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2425A -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2425A
KR20090042425A KR1020070108172A KR20070108172A KR20090042425A KR 20090042425 A KR20090042425 A KR 20090042425A KR 1020070108172 A KR1020070108172 A KR 1020070108172A KR 20070108172 A KR20070108172 A KR 20070108172A KR 20090042425 A KR20090042425 A KR 20090042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ouch pad
handwritten image
present
handwriting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8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42425A/ko
Publication of KR20090042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24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포인팅 입력을 위한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기 입력을 위한 터치 패드; 및,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된 수기 이미지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패드를 통해 원하는 수기(handwriting)를 신속하게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고, 리모컨 장치의 터치 패드를 통해 수기(handwriting) 입력을 함으로써 검색어 등의 텍스트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다.
입력, 터치, 접촉

Description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와 같이 포인팅 입력을 할 수 있거나, TV, DVD 플레이어 등의 리모컨과 같이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 또는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이외에도, 마우스나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청중 앞에서 프리젠테이션을 하는 경우에, 발표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화면의 페이지를 넘기거나 또는 화면을 스크롤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발표자는 기제작된 프리젠테이션 자료에는 적혀있지 않은 문자를 즉석에서 청중에게 보여주고 싶은 경우, 프리젠테이션 화면 위에 마우스를 이용해서 원하는 문자를 수기로 그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우스를 이용하여 수기로 문자를 그리기 위해서는, 발표자는 손목을 사용하여 마우스 전체를 움직이면서 마우스 포인터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글자의 한 획 한 획을 그려 나아가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발표자가 원 하는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청중을 기다리게 해야 할 뿐만 아니라, 글자모양도 자연스럽지 못하고 글자크기도 과도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PC, TV, DVD 플레이어 등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리모컨이 사용되는 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리모컨은 컴팩트하게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볼륨 조정이나 채널 변경 등을 하기 위해서 숫자 키 및 4 방향키 정도가 구비되어 있다. 최근 IPTV 등의 보급으로 인해, 시청자는 원하는 채널 또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 2-3자리 숫자인 채널 번호를 입력하거나 변경하는 것에 나아가, 검색어를 입력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이른바 텍스트 검색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약 10개정도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자음과 모음을 텍스트를 입력해야 한다. 설령, 리모컨에 쿼티(QWERTY) 자판이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버튼 크기가 작아서 10개의 손가락을 모두 이용하지 못하고 고작 1-2개의 손가락으로 입력하여야 하기 때문에,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고 오타발생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터치패드를 통해 원하는 수기(handwriting)를 신속하게 자연스럽게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방법 및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모컨 장치의 터치 패드를 통해 수 기(handwriting) 입력을 함으로써 검색어 등의 텍스트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 및 문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는 포인팅 입력을 위한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기 입력을 위한 터치 패드; 및,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된 수기 이미지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패드는, 인체의 검지손가락 또는 중지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 패드의 활성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전환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모드전환키는, 상기 마우스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되, 인체의 엄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송부는, 유선 전송부 또는 무선 전송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기 인식 방식을 통해 상기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 신호로 변환하는 수기인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마우스를 통한 포인팅 입력을 수행하는 단계; 활성화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패드를 활성화시켜 터치 패드를 통한 수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기 이미지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활성화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패드를 비활성화시켜서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수기 이미지를 스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기 인식 방식을 통해 상기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격 제어를 위한 리모컨 본체; 상기 리모컨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수기 입력을 위한 터치 패드; 및, 수기 인식 방식을 통해 입력된 상기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 신호로 변환하는 수기인식모듈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텍스트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리모컨을 통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활성화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패드를 활성화시켜 터치 패드를 통한 수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기 인식 방식을 통해 상기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표자가 프리젠테이션하는 중에 수기(handwriting)를 입력하고자 할 때, 마우스 전체를 이동시키는 대신 터치패드상 에서 손끝 또는 펜끝만 움직이면 되기 때문에, 수기 입력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글자의 크기와 모양도 정확하고 아름답게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마우스를 사용하는 도중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서 키보드 등의 다른 디바이스를 조작할 필요 없이, 마우스를 쥐고 있는 상태에서 손끝만 움직이면 되기 때문에 마우스 사용과 텍스트 입력간의 전환이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문자입력 자판(예: QWERTY 자판)을 구비하지 않는 리모컨 등에서,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서 터치패드 상에 수기 입력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원하는 검색어 등을 매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 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100)는 터치 패드(110), 모드전환키(120), 제어부(130), 전송부(140), 수기 인식모듈(150), 마우스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110)는 마우스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기(handwriting) 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로서, 사용자가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 마우스를 쥐었을 때, 인체의 검지손가락 또는 중지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본래의 마우스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손목을 움직이던 상태에서, 터치패드 상에서 검지 또는 중지의 손끝만을 움직임으로써 수기를 입력할 수 있다.
모드전환키(120)는 터치 패드(110)의 활성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활성모드 및 비활성모드를 반복하여 변환시키기 위한 토글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모드전환키(120)는 마우스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되, 사용자가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 마우스를 쥐었을 때, 인체의 엄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상기 모드전환키(120)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110)의 활성 여부를 제어하고, 터치 패드(110)를 통한 수기 이미지를 전송부(140) 또는 수기 인식모듈(150)로 처리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모듈이다.
전송부(14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터치 패드(110)를 통해 수신된 수기 이미지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로서, 전송부(140)는 유선 전송부 또는, 무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입력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수기 인식모듈(150)은 터치 패드(110)를 통해 수신된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로서, 수기 인식 방식(handwriting recognition)이 적용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특정 수기 인식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마우스 모듈(160)은 포인팅 입력을 위한 입력 모듈로서, 클릭, 더블클릭, 드래그(끌어놓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포인팅 입력을 수행한다(S110 단계).
만약, 모드전환키의 입력 등을 통해 터치패드의 활성화 명령신호가 수신되면(S120 단계의 '예'), 터치 패드를 활성화시켜서(S120 단계), 접촉지점의 좌표 및 접촉지점의 궤적 등을 감지함으로써 수기이미지를 수신한다(S130 단계). 터치 패드를 통해 수신된 수기 이미지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거나, 또는 수기 인식을 수행하여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한다(S150 단계). S150 단계에서 수기 이미지를 외부 장치에 전송한 경우, 외부장치는 수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또는 수기 인식을 수행한다(S160 단계). 만약, S150 단계에서, 입력장치가 자체적으로 수기 인식을 수행한 경우, 변환된 텍스트를 외부장치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터치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드전환키의 입력 등을 통해 터치 패드의 비활성화 명령신호가 수신되면(S170 단계), 터치패드의 활성화를 종료하고,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수기 이미지의 처리를 스킵한다(180 단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수기 이미지, 및 일반적인 마우스를 통해 입력된 수기 이미지와 비교한 모습을 이다. 도 4의 (A) 영역의 글자는, 사용자가 손목을 이용하여 마우스 전체를 이동시키면서 입력한 수기의 모습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된 수기 이미지이다. 도 4의 (A)에 비해, 도 4의 (B)에 쓰인 글자가 더 정확하고, 글자의 크기는 작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는, 터치 패드(210), 모드전환키(220), 제어부(230), 전송부(240), 수기 인식모듈(250), 리모컨 모듈(26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210)는 리모컨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수기(handwriting) 입력을 위한 입력 장치로서, 리모컨이 구비하는 다수의 키(전원 키, 숫자 키 등)와 동일 면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키가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모드전환키(220)는 터치 패드(210)의 활성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활성모드 및 비활성모드를 반복하여 변환시키기 위한 토글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어부(230)는 상기 모드전환키(220)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 패드(210)의 활성 여부를 제어하고, 터치 패드(210)를 통한 수기 이미지를 전송부(240) 또는 수기 인식모듈(250)로 처리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하는 모듈이다.
수기 인식모듈(250)은 터치 패드(210)를 통해 수신된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 신호로 변환하는 모듈로서, 수기 인식 방식(handwriting recognition)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역시 본 발명은 특정 수기 인식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전송부(240)는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터치 패드(210)를 통해 수신된 수기 이미지, 또는 수기 인식모듈(250)에 의해 변환된 텍스트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통신모듈로서, 전송부(240)는 유선 전송부 또는, 무선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입력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TV, DVD 플레이어 등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리모컨 모듈(260)은 외부 장치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모듈로서, 채널변경, 음량조절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외부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200)에 입력된 수기 이미지가 입력 장치(200) 내부에서 또는 외부 장치에서 수기 인식 과정을 통해 텍스트로 변환되고, 이 텍스트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창에 입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가 리모컨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장치(TV 등)의 원격제어를 수행 한다(S210 단계).
만약, 모드전환키의 입력 등을 통해 터치패드의 활성화 명령신호가 수신되면(S220 단계의 '예'), 터치 패드를 활성화시켜서(S220 단계), 접촉지점의 좌표 및 접촉지점의 궤적 등을 감지함으로써 수기이미지를 수신한다(S230 단계). 터치 패드를 통해 수신된 수기 이미지를 수기 인식을 수행하여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한다(S250 단계). 또는, 수기 이미지를 그대로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S250 단계에서 변환된 텍스트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한다(S260 단계). 만약, S250 단계에서, 입력장치가 수기 이미지를 그대로 외부 장치에 전송한 경우,외부 장치가 수기 인식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터치패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드전환키의 입력 등을 통해 터치 패드의 비활성화 명령신호가 수신되면(S270 단계), 터치패드의 활성화를 종료하고,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수기 이미지의 처리를 스킵한다(280 단계).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마우스, 리모컨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수기 이미지, 및 일반적인 마우스를 통해 입력된 수기 이미지와 비교한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림.
도 7은 외부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 예.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방법의 순서도.

Claims (12)

  1. 포인팅 입력을 위한 마우스 본체;
    상기 마우스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수기 입력을 위한 터치 패드; 및,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된 수기 이미지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는, 인체의 검지손가락 또는 중지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드의 활성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전환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키는, 상기 마우스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되,
    인체의 엄지손가락 또는 약지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유선 전송부 또는 무선 전송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수기 인식 방식을 통해 상기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 신호로 변환하는 수기인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7. 마우스를 통한 포인팅 입력을 수행하는 단계;
    활성화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패드를 활성화시켜 터치 패드를 통한 수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기 이미지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비활성화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패드를 비활성화시켜서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수기 이미지를 스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수기 인식 방식을 통해 상기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10. 원격 제어를 위한 리모컨 본체;
    상기 리모컨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수기 입력을 위한 터치 패드; 및,
    수기 인식 방식을 통해 입력된 상기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 신호로 변환하는 수기인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12. 리모컨을 통한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활성화명령 신호가 수신되면, 터치패드를 활성화시켜 터치 패드를 통한 수기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기 인식 방식을 통해 상기 수기 이미지를 텍스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신호를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방법.
KR1020070108172A 2007-10-26 2007-10-26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KR200900424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172A KR20090042425A (ko) 2007-10-26 2007-10-26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172A KR20090042425A (ko) 2007-10-26 2007-10-26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2425A true KR20090042425A (ko) 2009-04-30

Family

ID=4076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172A KR20090042425A (ko) 2007-10-26 2007-10-26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424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502A (ko) * 2009-07-14 201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를 이용하는 포인팅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2158895A3 (en) * 2011-05-18 2013-02-28 Microsoft Corporation Disambiguating intentional and incidental contact and motion in multi-touch pointing device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502A (ko) * 2009-07-14 201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터치를 이용하는 포인팅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2158895A3 (en) * 2011-05-18 2013-02-28 Microsoft Corporation Disambiguating intentional and incidental contact and motion in multi-touch pointing devices
US8786561B2 (en) 2011-05-18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Disambiguating intentional and incidental contact and motion in multi-touch pointing devices
US9569094B2 (en) 2011-05-18 2017-02-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ambiguating intentional and incidental contact and motion in multi-touch pointing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498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8059101B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US10379626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US20100259482A1 (en) Keyboard gesturing
US20070247337A1 (en) Condensed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s
US20110141027A1 (en) Data entry system
US20150100911A1 (en) Gesture responsive keyboard and interface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JP2008140182A (ja) 入力装置、送受信システム、入力処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3425424B (zh) 手写输入选字系统及方法
JPWO2011118602A1 (ja) タッチパネル機能付き携帯端末及びその入力方法
KR100414143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기
US9547376B1 (en) Magic cube input system
KR20090042425A (ko) 입력 장치 및 입력 방법
KR101325653B1 (ko) 분리형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TW201403383A (zh) 多國語言通用筆劃輸入系統
JPH11327762A (ja) マウス機能付きキー入力装置
Lai et al. A thumb stroke-based virtual keyboard for sight-free text entry on touch-screen mobile phones
KR20200006714A (ko) 16키 한글 통일 자판
WO2019090765A1 (zh) 一种写字板、写字板组件以及写字板的书写方法
KR20140098422A (ko)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10002926U (ko)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KR20190066161A (ko)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GB2507777A (en) Conversion of combinations of gestures into character input, using restricted gestur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