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7438A -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 Google Patents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7438A
KR20030037438A KR1020010068467A KR20010068467A KR20030037438A KR 20030037438 A KR20030037438 A KR 20030037438A KR 1020010068467 A KR1020010068467 A KR 1020010068467A KR 20010068467 A KR20010068467 A KR 20010068467A KR 20030037438 A KR20030037438 A KR 20030037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th
bar
rolling
contro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4736B1 (ko
Inventor
장영상
전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736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2Rear end control; Front en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16Control of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 B21B37/22Lateral spread control; Width control, e.g. by edg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61/00Product parameters
    • B21B2261/02Transverse dimensions
    • B21B2261/04Thickness, gau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75/00Mill drive parameters
    • B21B2275/02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은 조압연의 폭압연기를 이용하여 바 톱,테일부의 폭을 증가시켜 다듬질압연시 바의 톱부 및 테일부의 과장력에 의한 폭부족분을 보상하는 방법으로서 수요가가 요구하는 목표폭으로 정확하게 폭압연을 실시하여 바의 절단불량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에 있어서, 다듬질압연이 완료된 강판의 두께별 톱, 테일부 폭부족량 실적을 기준으로 바의 톱, 테일부 폭압연시 폭의 증가량 및 증가부의 길이를 설정하는 제1단계, 상기 폭 증가부의 길이 및 각 패스 입측 바 두께를 이용하여 폭 증가 제어길이를 구하는 제2단계, 상기 제어길이를 기준하여 제어개시 시점을 설정하여 상기 시점에서 폭압연 완료까지 조압연 통판시간을 구하는 제3단계, 상기 조압연 통판시간을 이용하여 총 제어횟수를 구하고 상기 구해진 총 제어횟수를 이용하여 1회 바 폭의 제어량을 하기 수식 4에 의거하여 구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바의 폭 증가 제어개시 시점에서 상기 구해진 1회 바 폭의 제어량 만큼 일정 제어주기로 폭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바의 테일부까지 폭을 제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A METHOD FOR ROLLING THE TOP AND TAIL PART'S WIDTH OF BAR IN HOT ROLLING}
본 발명은 열연공정에서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소의 열연공정의 중간 압연공정인 조압연에서 폭 압연기를 이용하여 후단의 다듬질압연에서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의 과장력에 의한 폭부족 현상을 보상하는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열연공장의 가열로에서 약 200분 정도로 가열된 슬라브(slab)는 조압연기에서 두께가 약 25~50mm, 폭이 약 700~2150mm 인 바(bar)로 압연되고 이어 사상 압연기에서는 복수개의 압연기를 구비하여 더 얇은 두께인 약 1.0~25.4mm 의 스트립(strip)으로 압연한다. 상기 스트립은 후단에서 코일(coil)로 권취된다.
상기와 같이 조압연 공정은 사상 압연기에서 압연하기 좋도록 가열로에서 나온 충분히 균열된 슬라브(slab)를 상기한 소정의 두께 및 폭을 가지는 바(bar)가 되도록 통상 약 3~9패스로 정전 및 역전 압연하는 공정이다. 상기 조압연이 끝난 소재는 수요자가 요구하는 최종적인 두께로 압연하는 사상 압연기에서 통상 약 5~7개의 연속된 압연기를 사용하여 고속(최대 1500mpm)으로 압연한다.
상기와 같이 고속으로 압연하는 사상 압연기에서는 인접한 전후의 압연기 간의 스피드가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으면 강판의 톱부(top part) 및 테일부(tailpart) 압연시 과장력 또는 느슨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강판의 톱부 및 테일부 압연시 느슨현상이 발생하면 통판성이 나빠져 강판이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되어 압연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써 작업자는 의도적으로 과장력을 유지하는 운전을 하게 된다. 반면에 과장력으로 작업할 경우 강판의 톱부 및 테일부의 폭부족 현상이 발생하여 수요자가 요구하는 최종폭을 제조하기 어렵게 된다. 예를 들어, 조압연공정의 다음 공정인 연속열간 압연기에서의 압연시 상기 바의 톱부가 F(n) 스탠드를 통과한 후 다음의 F(n+1) 스탠드에 막 진입하여 두 스탠드가 동시에 바의 톱부를 물게되는 경우 상기 F(n) 스탠드의 속도보다 상기 F(n+1)의 스탠드의 속도가 더 빠르게 되면 상기 바의 톱부에 텐션이 강하게 걸려 과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바의 톱부는 폭부족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후공정인 다듬질 압연 공정에서의 강판의 톱, 테일부 폭부족량을 보정하기 위하여 종래의 바(bar) 폭 압연방법은 열연공정에서 바의 전장에 걸쳐서 수요가가 요구하는 폭보다 5~10mm 정도 증가한 폭으로 제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는 수요가가 강판을 재가공할 경우 증가한 폭만큼 전장에 걸쳐서 절단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한 실수율 저하 및 절단시에 강판의 톱, 테일부 폭부족분의 절단불량으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듬질 압연 공정에서는 연속된 압연기의 스피드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기술 및 강판의 톱, 테일부 압연시 적정 정력을 부가하는 등의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엄격해지는 수요가의 품질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조압연공정에서 바의 톱부와 테일부 폭압연시 바의 폭과 길이를 미리 증가시켜 줌으로써 다듬질 압연시 과장력에 의한 폭부족현상을 보상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증가되는 폭과 길이를 정확히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결과를 이용하여 제어개시 시점에 조압연 통판을 실시함으로써 정확한 폭압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추가적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 제조를 위한 열연공정의 조압연설비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바의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두께별 톱부 폭 증가량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두께별 톱부 폭 증가부 길이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두께별 테일부 폭 증가량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두께별 테일부 폭 증가부의 길이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의 폭을 압연하는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조압연설비 12 : 폭압연기
13 : 열간센서 14 : 조압연 폭제어기
15 : 조압연기 16 : 바(bar)
a : 바의 톱부 폭 증가량 b : 바의 톱부 증가부의 길이
c : 바의 테일부 폭 증가량 d : 바의 테일부 증가부의 길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다듬질압연에서 발생되는 바 폭부족 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역전압연이 가능한 조압연기에 복수개의 패스를 통해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에 있어서,
다듬질압연이 완료된 강판의 두께별 톱, 테일부 폭부족량 실적을 기준으로 하여 바의 톱, 테일부 폭압연시 폭의 증가량 및 증가부의 길이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폭 증가부의 길이 및 각 패스 입측 바 두께를 이용하여 폭 증가 제어길이를 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어길이를 기준하여 제어개시 시점을 설정하여 상기 시점에서 폭압연 완료까지 조압연 통판시간을 구하는 제3 단계;
상기 조압연 통판시간을 이용하여 총 제어횟수를 구하고 상기 구해진 총 제어횟수를 이용하여 1회 바 폭의 제어량을 구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바의 폭 증가 제어개시 시점에서 상기 구해진 1회 바 폭의 제어량 만큼 일정 제어주기로 폭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바의 테일부까지 폭을 제어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바 제조를 위한 열연공정의 조압연설비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압연공정의 역전압연이 가능한 조압연설비(11)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상기 조연압설비(11)에는 조압연기(15)의 전,후면에 폭압연기(12)가 설치되고 바(16)가 상기 조압연기(15) 사이로 통과하면서 압연이 된다. 상기 바(16)가 전진, 후진을 반복하면서 조압연기(15)에 의해 압연되는데 이때, 상기 폭압연기(12)는 전진, 후진 중에 상기 바(16)의 폭을 제어한다. 상기 폭압연기(12)의 전,후면에는 통상적인 열간센서(13)이 설치되어 위치를 검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폭압연기(12)를 이용하여 폭압연할 때 압연방향의 테일부의 바 폭을 증가시키도록 제어를 실시하는 방법으로 폭 압연제어를 실시한다. 즉, 후공정인 다듬질 압연 소재인 바의 톱부 폭 증가제어는 조압연기(15)의 역전압연시 후면에 설치된 폭압연기(12-1)을 이용하고 바의 테일부 폭 증가제어는 전면에 설치된 폭압연기(12-2)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전, 후면에 설치된 폭압연기(12)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바의 톱, 테일부의 폭을 증가시켜 다듬질 압연시 톱, 테일부의 과장력에 의한 폭부족 현상을 보상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바의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의 톱부(21)와 테일부(23)를 후단의 다듬질 압연에서 폭부족분을 보상해 주기 위해 길이와 폭을 미리 크게, 넓게하는 것이다. 상기 길이와 폭은 본 발명에서 정확하게 계산되어진다. 이로써, 다듬질 압연시 과장력에 의한 폭부족분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길이와 폭을 미리 조정하기 위한 바의 제어개시 시점을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바를 조압연할 때 미리 제어를 개시하면 과장력에 의한 폭부족분 보다 더 많은 양의 폭을 증가시키고 늦게 제어를 개시하면 폭부족분 보다 적은 양의 폭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개시 시점을 또한 정확히 계산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폭압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바의 톱부 폭압연시 폭의 증가량(a) 및 증가부의 길이(b)를 정확하게 설정한다. 상기 증가량(a) 및 증가부의 길이(b)의 설정은 후공정인 다듬질 압연이 완료된 강판의 두께별 돕, 테일부 폭부족량 실적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한다. 이와 같이 폭 증가량 및 증가부의 길이의 설정은 강판의 두께별로 행할 수 있는데, 강판의 두께가 얇을수록 폭 증가량 및 증가부의 길이는 크고 강판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폭 증가량 및 증가부의 길이는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반복적인 실험으로 검증된다.
도 3은 강판두께별 톱부 폭 증가량을 보이는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는 반복적인 실험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관관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의 톱부 폭 증가량은 강판의 두께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상기 그래프는 근사적으로 1차원의 직선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하기 수식 1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수식 1]
바의 톱부 폭 증가량(a) = -5.0111 ×ln(강판두께) + 12.051
여기서, 상기 바의 톱부 폭 증가량과 강판두께의 단위는 mm이다.
또한, 도 4는 강판두께별 톱부 폭 증가부 길이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상기 그래프도 반복적인 실험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관관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의 톱부 폭 증가부 길이도 강판의 두께에 반비례함을 알 수 있다. 상기 그래프는 근사적으로 1차원의 직선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하기 수식 2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수식 2]
바의 톱부 폭 증가부 길이(b) = -5.4127 ×ln(강판두께) + 12.906
여기서, 상기 바의 톱부 폭 증가부 길이의 단위는 m이고 강판두께의 단위는 mm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강판두께별 바의 테일부 폭 증가량 및 증가부의 길이의 상관관계를 실험적으로 구한 그래프가 각각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강판두께별 바의 테일부 폭 증가량을 도시한 도 5의 그래프는 근사적으로 1차원의 직선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는 하기 수식 3과 같이 구해지며, 강판두께별 바의 테일부 폭 증가부 길이를 도시한 도 6의 그래프는 근사적으로 하기 수식 4과 같은 1차원의 직선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식 3]
바의 테일부 폭 증가량(c) = -3.2321 ×ln(강판두께) + 7.6356
여기서, 상기 바의 테일부 폭 증가량 및 강판두께의 단위는 mm이다
[수식 4]
바의 테일부 폭 증가부 길이(d) = -3.6205 ×ln(강판두께) + 8.5691
여기서, 상기 바의 톱부 폭 증가부 길이의 단위는 m이고 강판두께의 단위는 mm이다
상기와 같은 수식에 의해 구해진 값을 적용하여 소재인 바의 톱부 증가제어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바의 톱부 폭 증가제어는 조압연기 역전압연 즉, 짝수 패스시 후면에 설치된 폴압연기(12-1)을 이용하여 실시하고 바의 테일부 폭 증가제어는 조압연기 정전압연 즉, 홀수 패스시 전면에 설치된 폭압연기(12-2)를 이용하여 제어를 실행한다. 다시 말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의 톱, 테일부의 폭 증가제어는 좌우측 방향으로 전진(정전압연) 및 후진(역전압연)시키면서 실행한다. 이때, 첫번째 패스는 좌측 방향인 정전압연을 실행하고 두번째 패스는 우측 방향인역전압연을 실행하며 세 번째 패스는 또 다시 좌측 방향인 정전압연을 네 번째 패스는 우측방향인 역전압연을 실행한다. 따라서, 홀수패스는 정전압연을 실행하고 짝수패스는 역전압연을 실시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정연압연시에는 바의 톱부 폭 증가제어를 실시하고 역전압연시에는 바의 테일부 폭 증가제어를 실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바의 폭 증가부 길이를 이용하여 폭 증가 제어길이를 하기 수식 5에 의해 계산한다.
[수식 5]
제어길이 = 증가부의 길이 ×(강판의 두께 / 각 패스 입측 바 두께)
상기 수식 5에서의 상기 강판의 두께는 수요가가 요구하는 최종두께이며, 각 패스 입측 바 두께는 통상의 압연수식모델에 의해 미리 구해진 값을 적용한다.
상기 제어길이를 이용하여 제어개시 시점을 설정한다. 이하에서, 상기 제어개시 시점은 상술한 상기 폭압연기(12)의 전,후면에는 통상적인 열간센서(13)를 이용하여 설정된다. 즉, 폭압연기(12)의 전면에 설치된 통상적인 열간센서(13)의 신호를 이용하여 바의 테일부가 상기 열간센서(13)를 빠져나올 때의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준거리에서 제어길이를 뺀 값이 통과되는 시점이 제어개시 시점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개시 시점에서 바의 테일부 폭압연 완료까지의 조압연 통판시간은 하기 수식 6에 의해 계산된다.
[수식 6]
조압연 통판시간 = 제어길이 / 압연속도
상기 수식 6에서 상기 압연속도는 폭압연기(12)의 속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압연 통판시간을 이용하여 바의 제어횟수(n)를 하기 수식 7을 통해 계산한다.
[수식 7]
제어횟수(n) = 조압연 통판시간 / 제어주기
상기 수식 7에서 상기 제어주기는 조압연 폭제어기(14)의 처리속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0.01~0.1초이다.
또한, 상기 설정된 폭의 증가량과 제어횟수(n)를 이용하여 1회 바의 폭 제어량을 하기 수식 8의해 계산한다.
[수식 8]
1회 바의 폭 제어량 = 설정된 폭의 증가량 / 제어횟수(n)
상기 수식 8에서 구해진 상기 1회 바의 폭 제어량을 이용하여 바의 폭 증가 제어개시 시점에서 상기 제어량 만큼 일정 제어주기로 폭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바의 테일부까지 제어하는 과정을 거친다. 즉, 상기 폭 증가 제어는 폭압연기(12)의전면에 설치된 통상적인 열간센서(13)의신호를 이용하여 바의 테일부가 센서를 빠져나올 때의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준거리에서 제어길이를 뺀값이 통과되는 시점에서 상기 수식 8에서 구한 1회 바의 폭 제어량 만큼 일정 제어주기로 폭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바의 테일부까지 제어를 실시한다. 이 결과, 도 2와 같은 톱, 테일부의 폭이 증가된 형태의 바가 제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들과 수식들을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형태의 바 폭압연이 실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의 폭을 압연하는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한다.
먼저, 바의 폭 증가량 및 증가부의 길이를 설정한다(S701). 이어, 바의 폭 증가 제어길이를 계산하고 및 제어개시 시점을 계산한다.(S702). 상기 계산된 제어길이를 이용하여 조압연 통판시간을 계산한다(S703). 상기 계산된 조압연 통판시간을 이용하여 제어횟수(n)를 계산하고(S704) 1회 바의 폭 제어량을 계산한다(S705). 다음으로 일정 제어주기로 폭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바의 테일부까지 제어를 실시한다(S706).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열간 바 톱, 테일부 폭압연방법에 따른 일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바 폭의 증가량 및 증가부의 길이의 설정은 수식 1 내지 수식 4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즉, 강판두께가 3.2mm 인 경우 바의 톱부 증가량은 6.22mm(= -5.0111 ×ln(3.2) + 12.051)이고, 바의 톱부 폭 증가부 길이는 6.61m(= -5.4127 × ln(3.2) + 12.906)이며, 바의 테일부 폭 증가량은 3.88mm(= -3.2321 × ln(3.2) + 7.6356)이고 바의 테일부 폭 증가부 길이는 4.36m(= -3.62.5 × ln(3.2) + 8.5691)이다.
상기 증가부의 길이를 이용하여 폭 증가 제어길이를 계산하면, 패스 입측의 바 두께가 50mm일 경우 상기 수식 5에 의해 바 톱부의 증가 제어길이는 0.42m(= 6.61 × (3.2 / 50))이며, 바 테일부의 증가 제어길이는 0.28m(= 4.36 × (3.2 / 50))가 된다.
상기 증가 제어길이를 이용하여 제어개시 시점을 설정하면, 통상적인 열간센서(13)의 위치가 전, 후면 폭압연기(12)로부터 3.0m 지점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바의 제어개시 시점은 짝수 패스 즉, 바의 톱부는 테일부가 후면센서를 빠져 나온 후 2.58m(= 3.0 - 0.42)가 경과한 지점이며, 홀수 패스 즉, 바의 테일부는 테일부가 후면센서를 나져 나온 후 2.72m(= 3.0 -0.28)가 경과한 지점이 된다.
또한, 압연속도가 2.0m/초 인 경우 제어시점에서 테일부 폭압연 완료까지의 조압연 통판시간을 상기 수식 6에 의해 계산하면, 짝수 패스의 제어시간은 0.21초(= 0.42 / 2.0)이며, 홀수 패스의 제어시간은 0.14초(= 0.28 / 2.0)이다.
상기 제어시간을 이용하여 제어횟수를 상기 수식 7에 의해 계산하면, 제어주기가 0.22초 일 경우 짝수 패스의 제어횟수는 11회(= 0.21 / 0.02)이며, 홀수 패스의 제어횟수는 7회(= 0.14 / 0.02)이다.
상기 제어횟수 및 설정된 바의 톱부 폭 증가량 및 바의 테일부 폭 증가량을 이용하여 1회 바의 폭 제어량을 상기 수식 8에 의해 계산하면, 짝수 패스의 제어량은 0.57mm(= 6.22 / 11)이며, 홀수 패스의 제어량은 0.55mm(= 3.88 / 7)가 된다.
이와 같이 구한 1회 바의 폭 제어량 만큼 상기의 일정 제어주기로 폭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바의 테일부까지 제어하여 톱, 테일부의 폭을 보상한다.
따라서, 상기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다듬질압연에서의 과장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바 폭부족분에 대한 바 폭의 증가량 및 증가부의 길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값에 따라 조압연에서 미리 바의 톱, 테일부의 폭을 증가시켜 상기 바 폭부족분을 미리 보상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듬질압연에서 과장력으로 인해 발생되는 바의 폭 부족현상을 상기 다듬질압연의 전 공정인 조압연공정에서 이를 미리 보상해주기 위해 조압연공정에서 바의 폭 증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조압연에서 바를 제조할 때 바의 테일부 폭압연시 바의 폭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실행하여 바의 압연방향 테일부와 테일부를 제외한 전장부의 폭을 다르게 제조하고 다듬질압연시 과정력에 의한 톱부, 테일부의 폭부족현상을 보상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듬질압연에서 발생되는 과장력으로 인한 바 폭부족분을 조압연공정에서 미리 증가시켜 주어 상기 바 폭부족분을 보상함으로써 종래의 방법네서 수요가가 강판을 재가공할 경우 증가한 폭만큼 전장에 걸쳐서 절단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한 실수율 저하을 방지한다.
또한, 바의 절단시에 강판의 톱, 테일부 폭부족분의 절단불량이 발생되지 않아 생산성이 향상되며 수요가가 원하는 품질에 대응할 수 있다.

Claims (5)

  1. 다듬질압연에서 발생되는 바 폭부족 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역전압연이 가능한 조압연기에 복수개의 패스를 통해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에 있어서,
    다듬질압연이 완료된 강판의 두께별 톱, 테일부 폭부족량 실적을 기준으로 하여 바의 톱, 테일부 폭압연시 폭의 증가량 및 증가부의 길이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폭 증가부의 길이 및 각 패스 입측 바 두께를 이용하여 폭 증가 제어길이를 구하는 제2 단계;
    상기 제어길이를 기준하여 제어개시 시점을 설정하여 상기 시점에서 폭압연 완료까지 조압연 통판시간을 구하는 제3 단계;
    상기 조압연 통판시간을 이용하여 총 제어횟수를 구하고 상기 구해진 총 제어횟수를 이용하여 1회 바 폭의 제어량을 구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바의 폭 증가 제어개시 시점에서 상기 구해진 1회 바 폭의 제어량 만큼 일정 제어주기로 폭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바의 테일부까지 폭을 제어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의 톱,테일부 폭의 증가량 및 증가부의 길이, 상기 폭 증가 제어길이, 상기 조압연 통판시간, 상기 총 제어횟수 및 상기 1회 바 폭의 제어량은 하기 수식에 의거하여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수식]
    바의 톱부 폭 증가량 = -5.0111 ×ln(강판두께) + 12.051
    바의 톱부 폭 증가부 길이 = -5.4127 ×ln(강판두께) + 12.906
    바의 테일부 폭 증가량 = -3.2321 ×ln(강판두께) + 7.6356
    바의 테일부 폭 증가부 길이 = -3.6205 ×ln(강판두께) + 8.5691
    제어길이 = 증가부의 길이 ×(강판의 두께 / 각 패스 입측 바 두께)
    조압연 통판시간 = 제어길이 / 압연속도
    제어횟수 = 조압연 통판시간 / 제어주기
    1회 바 폭의 제어량 = 설정된 폭의 증가량 / 제어횟수.
    (여기서, 상기 압연속도는 상기 폭압연기의 속도이며, 상기 제어주기는 0.01~0.1초 임)
  3. 제 1항에 있어서,
    바의 톱부 폭 증가제어는 짝수 패스시 조압연기의 후면에 설치된 폭압연기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바의 테일부 폭 증가제어는 홀수 패스시 조압연기의 전면에 설치된 폭압연기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단계에서의 제어개시 시점은 폭압연기 전면에 설치된 열간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바의 테일부가 센서를 빠져나올 때의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기전거리에서 상기 폭 증가 제어길이를 뺀 값이 통과되는 시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두께는 다듬질압연이 완료된 수요가가 원하는 최종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KR1020010068467A 2001-11-05 2001-11-05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KR10058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467A KR100584736B1 (ko) 2001-11-05 2001-11-05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467A KR100584736B1 (ko) 2001-11-05 2001-11-05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438A true KR20030037438A (ko) 2003-05-14
KR100584736B1 KR100584736B1 (ko) 2006-05-30

Family

ID=2956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467A KR100584736B1 (ko) 2001-11-05 2001-11-05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4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411B1 (ko) * 2005-12-26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압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500102A (zh) * 2021-07-07 2021-10-15 中铝瑞闽股份有限公司 减少铝热精轧带尾跑偏轧漏的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082B1 (ko) 2018-08-30 2020-12-22 이준혁 소형 u형 바 냉간 압연 기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61307A (en) * 1978-10-31 1980-05-09 Nippon Kokan Kk <Nkk> Controlling method for sheet breadth in hot strip mill
JPH09122722A (ja) * 1995-11-02 1997-05-13 Nkk Corp 熱間圧延における板幅制御方法
KR100368229B1 (ko) * 1998-12-09 2003-03-17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압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0423422B1 (ko) * 1999-11-12 2004-03-19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테이퍼 바 압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411B1 (ko) * 2005-12-26 2007-04-30 주식회사 포스코 열간 압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500102A (zh) * 2021-07-07 2021-10-15 中铝瑞闽股份有限公司 减少铝热精轧带尾跑偏轧漏的轧制方法
CN113500102B (zh) * 2021-07-07 2023-06-23 中铝瑞闽股份有限公司 减少铝热精轧带尾跑偏轧漏的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4736B1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8091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finishing hot-rolling a steel strip
KR100604503B1 (ko) 판 압연시의 판 형상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A2173066C (en) Hot-rolling method of steel piece joint during continuous hot-rolling
KR101726046B1 (ko) 연주압연장치 및 연주압연방법
KR100584736B1 (ko) 열연공정의 바의 톱부 및 테일부 폭 압연방법
JP5108692B2 (ja) 熱間圧延機の板幅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5270982A (ja) 熱間圧延における被圧延材の冷却制御方法
KR101607055B1 (ko) 에지히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7307569A (ja) 先,後行金属板の幅揃え方法及び装置と連続圧延設備
KR20130070712A (ko) 디스케일링 분사 횟수 가감을 이용한 조압연 후면 온도 제어방법
JP5949691B2 (ja) 板幅制御方法及び板幅制御装置
KR100314853B1 (ko) 스트립의 미단부 형상 제어방법
JP2768638B2 (ja) 鋼片の連続熱間圧延方法
JP2001269708A (ja) 熱間圧延機のレベリング制御方法及び装置
JP2719216B2 (ja) 板圧延の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KR100775462B1 (ko) 슬라브 압연방법
JP2004034032A (ja) タンデム冷間圧延における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KR100496824B1 (ko) 온도계를 이용한 열연강판의 냉각제어방법
KR100990721B1 (ko) 연속압연에 의한 열간압연재의 냉각방법 및 그 장치
JP3506098B2 (ja) 板圧延における形状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3025008A (ja) 熱間圧延における被圧延金属材の冷却制御方法
AU710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finishing hot-rolling a steel strip
KR101657826B1 (ko) 조압연기의 역장입 제어 방법
JPH10258305A (ja) 熱間スラブの粗圧延における先後端形状制御方法
JPH09206814A (ja) 冷間圧延におけるエッジドロップ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