정보와 NAK 요청을 비교하여 전송에 이용 가능한 프레임인지를 결정한다. 프레임이 메모리(503)에서 이용 가능하다면, 이동 유닛(319)에 전송된다. "프레임 펜딩" 표시가 설정되지 않으면, NAK 요청은 NAK 펜딩 버퍼(507)에 대기되어(queue) 소스 CBSC(301)로부터 요청된 프레임의 도착을 기다린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503)에서의 프레임들의 저장은 과거에 변환된 RLP 시퀀스 번호들을 이용한다. 그러나,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게는 메모리(503)에서의 프레임들의 저장이 미리 변환된 RLP 시퀀스 번호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논리유닛(501)이 이동 유닛(319)으로부터 NAK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변환 데이터베이스(505)에 액세싱하여 대응하는 미리 변환된 RLP 시퀀스 번호를 결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논리 유닛(501)은 소스 CBSC(301)로부터의 태깅 프레임들(tagged frames)을 수신한다. 태깅 프레임들은 RLP 시퀀스 번호, 및 소스 CBSC(301)이 삭제될 것으로 결정된 프레임인지의 여부 표시를 포함한다. 양호한 프레임의 경우, RLP 시퀀스 번호는 소스 이동 유닛(101)으로부터 소스 CBSC(301)에 의해 수신된 것일 것이다. 삭제된 프레임의 경우, RLP 시퀀스 번호는 이전 및 그 후의 RLP 시퀀스 번호들에 기초하여 삽입된 시퀀스 번호이다. CDMA 명세 IS-707은 프레임이 이전에 전송된 프레임의 재송신인지를 나타내는데 이용되는 "재전송(Retransmission)"을 포함하는 어떤 RLP 프레이밍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비트는 이동 유닛(309)과 소스 CBSC(301) 사이의 삭제로 인해 지연된 이동 유닛(319)에 프레임을 전송할 때 타겟 CBSC(311)에 의해 설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BSC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순화하기 위해, 다음의 텍스트는 그룹 호출 경우를 위해 타겟 CBSC에서의 단일 수신기, NAK 펜딩 버퍼, 메모리, 및 변환기를 설명한다. 그러나, 구현을 위해, 동일한 CBSC인지 서로 다른 CBSC인지에 따라, 각 하향 링크 레그(호출)는 그 자신의 프레임 수신기(논리 유닛), NAK 버퍼, 데이터베이스, 및 변환기를 실제로 가질 수 있다.
논리 흐름은 단계(601)에서 시작하여, 제 1 복수의 음성 프레임들이 제 1 이동 유닛으로부터 논리 유닛(501)에 의해 수신된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들은 제 1 RLP 세션에 대응하는 제 1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다. 단계(603)에서 논리 유닛(501)은 변환 데이터베이스(505)를 액세싱하여 하향 링크 RLP 세션의 각각에 대해 요구된 RLP 시퀀스 번호들을 결정한다. 특히, 전송하는 이동 유닛으로부터 수신된 상향 링크 통신은 하향 링크 이동 유닛들에게 동시에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은 그들 자신의 RLP 세션 및 독립된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다. 이것은 각 하향 링크 통신을 위해 제 1 시퀀스 번호들의 동시의 변환을 요구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두 개의 동시 하향 링크 전송들이 발생하는 곳에, 제 1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이 제 2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로 대체되고(단계 605), 제 1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은 제 3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로 대체된다(단계 607). 단계 609에서, 제 2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은 제 2 이동 유닛에 전송되고, 마지막으로 단계(611)에서, 제 3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이 제 3 이동 유닛에 전송된다. 상기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타겟 CBSC(311)은 복수의 논리 유닛들, 메모리들, NAK 펜딩 데이터베이스들, 및 변환 데이터베이스들을 실제로 포함한다. 각 호출 레그는 그 자신의 논리 유닛, 메모리, NAK 펜딩 데이터베이스, 및 변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것이다.
도 7은 프레임 삭제 동안 도 5의 CBSC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순화하기 위해, 단지 하나의 하향 링크 RLP 세션이 설명될 것이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에게는 다중, 동시적 하양 링크 RLP 세션들이 동시에 발생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논리 흐름은 단계(701)에서 시작하여, 삭제된 프레임이 소스 CBSC(301)에 의해 수신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소스 CBSC(301)은 전송하는 이동 유닛에 즉시 NAK를 송신하고 수신된 프레임들을 타겟 CBSC(313)에 계속 송신한다(단계 703). 단계(704)에서 논리 유닛(501)(타겟 CBSC(313))은 프레임이 삭제되었다는 것을 결정하고 메모리(503)에 시퀀스 번호와 함께 "프레임 펜딩"을 저장한다. (프레임이 삭제될 때,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시퀀스 번호의 표시를 즉시 수신하지 않고, 그 대신 RLP가 이전 프레임이 삭제되었음을 결정하기 위해 시퀀스 번호에서의 스킵에 의존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단계(705)에서 변환 데이터베이스(505)는 하향 링크 RLP 세션에 대한 적절한 시퀀스 번호를 결정하도록 액세싱되고, 단계(707)에서 널 프레임이 제 2 이동 유닛에 전송되거나, 대안적으로 프레임이 전송되지 않는다. 단계(709)에서 논리유닛(501)은 제 2 이동 유닛으로부터 NAK를 수신하고, 단계(710)에서 프레임이 메모리(503)에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 프레임이 메모리(503)에 존재한다면, 프레임은 이동 유닛(319)에 단순히 송신된다(단계 711). 그러나, "프레임 펜딩"이 그 시퀀스 번호에 대해 저장되면, 프레임은 소스 CBSC(301)로부터 아직 수신되지 않았다. 이러한 경우, 프레임 시퀀스 번호는 NAK 펜딩 버퍼(507)에 배치된다(단계 713). 단계(715)에서, 삭제된 프레임이 논리 유닛(501)에 의해 수신되고 지연된 프레임(즉, 시퀀스의 밖으로 송신된 것)으로서 즉시 인식된다. 논리 흐름은 단계(717)로 계속되어, 지연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가 NAK 펜딩 버퍼에 저장되는지를 결정하고, 그러하다면, 프레임이 변환되어 이동 유닛(319)에 전송된다(단계 719). 그렇지 않으면, 프레임은 즉시 송신되지 않고, 버퍼(503)에 저장된다(단계 721).
삭제된 프레임이 두 번 송신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지연된 프레임이 KAN 펜딩 버퍼(507)에 존재하지 않을 때 프레임은 송신되지 않는다. 특히, 지연된 프레임이 그 프레임에 대해 NAK를 수신한 타겟 CBSC(311)에 앞서 타겟 CBSC(311)에 의해 수신된다면, NAK가 최종적으로 이동 유닛에 의해 수신될 때 프레임이 재송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은 이동 유닛에 송신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특별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성 및 세부 사항들에서의 다양한 변경들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CBSCs 사이의 수신된 RLP 시퀀스 번호들의 직접 전송 대신에, 중간 시퀀스 번호가CBSCs 사이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신하는 CBSC는 수신된 RLP 시퀀스 번호들을 타겟 CBSC에 프레임과 함께 송신되는 중간 시퀀스 번호로 변환한다. 타겟 CBSC는 중간 시퀀스 번호를 그 국부적 RLP 시퀀스 번호로 변환한다.
대안적으로, 타이밍 정보는 CBSCs보다는 중간 시퀀스 번호 사이에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 유닛으로부터의 CBSC에서 정확하게 수신된 프레임들은 도착 시간을 태깅한다. 이들 태깅 프레임들은 타겟 CBSC에 송신되는 반면 삭제들의 경우 프레임들이 송신되지 않는다. 타겟 CBSC은 태깅된 도착 시간들이 대략 방송 프레임 간격(CDMA 시스템들에서 이 간격은 전형적으로 20mS)에 걸쳐 공간이 정해진다. 그 후, 도착 시간들은 타겟 CBSC에서 국부적 RLP 시퀀스 번호로 변환된다. 태깅된 도착 시간들에서의 스킵들은 RLP 시퀀스 번호들을 스킵하기 위해 타겟 CBSC에 대한 표시이다. 그러한 변화들은 다음의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Claims (10)

  1.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 1 이동 유닛으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프레임은 제 1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세션에 대응하는 제 1 시퀀스 번호를 가지는, 상기 프레임 수신 단계,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제 2 시퀀스 번호로 대체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는 제 2 RLP 세션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 대체 단계, 및
    제 2 이동 유닛에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가진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이동 유닛은 제 2 RLP 세션을 이용하는, 상기 프레임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를 제 3 시퀀스 번호로 대체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3 시퀀스 번호는 제 3 RLP 세션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시퀀스 번호 대체 단계, 및
    제 3 이동 유닛에 상기 제 3 시퀀스 번호를 가진 프레임을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3 이동 유닛은 제 3 RLP 세션을 이용하는, 상기 프레임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시퀀스 번호를 가진 삭제된 프레임이 있었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이동 유닛에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송신하는데 실패하는 단계,
    상기 제 2 이동 유닛에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송신하는데 실패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부정 확인 응답(NAK)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삭제된 프레임에 대해 NAK가 이전에 송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메모리에 액세싱하는 단계,
    상기 삭제된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이동 유닛에 제 4 시퀀스 번호를 가진 상기 삭제된 프레임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 1 이동 유닛으로부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은 제 1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지는, 상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 수신 단계,
    상기 제 1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제 2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로 대체하는 단계,
    상기 제 1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제 3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로 대체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이동 유닛에 상기 제 2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상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제 3 이동 유닛에 상기 제 3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상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동 유닛으로부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이동 유닛으로부터 제 1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상기 제 1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복수의 프레임들과 연관된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상기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에서의 스킵으로 인해 프레임이 삭제되었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이동 유닛에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고 삭제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동 유닛에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송신하지 않는 단계에 응답하여 부정 확인 응답(NAK)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삭제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를 제 2 시퀀스 번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유닛에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가진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에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가진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삭제된 프레임 시퀀스 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삭제된 프레임이 지연된 프레임인 것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동 유닛으로부터 NAK가 수신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유닛으로부터 NAK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이동 유닛에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가진 상기 삭제된 프레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시퀀스 번호들을 가진 복수의 프레임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입력으로서 제 1 프레임을 갖는 논리 유닛으로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제 1 무선 링크 프로토콜(RLP) 세션에 대응하는 제 1 시퀀스 번호를 가지는, 상기 논리 유닛,
    상기 논리 유닛에 연결되고, 제 2 RLP 세션에 대응하는 제 2 시퀀스 번호를 제공하는 변환 데이터베이스(translation database), 및
    제 2 이동 유닛에 상기 제 2 시퀀스 번호를 가진 상기 제 1 프레임을 전송하는 전송 회로로서, 상기 제 2 이동 유닛은 제 2 RLP 세션을 이용하는, 상기 전송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입력으로서 상기 제 1 프레임을 갖는 제 2 논리 유닛,
    상기 제 2 논리 유닛에 연결되고, 제 3 RLP 세션에 대응하는 제 3 시퀀스 번호를 제공하는 제 2 변환 데이터베이스, 및
    제 3 이동 유닛에 상기 제 3 시퀀스 번호를 가진 상기 제 1 프레임을 전송하는 제 2 전송 회로로서, 상기 제 3 이동 유닛은 제 3 RLP 세션을 이용하는, 상기 제 2 전송 회로를 더 포함하는 장치.
KR1020037004430A 2001-07-27 2002-06-28 통신 시스템 내의 전송 방식 KR100568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916,564 2001-07-27
US09/916,564 US6937585B2 (en) 2001-07-27 2001-07-27 Transmission scheme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PCT/US2002/020546 WO2003013047A2 (en) 2001-07-27 2002-06-28 Transmission scheme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502A true KR20030040502A (ko) 2003-05-22
KR100568896B1 KR100568896B1 (ko) 2006-04-10

Family

ID=2543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430A KR100568896B1 (ko) 2001-07-27 2002-06-28 통신 시스템 내의 전송 방식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37585B2 (ko)
EP (1) EP1415429B1 (ko)
JP (1) JP2004537915A (ko)
KR (1) KR100568896B1 (ko)
CN (1) CN1488212A (ko)
AT (1) ATE354221T1 (ko)
AU (1) AU2002345971A1 (ko)
DE (1) DE60218176T2 (ko)
WO (1) WO200301304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022B1 (ko) * 2004-09-30 2012-03-15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링크 프로토콜에 대한 활성 세션 이동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9742B2 (en) * 2001-09-29 2011-02-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data throughput
US8089940B2 (en) * 2001-10-05 2012-01-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efficient and reliable data packet transmission
KR100514144B1 (ko) * 2002-10-29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및 패킷 데이터 동시 서비스방법
US7398100B2 (en) 2003-07-01 2008-07-08 Motorola,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use in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during wireless communication
US9843906B2 (en) * 2013-08-13 2017-12-12 Motorola Solu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trieving group messag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6579A1 (en) * 1997-03-20 1998-09-23 Nec Corporation Packet transmission method without sending serial numbers
US6076181A (en) * 1998-03-03 2000-06-13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retransmission/abort timer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169732B1 (en) * 1999-06-29 2001-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618375B2 (en) * 1999-09-13 2003-09-09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protocol frame sorting mechanism for dynamic capacity wireless data channels
US6859456B1 (en) * 2000-03-13 2005-02-2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communicated data
US7058085B2 (en) * 2001-03-14 2006-06-0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over a network within a specified time limit
US6983410B2 (en) * 2001-07-02 2006-01-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 frame re-transmission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022B1 (ko) * 2004-09-30 2012-03-15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링크 프로토콜에 대한 활성 세션 이동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37585B2 (en) 2005-08-30
EP1415429B1 (en) 2007-02-14
US20030021248A1 (en) 2003-01-30
JP2004537915A (ja) 2004-12-16
CN1488212A (zh) 2004-04-07
ATE354221T1 (de) 2007-03-15
WO2003013047A2 (en) 2003-02-13
DE60218176D1 (de) 2007-03-29
WO2003013047A3 (en) 2003-05-30
AU2002345971A1 (en) 2003-02-17
DE60218176T2 (de) 2007-06-21
KR100568896B1 (ko) 2006-04-10
EP1415429A2 (en) 2004-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19622B1 (en) Control of jitter buffer size and depth
KR100812094B1 (ko) 무선 링크 프로토콜 타입 3 데이터 프레임들을 생성 및 전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이동국, 기지국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RU2280958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опроса блока протокольных данных буфера передачи
US68424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transmission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52646B1 (ko) 사용자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피티티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JP200800549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tx−ackエラーを検出・回復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300864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ansmitting packet data between base station controller and base transceiver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441694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メッセージ再送信の必要性を判断する方法
JP200800551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ハンドオーバー後の状態報告を処理する方法及び装置
US6169732B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0035172A (ja) Harq機能を改善する方法及び通信装置
US71970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RLP optimization
KR20000026160A (ko) 이동통신시스템의라디오링크프로토콜통신장치및방법
KR100568896B1 (ko) 통신 시스템 내의 전송 방식
WO2006073549A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packets and supporting method and data structure
KR100927980B1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패킷 삭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6941500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modified radio link protocol
KR20060061848A (ko) 버퍼의 동작 특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TW200945815A (en) Method for operation of synchronous HARQ in a wireless communicatino system
KR2004001213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회의통화 서비스를 위한 음성 데이터전송 장치 및 방법
JP2008113221A (ja) 携帯端末、サーバ、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