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210A - 사용자 이미지 합성 기능을 갖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이미지 합성 기능을 갖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210A
KR20030039210A KR1020010070178A KR20010070178A KR20030039210A KR 20030039210 A KR20030039210 A KR 20030039210A KR 1020010070178 A KR1020010070178 A KR 1020010070178A KR 20010070178 A KR20010070178 A KR 20010070178A KR 20030039210 A KR20030039210 A KR 20030039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haracter
information
song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호
Original Assignee
이스타뱅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타뱅크(주) filed Critical 이스타뱅크(주)
Priority to KR102001007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9210A/ko
Publication of KR20030039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21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한 뮤직 비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3차원 얼굴 이미지를 가진 3차원 캐릭터를 생성하고, 이 3차원 캐릭터에 의하여 수행되는 댄스 모션 동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한 가수의 3차원 백댄스 동영상과 함께 상영한다. 그리고, 동영상의 상영과 함께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노래를 녹음하고, 사용자의 노래가 삽입된 이 동영상을 CD-ROM 디스크 등의 디지털 저장매체에 기록하여 사용자에게 전해준다. 또한, 각 지역에 위치한 뮤직 비디오 시스템에서 제작되는 사용자별 댄스 동영상을 인터넷을 통해 통합 서비스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3차원 캐릭터를 통해 각종 댄스 동영상의 주인공으로서 등장할 수 있고, 자신이 직접 부른 노래가 삽입된 동영상을 소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동영상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가 백댄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 더욱 흥미로운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사용자 이미지 합성 기능을 갖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Music video system having function of synthesizing user's image with a character of the moving fictures }
본 발명은 사용자 이미지 합성 기능을 갖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 이미지가 반영된 3차원 캐릭터를 통해 가수가 백댄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영상에 등장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댄스 동영상에 삽입될 노래는 사용자가 직접 부르도록 하여, 사용자의 노래가 삽입된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고 있어서, 반주되는 음악을 통해 직접 노래를 부르는 노래방 서비스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은 자신의 이미지가 반영되는 서비스에 흥미를 느끼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머그컵 등 특정 물건에사용자의 이미지를 인쇄해주는 서비스도 활발하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므로, 사람들의 노래를 좋아하는 성향이나 자신의 모습을 특정 대상에 반영해보고자 하는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 이미지가 반영된 3차원 캐릭터를 통해 가수가 백댄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영상에 등장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댄스 동영상에 삽입될 노래는 사용자가 직접 부를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직접 댄스를 하며 노래를 부른 효과를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사용자가 직접 부른 노래가 삽입된 동영상은 CD-ROM 디스크 등의 저장매체에 수록되어 사용자에게 전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지역에 위치한 본 발명의 시스템이 인터넷을 통해 특정 인터넷 사이트와 서로 연동하도록 하고, 이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각 지역에서 제작된 사용자별 동영상 자료를 통합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
도 2는 로컬 컴퓨터의 기능에 관한 실시예의 흐름도,
도 3은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합성에 관한 개요도,
도 4는 안무 선택 화면의 실시예,
도 5는 결제부를 포함하는 실시예,
도 6은 인터넷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시스템 동작에 관한 실시예,
도 8 내지 도 10은 화면 구성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뮤직 비디오 시스템11: 카메라
12: 키 입력부13: 데이터 기록부
14: 모니터15-1: 스피커
15-2: 마이크16-1: 가수 정보 저장부
16-2: 댄스 모션 저장부16-3: 안무 모션 저장부
16-4: 헤어스타일 저장부16-5: 캐릭터 저장부
16-6: 배경화면저장부17: 로컬 컴퓨터
19: 결제부20: 인터넷
30: 중앙서버31: 데이터베이스
52: 얼굴 오브젝트53: 몸 오브젝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구성도로서,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11), 각종 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12), 휴대용 디지털 데이터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부(13), 모니터(14), 스피커(15-1)와 마이크(15-2), 가수별 프로필이나 곡명, 가사, 악보 등 각 가수의 노래별 정보와 3차원 댄스 모션 동영상을 저장하는 가수 정보 저장부(16-1), 각종 3차원 캐릭터 이미지를 저장하는 캐릭터 저장부(16-5), 캐릭터에 의해 수행될 3차원 댄스 모션 정보를 저장하는 댄스 모션 저장부(16-2), 및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로컬 컴퓨터(17)로 구성되며, 각 지역의 지점에 설치되거나 키오스크(KIOSK)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키 입력부(12)는 여러가지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이동용 키나 선택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키들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거나, 혹은 서비스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를 뮤직 비디오 시스템(10)에서 직접 입력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경우(예: 관리자가 입력하거나 사용자 정보가 입력된 카드를 인식하여 시스템이 구동하는 경우 등)에는 관련 키들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데이터 기록부(13)는 사용자의 이미지가 3차원 캐릭터로서 반영되고, 사용자의 노래가 삽입된 댄스 모션 동영상을 휴대용 저장매체에 담아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성요소로서, "쓰기"가 가능한 CD-ROM 드라이브로서 구현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저장매체는 CD-ROM 디스크가 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로컬 컴퓨터(17)의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로컬 컴퓨터(17)는 모니터(14)의 화면에 가수 정보 저장부(16-1)에 저장되어 있는 가수별 노래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키 입력부(12)의 항목 이동키나 선택키 등을 이용하여 가수별 노래들 중 특정 노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21).
그리고, 로컬 컴퓨터(17)는 카메라(11)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데, 필요에 따라 촬영상태와 촬영된 이미지를 조정한다(S22).
예로서, 현재 촬영되는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모니터(14)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정면을 향하도록 안내해줌으로서 촬영상태를 조정한다. 또한, 사용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를 선택하도록 하고, 도 8에 도시한 예와 같이 여러가지의 3차원 얼굴 윤곽 이미지(14-2)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 윤곽에 가장 유사한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가 선택한 얼굴 윤곽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3차원 얼굴 이미지를 별도의 창(14-1)에 보여줌으로서 선택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또한, 눈/코/입의 위치도 조정할 수도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완료 키(14-3)를 눌러 해당 윤곽을 최종 선택한다. 이러한 조정은 카메라(11)로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입체적인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한 정보로서 활용된다.
사용자의 정면 얼굴 모습만을 촬영하여 입체적인 이미지로서 합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표정을 가진 입체 이미지로의 합성을 보다 정확히 수행하기 위하여 좌/우/옆면 얼굴이나 특징있는 얼굴 모습(예: 심각한 모습, 환하게 웃는 모습 등)을 하나 이상 촬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 로컬 컴퓨터(17)는 모니터(14)의 화면으로 캐릭터 저장부(16-5)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3차원 캐릭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키 입력부(12)를 통해 특정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S23).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캐릭터 정보는 캐릭터의 몸체에 관한 3차원 이미지이다.
그리고, 로컬 컴퓨터(17)는 단계 S22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3차원의 형상으로 변환하여, 단계 S23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3차원 캐릭터 몸체에 결합한다. 그리고, 이 결합된 3차원 캐릭터가 댄스 모션 저장부(16-2)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댄스 모션 정보에 따라 합성하여 동영상을 생성한다(S24).
즉, 도 3에 도시한 예와 같이 사용자의 3차원 얼굴 이미지(52)와 3차원 몸체 이미지(53)가 결합된 캐릭터가 만들어지고, 이 캐릭터가 댄스 모션 저장부(16-2)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댄스 모션에 따라 움직이는 3차원 동영상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 때,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고정된 표정으로 있으면 부자연스럽다. 그러므로, 단계 S22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여러가지 표정의 이미지로 변환하여 동영상의 흐름에 맞는 표정의 이미지로 합성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제, 로컬 컴퓨터(17)는 단계 S24에서 생성된 3차원 캐릭터의 댄스 모션 동영상을 단계 S21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가수의 3차원 댄스 모션 동영상과 함께 모니터(14)의 화면에서 재생하고, 해당 노래의 곡을 스피커(15-1)를 통해 출력하면서 마이크(15-2)를 통해 사용자의 노래를 수신하여 녹음한다(S25). 여기서, 해당 가수의 3차원 댄스 모션 동영상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수 정보 저장부(16-1)에 저장되어 있다.
단계 S25를 사용자의 입장에서 설명하자면, 모니터(14)의 화면에는 자신이 선택한 가수가 백 댄서로서 등장하고, 또한 자신의 이미지로 처리된 3차원 캐릭터가 주인공으로서 등장하여 댄스하는 모습을 지켜보면서, 해당 가수의 노래를 자신이 직접 부르는 과정이다. 이 때, 노래방 기기처럼 모니터(14) 화면의 임의 위치에 해당 노래의 가사를 출력해주고, 악보, 음정, 템포 등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기 편리하도록 해 줄 수 있는 정보를 출력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사 등 모니터(14)의 화면에 출력되는 부가 정보는 가수 정보 저장부(16-1)에 저장되어 있는 가수별 노래정보의 일부이며, 이러한 부가 정보는 이후에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동영상에서는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로컬 컴퓨터(17)는 모니터(14)를 통해 상영된 동영상을 사용자의 노래가 삽입된 상태로 데이터 기록부(13)를 통해 해당 디지털 저장매체에 기록한다(S26). 물론, 이 저장매체는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D-ROM 디스크에 담아주면 바람직하다.
한편, 가수의 노래들 중에는 오리지널 안무가 없는 노래도 있다.
그러므로, 뮤직 비디오 시스템(10)은 각종 안무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안무 모션 저장부(16-3)를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의 유형에 맞는 안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로컬 컴퓨터(17)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에 대한 댄스 모션 동영상이 가수 정보 저장부(16-1)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화면의 예와 같이 안무 모션 저장부(16-3)에 저장되어 있는 안무 정보를 모니터(14)의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키 입력부(12)를 통해 원하는 안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한 안무 모션 동영상을 해당 가수의 백댄스용 댄스 모션 동영상으로 간주하여 단계 S25를 수행한다.
또한, 뮤직 비디오 시스템(10)은 헤어 스타일 이미지를 저장하는 헤어 스타일 저장부(16-4)를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이미지가 반영되는 3차원 캐릭터의 헤어 스타일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더욱 흥미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로컬 컴퓨터(17)는 사용자가 키 입력부(12)를 통해 헤어 스타일 저장부(16-4)에 저장되어 있는 헤어 스타일 중 원하는 헤어 스타일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후, 사용자의 얼굴이 합성되는 3차원 캐릭터에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 스타일 이미지를 반영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이미지에 맞는 헤어 스타일을 스스로 설정할 수 있어서 흥미롭게 된다.
도 9를 참조하여, 로컬 컴퓨터(17)가 수행하는 실시예를 단계 S23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로컬 컴퓨터(17)는 모니터(14)의 화면에 각종 헤어 스타일 이미지(14-4)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항목 이동용 키를 이용하여 헤어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캐릭터 저장부(16-5)에 저장되어 있는 3차원 캐릭터 몸체(14-5)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항목 이동용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별도의 창(14-6)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헤어 스타일과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 그리고 캐릭터 몸체가 3차원으로 결합된 상태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쉽게 원하는 사항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뮤직 비디오 시스템은 각종 3차원 배경화면 영상을 저장하는 배경화면저장부(16-6)를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배경화면을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로컬 컴퓨터(17)는 배경화면저장부(16-6)에 저장되어 있는 배경화면 정보를 모니터(14)의 화면(14-7,14-8)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키 입력부(12)를 통해 원하는 배경화면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선택된 3차원 배경화면을 모니터(14)를 통해 상영되는 동영상의 배경화면으로 처리한다. 배경화면은 매우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그 예로서는 공연무대, 북극의 빙판위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을 이용하여 제공하는 서비스가 유료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시스템(10) 자체적으로 서비스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뮤직 비디오 시스템(10)은 도 5에 도시한 예와 같이 기 규정된 서비스 비용의 투입을 감지하는 결제부(19)를 구비하도록 하고, 로컬 컴퓨터(17)는 결제부(19)로부터 해당 서비스 금액이 투입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러한 결제부(19)는 투입된 동전과 지폐의 액수를 판별하여 거스름 돈을 자동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현금에 의한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기능과, 카드형태의 지불수단을 읽어 서비스 비용을 인출하는 기능을 모두 포함하거나, 그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는 버스요금이나 전철요금을 자동 결제하는 카드와 같은 신용카드 형태일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각 지점의 카운터에서 나누어주고 사용자가 나갈 때 회수하는 형태의 카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은 각각 독립적으로만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도 6에 도시한 예와 같이 인터넷(20)을 통해 각 시스템의 로컬 컴퓨터(17-1 내지 17-n)와 접속하는 중앙서버(30)를 통해 통합 운영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언제나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자신의 노래가 삽입된 댄스 동영상을 다시 다운로드 받거나, 타인의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콘테스트를 개최하는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와 결합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여 도 6에 도시한 구성을 통해 서비스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각 로컬 컴퓨터(17-1 내지 17-n)는 합성된 사용자의 동영상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함께 인터넷(20)을 통해 중앙서버(30)로 송신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지점에서 즉시 부여하거나 사용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아이디일 수도 있다. 이 사용자 정보는 키 입력부(12)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으며, 지점의 관리자가 서비스 이용을 접수하면서 카드에 함께 기록하고, 결제부(19)가 카드를 읽을 때 읽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중앙서버(30)는 인터넷 사이트를 운용하며, 각 로컬 컴퓨터(17-1 내지 17-n)에서 전송한 동영상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1)에 저장한다.
또한, 중앙서버(30)는 사용자 컴퓨터(50)가 인터넷(20)을 통해 접속하면, 사용자 인증을 요구하여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특정 동영상에 대한 서비스가 요청되면, 해당 동영상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1)에서 검색한 후 해당 사용자 컴퓨터(50)로 상영해주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3차원 캐릭터를 통해 각종 댄스 동영상의 주인공으로서 등장할 수 있고, 자신이 직접 부른 노래가 삽입된 동영상을 소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동영상에서 자신이 좋아하는 가수가 백댄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 더욱 흥미로운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Claims (9)

  1.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
    마이크와 스피커;
    모니터;
    각종 키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 입력부;
    각 가수별 노래정보와 각 노래에 대한 3차원 댄스 모션 동영상을 저장하는 가수 정보 저장부;
    하나 이상의 3차원 캐릭터 이미지를 저장하는 캐릭터 저장부;
    캐릭터에 의해 수행될 3차원 댄스 모션 정보를 저장하는 댄스 모션 저장부;
    휴대용 디지털 데이터 저장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기록부; 및
    상기 모니터를 통해 상기 가수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가수별 노래정보와 상기 캐릭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캐릭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특정 가수의 노래와 특정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한 후 상기 선택된 3차원 캐릭터에 결합하는 기능과,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가 결합된 3차원 캐릭터가 상기 댄스 모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댄스 모션에 따라 움직이도록 합성하는 기능과, 상기 가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특정 가수의 노래에 관한 3차원 동영상을 상기 합성된 캐릭터의 3차원 댄스 모션 동영상과 함께 상기 모니터 화면과 스피커를 통해 상영하면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노래를 녹음하는 기능과, 상기 상영된 3차원 동영상을 상기 사용자의 노래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데이터 기록부를 통해 해당 디지털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컬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부는 터치 스크린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뮤직 비디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3차원 안무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안무 모션 저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로컬 컴퓨터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에 관한 해당 가수의 3차원 댄스 모션 동영상이 상기 가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안무 모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안무 정보를 상기 모니터 화면에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안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선택된 3차원 안무 동영상을 상기 가수의 3차원 댄스 모션 동영상으로 간주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뮤직 비디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헤어 스타일 이미지를 저장하는 헤어 스타일 저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로컬 컴퓨터는 상기 헤어 스타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헤어 스타일 정보를 상기 모니터 화면에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특정 캐릭터에 결합되는 사용자의 3차원 얼굴 이미지에는 상기 선택된 헤어 스타일 이미지를 반영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뮤직 비디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배경화면용 3차원 영상을 저장하는 배경화면저장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로컬 컴퓨터는 상기 배경화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3차원 영상정보를 상기 모니터 화면에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3차원 영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선택된 3차원 영상을 상기 모니터를 통해 상영하는 동영상의 배경화면으로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록부는 쓰기(write)가 가능한 CD-ROM 드라이브이고, 상기 저장매체는 CD-ROM 디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뮤직 비디오 시스템은 기 규정된 서비스 비용의 투입을 감지하는 결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로컬 컴퓨터는 상기 결제부로부터 상기 서비스 금액이 투입되었음을 알리는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부는 투입된 동전과 지폐의 액수를 판별하여 거스름 돈을 자동 배출하는 기능과, 카드형태의 지불수단을 읽어 상기 서비스 비용을 인출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컴퓨터는 상기 데이터 기록부를 통해 휴대용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동영상 정보를 해당 사용자 정보와 함께 인터넷을 통해 중앙서버로 송신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되,
    상기 중앙서버는 인터넷 사이트를 운용하며, 하나 이상의 로컬 컴퓨터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각 사용자의 노래가 삽입된 3차원 동영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상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각 사용자들의 컴퓨터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KR1020010070178A 2001-11-12 2001-11-12 사용자 이미지 합성 기능을 갖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KR20030039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178A KR20030039210A (ko) 2001-11-12 2001-11-12 사용자 이미지 합성 기능을 갖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178A KR20030039210A (ko) 2001-11-12 2001-11-12 사용자 이미지 합성 기능을 갖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210A true KR20030039210A (ko) 2003-05-17

Family

ID=2956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178A KR20030039210A (ko) 2001-11-12 2001-11-12 사용자 이미지 합성 기능을 갖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921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269B1 (ko) 2006-07-14 2008-10-24 뮤비 테크놀로지스 피티이 엘티디. 사용자 공급의 비주얼 데이터를 선재 뮤직 비디오에삽입함으로써 새로운 뮤직 비디오의 생성
US7517219B2 (en) * 2004-02-20 2009-04-14 Mcdonald Michael Method of providing specialized dance videos
KR101050107B1 (ko) * 2009-11-04 2011-07-19 박면진 영상 제어 장치
KR101722634B1 (ko) * 2016-03-24 2017-04-04 주식회사 씨와이크리에이티브그룹 뮤직 동영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3536A (ko) * 2020-01-20 2021-07-28 김규민 인물 사진의 헤어스타일 합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7376A (ko) 2020-05-28 2021-12-07 모바일 앱개발 협동조합 촬영 사진 랜더링 및 ar 마커 기반의 동화 ar 콘텐츠 구연 시스템 및 동화 ar 콘텐츠 구연 방법
KR20220071326A (ko) 2020-11-24 2022-05-31 모바일 앱개발 협동조합 카메라 사진/동영상 랜더링 및 ar 마커 기반의 ar 오브젝트 구연 시스템 및 얼굴인식을 통한 인공지능 서비스 구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7219B2 (en) * 2004-02-20 2009-04-14 Mcdonald Michael Method of providing specialized dance videos
KR100865269B1 (ko) 2006-07-14 2008-10-24 뮤비 테크놀로지스 피티이 엘티디. 사용자 공급의 비주얼 데이터를 선재 뮤직 비디오에삽입함으로써 새로운 뮤직 비디오의 생성
KR101050107B1 (ko) * 2009-11-04 2011-07-19 박면진 영상 제어 장치
KR101722634B1 (ko) * 2016-03-24 2017-04-04 주식회사 씨와이크리에이티브그룹 뮤직 동영상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3536A (ko) * 2020-01-20 2021-07-28 김규민 인물 사진의 헤어스타일 합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47376A (ko) 2020-05-28 2021-12-07 모바일 앱개발 협동조합 촬영 사진 랜더링 및 ar 마커 기반의 동화 ar 콘텐츠 구연 시스템 및 동화 ar 콘텐츠 구연 방법
KR20220071326A (ko) 2020-11-24 2022-05-31 모바일 앱개발 협동조합 카메라 사진/동영상 랜더링 및 ar 마커 기반의 ar 오브젝트 구연 시스템 및 얼굴인식을 통한 인공지능 서비스 구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23852B2 (ja) 方法、デジタルジュークボックス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CN101103386A (zh) 用于乐谱捕捉和带同步呈现的合成音频演奏的系统与方法
KR20030039210A (ko) 사용자 이미지 합성 기능을 갖는 뮤직 비디오 시스템
KR101295862B1 (ko) 증강 현실 영상을 제공하는 노래방 장치 및 그 방법
JP2011053276A (ja) 背景映像可変表示機能を備えるカラオケシステム
WO2002003371A2 (en) Electronic musical accompaniment
JP4450614B2 (ja) カラオケ装置
JP4246111B2 (ja) カラオケ演奏に伴う付加機能を利用者の希望により有料で実行する電子マネー課金式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40012182A (ko) 멀티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노래방 및그 서비스 방법
JP2001306744A (ja) オーディション装置、オーディ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オーディション方法
JP3551798B2 (ja) カラオケ装置
KR200393283Y1 (ko) 노래방용 녹화장치
KR200286228Y1 (ko) 동영상 댄스 키오스크
JP4382631B2 (ja) ハーモニー歌唱ガイドシステム
KR20240007441A (ko) 개인뮤직비디오제작 및 자동판매방법
JPH1011080A (ja) 立体映像表示カラオケ装置
JP2002175085A (ja) カラオケ情報配信装置
JPH11194785A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選曲用カード媒体
KR200286037Y1 (ko) 스티커 기능이 부가된 이동식 노래자판기
JP4076616B2 (ja) ポートレート作成機能付きのカラオケ装置
US20030033206A1 (en) V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marketing a computer readable work of art
KR20050047800A (ko) 동영상 제작 장치 및 시스템
JPH10268882A (ja) 課金装置付き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50010395A (ko) 연예 프랜차이즈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02006867A (ja) カラオケ情報配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