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499A - 한국어 문자 입력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인터페이스 - Google Patents

한국어 문자 입력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인터페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499A
KR20030038499A KR1020020068863A KR20020068863A KR20030038499A KR 20030038499 A KR20030038499 A KR 20030038499A KR 1020020068863 A KR1020020068863 A KR 1020020068863A KR 20020068863 A KR20020068863 A KR 20020068863A KR 20030038499 A KR20030038499 A KR 20030038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nant
keys
key
consonants
pho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오진
알리 에브라히미
박재화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38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49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장치(100)에 한국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데이터 입력 키(128)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입력 키는 순서화된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9개 이상의 키를 포함하고, 각각의 키는 숫자(키 "1" 내지 "9"), 표음 자음(302 내지 328), 및 표음 모음(402 내지 420)과 연관되어 있다. 표음 자음 및 표음 모음은 한국어 한글 문자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한국어 자모 기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데이터 입력 키는 비기식 자음(330)을 포함하고, 데이터 입력 키 중 4개의 키는 비기식 자음 외에 기식 자음(332)도 포함한다. 비기식 자음과 기식 자음은 발음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그룹지어진다.

Description

한국어 문자 입력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A USER INTERFACE OF A KEYPAD ENTRY SYSTEM FOR KOREAN TEXT INPUT}
본 발명은 표의 문자, 특히 아시아 지역 언어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은 한국어 문자 입력에 대하여 신규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키패드의 키들에 지정된 표음 문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장치의 개발자들은 표의 문자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데 주력하였다. 일반적으로,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등의 아시아 지역 언어는 매우 다른 표의 문자를 사용한다. 다른 한편으로, 무선 전화기 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에는 통상 12개 내지 24개의 키가 있으며, 이 키들에는 "1"부터 "9"까지와 "0"의 숫자를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10개의 키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시아 지역 언어의 많은 문자들을 표준 키패드의 한정된 수의 키를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를 개발하는 것은 상당한 도전이었다.
한국어용의 키패드 입력 시스템은 복잡하다. 한글이라고 알려진 일련의 한국어 문자들이 문장을 구성한다. 한국어에는 약 2,350개의 표준 한글 문자가 있고, 한글 문자는 이론적으로 11,000개 이상이 가능하다. 한글 문자 각각은 자모 기호라고 알려진 한국어 표음 기호로 형성된다. 한국어는 자음이 14개이고 모음이 10개인 24개의 단순 자모 기호(simple Jamo symbol)를 포함한다. 33개의 확장된 자모 기호(extended Jamo symbol)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5개의 이중 자음(doubleconsonant)과 4개의 합성 모음(compound vowel)이 상기의 단순 자모 기호에 부가될 수 있다. 51개의 합성 자모 기호(compound Jamo symbol)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11개의 합성 자음(compound consonant)과 4개의 합성 모음이 상기의 확장 자모 기호에 부가될 수 있다. 그 외의 한국어 합성 자음 및 합성 모음이 존재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한국어 문자 입력 시스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거나 생략된다.
한국어 키패드 입력 시스템은 휴대용 전자 장치 패드의 수보다 적은 수에 맞추어져 있다. 예컨대, "천지인(sky-people-land)" 분해 방식은 단순 자모 기호 중 10개의 모음과, 확장 자모 기호 중 4개의 합성 모음과, 합성 자모 기호 중 7개의 합성 모음의 변형예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들 21개의 모음은, "sky", "people", "land"로 분해되는 바와 같이, "|", " ·", "-"라고 표기되는 3가지의 표음 기본어(primitive)로 분해된다. 각각의 모음은 이러한 3가지의 표음 기본어들의 소정의 키 조합에 대응하므로, 이러한 21개의 모든 모음들은 오직 이러한 3개의 키만을 사용하여도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입력될 수 있다. 그러나, "천지인"과 같이 분해하는 것은 자음에는 적용되지 않고, 모음에만 적용된다.
멀티탭(multitap) 또는 자동 변조 문자 입력(predictive text entry)을 이용하는 키패드 시스템도 있다. 키패드의 키 각각에는 두 가지 타입의 문자 입력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기호가 그 표면에 지정되어 있다. 멀티탭 문자 입력의 경우에는, 사용자는 키의 제1 기호를 입력하려면 키를 한 번 누르고, 그 키의 제2 기호를 입력하려면 키를 두 번 누른다. 자동 변조 문자 입력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각각의 기호에 대해서 키를 한 번씩 누르면, 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하려는 문자로 자동 변조한다. 자동 변조 문자 입력은, 각각의 기호에 대해서 키를 누르는 회수가 평균적으로 적게 요구되므로, 더 선호되고 있다.
C.A. Kushler 등이 1999년 8월 31일에 허여받은,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For the Korean Language"라는 명칭의 미국특허 제5,945,928호는 여러 키들이 자음과 모음을 공유하는 키패드 배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특허 제5,945,928호도 또한, 키패드 배치에 있어서 단순 자모 기호 중 14개의 자음을 표준 한글 순서로 위치시키고, 단순 자모 기호 중 10개의 모음을 표준 한글 순서로 위치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미국특허 제5,945,928호에 개시된 다양한 키패드 배치는, 어떤 키에는 모음 없이 하나 이상의 자음을 갖고, 어떤 키에는 하나의 이상의 모음과 함께 하나의 자음을 갖는다. 이와 같이 일정하지 않은 기호의 배치는 문자 입력 방법을 비효율적이게 한다.
한국어의 여러 문자들을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각각의 키들을 명확하고 합리적으로 타자할 수 있는 타법 기반의 표의 문자 입력용 키패드가 필요하다. 특히, 자음과 모음을, 키패드 전체에 걸쳐 논리적이고 분별이 용이한 배열로 일정하게 배치시킨 한국어 문자 입력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한국어 문자 입력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특히 데이터 입력 키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입력 키는 각각의 키가 숫자, 표음 자음, 및 표음 모음과 연관된 순서화된 어레이로 배치된 10개 이상의 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표음 자음과 표음 모음은 한국어의 한글 문자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한국어의 자모 기호이다. 모든 데이터 입력 키는 비기식 자음(non-aspiration consonant)을 포함하고, 데이터 입력 키 중 4개의 키는 비기식 자음 외에 기식 자음(aspiration consonant)을 포함한다. 기식 자음과 비기식 자음 모두를 갖는 4개의 키에 있어서, 비기식 자음과 기식 자음은 발음 상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그룹지어진다. 보다 상세히는, 제1키는 기역 자음 및 키읔 자음과 연관되고, 제2키는 디귿 자음 및 티읕 자음과 연관되며, 제3키는 비읍 자음 및 피읖 자음과 연관되고, 제4키는 지읒 자음 및 치읓 자음과 연관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키와, 복수의 키에 연결된 제어기와, 제어기에 연결된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키는 각각의 키가 표음 자음과 표음 모음에 연관된 순서화된 어레이로 배치된다. 제어기는 복수의 키들 중 제1 선택을 삭제하고 선택된 키 중 소정의 표음 자음에 제1 선택을 연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기는 제1 선택에 후속한 제2 선택을 삭제하고, 제2 선택을 소정의 표음 모음에 연관시킬 수 있다. 표시부는 소정의 표음 자음과 소정의 표음 모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적용된 휴대용 무선 장치의 일례의 정면 평면도.
도 2는 원격 트랜시버와 통신하는 도 1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블럭도.
도 3은 한국어의 단순 자모 기호 중 14개의 자음을 도시하는 표.
도 4는 한국어의 단순 자모 기호 중 10개의 모음을 도시하는 표.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양호한 키패드 배치의 개략도.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키패드 배치의 제1 대체예의 개략도.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키패드 배치의 제2 대체예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전자 장치
128 : 데이터 입력 키
302 내지 328 : 표음 자음
402 내지 420 : 표음 모음
330 : 비기식 자음
332 : 기식 자음
본 발명은 표음 문자, 특히 아시아 지역 언어 문자의 데이터 입력을 위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특히 데이터 입력 키에 관한 것이다. 도면과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신호의 무선 통신용 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한국어 문자의 데이터 입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무선 전화기, 호출기, 계산기, 휴대용 소형 장치,개인 휴대 단말기 등의 어떤 종류의 휴대용 전자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한다. 본 발명은 특히 한국어 등의 아시아 지역 언어에 유용하지만, 표음 기호로부터 형성된 표의 문자를 이용하는 세계의 기타 다른 언어들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100)는 상부(110)와, 이 상부의 한 단부(114)에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부(112)를 갖는 폴더형의 휴대용 전자 장치이다. 상부(110)는 귀에 대는 수화구(116)와, 표시부(118)를 포함하고, 하부(1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와 마이크로폰 송화구(122)와 수신 육안 표시기(124)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100)는 안테나, 충전지 팩, 외부 접속기, 별도의 제어기 등, 본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무선 전화기(도시되지 않음)의 기타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기능 키(126)와 데이터 입력 키(128)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100)의 경우, 기능 키(126)는 하부의 상단에 위치되어 있으며, 메뉴 선택 키(130, 132, 134), (상하좌우의) 방향 키(136), 메시지 검색 키(138), 저장 키(140), 통화 키(142), 취소 키(144), 종료 키(14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능 키(126)는 바람직한 실시예(100)에 제공된 상기의 구성에 제한되지 않으며, 음량 제어 키, 음성 녹음 키, 장치 설정 제어 등의 사용자 프로그램 가능 제어 버튼 또는 기타 다른 프로그램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100)의 데이터 입력 키(128)는 하부의 하단에 위치되어 있으며, 10개의 숫자 키 즉, "1" 부터 "9"까지와 "0", 그리고 "*" 키와 "#" 키의 총 12개의 키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 키는 4행의 매트릭스형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행은 통상의 전화기 키패드와 유사하게 3개의 키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키(128)는 숫자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자모 기호를 입력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따라서, 각각의 키는 장치의 입력 모드에 따라서 숫자 또는 자모 기호 중 하나를 입력하도록 사용된다. 장치의 입력 모드는 하나 이상의 기능 키를 선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소정의 메뉴 선택 키(130, 132, 134)를 누름으로써 숫자 입력 모드와 문자 타자 입력 모드 사이에서 토글링(toggling)할 수 있다.
장치의 표시부(118)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100)의 신호 강도 표시기(156), 전력 표시기(160)와 같이 장치의 일반적인 동작에 대한 소정의 표시기가 제공된다. 기능 키들 중 메뉴 선택 키(130, 132, 134)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표시기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도 1의 바람직한 실시예(100)로부터 알 수 있듯이, 하부(112)의 최상단에는 3개의 메뉴 선택 키(130, 132, 134)가 제공된다. 또한, 표시부(118)의 하단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메뉴 선택 키(130, 132, 134)에 대응하는 3개의 메뉴 선택 표시기(162, 164, 166)가 지정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 트랜시버(202)와 통신하는 무선 전화기(200)의 형태로 된 바람직한 실시예(100)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전화기(200)는 안테나(206), 수신기(208), 송신기(210), 복조기(212), 변조기(213), 제어기(214), 사용자 인터페이스(216)를 포함한다. RF 신호의 수신 시에, 무선 전화기(200)는 안테나(206)를 통해서 RF 신호를 검출하고, RF 검출 신호를 생성한다. 안테나(206)에 연결된 수신기(208)는 RF 검출 신호를 전자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한다. 변조기(212)는 전자 베이스밴드 신호를 변조하여, RF 신호 상으로 송신된 데이터를 복원하고, 이 데이터를 제어기(214)로 출력한다. 제어기(214)는 이 데이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16)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인식 가능한 음성 또는 정보로 포맷팅(formatting)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6)는 수신된 음성 또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216)는 표시부(218), 키패드(220), 스피커(222), 마이크로폰(224)을 포함한다.
또한, 무선 전화기(200)는 자모 기호와 한글 문자 등의 데이터를 저장 ·검색하기 위한 메모리(226)를 더 포함한다. 제어기(214)는 정보를 메모리(226)에 저장하고, 조작하고, 검색하는 각종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214)는 키패드(220)로부터 검색 요소나 기호를 입력함으로써 미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 메모리(226)를 검색할 수 있게 한다. 검색 시, 제어기(214)는 입력된 검색 요소나 기호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비교한다. 일치하는 것이 발견되면, 그 일치하는 데이터가 표시부(218) 상에 표시된다.
무선 전화기(200)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원격 트랜시버(202)로 전송할 때, 사용자 인터페이스(216)는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제어기(214)로 전송한다. 통상적으로, 제어기(214)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클럭 발생기, 전력 증폭기 제어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제어기(2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16)로부터 얻은 정보를 포맷팅하고, 이를 변조기(213)로 송출하여 반송파 변조하며, 그 다음 송신기(210)로 송출하여 RF 변조 신호로 변환한다. 송신기(210)는 이 RF 변조 신호를 안테나(206)로 송출하여 원격 트랜시버(202)로 전송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한국어의 24개의 단순 자모 기호는 14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을 포함한다. 이들 24개의 단순 자모 기호는 한국어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모 기호이다. 14개의 자음(330, 332)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숫자 순서대로, 기역(302), 니은(304), 디귿(306), 리을(308), 미음(310), 비읍(312), 시옷(314), 이응(316), 지읒(318), 치읓(320), 키읔(322), 티읕(324), 피읖(326), 히읗(328)의 어순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10개의 모음(430)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숫자 순서대로, 아(402), 야(404), 어(406), 여(408), 오(410), 요(412), 우(414), 유(416), 으(418), 이(420)의 어순으로 되어 있다. 10개의 자음 즉, 기역(302), 니은(304), 디귿(306), 리을(308), 미음(310), 비읍(312), 시옷(314), 이응(316), 지읒(318)은 비기식 자음(330)이고, 치읓(320), 키읔(322), 티읕(324), 피읖(326), 히읗(328)은 기식 자음(332)이다. 기식 자음(332)은, 호흡 시에 들을 수 있는 날숨(puff)에 의해서 수반되는 발화의 조음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비기식 자음(330)과는 다르다. 비기식 자음(330)을 발음하는 데 비하여, 기식 자음(332)은 사용자가 보다 많은 강세 또는 분절로 발음하게 한다.
4개의 기식 자음(320, 322, 324, 326)은 발음 상의 유사성으로 인해 4개의 비기식 자음(318, 302, 306, 312)에 각각 짝지워진다. 한국어의 원어민에게, 기역자음(302)의 "G" 소리는 키읔 자음(322)의 "K" 소리와 유사하게 인식된다. 마찬가지로, 디귿 자음(306)의 "D" 소리는 티읕 자음(324)의 "T" 소리와 유사하고, 비읍 자음(312)의 "B" 소리는 피읍 자음(326)의 "P" 소리와 유사하며, 지읒 자음(318)의 "J" 소리는 치읓 자음(320)의 "CH" 소리와 유사하다. 따라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일한 키 상에는 기식 자음(320, 322, 324, 326)과 그에 대응하는 (유사하게 발음되는) 비기식 자음(318, 302, 306, 312)이 짝지워지도록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키패드는 적어도 10개의 키 즉, 0과 1부터 9까지의 각각의 숫자에 대해서 하나의 키를 가지므로, 이 키들 상에 10개의 비기식 자음(330)과 10개의 기식 모음(420)을 위치시키는 것은 매우 편리하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 키(128)의 바람직한 키패드 배치(500)를 도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100)의 데이터 입력 키(128)는 10개의 숫자 키 즉, "0"과 "1"부터 "9"까지의 키, 및 "*" 키와 "#" 키의 총 12개의 키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 키(128)는 숫자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자모 기호를 입력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입력 키(128)의 키들은 대응하는 숫자의 오른쪽에 자모 기호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각 자모 기호를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자음과 모음을 구별할 수 있다면, 키에서 자모 기호의 위치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각각의 키는 숫자를 입력하거나 자모 기호를 입력하는 데 사용된다.
도 5의 바람직한 키패드 배치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순서화된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10개의 키 즉, 키 "1" 내지 "9" 및 키 "0"을 포함한다. 이 바람직한 키패드 배치(55)의 목적상, 키 "*" 및 "#"은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로 취급되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각 키는 적어도 하나의 표음 자음과 하나의 표음 모음과 연관된다. 구체적으로는,
키 "1"은 기역(302), 아(402), 키읔(322)과 연관되고;
키 "2"는 니은(304), 야(404)와 연관되며;
키 "3"은 디귿(306), 어(406), 티읕(324)과 연관되고;
키 "4"는 리을(308), 여(408)와 연관되며;
키 "5"는 미음(310), 오(410)와 연관되고;
키 "6"은 비읍(312), 요(412), 피읖(326)과 연관되며;
키 "7"은 시옷(314), 우(414)와 연관되고;
키 "8"은 이응(316), 유(416)와 연관되며;
키 "9"는 지읒(318), 으(418), 치읓(320)과 연관되고;
키 "0"은 히읗(328), 이(420)와 연관된다.
10개의 키 모두는 단순 자모 기호 중 하나의 모음과 하나의 비기식 자음을 갖는다. 키 "1", "3", "6", "9"는 기식 자음(320, 322, 324, 326)을 더 포함하고, 이들은 대응하는 비기식 자음(318, 302, 306, 312)과 짝지워진다. 그러므로, 24개의 단순 자모 기호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키들에 고루 분포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자음을 갖는 4개의 키에는 유사한 소리의 자음이 함께 짝지워져 있으므로, 사용자는 적합한 키를 자음의 발음에 기초하여 쉽게 찾을 수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기식 자음(302-318, 328)과 모음(402-420)은 순서화된 어레이 형태의 키 "1" 내지 "9" 및 키 "0"에 대하여 그 어순(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모 기호 순서)으로 바람직한 키패드 배치로서 제공된다.
바람직한 키패드 배치 (및 이하 설명되는 제1 대체예의 키패드 배치)의 중요한 특징은 각각의 키가 적어도 하나의 자음과 적어도 하나의 모음을 갖는다는 것이다. 한국어 자모 기호가 결합되어 한국어 한글 문자를 만드는데, 전형적인 한글 문자의 구조는 자음-모음 및 자음-모음-자음의 형태이다. 1개의 자음과 1개의 모음을 가진 키를 선택하는 경우, 키패트 입력 시스템은 각각의 한글 문자 입력에 있어서 키의 제1 선택 시에는 자음으로 간주하고 키의 제2 선택 시에는 모음으로 간주한다. 2개의 자음과 1개의 모음을 가진 키를 선택하는 경우, 키패드 입력 시스템은 각각의 한글 문자 입력에 있어서 키의 제1 선택 시에는 두 자음 중 하나로 간주하고 키의 제2 선택 시에는 모음으로 간주한다. 2개의 자음 간의 선택을 위해, 또한 1개 이상의 자음 및/또는 모음을 갖는 키에서의 선택을 위해, 자동 변조 문자 입력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술된 바람직한 키패드 배치(500)에 있어서, 10개의 키 모두는 사용자가 원하는 모음을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이 10개의 키 중 6개의 키는 사용자가 원하는 자음을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자음을 갖는 나머지 4개의 키는 자음들 중에서 선택하는 데 있어서 자동 변조 문자 입력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자음을 판정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 키(128)의 제1 대체예의 키패드배치(600)를 도시한다. 제1 대체예의 키패드 배치(600)는 33개의 확장 자모 기호를 포함하는 것 외에는 도 5에 도시된 바람직한 키패드 배치(500)와 유사하다. 특히, 제1 대체예의 키패드 배치(600)는 5개의 이중 자음(602, 604, 606, 608, 610)과 4개의 이중 모음(612, 614, 616, 618)을 포함한다. 이중 자음(602, 604, 606, 608, 610)은 단순 자음(302, 306, 312, 314, 318)과 각각 짝지워지고, 이와 같이 각각 짝지워진 쌍은 동일 키에 있다. 유사하게, 이중 모음(612, 614, 616, 618)은 단순 모음(402, 404, 406, 408)과 각각 짝지워지고, 이와 같이 각각 짝지워진 쌍은 동일 키에 있다. 제1 대체예의 키패드 배치(600)가 5개의 이중 자음(602, 604, 606, 608, 610)과 4개의 이중 모음(612, 614, 616, 618)을 제공하고 있지만, 전자 또는 후자가 24개 단순 자모 기호와 함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제1 대체예의 키패드 배치(600)는 5개의 이중 자음(602, 604, 606, 608, 610)과 24개의 단순 자모 기호를 갖거나, 4개의 이중 모음(612, 614, 616, 618)과 24개의 단순 자모 기호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입력 키(128)의 제2 대체예의 키패드 배치(700)를 도시한다. 제2 대체예의 키패드 배치(700)는 도 5에 도시된 바람직한 키패드 배치(500)와 유사하지만, 단순 자모 기호 중 10개의 모음을 3개의 기본 모음 즉, 천지인 분해 방식의 기호(702, 704, 706)로 대체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자모 기호의 14개의 자음(302, 304, 306, 308, 310, 312, 314, 316, 318, 320, 322, 324, 326, 328)은 키 "1" 내지 "9"에 배치되고, 천지인 분해 방식의 3개의 기호(702, 704, 706)는 키 "*", "0", "#"에 대응한다. 천지인 분해방식의 3개의 기호(702, 704, 706)는 자모 기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21개의 모음을 입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키패드 배치(500) 및 제1 대체예의 키패드 배치(600)와 비교하면, 제2 대체예의 키패드 배치(700)에서 히읗(328)은 천지인 분해 방식의 3개의 기호(702, 704, 706)의 편리한 조작을 위해 키 "0" 대신 키 "8"에 대응한다. 이러한 제2 대체예의 배치는 상술한 비기식 자음 및 기식 자음의 배치에 있어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이면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하고 있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하게 수정, 변경, 변화, 치환,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국어의 여러 문자들을 처리할 수 있으면서도 각각의 키들이 명확하고 합리적으로 타자되는 타법 기반의 표의 문자 입력용 키패드가 제공된다. 특히, 자음과 모음을 키패드 전체에 걸쳐 논리적이고 분별이 용이한 배열로 일정하게 배치시킨 한국어 문자 입력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16)

  1. 휴대용 전자 장치(100)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20)는 순서화된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적어도 9개의 키를 포함하고, 각각의 키는 표음 자음(302 내지 328) 및 표음 모음(402 내지 420)과 연관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키는 숫자 1, 2, 3, 4, 5, 6, 7, 8, 9 중 하나와 연관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키는 표음 모음 : 아(402), 야(404), 어(406), 여(408), 오(410), 요(412), 우(414), 유(416), 으(418), 이(420) 중 하나와 연관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키는 비기식 자음(330)과 연관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키는 비기식 자음 : 기역(302), 니은(304), 디귿(306), 리을(308), 미음(310), 비읍(312), 시옷(314), 이응(316), 지읒(318), 히읗(328) 중 하나와 연관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 중 4개의 키는 적어도 2개의 표음 자음(302 내지 328)을 갖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키 각각은 비기식 자음(330) 및 기식 자음(332)과 연관되고, 상기 비기식 자음 및 기식 자음(330, 332)은 발음의 유사성에 기초하여 그룹지어지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키는 비기식 자음 : 기역(302), 니은(304), 디귿(306), 리을(308), 미음(310), 비읍(312), 시옷(314), 이응(316), 지읒(318), 히읗(328) 중 하나와 연관되고,
    상기 4개의 키 각각은 키읔(322), 티읕(324), 피읖(326), 치읓(320) 중 하나와 연관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키 중 제1키는 기역(302) 자음 및 키읔(322) 자음과 연관되고,
    상기 4개의 키 중 제2키는 디귿(306) 자음 및 티읕(324) 자음과 연관되며,
    상기 4개의 키 중 제3키는 비읍(312) 자음 및 피읖(326) 자음과 연관되고,
    상기 4개의 키 중 제4키는 지읒(318) 자음 및 치읓(320) 자음과 연관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음 자음(302 내지 328)과 모음은 한국어 한글 문자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한국어 자모 기호인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9개의 키(128)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단순 자음(302, 306, 312, 314, 318)과 동일한 키에, 이중 자음(602, 604, 606, 608, 610)을 포함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9개의 키(128)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단순 모음(402, 404,406, 408)과 동일한 키에, 이중 모음(612, 614, 616, 618)을 포함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3. 한국어 문자 입력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20)에 있어서,
    기역(302) 자음 및 키읔(322) 자음과 연관되는 제1키;
    디귿(306) 자음 및 티읕(324) 자음과 연관되는 제2키;
    비읍(312) 자음 및 피읖(326) 자음과 연관되는 제3키; 및
    지읒(318) 자음 및 치읓(320) 자음과 연관되는 제4키
    를 포함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음 자음(302 내지 328) 중에서, 니은(304), 리을(308), 미음(310), 시옷(314), 이응(316), 히읗(328) 중 하나와 각각 연관되는 6개의 키
    를 더 포함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5. 제13항에 있어서,
    천지인 분해 방식의 3개의 표음 기본어와 각각 연관되는 제5키, 제6키, 제7키
    를 더 포함하는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16. 휴대용 통신 장치(100)에 있어서,
    표음 자음(302 내지 328) 및 표음 모음(402 내지 420)과 연관되는 각각의 키가 순서화된 어레이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키;
    상기 복수의 키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키의 제1 선택을 검출하여 그 제1 선택을 선택된 키의 특정 표음 자음(302 내지 328)과 연관시키고, 상기 복수의 키의 상기 제1 선택에 후속하는 제2 선택을 검출하여 그 제2 선택을 특정 표음 모음(402 내지 420)과 연관시키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며, 상기 특정 표음 자음(302 내지 328) 및 특정 표음 모음(402 내지 420)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KR1020020068863A 2001-11-08 2002-11-07 한국어 문자 입력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인터페이스 KR200300384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05,718 2001-11-08
US10/005,718 US20030088398A1 (en) 2001-11-08 2001-11-08 User interface of a keypad entry system for korean text inp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499A true KR20030038499A (ko) 2003-05-16

Family

ID=2171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863A KR20030038499A (ko) 2001-11-08 2002-11-07 한국어 문자 입력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인터페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30088398A1 (ko)
KR (1) KR200300384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884B1 (ko) * 2007-12-07 2009-08-31 차창호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휴대용 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2053B2 (en) 1998-12-04 2010-05-04 Tegic Communications, Inc. Explicit character filtering of ambiguous text entry
US8938688B2 (en) 1998-12-04 2015-01-20 Nuance Communications, Inc.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US7403888B1 (en) * 1999-11-05 2008-07-22 Microsoft Corporation Language input user interface
US20100122164A1 (en) * 1999-12-03 2010-05-13 Tegic Communications, Inc. Contextual prediction of user words and user actions
GB2374181B (en) * 2001-04-04 2005-02-16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583440B2 (en) * 2002-06-20 2013-11-12 Tegic Communic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JP3995093B2 (ja) * 2002-09-20 2007-10-24 富士通株式会社 ハングル文字入力方法,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ハングル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8095364B2 (en) 2004-06-02 2012-01-10 Tegic Communications, Inc. Multimodal disambiguation of speech recognition
KR100651384B1 (ko) * 2004-09-16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US7599829B2 (en) * 2005-07-29 2009-10-06 Microsoft Corporation Phonetic searching using partial characters
US20090306978A1 (en) * 2005-11-02 2009-12-10 Listed Ventures Pty Ltd Method and system for encoding languages
KR100802620B1 (ko) * 2006-02-03 200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24141B1 (ko) * 2006-12-29 2007-05-31 주식회사 네오패드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US8413049B2 (en) * 2007-08-31 2013-04-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nabling the generation of a proposed character interpretation of a phonetic text input in a text disambiguation environment
US20110060585A1 (en) * 2008-02-01 2011-03-10 Oh Eui Jin Inputting method by predicting character sequence and electronic device for practicing the method
US7721222B1 (en) * 2009-06-10 2010-05-18 Cheman Shaik Dynamic language tex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8315851B2 (en) * 2010-06-30 2012-11-20 Business Objects Software Limited Phonetic keys for the Japanese language
US8358776B1 (en) * 2011-03-31 2013-01-22 Shoretel, Inc. Telephone microphone
US20120331383A1 (en) * 2011-06-27 2012-12-27 Choung Shik Park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of Korean Characters
US8554781B2 (en) * 2011-12-27 2013-10-08 Mordechai Teicher Shorthand for data retrieval from a database
WO2013105793A2 (ko) * 2012-01-09 2013-07-18 Ryu Jungha 문자 이미지 편집 장치에서의 문자 이미지 편집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20130222262A1 (en) * 2012-02-28 2013-08-29 Microsoft Corporation Korean-language input panel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149A (ko) * 2000-01-11 2000-04-06 김광원 전화한글자판의 배열과 사용방법
KR20000005855U (ko) * 1998-09-01 2000-04-06 양기호 한글자모배열 전화기자판
KR20000020929A (ko) * 1998-09-24 2000-04-15 홍범준 전화기 글자입력방법 및 그 자판부
KR20000042959A (ko) * 1998-12-28 2000-07-15 서평원 전화기 자판이 부착된 한글 입력장치 및 그방법
KR20010036028A (ko) * 1999-10-05 2001-05-07 윤종용 한글조합방법
KR20010070793A (ko) * 2001-06-08 2001-07-27 강병주 휴대전화 및 전화기의 번호판을 이용한 한글입력 시스템
KR20010091821A (ko) * 2000-03-18 2001-10-23 권혁철 전화기의 한글문자 입력을 위한 한글 자음 모음 코드 및자음 모음 배치 방법
KR20020017384A (ko) * 2000-08-30 2002-03-07 윤종용 휴대폰에서 한글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609807A (pt) * 1995-07-26 1999-12-21 Martin T King Sistema para anulação de ambiguidade com teclado reduzido
US5945928A (en) * 1998-01-20 1999-08-31 Tegic Communication, Inc.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for the Korean language
US6170000B1 (en) * 1998-08-26 2001-01-02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interface, and associated method, permitting entry of Hangul sound symbols
KR100353461B1 (ko) * 1999-12-31 2002-09-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기능 확장 방법
US6462678B1 (en) * 2000-03-24 2002-10-08 Matthew Y. Ahn Phonetic Korean Hangul keyboard system
US6810374B2 (en) * 2001-07-23 2004-10-26 Pilwon Kang Korean romaniz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855U (ko) * 1998-09-01 2000-04-06 양기호 한글자모배열 전화기자판
KR20000020929A (ko) * 1998-09-24 2000-04-15 홍범준 전화기 글자입력방법 및 그 자판부
KR20000042959A (ko) * 1998-12-28 2000-07-15 서평원 전화기 자판이 부착된 한글 입력장치 및 그방법
KR20010036028A (ko) * 1999-10-05 2001-05-07 윤종용 한글조합방법
KR20000018149A (ko) * 2000-01-11 2000-04-06 김광원 전화한글자판의 배열과 사용방법
KR20010091821A (ko) * 2000-03-18 2001-10-23 권혁철 전화기의 한글문자 입력을 위한 한글 자음 모음 코드 및자음 모음 배치 방법
KR20020017384A (ko) * 2000-08-30 2002-03-07 윤종용 휴대폰에서 한글 입력 방법
KR20010070793A (ko) * 2001-06-08 2001-07-27 강병주 휴대전화 및 전화기의 번호판을 이용한 한글입력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884B1 (ko) * 2007-12-07 2009-08-31 차창호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휴대용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88398A1 (en) 200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8499A (ko) 한국어 문자 입력용 키패드 입력 시스템의 사용자인터페이스
EP09307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information
US63075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chinese-characters through virtual keyboards to data processor
KR20000049205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 매체
CA2522604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JP2006318497A (ja) 外部機器から入力されたデータの処理が可能な携帯用情報機器及びその方法
KR19990036989A (ko)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US6870528B2 (en) Portable mobile unit
KR20000007129A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JP2001331253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1006845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초성조합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881000B1 (ko)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324244Y1 (ko) 한글 자음 및 모음 입력을 위한 키패드
KR1005179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JP3267270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30089190A (ko) 통신기기용 중국어 입력장치
KR20040003092A (ko)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JP2002318655A (ja) 文字入力機能付き電話機、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KR100530491B1 (ko)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한국어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4373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한글 입력 방법
TW507138B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character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