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226A -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226A
KR20030035226A KR1020010067202A KR20010067202A KR20030035226A KR 20030035226 A KR20030035226 A KR 20030035226A KR 1020010067202 A KR1020010067202 A KR 1020010067202A KR 20010067202 A KR20010067202 A KR 20010067202A KR 20030035226 A KR20030035226 A KR 20030035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unit
touch pad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4143B1 (ko
Inventor
천명철
Original Assignee
미래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41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4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4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및 필기체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1);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입력모드의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0); 및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에서,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USING TOUCH PAD}
본 발명은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를 분리시켜, 터치패드의 입력영역 활용범위를 대폭 넓힐 수 있고, 또한, 숫자, 약정문자 및 필기체 문자를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입력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의 동작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문자 입력모드에서, 비분할 입력모드 또는 분할 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환경에 따른 적절하게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형의 터치패드에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향후 상용화가 예상되는 IMT-2000 휴대전화 단말기는 그 기능이 더욱 고 사양화 됨에 따라서 보다 더 큰 화면 및 PC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게 될 전망이며, 이에 따라 기존 컴퓨터에서 그 유용성이 증명된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사용될 것이 확실해 보인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과 같이 비교적 큰 화면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는 화면 자체가 터치패드로서 펜이나 손가락의 접촉에 따른 정보입력이 가능하지만, 화면에 손때가 묻거나 커서의 정밀한 조종이 힘들며, 대형 컬러 화면을 유지함에 따라 전력소모가 커져 배터리 충전까지의 사용시간이 짧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3세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한 지나치게 크지 않은 화면, 소비자의 요구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충족시킬 수 있는 컬러 화면, 그리고, 개인정보, 인터넷, 게임 등을 다룰 수 있는 고성능화의 방향으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그러나, 기존의 모바일 단말기는 기구 자체의 크기 제한으로 인하여 각 키의 개수가 제한된 키패드가 있을 뿐이어서, PC와 유사한 환경에 쉽게 적응케 하는 정보 입력장치 및 적절한 방법이 없는 관계로, 정보 입력 자체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를 분리시켜, 터치패드의 입력영역 활용범위를 대폭 넓힐 수 있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숫자, 약정문자 및 필기체 문자를 해당 입력 모드선택에 따라 입력 처리할 수 있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동작 모드에서 마우스 모드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고, 특히 문자 입력시에 손가락 입력을 위한 비분할모드 및 펜타입 입력을 위한 분할모드를 구분하여 입력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형의 터치패드에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a는 문자 입력모드에서의 터치부의 비분할모드 예시도이고, 도 4b는 문자 입력모드에서의 터치부의 분할모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모드별 해당 메모리영역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입력 전체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바일 단말기11 : 터치패드
11a : 버튼부11b : 터치부
12 : 디스플레이부20 : 제어부
21 :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2 : 중앙처리장치
23 : 타이머24 : 메모리
25 : 숫자 인식부26 : 약정문자 인식부
27 : 필기체 문자 인식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및 필기체 문자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널의 버튼부를 통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입력모드의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이러한 구성에서,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첫 번째 기술적인 특징으로서, 여기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소형의 터치패드를 통해 문자의 입력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를 물리적으로 서로 다른 공간에 분리시켜서, 이 터치패드의 전체 터치영역을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시킨 모바일 단말기를 개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적인 수단으로써,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필기체 문자 및 마우스의 터치식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의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 선택시 마우스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고, 이 마우스 입력모드에서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1회 접촉을 1클릭으로, 2회 접촉을 더블클릭으로 인식하며, 반면에 터치입력이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없으면 마우스 모드의 해제하고, 이전의 입력모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두 번째 기술적인 특징으로서, 여기에서는 모바일 단말기에서, 터치패드를 통해 마우스 입력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터치패드를 통해 약정 문자 및 필기체 문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고, 또한 문자 입력시에 손가락 입력을 위한 비분할모드 및 펜타입 입력을 위한 분할모드를 구분하여 입력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터치패드를 통한 문자 입력 및 선택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시킨 모바일 단말기를 개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외형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기존의 터치스크린과는 달리,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필기체 문자 및 마우스의 터치식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1)와,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입력모드의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로 구성하며, 이러한 구성에서,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상기 터치패드(11)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식 터치패드 또는 정전식 터치패드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터치패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11)는 상기 터치부의 표면에는숫자 "0" 내지 "9", "*" 및 "#"를 인쇄하고, 이 인쇄된 숫자와 해당 좌표를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숫자 입력모드에서 숫자입력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소형, 저전력 타입의 터치패드로 구현하는 것이 적용 단말기의 소형화 및 저전력화를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터치패드(11)를 구동시켜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과,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를 통한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숫자모드, 약정문자 모드 및 필기체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작중인 해당 인식부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여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른 입력정보 해독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모드별로 저장하는 복수의 메모리영역에 포함하는 메모리(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숫자모드시에 동작하여 숫자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숫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숫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숫자 인식부(2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약정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약정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숫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약정문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약정문자 인식부(2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필기체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필기체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숫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필기체 문자의 표준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필기체 문자 인식부(27)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24)는 숫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과, 약정문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과, 필기체문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숫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은 각 숫자코드별로 좌표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약정문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은 약정 한글 코드별로 좌표 패턴이 대응되어 있는 한글 약정모드 영역과, 약정 영문자 코드별로 좌표 패턴이 대응되어 있는 영문 약정모드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필기체문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영역은 필기체 한글 코드별로 좌표 패턴이 대응되어 있는 필기체 한글모드 영역과, 필기체 영문자 코드별로 좌표 패턴이 대응되어 있는 필기체 약정모드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좌표 패턴은 예를 들어 "가"로 인식할 수 있는 복수의 좌표의 모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부(20)의 숫자 인식부(25)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하게 일치하는 숫자를 판별하여 이 숫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20)의 약정문자 인식부(26)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패턴에 해당하는 약정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약정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하게 일치하는 약정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20)의 필기체 인식부(27)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패턴에 해당하는 필기체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필기체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하게 일치하는 문자의 표준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필기체 문자 및 마우스의 터치식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1)와,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 선택시 마우스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고, 이 마우스 입력모드에서 클릭입력설정시간동안에 1회 접촉을 1클릭으로, 2회 접촉을 더블클릭으로 인식하며, 반면에 터치입력이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없으면 마우스 모드의 해제하고, 이전의 입력모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와, 그리고,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로 구성한다.
상기 터치패드(11)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감지 터치패드로 이루어지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터치패드(11)는 상기 터치부의 표면에는 숫자 "0" 내지 "9", "*" 및 "#"를 인쇄하고, 이 인쇄된 숫자와 해당 좌표를 상기 제어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숫자 입력모드에서 숫자입력을 쉽게 입력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터치패드(11)를 구동시켜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과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와,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를 통한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숫자모드, 약정문자 모드 및 필기체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작중인 해당 인식부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2)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른 입력정보 해독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모드별로 저장하는 메모리(24)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숫자모드시에 동작하여 숫자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숫자를인식하여 인식된 입력숫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숫자 인식부(25)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약정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약정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약정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약정문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약정문자 인식부(26)와,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필기체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필기체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필기체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필기체 문자의 표준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필기체 문자 인식부(2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의 메모리(24), 숫자 인식부(25), 약정문자 인식부(26) 및 필기체 인식부(27)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11a)는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b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는 상기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 선택시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11a)는 엔트버튼(문자입력완료버튼)(b7), 분할모드 선택버튼(b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마우스 모드에서 조작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마우스의 왼쪽버튼에 해당하는 선택버튼(클릭버튼)과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에 해당하는 메뉴버튼 및 스크롤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버튼 선택방식과 달리,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는 내부의 타이머(23)로부터의 시간정보에 기초해서, 연속되는 터치입력이 마우스입력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경우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하도록 구성하고, 여기서, 마우스 입력 설정시간은 문자 입력시에 연속적인 터치시간을 고려해서 문자 입력에 의한 연속적인 터치시간과 구별되는 시간으로 설정한다.
도 4a는 문자 입력모드에서의 터치부의 비분할모드 예시도이고, 도 4b는 문자 입력모드에서의 터치부의 분할모드 예시도로서,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11b)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전체 영역을 터치영역을 설정하는 비분할 모드에서의 1문자 입력완료는 버튼부를 통한 버튼선택방식과 터치부를 통한 특정영역 터치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22)는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버튼부의 입력완료버튼의 선택으로 인해 하나의 문자입력을 인식하도록 구성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또한,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는 터치패드의 터치부를 적어도 2개이상의 터치영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분할버튼 선택에 따라 터치부를 사전에 설정된 터치영역, 예를 들어, 전체 터치영역을 2개 또는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이 분할영역별로 구분하여 터치입력 처리를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모드별 해당 메모리영역의 구성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도 5a는 숫자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 구조도이고, 도 5b는 한글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 구조도이며, 도 5c는 영문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 구조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의 정보입력 전체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패드(11)의 버튼부(11a)에 포함된 버튼, 예를 들어, 숫자 입력모드(b1), 약정문자 입력모드(b2,b3)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b4)에 해당하는 버튼을 선택한후,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11b)를 통해서, 숫자, 약정문자 및 필기체 문자를 입력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어부(20)는 각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터치패드(11)를 통한 입력을 계속적으로 감시하면서,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즉 숫자 입력모드(b1), 약정문자 입력모드(b2,b3) 및 필기체 입력모드(b4)의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는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 출력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기본의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패드의 활용영역을 확대시키고, 이를 통한 터치입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터치패드(11)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감지 터치패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터치부의 표면에 숫자 "0" 내지 "9", "*" 및 "#"를 인쇄하여, 숫자 입력모드에서, 인쇄된 숫자를 터치하여 이 터치영역을 사전에 설정된 해당 숫자로 인식하도록 하여 숫자 입력모드에서의 숫자 입력을 간편화 하였다.
상기 제어부(20)에 대한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어부(20)의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는 상기 터치패드(11)를 구동시켜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과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검출하여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22)는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를 통한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숫자모드, 약정문자 모드 및 필기체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작중인 해당 인식부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여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화면 출력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각 입력모드별 입력 및 처리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숫자 인식부(25)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숫자모드시에 동작하여 숫자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숫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숫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데, 이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숫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한다.
다음, 상기 약정문자 인식부(26)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약정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약정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 약정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약정문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데, 이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패턴에 해당하는 약정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약정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근접하는 약정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필기체 문자 인식부(27)는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필기체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필기체 문자 입력을 해당 메모리 영역의 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판별하여 입력 필기체 문자를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필기체 문자의 표준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데, 이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패턴에 해당하는 필기체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필기체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하게 일치하는 필기체 문자의 표준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와의 공통점을 설명하면,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한 것과, 입력모드별로 서로 구분되어 입력되는 입력 문자를 해당 메모리영역에 저장된 문자와 비교하도록 함으로서, 즉 모든 문자와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정해진 문자와 비교하도록 함으로서,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과, 문자 입력시에 손가락 입력을 위한 비분할모드 및 펜타입 입력을 위한 분할모드를 구분하여 입력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형의 터치패드에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와의 차이점을 설명하면,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 PC와 같이, 사용상의 간편화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해당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패드(11)에 있어서, 이 터치패드(11)의 버튼부(11a)를 통해 입력모드, 즉, 제1 실시예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마우스 모드를 선택하여 터치부를 통한 마우스 입력을 수행한다. 여기서, 마우스 모드의 진입에 대해서는후술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제어부(20)는 각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 선택시 마우스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고, 이 마우스 입력모드에서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1회 접촉을 1클릭으로, 2회 접촉을 더블클릭으로 인식하며, 반면에 터치입력이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없으면 마우스 모드의 해제하고, 이전의 입력모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에서는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 출력한다.
한편, 상기 마우스 모드의 진입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는 버튼선택방식과 터치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첫 번째. 버튼방식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버튼부는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 선택시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두 번째, 터치 방식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는 내부의 타이머(23)로부터의 시간정보에 기초해서, 연속되는 터치입력이 마우스입력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경우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한다.
이와 같이 마우스 모드로 진입하면, 일련의 연속적인 터치에 따라 커서의 이동을 제어하고, 커서가 위치하는 화면상에 표시된 기능을 선택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문자 입력시에 손가락 입력을 위한 비분할모드 및 펜타입 입력을 위한 분할모드를 구분하여 입력처리 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터치부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특정영역의 터치로 인해 하나의 문자입력을 인식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버튼부의 입력완료버튼의 선택으로 인해 하나의 문자입력을 인식한다.
다음,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는 터치패드의 터치부를 적어도 2개이상의 터치영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분할버튼 선택에 따라 터치부를 사전에 설정된 터치영역으로 분할하여 이 분할영역별로 구분하여 터치입력을 처리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를 분리시켜, 터치패드의 입력영역 활용범위를 대폭 넓힐 수 있고, 또한, 숫자, 약정문자 및 필기체 문자를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입력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의 동작을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문자 입력모드에서, 비분할 입력모드 또는 분할 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환경에 따른 적절하게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하므로서,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는 소형의 터치패드에서 정보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특별한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PC와 유사한 사용환경을 제공하고, 문자정보 입력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 편이성을 추구하는데 있다.
위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3세대 이상의 휴대전화 단말기는 기존의 PC와 많이 닮아갈 것으로 보이며, GUI에서 마우스(화면에서는 마우스 포인터)의 역할은 무척 큰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한된 입력방법만 제공하는 키패드 대신 노트북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터치패드(숫자패드 기 인쇄)를 사용하여 기존의 키패드 역할을 대신하는 한편, 화면에 마우스 포인터를 제공하여 GUI환경에 적합한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알파벳을 쓰는 서양어권과 달리 동양어권은 대체적으로 한 문자당 획수가 많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한 문자를 쓰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며 문자당 함축된 의미도 서양어권에 비해 많다. 이런 연유로 동양어권에서는 서양어권보다 필기체 입력이 더 중요하며 더 간편하게 많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인데, 터치패드에서 손가락으로 쓰는 문자나, 기 내장된(또는 볼펜 등)펜을 사용하여 문자입력을 가능케 하면, 기존 키패드로 사용하는 문자입력보다 훨씬 간편하게 입력 가능하며, 키패드 문자입력이 어려운 기성 세대들도 단문서비스 등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필기체 문자 인식을 동양어권에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며 동양어권에 더 효율적일 뿐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19)

  1.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10)에 있어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필기체 문자 및 마우스의 터치식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1);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입력모드의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0); 및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하며,
    터치패드와 디스플레이부가 하나의 영역에 서로 겹쳐지게 구성하는 일반 터치스크린과 달리, 상기한 터치패드(11)와 디스플레이부(12)를 서로 분리시켜 구성함으로서,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영역 전체를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11)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감지 터치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11)는
    상기 터치부의 표면에 숫자 "0" 내지 "9", "*" 및 "#"를 인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터치패드(11)를 구동시켜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를 통한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숫자모드, 약정문자 모드 및 필기체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작중인 해당 인식부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2);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 입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4);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숫자모드시에 동작하여 숫자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숫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숫자 인식부(25);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약정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약정 문자 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약정문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약정문자 인식부(26);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필기체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필기체 문자 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필기체 문자의 표준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필기체 문자 인식부(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숫자 인식부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약정문자 인식부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필기체 인식부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문자의 표준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8.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10)에 있어서,
    숫자 입력모드, 약정문자 입력모드 및 필기체 문자 입력모드를 위한 버튼부와, 숫자, 약정 문자, 필기체 문자 및 마우스의 터치식 입력을 위한 터치부를 포함하는 터치패드(11);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을 인식하고, 이 선택된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해당 입력모드에서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해당 모드의 메모리영역의 정보와 비교하여 입력정보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며, 각 입력모드에서 마우스 모드 선택시 마우스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마우스 포인터의 화면 출력을 제어하고, 이 마우스 입력모드에서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1회 접촉을 1클릭으로, 2회 접촉을 더블클릭으로 인식하며, 반면에 터치입력이 클릭입력 설정시간동안에 없으면 마우스 모드의 해제하고, 이전의 입력모드로 복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0); 및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11)는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압력감지 터치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11)는
    상기 터치부의 표면에 숫자 "0" 내지 "9", "*" 및 "#"를 인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터치패드(11)를 구동시켜 버튼부를 통한 입력모드 선택, 터치부를 통한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
    상기 각부를 제어하며, 상기 터치패드 구동/입력부(21)를 통한 입력모드의 선택에 따라 숫자모드, 약정문자 모드 및 필기체 동작 모드를 인식하고, 이 인식한 입력모드에 해당하는 인식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작중인 해당 인식부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고, 이 해독된 입력정보의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2);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필요한 정보 및 입력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4);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숫자모드시에 동작하여 숫자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숫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숫자 인식부(25);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약정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약정 문자 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약정문자의 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약정문자 인식부(26);
    상기 중앙처리장치(22)의 제어에 따라 필기체 문자 모드시에 동작하여 필기체 문자 입력을 인식하여 인식된 입력 필기체 문자의 표준코드를 상기 중앙처리장치(22)로 제공하는 필기체 문자 인식부(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숫자 인식부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약정문자 인식부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숫자 또는 문자의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필기체 인식부는
    상기 터치패드상의 접촉 좌표에 해당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메모리의 해당 메모리영역의 숫자 또는 문자와 비교하여, 가장 일치하는 문자의 표준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중앙처리장치는
    내부의 타이머(23)로부터의 시간정보에 기초해서, 연속되는 터치입력이 마우스입력 설정시간을 경과하는 경우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버튼부는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마우스 모드 선택버튼 선택시에 마우스 모드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17.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터치부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특정영역의 터치로 인해 하나의 문자입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18.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터치부 전체영역을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버튼부의 입력완료버튼의 선택으로 인해 하나의 문자입력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11)의 버튼부는
    터치패드의 터치부를 적어도 2개 이상의 터치영역으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의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터치패드(11)의 분할버튼 선택에 따라 터치부를 사전에 설정된 터치영역으로 분할하여 이 분할영역별로 구분하여 터치입력을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KR10-2001-0067202A 2001-10-30 2001-10-30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KR100414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02A KR100414143B1 (ko) 2001-10-30 2001-10-30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202A KR100414143B1 (ko) 2001-10-30 2001-10-30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226A true KR20030035226A (ko) 2003-05-09
KR100414143B1 KR100414143B1 (ko) 2004-01-13

Family

ID=2956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202A KR100414143B1 (ko) 2001-10-30 2001-10-30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4143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445B1 (ko) * 2002-10-10 2004-10-0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두벌식/세벌식 한손 자판
KR20050048758A (ko) * 2003-11-20 2005-05-25 지현진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WO2006095976A1 (en) * 2005-03-05 2006-09-14 Woo Chan Song Alphabet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pad and method thereof
KR100623061B1 (ko) * 2004-07-27 2006-09-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710362B1 (ko) * 2005-08-12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47580B1 (ko) * 2005-09-15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화면 전환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입력화면 전환 방법
KR100837739B1 (ko) * 2006-02-13 2008-06-13 주식회사 애트랩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이의 입력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0856203B1 (ko) * 2006-06-27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927439B1 (ko) * 2007-08-24 2009-11-19 (주)에이트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928902B1 (ko) * 2004-04-23 2009-11-30 노키아 코포레이션 터칭 도구 또는 손가락의 사용에 따라 제공 정보를 적합화하는 터치 스크린
KR20100117380A (ko) * 2009-04-24 2010-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7893928B2 (en) 2006-09-11 2011-02-22 Samsung Electonics Co., Ltd.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085448B1 (ko) * 2003-10-20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턴 인식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300275B1 (ko) * 2006-10-17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모드 전환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9119B2 (ja) * 1994-05-16 1999-08-25 シャープ株式会社 手書き文字入力表示装置および方法
JPH10124253A (ja) * 1996-10-24 1998-05-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タッチパネル付きマウス
KR100477125B1 (ko) * 1997-10-16 200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펜을이용한문자입력장치및그제어방법
KR20000008163A (ko)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두개의 lcd/ 터치패널이 장착된 휴대형 단말장치
KR20000050087A (ko) * 2000-05-15 2000-08-05 전영삼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강의 시스템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445B1 (ko) * 2002-10-10 2004-10-0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두벌식/세벌식 한손 자판
KR101085448B1 (ko) * 2003-10-20 2011-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턴 인식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050048758A (ko) * 2003-11-20 2005-05-25 지현진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928902B1 (ko) * 2004-04-23 2009-11-30 노키아 코포레이션 터칭 도구 또는 손가락의 사용에 따라 제공 정보를 적합화하는 터치 스크린
KR100623061B1 (ko) * 2004-07-27 2006-09-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입력 방법 및 장치
WO2006095976A1 (en) * 2005-03-05 2006-09-14 Woo Chan Song Alphabet input apparatus using a touchpad and method thereof
KR100710362B1 (ko) * 2005-08-12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747580B1 (ko) * 2005-09-15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화면 전환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입력화면 전환 방법
KR100837739B1 (ko) * 2006-02-13 2008-06-13 주식회사 애트랩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이의 입력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0856203B1 (ko) * 2006-06-27 2008-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8279182B2 (en) 2006-06-27 2012-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US7893928B2 (en) 2006-09-11 2011-02-22 Samsung Electonics Co., Ltd. Compu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300275B1 (ko) * 2006-10-17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모드 전환장치 및 그 방법
KR100927439B1 (ko) * 2007-08-24 2009-11-19 (주)에이트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KR20100117380A (ko) * 2009-04-24 2010-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4143B1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3428B2 (en) Using touchscreen by pointing means
US7592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a directional pad
JP4242270B2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へのペン入力システムと方法
US7719521B2 (en) Navigational interface providing auxiliary character support for mobile and wearable computers
US796942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using touch screen in portable terminal
US9104306B2 (en) Translation of directional input to gesture
US20060119582A1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US2006011958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input using a touchpad
KR100414143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JP2004213269A (ja) 文字入力装置
WO2000072300A1 (en) Data entry device recording input in two dimensions
JP5888423B2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0380600B1 (ko)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방법
KR2008007093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0402396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
KR20070100097A (ko) 듀얼 입력 장치 및 키보드 입력 지원 방법
WO20120014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functions and data entry for electronic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for implementing said system and method
KR20080097563A (ko) 키보드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JP4614505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JP2003005902A (ja) 文字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文字入力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KR20060097300A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20000024489A (ko) 필기인식을 위한 소프트 키보드가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및 펜입력에 의한 필기 인식방법
US20100164876A1 (en) Data input device
KR20090042425A (ko)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KR20030030563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