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395A - 인쇄회로기판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395A
KR20030035395A KR1020010067469A KR20010067469A KR20030035395A KR 20030035395 A KR20030035395 A KR 20030035395A KR 1020010067469 A KR1020010067469 A KR 1020010067469A KR 20010067469 A KR20010067469 A KR 20010067469A KR 20030035395 A KR20030035395 A KR 20030035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pcb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sm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0512B1 (ko
Inventor
정명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051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0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05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표면실장부품의 일측단자가 공용으로 결합 가능한 하나의 공용패드와;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부품의 타측단자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고유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실장 면적을 최소화하여 표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재료비가 절감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 Printed Circuit Board }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표면실장부품의 실장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전자공학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전기, 전자제품의 소형화 추세는 전자부품의 고밀도화, 초 소형화, 다양화를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초 소형화, 다양화된 전자부품(표면실장부품;Surface Mounting Device, 이하 SMD라 함)을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und, 이하 PCB라 함)에 실장하는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ing Technology, 이하 SMT라 함)의 새로운 개발 및 기능 향상을 가속화하도록 압력을 받고 있는 중 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PCB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출력값(전원 또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1은 종래 PCB(101)의 회로도이며 도2의 도1에 따른 PCB(101)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로 종래 PCB(10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에 따른 PCB(101)는 5V 또는 3.3V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로도를 가진다. 따라서, PCB(101)가 5V 전원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PCB(101)의 도1의 1과 2 사이에 도2와 같이 SMD(120a)를 연결하여야 한다. 그리고, PCB(101)가 3.3V 전원을 출력하여야 하는 경우, 도1의 3과 4사이에 도2와 같이 SMD(120b)를 연결시켜 3.3V 전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SMD(120a, 120b)는 SMD(120a, 120b)를 PCB(101)와 연결하는 패드(130)를 사이에 두고 PCB(101)와 결합된다. 따라서, 도2와 같이 두 개의 상이한 출력값을 출력하기 위한 PCB(101)의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과2 및 3과4에 각각 위치되는 4개의 패드(130)가 필요하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상이한 SMD(120a, 120b)는 선택적으로 PCB(101)에 장착되기 때문에 SMD(120a, 120b)가 장착되지 않는 패드(130)는 불필요한 부품으로남는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상이한 SMD(120a, 120b)가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면서도 불필요한 패드의 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면, 실장 면적을 최소화하여 표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비가 절감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제공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장 면적을 최소화하여 표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재료비가 절감되는 인쇄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인쇄회로기판의 회로구성도,
도 2는 도1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4는 도3의 회로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CB 10 : 배어 PCB
20a, 20b : SMD
30 : 패드부 31 : 공용패드
33a, 33b : 고유패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표면실장부품의 일측단자가 공용으로 결합 가능한 하나의 공용패드와;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부품의 타측단자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고유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각 고유패드는 상기 공용패드를 사이에 두고 선형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각 고유패드는 상기 공용패드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두고 배치 되는 것이, 인쇄회로기판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PCB의 부분 평면도이며, 도 4는 도3의 회로구성도 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CB(1)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출력값(전원 또는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배어(bare) PCB(10)와, 배어 PCB(10)의 두 개 출력값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값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연결하는 SMD(20a, 20b)와, 배어 PCB(10) 상에 장착되며 배어 PCB(10)와 SMD(20a, 20b) 사이에 개재되어 배어 PCB(10)와 SMD(20a, 20b)를 연결하는 패드부(30)를 포함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어 PCB(10)는 두 개의 전원 출력값(5V 또는 3.3V)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SMD(20a, 20b) 중 어느 하나가 5V 측에 마련된 후술할 패드부(30)와 연결된 경우, PCB는 5V의 전원을 출력한다. 그리고, 복수의 SMD(20a, 20b) 중 어느 하나가 3.3V 측에 마련된 후술할 패드부(30)와 연결된 경우, PCB(1)는 3.3V의 전원을 출력한다.
패드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SMD(20a, 20b) 중 어느 하나가 장착 가능한 공용패드(31)와, 공용패드(31)와 각각의 쌍을 이루는 고유패드(33a, 33b)를 포함한다.
공용패드(31)는 배어 PCB(10) 표면에 후술할 각 고유패드(33a, 33b) 사이에 선형적으로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SMD(20a, 20b)중 어느 하나의 일측단자가 공용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고유패드(33a, 33b)는 복수의 SMD(20a, 20b) 중 어느 하나의 타측단자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마련된다. 이에, 각 고유패드(33a, 33b)는 공유패드(31)와 각각의 쌍을 이루며, 복수의 SMD(20a, 20b)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복수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출력값(전원 또는 데이터)을 전달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PCB(1)에서 복수의 출력값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출력값(여기서는 5V를 출력하는 PCB(1) 또는 3.3V를 출력하는 PCB(1))을 출력하는 PCB(1)를 구성하는 과정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5V를 출력하는 PCB(1)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고유패드(20a, 20b) 사이에 선형적으로 배치되는 공유패드(31)에 복수의 SMD(20a, 20b) 중 어느 하나의 일측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SMD(20a)의 타측단자를 5V 전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5V 측에 마련된 고유패드(33a)와 연결한다. 이에, 5V 전원을 출력하는 PCB(1)가 제공된다.
또한, 3.3V를 출력하는 PCB(1)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각 고유패드(33a, 33b) 사이에 배치되는 공유패드(31)에 복수의 SMD(20a, 20b) 중 어느 하나의 일측단자를 연결하고, 상기 SMD(20b)의 타측단자를 3.3V 전원을 출력할 수 있도록 3.3V 측에 마련된 고유패드(33b)와 연결한다. 이에 3.3V 전원을 출력하는 PCB(1)가 제공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PCB(1)는 두 개의 상이한 출력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경우, 종래에 4개의 패드를 갖는 PCB와 달리 3개의 패드(공유패드(31) 1개와 고유패드(33a, 33b) 2개)로 마련되기 때문에, 실장 면적을 최소화하여 표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재료비가 절감되는 PCB가 제공된다.
한편,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PCB의 평면도로, 전술한 PCB와 같은 구성요소를 가지며, 각 고유패드(33a, 33b)가 전술할 PCB와 달리공용패드(31)를 사이에 두고 선형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공용패드(31)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두고 배치된다. 이에, 5V 전원을 출력하는 경우,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D(20a)의 일측 단자가 공용패드(31)와 연결되며 SMD(20a)의 타측 단자는 고유패드(33a)와 연결되어 5V 전원을 출력한다. 그리고, 3.3V 전원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SMD(20b)의 일측 단자가 공용패드(31)와 연결되며 SMD(20b)의 타측 단자가 고유패드(33b)와 연결되어 3.3V 전원을 출력한다. 여기서, 고유패드(33a, 33b)와 공용패드(31)를 각각 상호 연결하는 가상의 연결선은 상호 직교하거나 소정의 각도를 두고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PCB(1)가 SMD(20a, 20b)와 패드부(30)에 의해 전원(5V 또는 3.3V)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PCB(1)는 회로 구성에 따라 전원 이외에도 데이터 등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실장 면적을 최소화하여 표면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재료비가 절감되는 인쇄회로기판이 제공된다.

Claims (3)

  1. 인쇄회로기판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복수의 표면실장부품의 일측단자가 공용으로 결합 가능한 하나의 공용패드와;
    상기 복수의 표면실장부품의 타측단자가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고유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유패드는 상기 공용패드를 사이에 두고 선형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유패드는 상기 공용패드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KR1020010067469A 2001-10-31 2001-10-31 인쇄회로기판 KR100810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469A KR100810512B1 (ko) 2001-10-31 2001-10-31 인쇄회로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469A KR100810512B1 (ko) 2001-10-31 2001-10-31 인쇄회로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395A true KR20030035395A (ko) 2003-05-09
KR100810512B1 KR100810512B1 (ko) 2008-03-07

Family

ID=29567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469A KR100810512B1 (ko) 2001-10-31 2001-10-31 인쇄회로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05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008B1 (ko) 2006-10-13 2007-11-15 (주)파트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CN104284517A (zh) * 2014-11-04 2015-01-1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印刷电路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95828A (zh) * 2021-05-27 2021-09-14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印制电路板、显示面板以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965B1 (ko) * 1995-08-02 1999-01-15 이형도 저항기
KR20020075814A (ko) * 2001-03-24 2002-10-07 주식회사 코아텍 콘덴서 내장 표면실장형 압전 부품
JP4201257B2 (ja) * 2003-05-07 2008-12-24 株式会社住友金属エレクトロデバイス 高周波信号伝送線路基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008B1 (ko) 2006-10-13 2007-11-15 (주)파트론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CN104284517A (zh) * 2014-11-04 2015-01-14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印刷电路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0512B1 (ko) 200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9887A (en) Surface mounting connector
WO1998047321A3 (en)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2158420A (ja) プリント基板の電源線および信号線の接続方法ならびに電気機器
KR100810512B1 (ko) 인쇄회로기판
MXPA06000751A (es) Modulo de conexion conductor para tableros de circuito impreso.
US5616034A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package
ATE386419T1 (de) Leiterplattenanordnung
US5526275A (en) Probe for in-circuit emulator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8780536B2 (en) Motherboard capable of reduc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6906603B2 (en) High-frequency module for commonality of circuit board
JPH0766543A (ja) プリント基板
KR100318934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쇄회로기판
KR20020054900A (ko) 메모리모듈용 인쇄회로기판
WO2002089208A8 (de) Anordnung mit mindestens zwei unterschiedlichen elektronischen halbleiterschaltungen
KR20070069546A (ko) 통신 단말기의 디버그용 패턴을 갖는 인쇄회로기판 구조
JPH09298351A (ja) 回路パターン変換サブプリント基板
JPH04245465A (ja) 電気部品及びその半田付け方法
KR20030032456A (ko) 인쇄회로기판의 저항치 변경방법
US20040052061A1 (en) Mounting structure of wireless module having excellent productivity
KR20040071888A (ko) 인쇄회로 기판용 커넥터 핀
KR20200076589A (ko) 프린트 기판
JPH10150253A (ja) 基板接続方法
JPS63249362A (ja) 表面実装部品用パツケ−ジ
JPH0278118A (ja) 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H07120842B2 (ja) 表面実装部品用パツケ−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