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189A - 이동식 댐 - Google Patents

이동식 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189A
KR20030040189A KR1020020079814A KR20020079814A KR20030040189A KR 20030040189 A KR20030040189 A KR 20030040189A KR 1020020079814 A KR1020020079814 A KR 1020020079814A KR 20020079814 A KR20020079814 A KR 20020079814A KR 20030040189 A KR20030040189 A KR 20030040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horizontal support
water
movable dam
g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9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6900B1 (ko
Inventor
김원섭
Original Assignee
김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섭 filed Critical 김원섭
Priority to KR1020020079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9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9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6Temporary dykes
    • E02B3/108Temporary dykes with a filling, e.g. filled by water or sa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게 조립하여 설치가능한 이동식 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골대(42)와, 상기 골대(42)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대(44)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사각골재(40)와; 상기 사각골재(40)의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방수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수부대(50)의 내부공간(52)에는 유체가 선택적으로 저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골재(40)를 구성하는 골대(42)와 수평지지대(44)는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골대(42)와 수평지지대(44)는 커플링결합으로 서로 체결되기도 한다. 상기 사각골재(40)의 측면에는 측면지지판이 더 구비되며, 상기 방수부대(50)에는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58)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이동식 댐 { Movable type dam }
본 발명은 이동식 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름철 홍수나 집중강우, 또는 해일 등에 따른 둑의 범람으로 침수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신속하게 설치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수해방지용 이동식 댐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기후의 특성은 여름철 홍수기인 7 - 8월경 단기간 내에 집중적인 호우가 쏟아져 많은 수해를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집중호우는 장마 말기, 태풍 통과시, 전선 통과시에 발생한다.
홍수의 대책으로 제방에 의한 하도의 고정이 실시되는데, 이밖에 호안이나 하상의 정비, 방수로나 유수지 등의 조성, 댐이나 제언에 의한 유량의 조절 등이 유력하나 근래에는 대규모의 택지조성, 도로건설, 산림벌채, 유역내의 치밀한 도시계획 없이 개발된 시가지화 증대 등으로 물의 집중현상이 크게 변화되어 예상되지 않았던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요구된다.
홍수는 집중호우 등으로 강의 수위나 유량이 비정상적으로 증대하여 통상적인 하상 밖으로 물이 범람하는 것으로서 대개의 하상에는 제방을 형성하여 이를 극복하려고 하고 있으나 항상 취약한 저지대가 존재하여 순간적으로 범람하면서 일측의 둑을 붕괴시켜 점차 붕괴가 확대되면서 걷잡을 수 없는 대량의 수해를 입히고 있다. 따라서 초기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신속한 대처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포대를 사용하여 포대속에 모래나 자갈 또는 흙 등을 담아 봉합한 다음, 이를 물이 월류하는 지점에 쌓아 물넘음을 방지하도록 함이 일반적이었다.
즉, 삼각지 같은 모래가 많이 쌓여있는 하천의 하류바닥에서 자루포대 등에 삽으로 모래를 담아 이를 차량에 실어 운반하거나, 직접 인간의 힘에 의해 이동하여 이를 층층히 쌓으므로서 제방을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부대에 모래를 담아 층층이 쌓아야 하므로 이와 같은 작업은 작업의 특성상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가 없다. 즉, 부대에 모래를 담는 작업과 이를 운반하여 쌓는 대부분의 작업이 직접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예측하지 못하던 지점에 월류가 예상되면 신속하게 둑을 축조하여 대량의 월류를 방지하여야 하나, 종래의 방식에서는 작업이 어려워 신속하게 월류되는 지점을 확인하여 대처할 수 없으므로 결국, 초기진압의 부족으로 감당할 수 없는 물난리를 초래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방식에서는 하천의 일시적 범람으로 둑을 쌓은 다음에는 이를 철거하려 할 때에는 상기와는 반대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예상치 못했던 주거공간에 하천의 유수가 침범할 우려로 일시적 제방을 쌓았다 하더라도 홍수가 지난 다음에는 다시 원상으로 회복하여 임시적으로 쌓은 제방부분을 다시 주거공간이나 도로로 활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에서는 이를 위해 둑 축조에 사용된 모래가 담긴 부대를 다시 하천으로 옮겨 내부에 담긴 모래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많은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번 사용되었던 부대는 작업도중 빈번히 훼손되어 재활용이 어려우므로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둑 제방에 한번 사용되었던 부대를 그대로 하천가에 방치하여 환경이 오염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과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한 이동식 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각골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사각골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방수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의 연결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댐40. 사각골재
42. 골대44. 수평지지대
46,46'. 꺽쇠48. 삽입공
50. 방수부대52. 내부공간
54. 칸막이56. 파이프터널
58. 배수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은,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골대와, 상기 골대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사각골재와; 상기 사각골재의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방수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수부대의 내부공간에는 유체가 선택적으로 저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각골재를 구성하는 골대와 수평지지대는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골대와 수평지지대는 커플링결합으로 서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각골재의 측면에는 측면지지판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방수부대에는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에 의하면, 댐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므로 효율적으로 수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이러한 이동식 댐의 설치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30)의 요부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이동식 댐(30)은 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사각골재(40)와, 이러한 사각골재(40)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방수부대(50)로 구성된다.
상기 사각골재(40)의 요부구성은 도 2와 도 3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데, 도 2에는 상기 사각골재(40)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상기 사각골재(40)의 조립이 완료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사각골재(40)는 다수개의 원형파이프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원형파이프는 내부에 중공홀이 형성된 중공파이프가 사용됨이 강도측면이나 재료비 및 무게로 인한 작업용이성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사각골재(40)는 양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대략 'ㄷ'자 형상을 이루는 골대(42)와 상기 골대를 연결하는 수평지지대(44)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골대(42)는 중앙부를 이루는 수평부(42')와 상기 수평부(42')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수직부(4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골대(42)는 상기 수평부(42')가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부(42")의 양끝단은 지면과 접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수평지지대(44)는 수직으로 설치된 두개의 상기 골대(42) 상단에 수평으로 걸쳐져 설치된다. 즉, 상기 수평지지대(44)의 일측단은 상기 골대(42)의 수평부(42') 일측과 결합되고, 수평지지대(44)의 다른 일측단은 다른 골대(42)의 수평부(42') 일측과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골대(42)와 수평지지대(44)는 연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데, 이러한 연결수단의 일예가 도 2 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골대(42)의 절곡부와 상기 수평지지대(44)의 양측단에는 'ㄷ'자 형상의 꺽쇠(46)가 삽입되는 삽입공(48)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공(48)에 상기 꺽쇠(46)를 삽입하여 상기 골대(42)와 수평지지대(44)를 결합한다.
상기 골대(42)와 수평지지대(44)의 결합에 의해 사각골재(40)가 형성되며, 도 3에는 이러한 사각골재(40)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사각골재(40)는 다수개의 골대(42)와 다수개의 수평지지대(44)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골대(42)와 수평지지대(44)는 알루미늄이나 동(銅)과 같은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사각골재(40)와 결합되는 방수부대(50)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방수부대(50)는 상방이 개구된 대략 사각통상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이러한 내부공간(52)은 칸막이(54)에 의해 세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상기 방수부대(50)는 내부공간(52)에 저장되는 물이 누수되지 않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피브시폴리에스테르(PVC coverd Polyester)로 이루어진다.
상기 칸막이(54)는 상기 내부공간(52)에 물의 저장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방수부대(5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견고한 재질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수부대(50)에는 상기 골대(42)와 수평지지대(44)가 삽입되어 설치될 파이프터널(5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터널(56)의 직경은 상기 골대(42)와 수평지지대(44)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터널(56)에 상기 골대(42)와 수평지지대(44)가 삽입되고 서로 연결되어 사각골재(40)가 형성되면, 이러한 사각골재(40)가 상기 방수부대(50)를 견고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한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식 댐(30)을 여러개 연결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댐(30)의 연결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사각골재(40)를 형성하는 골대(42)의 수직부(42")에는 다른 사각골재(40)의 골대(42)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48')이 상하부에 더 구비되고, 이러한 연결공(48')에 꺽쇠(46')가 삽입되어 상기 사각골재(40)를 서로 결합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30)은 갑작스런 홍수나 태풍으로 인해 일시적으로하천이나 호수가 범람할 경우에 적합한 것으로, 평상시에는 상기 이동식 댐(30)은 도 1과 같은 설치상태로 보관되지 않고, 각 구성요소별로 분해되어 보관된다.
상기 이동식 댐(30)이 보관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사각골재(40)를 이루는 수평지지대(44)와 골대(42)를 각각 분리하여 적치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부대(50)도 별도로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며, 상기 연결부재인 꺽쇠(46,46')도 별도의 보관통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30)은 보관을 위한 공간이 극히 적게 소요된다.
상기와 같이 보관되는 이동식 댐(30)은 하천의 범람이 우려되는 경우에 신속히 설치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의 수평지지대(44), 꺽쇠(46,46'), 골대(42) 및 방수부대(50)를 트럭과 같은 이동수단(예를들어, 보관용 트레일러나 컨테이너)으로 현장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방수부대(50)를 댐(30) 설치가 필요한 곳의 지상에 펼친 상태에서, 상기 골대(42)와 상기 수평지지대(44)를 상기 방수부대(50)에 형성된 파이프터널(56)에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인 꺽쇠(46)의 양단을 상기 골대(42)와 수평지지대(44)에 형성된 삽입공(48)에 삽입하여 상기 이동식 댐(30)을 대략 사각통상의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의 상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댐(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댐(3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공간(52)에 물을 공급한다. 즉, 상기 방수부대(50)의 상방을 개구되어 있으므로 상방으로부터 상기 내부공간(52)에 물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내부공간(52)에 공급되는 물은 가정의 수도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가옥과 거리가 먼 경우에는 소방차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경운기 등을 이용하여 펌프에 의해 하천의 물을 퍼올려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때의 물 공급상태를 도 6에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물을 공급하여 상기 댐(30)의 내부공간(52)에 일정수위의 물이 저장되면, 상기 방수부대(50)는 내부공간(52)에 담겨진 물의 수압에 의해 양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형상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댐(30)은 내부공간(52)에 저장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측면에서 가해지는 하천의 수압을 견디게 되어 댐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태가 도 7에 측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댐(30)을 설치한 후, 하천의 수위가 낮아지거나, 범람의 위험이 없어지면 다시 상기 댐(30)을 철거하여 도로로 활용하거나 생활공간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게된다. 즉, 도로 및 농경지, 주거공간 등을 원상태로 환원시켜야 한다.
상기 댐(30)을 철수할 때에는 먼저 상기 방수부대(50)의 하측에 형성된 배수구(58)를 개방시킨다. 이렇게 되면, 댐(30)의 내부공간(52)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빠져나와 하천으로 흘러들어간다.
상기 내부공간(52)으로부터 물이 빠져나가면, 다수개의 상기 사각골재(4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연결공(48')에 삽입되었던 꺽쇠(46')를 분리하여 사각골재(40)를 서로 분리한 다음, 상기 골대(42)와 수평지지대(44)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삽입공(48)에 삽입되어 있는 꺽쇠(46)를 빼내어 상기 수평지지대(44)와 골대(42)를 분리한다.
그런다음, 상기 수평지지대(44)와 골대(42)를 상기 방수부대(50)의 파이프터널(56)로부터 빼낸다. 상기와 같이 꺽쇠(46,46')와 수평지지대(44) 그리고, 골대(42)를 상기 방수부대(50)로부터 분리한 다음에는 상기 방수부대(50)를 차곡차곡 접어서 보관하며, 상기 꺽쇠(46,46')와 수평지지대(44) 그리고, 골대(42)도 종류별로 보관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들어, 상기 사각골재(40)를 구성하는 수평지지대(44)와 골대(42)의 결합이나 상기 사각골재(40)를 다수개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연결수단으로 상기와 같은 꺽쇠(46)를 사용하지 않고 커플링(Coupling)과 같은 플랜지 이음에 의해 연결하는 등 다양한 연결수단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방수부대(50)의 내부공간(52)에 물이 채워진 경우에는 상기 방수부대(50)는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압에 의해 도 7의 단면과 같이 측방으로 볼록하게 나온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여 보다 견고한 댐(30)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각골재(40)의 골대(42) 설치간격을 조밀하게 할 필요가 있으나, 이렇게 하지 아니하고 상기 사각골재(40)의 측면에 별도의 측면지지판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수평지지대(44)의 중간에 하방으로 드리워지게 다수개의 측면지지판을 별도로 설치하여 상기 방수부대(50) 내부에 저장되는 물에 의한 수압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사각골재(40)의 하부에도 상기 골대(42)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전후방의 지지대와 다른 골대(42)의 하단과 서로 연결되는 수평지지대(44)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골대(42)의 수평부(42')와 같은 지지대를 골대(42)의 하단에 더 형성하고, 하나의 골대(42) 하단과 다른 골대(42)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지지대도 더 형성하여 상기 댐(30)을 보다 견고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방수부대(50)의 상방을 개구되도록 하지 않고 밀폐시키고, 일측 상단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를 별도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을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댐에 의하면, 파이프로 구성된 사각골재의 테두리에 방수부재를 씌우고 내부 저장공간에 물을 채우는 것에 의해 댐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게 설치 및 철수가 가능하여 작업이 원활하므로 갑작스런 일기변화나 제방의 붕괴로 인해 하천 또는 호수가 범람할 때에 임시적으로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활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댐 설치는 그 작업이 간단하므로 제방이 일시 범람하거나 갑작스럽게 소실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방어가 가능하다. 즉, 하천의 유수가 범람하는 초기에 신속히 대응하므로서 대형의 재해를 예방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댐은 그 구조물과 방수부재를 각각 분리하여 보관가능하므로, 댐 설치 후 철수가 간편하며 보관시에는 보관공간이 적게 소요되어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구조물과 방수부재의 훼손시에는 해당부분만 보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5)

  1.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골대와, 상기 골대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수평지지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사각골재와;
    상기 사각골재의 주위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방수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수부대의 내부공간에는 유체가 선택적으로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골재를 구성하는 골대와 수평지지대는 원통형의 파이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대와 수평지지대는 커플링결합으로 서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골재의 측면에는 측면지지판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대에는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배수구가 형성됨은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댐.
KR1020020079814A 2002-12-13 2002-12-13 이동식 댐 KR100546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814A KR100546900B1 (ko) 2002-12-13 2002-12-13 이동식 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9814A KR100546900B1 (ko) 2002-12-13 2002-12-13 이동식 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208U Division KR200320570Y1 (ko) 2003-04-21 2003-04-21 이동식 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189A true KR20030040189A (ko) 2003-05-22
KR100546900B1 KR100546900B1 (ko) 2006-01-26

Family

ID=2957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9814A KR100546900B1 (ko) 2002-12-13 2002-12-13 이동식 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9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6248A1 (fr) * 2022-06-07 2023-12-08 François LOREAU Système de barrage anti-inond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2504A (en) * 1978-11-22 1980-05-31 Mitsuo Yasaki Water tank in embankment
JPS6375207A (ja) * 1986-09-18 1988-04-05 Nkk Corp 簡易堤体
US6022172A (en) * 1997-07-08 2000-02-08 Siyaj; Jamal Mustafa Reusable portable flexible fillable barrier and method of application thereof
JP2002332622A (ja) * 2001-05-08 2002-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堤構造、及び、既設堤の嵩上げ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6248A1 (fr) * 2022-06-07 2023-12-08 François LOREAU Système de barrage anti-inondation
EP4290015A1 (fr) * 2022-06-07 2023-12-13 Flod C&F Système de barrage anti-inond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6900B1 (ko)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4408B2 (en) Flood mitigation system
CN108060712B (zh) 一种防水车库
KR101005531B1 (ko) 부력체를 이용한 홍수범람 방지장치
CN112523233B (zh) 通水式拦河围堰施工方法
KR100922622B1 (ko) 확장이 용이한 저류조
KR100546900B1 (ko) 이동식 댐
KR200320570Y1 (ko) 이동식 댐
CN212153269U (zh) 一种快速制造安装的河道景观水面减淤设备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KR101322248B1 (ko) 담수블록을 이용한 배수시스템
CN111021382A (zh) 一种减小驳岸变形的桩膜围堰结构及其施工方法
KR200430582Y1 (ko) 관을 이용한 빗물 저류조 구조
CN116446340B (zh) 一种护岸工程水工结构
KR100378702B1 (ko)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조립식 옹벽수로
KR100608172B1 (ko) 담수호 구축물 및 구축방법
KR101147518B1 (ko) 도심지 저지대의 주택 침수방지 시설
CN214246039U (zh) 一种海绵城市排水装置
KR100497818B1 (ko) 댐식 우수조정지용 월류 방지 제방 구조물
CN218712567U (zh) 水电站水垫塘检修抽排水系统
CN214993969U (zh) 一种通水式拦河围堰的围护结构
CN211285642U (zh) 一种水工边坡排水系统
CN107366294A (zh) 一种地下室的综合排水系统
CN216405510U (zh) 一种抗浮水位低堆坡建筑结构
CN213508284U (zh) 一种应急穿堤排涝泵站
CN217651706U (zh) 一种水利水电工程施工防渗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