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3157A - 차량용 인텐시파이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텐시파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3157A
KR20030033157A KR1020010064411A KR20010064411A KR20030033157A KR 20030033157 A KR20030033157 A KR 20030033157A KR 1020010064411 A KR1020010064411 A KR 1020010064411A KR 20010064411 A KR20010064411 A KR 20010064411A KR 20030033157 A KR20030033157 A KR 20030033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ke booster
pipe
intensifier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3157A/ko
Publication of KR2003003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15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차량의 인텐시파이어를 제공한다. 그 인텐시파이어는 공기 공급원에 연결된 공기호스에 연결되는 인입구, 자동차의 엔진측의 호스에 연결되는 배출구, 인입구 와 배출구사이에 형성되는 벤츄리부(20)를 일체로 구비하는 흡입관; 그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부스터에 연결되며, 흡입관의 벤츄리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관과 배출구 근처에 연결되는 제2연결관(34)을 구비하는 공급관; 및 그 공급관의 인입부와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에 연결되며, 브레이크 부스터 내부로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공급호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인텐시파이어{Intensifi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인텐시파이어(intensifi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 및 제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비용의 절감되는 차량용 부압 증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차량에는 그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엔진이 탑재되어 있는 반면, 그 차량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거나 그 차량을 정지시키기 위해 일명 브레이크라 칭하는 제동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동장치는 그 것의 신뢰성 및 작동의 원활성을 위해 유압식 또는 공압식으로 작동된다.
대부분의 유압식 제동장치에는 브레이크 부스터가 구비되어 있는 바, 이 브레이크 부스터는 엔진에서 발생된 진공부압과 대기압의 압력차에 의해 작동된다. 한편,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중 진공부압이 작을 경우에는 브레이크 부스터의 정상적인 작동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와 같이 진공부압에 의한 문제발생시, 진공부압을 증압시켜 브레이크 부스터의 정상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일명 부압 증압기라 칭하는 인텐시파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인텐시파이어(1)는 에어호스에 연결되는 흡입관(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흡입관(2)은 일측에서 에어호스에 연결되는 인입구(2a)와 자동차의 엔진측의 매니폴드에 연결되는 배출구(2b)를 구비하며, 그 인입구(2a) 와 배출구(2b)사이에는 벤츄리부(2c)가 형성된다. 한편, 흡입관(2)에는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부스터에 연결되는 공급관(3)이 연결된다. 공급관(3)은 벤츄리부(2c)에 연결되는 제1연결관(3a)과 배출구(2b)근처에 연결되는 제2연결관(3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연결관(3a)에는 체크밸브(4)가 설치되어 있고, 제2연결관(3b)에도 체크밸브(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연결관에 체크밸브가 설치됨으로써, 브레이크 부스터 측의 부압이 엔진측보다 항상 높게 유지되게 하여 브레이크 부스터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엔진측의 혼합기가 브레이크 부스터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브레이크 부스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그것의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인텐시파이어의 종래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가 미국특허 제5,291,91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체크밸브는 내연기관의 진공 공기라인에 배치된다. 그 체크밸브는 하나의 출구포트 및 2개 이상의 입구포트를 지니는 단일부재의 밸브본체를 포함하며, 이중에서 하나의 출구포트는 인입포트를 갖는 라인에 접속되며 벤튜리튜브에 의해 연결된다. 제2인입포트는 밸브스템에 의해 주 공기 유동라인으로부터 분리되며 그들 사이에는 다이아프램이 있어 상호 연통하며, 부압을 차단한다. 제2인입포트는 예컨대 자동차의 브레이크와 같이 인입구에 연결된 장치에 진공 부스터를 제공하는 제2벤튜리튜브 및 밸브스템을 통해 출구포트와 연통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인텐시파이어 또는 체크밸브는 다소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하나의 인테시파이어에 2개의 체크밸브를 설치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같은 밸브의 추가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각각의 분기부에 체크밸브를 설치해야하므로 복잡한 작업공정을 거쳐야 함은 물론 고장이 수리 및 교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차량용 인텐시파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체크밸브의 설치가 용이하며 유지 및 수리가 용이하고 저렴한 차량용 인텐시파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인텐시파이어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텐시파이어를 보여주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흡입관12 :공기호스
14 : 인입구16 : 호스
18 : 배출구20 : 벤츄리부
30 : 공급관32 : 제1연결관
34 : 제2연결관40 : 공급호스
50 : 체크밸브
이 같은 목적들은,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에 구비된 브레이크 부스터내의 부압을 증압시켜 그 조립체의 정상작동을 유지시키기 위한 차량용 인텐시파이어(intensifier)에 있어서, 공기 공급원에 연결된 공기호스에 연결되는 인입구, 자동차의 엔진측의 호스에 연결되는 배출구, 인입구 와 배출구사이에 형성되는 벤츄리부(20)를 일체로 구비하는 흡입관; 그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부스터에 연결되며, 흡입관의 벤츄리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관과 배출구 근처에 연결되는 제2연결관(34)을 구비하는 공급관; 및 공급관의 인입부와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에 연결되며, 브레이크 부스터 내부로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공급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텐시파이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텐시파이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2를 참조하면, 그 인텐시파이어는 기본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엔진에 공급하기 위한 흡입관(10)을 구비한다. 흡입관(10)은 공기 공급원에 연결된 공기호스(12)에 연결되는 인입구(14)와, 자동차의 엔진측의 호스(16)에 연결되는 배출구(18)를 구비한다. 또한, 그 인입구(14) 와 배출구(18)사이에는 벤츄리부(20)가 형성된다.
한편, 흡입관(10)에는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부스터에 연결되는 부압공급관(30)이 연결된다. 그 공급관(30)은 벤츄리부(20)에 연결되는 제1연결관(32)과 배출구(18)근처에 연결되는 제2연결관(34)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공급관(30)의 인입부에는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부스터에 연결되는 공급호스(40)가 연결되며, 그 공급호스(40)에는 브레이크 부스터 내부로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같은 체크밸브(50)의 설치위치는 인텐시파이어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시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호스(40)에 하나의 체크밸브(50)만이 설치되는 구성을 갖게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인텐시파이어의 작동 및 그 작용모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텐시파이어와 같이 공급호스(40)에 하나의 체크밸브(50)가 설치됨으로써, 브레이크 부스터 측의 부압이 엔진측보다 항상 높게 유지되게 하여 브레이크 부스터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공급호스(40)에 하나의 체크밸브(50)만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공급관(30) 전체의 부압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엔진측의 혼합기가 브레이크 부스터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브레이크 부스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그것의 정상적인 작동을 유지할수 있는 것이다.
결국, 공급호스에 단지 하나의 체크밸브를 설치하여도 종래의 공급관의 각각의 분기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들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음으로써, 전술된 바와 같은 작용모드 내지 작용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인텐시파이어에 의하면, 공급호스에 단지 하나의 체크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체크밸브만을 설치하면 되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체크밸브의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 및 수리가 용이하고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

  1.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에 구비된 브레이크 부스터내의 부압을 증압시켜 그 조립체의 정상작동을 유지시키기 위한 차량용 인텐시파이어(intensifier)에 있어서,
    공기 공급원에 연결된 공기호스에 연결되는 인입구, 자동차의 엔진측의 호스에 연결되는 배출구, 상기 인입구 와 배출구사이에 형성되는 벤츄리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흡입관;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부스터에 연결되며, 상기 흡입관의 벤츄리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배출구근처에 연결되는 제2연결관을 구비하는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의 인입부와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브레이크 부스터 사이에 연결되며, 브레이크 부스터 내부로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공급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인텐시파이어.
KR1020010064411A 2001-10-18 2001-10-18 차량용 인텐시파이어 KR20030033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11A KR20030033157A (ko) 2001-10-18 2001-10-18 차량용 인텐시파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11A KR20030033157A (ko) 2001-10-18 2001-10-18 차량용 인텐시파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157A true KR20030033157A (ko) 2003-05-01

Family

ID=29565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411A KR20030033157A (ko) 2001-10-18 2001-10-18 차량용 인텐시파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31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6580A (en) * 2004-07-23 2006-02-01 Ford Global Tech Llc A vacuum enhancing valve for a brake booster
US7353812B1 (en) 2007-03-14 2008-04-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ngine with integral vacuum generator
EP3107646A4 (en) * 2014-02-17 2017-11-15 Nyloncraft Inc. Super aspirator with integrated dual flow shut of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0670A (ko) * 1995-12-31 1997-07-24 전성원 배큠 서보 브레이크 배력장치
JPH10115262A (ja) * 1996-10-11 1998-05-0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6120414A (en) * 1998-06-01 2000-09-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egative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brake boos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0670A (ko) * 1995-12-31 1997-07-24 전성원 배큠 서보 브레이크 배력장치
JPH10115262A (ja) * 1996-10-11 1998-05-06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6120414A (en) * 1998-06-01 2000-09-19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Negative pressure control apparatus for brake boost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6580A (en) * 2004-07-23 2006-02-01 Ford Global Tech Llc A vacuum enhancing valve for a brake booster
GB2416580B (en) * 2004-07-23 2008-06-11 Ford Global Tech Llc A vacuum enhancing valve for a brake booster
US7353812B1 (en) 2007-03-14 2008-04-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engine with integral vacuum generator
EP3107646A4 (en) * 2014-02-17 2017-11-15 Nyloncraft Inc. Super aspirator with integrated dual flow shut of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8953B2 (en) Evacuator system having multi-port evacuator
US4554786A (en) Vacuum source device for vacuum booster for vehicles
US20190234430A1 (en) Low-cost evacuator for an engine having tuned venturi gaps
US9657748B2 (en) Pneumatically actuated vacuum pump having multiple venturi gaps and check valves
CN1724298A (zh) 高真空性止回阀
KR20160094978A (ko) 벤추리 효과를 이용해 진공을 생성하는 아스피레이터용 흐름 제어
RU2348833C1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воздуха со сниженными уровнями вытекания масла в компрессоре
US6625981B2 (en) Pneumatic booster and vacuum control valve used therefor
US9581060B2 (en) Evacuator system for supplying high suction vacuum or high suction flow rate
KR100489315B1 (ko) 배기다기관장치
CN1923585B (zh) 汽车制动助力辅助装置
KR20030033157A (ko) 차량용 인텐시파이어
US20210316708A1 (en) Valve block for hydraulic brake system
KR100507186B1 (ko) 차량의 엔진 공회전수 저감장치
US20050134111A1 (en) Performance hydraulic systems for hybrid brake system
JP4032384B2 (ja) 気圧式倍力装置
EP3865658B1 (en) Flange connection for vacuum pumps
CN211308531U (zh) 制动真空管路系统、发动机制动真空系统及车辆
KR100747258B1 (ko) 유입공기를 이용한 차량의 진공발생장치
JPH0248679Y2 (ko)
KR20010019236A (ko) 자동차 가변 흡기시스템의 밸브 구동장치
KR100204302B1 (ko) 자동차의 부압유지용 진공탱크의 구조
KR101987498B1 (ko) 이원화된 진공 경로를 갖는 부스터 장치
KR20050068997A (ko) 부압 증폭장치가 장착된 브레이크 시스템
JPS6034737Y2 (ja) 二次空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