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913A - 압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913A
KR20030031913A KR1020027017550A KR20027017550A KR20030031913A KR 20030031913 A KR20030031913 A KR 20030031913A KR 1020027017550 A KR1020027017550 A KR 1020027017550A KR 20027017550 A KR20027017550 A KR 20027017550A KR 20030031913 A KR20030031913 A KR 20030031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member
pintle
diaphragm
movable pressure
pressure bou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9997B1 (ko
Inventor
에릭 지로워드
Original Assignee
텔레플렉스 지에프아이 컨트롤 시스템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플렉스 지에프아이 컨트롤 시스템즈 엘.피. filed Critical 텔레플렉스 지에프아이 컨트롤 시스템즈 엘.피.
Publication of KR2003003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4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 G05D16/0655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 G05D16/0661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characterised by the loading mechanisms of the membra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402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with two or more controllers mounted in s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822Reactor surface closes chamber
    • Y10T137/7823Valve head in inlet cha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81With separate connected fluid reactor surface
    • Y10T137/7793With opening bias [e.g., pressure regulator]
    • Y10T137/7822Reactor surface closes chamber
    • Y10T137/7823Valve head in inlet chamber
    • Y10T137/7826With valve closing bias
    • Y10T137/7827In reactor cham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챔버(45) 및 저압 챔버를 포함하는 하우징(16), 저압 챔버로부터 고압 챔버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가동 압력 경계 부재(31), 핀틀 스템(34) 및 핀틀 리테이너(36)를 포함하며, 핀틀 스템은 가동 압력 경계 부재를 통해 연장하여 핀틀 리테이너를 지탱하고, 핀틀 리테이너는 저압 챔버에 배치되는 핀틀 밸브, 및 핀틀 리테이너 및 가동 압력 경계 부재와의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54)를 구비하는 압력 조절장치(16)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압 챔버 및 고압 챔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저압 챔버로부터 고압 챔버를 분리시키기 위해 구성되며, 가동 압력 경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구성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를 구비하는 압력 조절 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 조절장치{PRESSURE REGULATOR}
내연 기관에 프로판 가스 또는 천연 가스를 또는 연료 전지에 수소 등과 같은 이른바 대체 연료의 사용이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기관들은 가솔린 및 천연 가스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연료 원을 사용하도록 종종 개조되고 있으며, 조작자는 이들 연료의 가격 및 가용성에 따라 연료 원 사이에서 변환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많은 차량이 가솔린으로만 작동하도록 제작되며, 둘 또는 그 이상의 연료로 작동시키기 위해 개조된다. 상기 차량은 가솔린용 저장 탱크, 탱크로부터 엔진으로 가솔린을 이동시키는 펌프 및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 및 연료를 엔진으로 도입시키는 기화기 또는 연료 분사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프로판, 천연 가스 및 수소 등과 같은 기체 연료는 처리 용이한 용적으로 가스를 압축하는 가압 실린더에 저장되어야만 한다. 가압 저장 실린더에 의해 안전하게 처리될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으로 압력을 증가시키므로, 그 실린더에 저장될 수 있는 연료량이 증가하며, 차량이 주행될 수 있는 거리를 최대로 연장한다. 통상, 저장 실린더 압력은 2000으로부터 5000 psig 범위이다.
내연 기관은 고압으로 작동될 수 없으며, 가스압은 엔진이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는 수준으로 감소되어야만 한다.
또한, 저장 실린더 내의 압력이 감소될지라도, 엔진에 진입하는 연료압이 거의 일정한 것을 보장하도록 압력이 감소되어 조절되어야만 한다. 동시에, 압력 조절은 저장 실린더로부터 가능한 한 많은 가스가 제거되는 것을 허용해야 하며, 따라서 작동압력을 가능한 폐쇄하기 위해 저장 실린더 내의 압력이 떨어지는 것을 허용해야 한다. 압력 조절장치에 걸친 고압 차는 사용되지 않은 연료가 저장 실린더에 남아 있어 엔진에 이용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압력이 감소되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갖는 종래의 압력 조절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압력을 감소시켜 압축 가스의 흐름을 조절하는데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다. 이중 다수는 조절장치의 여러 단계에 걸쳐 압력 및 유체의 흐름을 균형 잡기 위해 스프링, 다이어프램 및 기계부품의 다양한 배치를 사용하는 압력 균형 조절장치로서 공지되어 있다. 이 점에서, 가스 공급을 개폐하는 다이어프램이 밸브에 장착되어 가스의 흐름을 조절한다.
압력 균형 조절장치 등의 다이어프램은 압력 변동하여 다이어프램에 응력을 유발하는 경향이 있다. 탄성 재료로 제작되는 다이어프램은 상기 언급한 응력에 의해 야기되는 기계적 피로 및 파괴를 받기 쉽다. 다이어프램의 파괴 또는 파열은 연관된 밸브에 제공된 시일링의 손상과 특히 관계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다이어프램은 저장 실린더 내의 높은 기체 압에 노출된다.
유사하게, 밸브 시일을 통한 누출의 결과 초과압력 조건이 밸브에 과대응력(overstress)을 줄 수 있으며, 또한 이 구성요소의 시기적으로 빠른 파괴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가스의 흐름을 제어하는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압축 또는 액화 천연 가스 또는 수소와 같은 고압 기체 연료에 사용되는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의 단면 입면도이며, 제1 위치의 다이어프램 지지판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압력 조절장치의 절단면 입면도이며, 환형 챔버 주위의 성분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의 단면 입면도이며, 제2 위치의 다이어프램 지지판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압력 조절장치의 절단면 입면도이며, 환형 챔버 주위의 성분을 도시한다.
도 5는 2단 조절장치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가스 흐름 조절 시스템의 단면 입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고압 챔버 및 저압 챔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저압 챔버로부터 고압 챔버를 분리시키기 위해 구성된 가동 압력 경계 부재, 가동 압력 경계 부재를 통해 연장하여 핀틀 리테이너를 지탱하는 핀틀 스템 및 저압 챔버에 배치된 핀틀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핀틀 밸브, 및 핀틀 리테이너 및 가동 압력 경계 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본체, 저압 챔버,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 유체 통로, 상기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된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시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통로와 연통하는 오리피스, 가동 압력 경계 부재를 통해 연장하며 핀틀 리테이너를 지탱하는 핀틀 스템 및 저압 챔버에 배치된 핀틀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오리피스를 시일링하기 위해 구성된 밸브 핀틀, 상기 밸브 핀틀과 결합되며, 저압 챔버로부터 유체 통로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가동 압력 경계 부재, 및 핀틀 리테이너 및 가동 압력 경계 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 유체 통로, 상기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된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시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통로와 연통하는 오리피스, 오리피스를 시일링하기 위해 구성된 밸브 핀틀, 상기 밸브 핀틀과 결합되며, 저압 챔버로부터 유체 통로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가동 압력 경계 부재, 및 가동 압력 경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구성된 멈춤쇠(deten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저압 챔버 및 고압 챔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저압 챔버로부터 고압 챔버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가동 압력 경계 부재, 및 저압 챔버에 배치되며, 가동 압력 경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구성된 멈춤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를 제공한다.
핀틀 너트와 다이어프램판 사이에 탄성 부재를 설치하므로서, 초과압력(overpressure) 조건 중의 핀틀 밸브의 과대응력이 완화된다. 또한, 초과압력 조건 중의 다이어프램에 접촉하여 지지하는 연속된 표면을 설치하므로서, 다이어프램의 파괴도 완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압력 조절장치(1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 입면도이다. 압력 조절장치(10)는 조절장치 하우징(16)을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14)에 장착된 스프링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16)은 핀틀 챔버(20)와 연통하는 흡기구(18)를 포함하며, 내부면(17)이 부여된다. 핀틀 챔버(20)는 출력 챔버(22)와 연통하며, 오리피스(24)와 함께 밸브 시트(23)를 포함한다. 밸브 핀틀(26)은 핀틀 챔버(20) 내에 배치되며, 밸브 시트(23)에 대하여 가압하는 실링면(28)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오리피스(24)를 폐쇄한다. 출력 챔버(22)는 하우징(16) 내에 형성된 배기구(25, 도 5 참조)와 연통한다.
밸브 핀틀(26)은 스프링(30)의 결합작용에 따라 오리피스(24)를 개폐하도록 가동하며, 압력 경계 부재(31)로 이동가능하다. 스프링(30)은 하우징(16) 내에 제공되어, 실링 표면(28)이 밸브 시트(23)로부터 떨어지는 개방 위치를 향해 밸브 핀틀(26)을 이동시키도록 힘을 가하며 이에 의해 출력 챔버(22)와 연통하는 오리피스(24)를 개방한다. 핀틀 챔버(20) 및 출력 챔버(22)의 기체 압력은 가동 압력 경계 부재(31) 및 밸브 핀틀(26)로 작용하며, 이에 의해 스프링(30)에 의해 부가된 힘에 대향하여 폐쇄 위치를 향해 밸브 핀틀(26)을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실링 표면(28)은 밸브 시트(23)에 대하여 가압되며, 이에 의해 오리피스(24)를 폐쇄한다. 핀틀 스템(34)은 밸브 핀틀(26)로부터 연장하여 핀틀 너트(36)에 닿는다. 핀틀 너트(36)는 중앙 보스(38) 내에 장착된다. 중앙 보스(38)는 가동 압력 경계 부재(31)의 중심을 통해 연장한다. 로킹 링(44, locking ring)은 중심 보스(38)위에 고정되어 가동 압력 경계 부재(31)를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31)는 다이어프램(32), 제1 다이어프램판(40) 및 다이어프램 지지판(42)을 구비하는 다이어프램 조립체이다. 다이어프램(32)에는 중앙 보스(38)로부터 연장하여, 다이어프램(32)의 일측에 배치된 제1 다이어프램판(40)에 장착된다. 다이어프램(32)은 다이어프램 지지판(42) 및 로킹 링(44)에 의해 제1 다이어프램판(40)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32)은 제1 다이어프램판(40)과 다이어프램 지지판(42) 사이에 삽입되어 끼워진다. 다이어프램(32)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16) 내에 홈(48)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하우징(16)에 다이어프램(32)을 고정한다. 판(40, 42)을 따라서 다이어프램(32)은 고압 챔버 또는 출력 챔버(22) 및 저압 챔버(45)를 한정한다. 저압 챔버(45)는 스프링 챔버(46)를 포함한다. 이 점에서, 다이어프램(32)은 스프링 챔버(46)로부터 출력 챔버(22)를 시일링하며, 이에 의해 스프링 챔버(46)로부터 출력 챔버(22)를 분리시킨다. 다이어프램(32)은 일반적으로 평평한 프로파일로 특징지워진다. 다이어프램(32)은 제1측 표면(56) 및 제2측 표면(58)을 포함한다. 제1측 표면(56)은 출력 챔버(22) 내에 가스를 노출시킨다. 다이어프램(32)은 중앙 보스(38)를 수용하는 관통 보어(6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다이어프램(32)은 다이어프램(32)의 작용에 변형을 제공하기 위해 평평한 프로파일로 특징지워진 부분(52)으로부터 연장하는 롤링 컨볼류션(50, rolling convolution)을 포함한다. 상세하게, 본 설계는 다이어프램(32)이 항상 인장 하에 있는 것(즉, 전단 또는 압축을 받지 않음)을 보장하기 위해 시도된다. 따라서, 컨볼류션이 구름에 따라, 다이어프램(32)은 결코 늘어나거나 휘어지지 않는다(즉, 이력현상(hysteresis)이 거의 제거됨).
스프링(30)이 로킹 링(44)위에 고정되어, 다이어프램 지지판(42)에 지지된다. 스프링(30)은 코일 스프링, 스프링 와셔, 또는 엘라스토메릭형(elastomeric-type)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30)은 하우징(16) 내에 형성된 스프링 챔버(46) 내에 유지된다. 스프링 챔버(46)는 개방 위치를 향해 밸브 핀틀(26)의 편향을 작용하기 위해 반경방향의 봉쇄(containment)를 제공하고 스프링(30)을 위치시키기 위해 내측벽(19)에 한정된다. 이 점에서, 측벽(19)의 표면(17)은 다이어프램(32)의 축에 대체로 평행하다. 도 2에 대해 언급하면, 측벽(19)이 다이어프램 지지판(42) 직전, 그러므로 내부 가장자리(27)의 다이어프램(32)과 닿는다. 지지 표면(33)은 스프링 챔버(46)의 주변을 중심으로 환형 공간(29)에 대한 경계를 제공하기 위해 측벽(19)으로부터 가장자리(27)에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연장한다.
탄성 부재(54)는 핀틀 너트(36)와 제1 다이어프램판(40) 사이에 중앙 보스(38) 내에 장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54)는 서로 적층된 복수개의 스프링 와셔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54)는 서로 적층된 복수개의 접시형(belleville-type) 와셔를 구비한다. 핀틀 너트(36)는 로킹 링(44)에 스프링(30)에 의해 부가된 힘을 전달하는 탄성 부재를 지탱한다. 탄성 부재(54)는 비정상 작동 조건동안 밸브 핀틀(26)의 과대응력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컨대, 조절장치(10)의 출력 포트가 폐쇄되고, 출력 챔버(22)가 극도의 높은 가스 압력에 노출될 때, 밸브 핀틀(26)의 오리피스(24)의 시일링이 파괴되어야 한다. 이 압력이 정상 범위를 초과할 때, 탄성 부재(54)의 압축을 야기하도록 다이어프램(32) 및 제1 다이어프램판(40)이 옮겨진다. 핀틀 너트(36) 아래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54)는 밸브 핀틀(26)의 과대응력을 방지한다. 시일링 표면(28)이 밸브 시트(23)에 대향하여 맞물릴 때, 밸브 핀틀(26)은 고정되어 다이어프램(32) 및 다이어프램판(40, 42)상에 부과된 기체 압력의 방향으로 더이상 움직일 수 없다. 밸브 핀틀(26)이 이 위치에 있을 때, 출력 챔버(22)에 기체 압력이 부과되면, 탄성 부재(54)가 압축되며, 이에 의해 다이어프램(32) 및 다이어프램판(40, 42)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흡수하며, 상기 언급한 기체 힘에 상응하여 이들 후자의 성분이 이동한다.
또한, 밸브 핀틀(26)에 의한 오리피스(24)의 부적절한 시일링은 다이어프램(32)의 기계적 피로 및 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 실시예에서, 조절장치 하우징(16) 및 다이어프램 지지판(42)은 출력 챔버(22) 내에서 극도의 압력 조건 중에 다이어프램(32)을 지지하기 위해 적용된다. 다이어프램 지지판(42)은 도 1 및 도 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위치로 특징지어진다. 도 1에서, 출력 챔버(22)중의 기체 압력은 정상 압력 범위 내에 있다. 이들 조건 하에서, 다이어프램 지지판(42)은 간극(61)에 의해 하우징(16)의 지지표면(33)으로부터 이격되며, 다이어프램(32)의 제2측 표면(58)의 제1 부분(62)과 접촉한다(도 2 참조). 동시에, 다이어프램(32)의 제2측 표면(58)의 제2 부분(64)은 어떠한 강성 표면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하우징(16)의 지지 표면(33)과 출력 챔버(22) 사이에서 떠오르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부분(64)은 롤링 컨볼류션(50)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건 하에서, 다이어프램(32)은 다이어프램(32)의 제1측 표면(56)에 작용하는 기체압력 힘의 방향으로 그 형상을 펼치고 변화할 수 있게 유지된다.
도 3은 챔버(22) 내의 압력이 초과압력 조건으로 특징지어지는 제2 위치의 다이어프램 지지판(42) 및 다이어프램(32) 조건을 도시한다. 이 조건 하에서, 다이어프램 지지판(42)은 제2 위치를 취하며, 출력 챔버(22)의 기체 힘은 하우징(16)의 표면(33)과 접촉하도록 다이어프램 지지판(42)을 부세하거나 가압하며, 이에 의해 출력 챔버(22)의 가스에 의해 부가되는 압력 힘의 방향으로의 다이어프램 지지판(42)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한다. 이 점에서, 표면(33)은 가동 압력 경계 부재(3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 멈춤쇠(detent)이다. 동시에, 압력 챔버(22)의 기체 압력 힘은 하우징(16)의 표면(33)을 향해 다이어프램 지지판(42)과 세로로 이동하도록 다이어프램(32)을 부세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이 초과압력 조건에서, 제2측 표면(58) 모두가 대체로 다이어프램 지지판(42) 또는 표면(33) 중의 하나와 접촉된다.
다이어프램 지지판(42)과 하우징(16)의 지지표면(33)의 결합은 출력 챔버(22) 내의 가스에 의해 부가된 압력 힘의 방향으로 다이어프램(32)의 이동 또는 펼쳐짐을 제한하기 위해 연속 지지 표면 또는 멈춤쇠에 존재한다. 이와 같이, 다이어프램 지지판(42)이 이 제2 위치에 있을 때, 다이어프램(32)은 (ⅰ)제1측 표면(56)에 대향하여 부가된 압력과 (ⅱ)제2측 표면(58)에 대향하여 부가된 압력 사이의 차이가 다이어프램의 강도보다 클 때 발생할 수 있는 파열 또는 파괴로부터 보호된다. 이 점에서, 하우징(16)의 지지 표면(33)과 다이어프램 지지판(42)은 출력 챔버(22)의 기체 압력에 의해 제1측 표면(56)에 부과되는 것과 동일하며, 반대되는 반응력이 제2측 표면(58)에 작용한다.
초과압력 조건의 다이어프램(32)의 파열 방지를 보조하기 위해, 하우징(16)의 멈춤쇠(33)가 정상 작동 조건 하에서 다이어프램(32)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대향 표면에 존재한다. 또한, 초과압력 조건에서, 멈춤쇠(33)가 다이어프램(32)이 파열하지 않는 초과압력을 받을 때, 다이어프램(32)의 형상과 가까운 형상으로 표면에 존재한다.
도 2에 대해 언급하면, 일 실시예에서, 다이어프램 지지판(42)은 롤링 콘벌루션(50)의 일반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 벽(68)을 구비하는 주변(66)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롤링 콘벌루션(50)을 지지하는 지지 표면(70)이 존재한다. 롤링 콘벌루션(50)을 지지하는 지지 표면(70)의 존재에 의해, 초과압력 조건 중 하우징(16)을 향해 다이어프램 지지판(42)이 이동할 때, 다이어프램 지지판(42)과 하우징(16) 사이에 롤링 콘벌루션(50)이 끼게되는 위험이 감소된다.
일 실시에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구(18)는 솔레노이드 밸브(74)를 통해 압력 용기(72)에 저장된 고압 기체와 연통한다. 솔레노이드밸브(74)는 압력 용기(72)의 외부로의 기체의 흐름을 제어한다. 솔레노이드 밸브(74)는 흡기구(76) 및 배기구(78)를 포함한다. 배기구(78)는 유체 통로(80)를 경유하여 조절장치(10)의 흡기구(18)와 연통한다. 수동 차단 밸브(82)가 솔레노이드 밸브(74)와 흡기구(18) 사이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배기구(2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 압력 조절장치(100)의 흡기구(18)와 연통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력 조절장치(100)는 평형 조절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스크류(102)와 같은 조절가능 부재가 연관된 스프링(30)의 압축을 조절하기 위해 하우징(16)을 통해 연장 설치되며, 이에 의해 밸브 핀틀(26)의 흐름 제어 특성을 변화시킨다.
또한, 통기 통로(84)가 스프링 챔버(46)와 연통하도록 하우징(16) 내에 형성된다. 출력 챔버(22)로부터 스프링 챔버(46)로의 다이어프램(32)에 걸쳐 가스가 누출하며 이에 의해 스프링 챔버(46) 내의 가스의 축적을 방지하도록 통기된다. 제2단 조절장치(100)의 스프링 챔버(46)가 대기 중으로 통기하는 한편, 제1단 조절장치(10)의 스프링 챔버(46)는 제2단 조절장치(100)의 출력 챔버(22)와 통기하여 일련의 제1 및 제2단 조절장치(10, 100)에 의해 압력 조절이 성취된다.
배기구(25)를 통해 제2단 조절장치(100)로부터의 가스 흐름이 배기관(104)과 연결된다. 압력 조절 장치(106)가 배기관(104)에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릴리프 아웃렛 커넥션(108, relief outlet connection)을 통기한다. 또한, 센서 포트(110, sensor port)가 배기 가스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배기관(104)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기술 및 도시하고 있지만,본 발명은 이들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당 기술의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계에 대해서는, 첨부된 청구범위를 참조로 하여 기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조절 장치에 의해 탄성 재료로 제작되는 다이어프램 응력에 의해 야기되는 기계적 피로 및 파괴를 완화시키며, 탄성부재를 설치하므로서 초과압력의 과대응력이 완화된다.

Claims (27)

  1. 고압 챔버 및 저압 챔버를 포함하는 하우징(housing),
    저압 챔버로부터 고압 챔버를 분리시키기 위해 구성된 가동 압력 경계 부재,
    가동 압력 경계 부재를 통해 연장하여, 핀틀 리테이너(pintle retainer)를 지탱하는 핀틀 스템(pintle stem) 및 저압 챔버에 배치된 핀틀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핀틀 밸브(pintle valve), 및
    핀틀 리테이너 및 가동 압력 경계 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스프링 와셔(spring washe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 와셔는 접시형(belleville-type) 와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오리피스(orifice)를 갖는 밸브 시트(valve seat)를 포함한 핀틀 챔버를 더구비하며, 핀틀 밸브는 밸브 시트와 맞물리는 시일링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오리피스를 통해 핀틀 챔버와 연통하게 배치된 출력 챔버를 더 구비하며, 출력 챔버의 가스가 가동 압력 경계 부재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핀틀 리테이너는 가동 압력 경계 부재로부터 일체로 연장하는 중앙 보스(boss)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그 주변을 중심으로 다이어프램(diaphragm)을 포함하고, 다이어프램은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저압 챔버에 배치되어 가동 압력 경계 부재에 대향하여 지탱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
  9. 본체,
    저압 챔버,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 유체 통로,
    상기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된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시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통로와 연통하는 오리피스,
    가동 압력 경계 부재를 통해 연장하여 핀틀 리테이너를 지탱하는 핀틀 스템 및 저압 챔버에 배치된 핀틀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오리피스를 시일링하기 위해 구성된 밸브 핀틀,
    상기 밸브 핀틀과 결합되며, 저압 챔버로부터 유체 통로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가동 압력 경계 부재, 및
    핀틀 리테이너 및 가동 압력 경계 부재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0. 제9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스프링 와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1. 제9항에 있어서,
    스프링 와셔는 접시형(belleville-type) 와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핀틀 리테이너는 가동 압력 경계 부재로부터 일체로 연장한 중앙 보스 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그 주변을 중심으로 다이어프램을 포함하고, 다이어프램은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장치
  14. 본체,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 유체 통로,
    상기 유체 통로 내에 배치된 밸브 시트,
    상기 밸브 시트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 통로와 연통하는 오리피스,
    오리피스를 시일링하기 위해 구성된 밸브 핀틀,
    상기 밸브 핀틀과 결합되며, 저압 챔버로부터 유체 통로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가동 압력 경계 부재, 및
    가동 압력 경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구성된 멈춤쇠(deten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5. 제14항에 있어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제1측 표면과 대향의 제2측 표면을 포함하며, 제1측 표면은 유체 통로에 노출되며, 멈춤쇠는 제2측 표면과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6. 제14항에 있어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다이어프램과 결합되는 다이어프램 지지판을 포함하며, 다이어프램 지지판은 멈춤쇠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7. 제16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 지지판의 주위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8. 제17항에 있어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제1측 표면 및 대향의 제2측 표면을 포함하며, 제1측 표면은 유체 통로에 노출되며, 멈춤쇠는 제2측 표면과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19. 제14항에 있어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저압 챔버로부터 유체 통로를 분리시키며, 멈춤쇠는저압 챔버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20. 제19항에 있어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제1측 표면 및 대향의 제2측 표면을 포함하며, 제1측 표면은 유체 통로에 노출되며, 멈춤쇠는 제2측 표면과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21. 제19항에 있어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다이어프램과 결합되는 다이어프램 지지판을 포함하며, 다이어프램 지지판은 멈춤쇠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22. 제21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 지지판의 주변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23. 제14항에 있어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제1 및 제2 위치를 포함하며,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제1 위치에서 멈춤쇠로부터 이격되며,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제2 위치에서 멈춤쇠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24. 저압 챔버 및 고압 챔버를 포함하는 하우징,
    저압 챔버로부터 고압 챔버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된 가동 압력 경계 부재, 및
    저압 챔버에 배치되며, 가동 압력 경계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구성된 멈춤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25. 제24항에 있어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다이어프램과 결합되는 다이어프램 지지판을 포함하며, 다이어프램 지지판은 멈춤쇠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26. 제25항에 있어서,
    다이어프램은 다이어프램 지지판의 주위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27. 제26항에 있어서,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제1 및 제2 위치를 포함하며,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제1 위치에서 멈춤쇠로부터 이격되며, 가동 압력 경계 부재는 제2 위치에서 멈춤쇠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조절 밸브.
KR1020027017550A 2000-06-23 2001-06-22 압력 조절장치 KR1007099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312,237 2000-06-23
CA002312237A CA2312237A1 (en) 2000-06-23 2000-06-23 Pressure regulator
PCT/CA2001/000902 WO2002001307A1 (en) 2000-06-23 2001-06-22 Pressure reg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913A true KR20030031913A (ko) 2003-04-23
KR100709997B1 KR100709997B1 (ko) 2007-04-20

Family

ID=416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550A KR100709997B1 (ko) 2000-06-23 2001-06-22 압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23565B2 (ko)
EP (1) EP1295190A1 (ko)
JP (1) JP3927116B2 (ko)
KR (1) KR100709997B1 (ko)
AU (1) AU2001268876A1 (ko)
CA (1) CA2312237A1 (ko)
WO (1) WO2002001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7982B1 (en) * 1998-06-29 2003-11-18 Zaiser Lenoir E. Gas flow device
US20050167453A1 (en) * 2004-01-30 2005-08-04 Eagle Beijing Investments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refilling highly pressurized gases
US20090054893A1 (en) * 2004-02-03 2009-02-26 Sartor Joe D Gas-enhanced surgical instrument with pressure safety feature
US8226643B2 (en) * 2004-02-03 2012-07-24 Covidien Ag Gas-enhanced surgical instrument with pressure safety feature
US20050257836A1 (en) * 2004-05-18 2005-11-24 Robert Boyer Gas pressure regulator
JP2006177543A (ja) * 2004-11-29 2006-07-06 Jtekt Corp 高圧ガス用弁装置
US20060157115A1 (en) * 2005-01-11 2006-07-20 Andrew Dorogi Regulator with belleville springs
US20060260690A1 (en) * 2005-05-20 2006-11-23 Itt Industries, Inc. -Conoflow Pressure regulator with reduced outlet pressure loss
JP2007034452A (ja) * 2005-07-25 2007-02-08 Tokai Corp 圧力調整器
JP2007058616A (ja) * 2005-08-25 2007-03-08 Tokai Corp 圧力調整器
US20070056635A1 (en) * 2005-09-14 2007-03-15 Elberson Michael D Fluid regulator
US7357338B1 (en) 2006-11-14 2008-04-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aseous fuel injector
US7836911B2 (en) * 2007-05-18 2010-11-23 Glen M. Arnott Gas pressure regulator with a valve and piston assembly
US20090078321A1 (en) * 2007-09-20 2009-03-26 Daniel A. Holt, D/B/A Rehvac Manufacturing Ltd. Gas pressure regulator having a regulator cap for a bayonet engagement with the regulator body
US20110088627A1 (en) * 2009-10-20 2011-04-21 All Seasons Feeders, Inc. Integral control box, spinner and funnel unit with adjustable legs
US8689814B2 (en) * 2010-03-24 2014-04-08 Michael D. Holt Company, Llc Regulated automatic changeover valve
LU91787B1 (en) * 2011-02-04 2012-08-06 Luxembourg Patent Co Gas pressure reducer with disk spring
CA2893826C (en) 2011-12-07 2021-11-16 Agility Fuel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fuel systems
EP3140537B1 (en) 2014-05-05 2018-03-07 Parker-Hannifin Corporation Pressure regulator
WO2016024175A1 (en) * 2014-08-12 2016-02-18 Angadji Michael Gas pressure regulator for two wheeler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4321A (en) 1957-06-04 Fuel pressure regulator
US2704551A (en) * 1955-03-22 ralston
BE387342A (ko)
US1114043A (en) 1913-07-30 1914-10-20 Perfection Gas Regulator Company Gas-pressure regulator.
US1264006A (en) 1917-12-22 1918-04-23 Davis Bournonville Co Pressure-regulator.
US1731519A (en) 1926-07-23 1929-10-15 Bastian Blessing Co Two-stage fluid-pressure regulator
US1842236A (en) 1929-09-07 1932-01-19 Bastian Blessing Co Two stage regulator
US2057133A (en) 1929-11-30 1936-10-13 Union Carbide & Carbon Corp Multistage pressure regulator
US1883690A (en) 1930-02-25 1932-10-18 Gilgenberg Paul Device for withdrawing low pressure gases from high pressure vessels
US2015977A (en) 1931-11-06 1935-10-01 Reliance Regulator Corp Pressure regulator
US2057150A (en) 1932-03-21 1936-10-13 Union Carbide & Carbon Corp Two-stage pressure regulator
US2192630A (en) 1937-03-08 1940-03-05 Bryant Heater Co Gas control for boilers and the like
US2280390A (en) 1939-12-12 1942-04-21 Ensign Carburetor Co Ltd Pressure regulator
US2302284A (en) 1940-02-20 1942-11-17 Pittsburgh Equitable Meter Co Safety gas pressure regulator
US2306060A (en) 1940-10-31 1942-12-22 Union Carbide & Carbon Corp Pressure regulating and reducing apparatus
US2362352A (en) 1940-12-12 1944-11-07 William C Buttner Two-stage regualtor
US2318721A (en) * 1941-01-11 1943-05-11 Union Carbide & Carbon Corp Fluid pressure regulator
GB613429A (en) 1945-03-03 1948-11-29 Volcan Sa Gas pressure regulator
US2696714A (en) 1950-09-25 1954-12-14 Laudrum L Hughes Carbureting apparatus
US2768643A (en) 1951-06-14 1956-10-30 Union Carbide & Carbon Corp Regulator for oxygen and other gases
US2687018A (en) 1952-02-29 1954-08-24 Weatherhead Co Multiple head with regulators
US3023093A (en) 1954-03-25 1962-02-27 Reynolds Gas Regulator Company Fluid pressure distributing system
US2819728A (en) 1955-01-12 1958-01-14 Cycle Flo Company Flow regulator
US2824186A (en) 1955-07-18 1958-02-18 Magnetrol Inc Fluid pressure actuator
US3117591A (en) * 1960-08-29 1964-01-14 Penn Controls Delayed step opening gas regulator
US3211175A (en) 1961-04-03 1965-10-12 Edward H Replogle Valve regulator
US3176709A (en) 1962-08-13 1965-04-06 J & S Carburetor Company Liquefied petroleum gas vaporizer having a surge chamber
US3323535A (en) 1964-03-27 1967-06-06 Henry B Peter Adjustable flow control for metered flow of fluid
US3386458A (en) 1965-06-18 1968-06-04 Air Force Usa Internally actuated combined oxygen pressure regulator and oxygenair dilution valves for respiratory apparatus
US3390579A (en) * 1966-09-06 1968-07-02 Bourns Inc Over-pressure diaphragm protection
US3443583A (en) 1967-11-27 1969-05-13 Webb James E High impact pressure regulator
US3643683A (en) 1970-09-23 1972-02-22 Albert L Semon Double venturi pressure regulator
JPS533448B2 (ko) 1974-01-12 1978-02-07
US4069839A (en) * 1976-05-14 1978-01-24 Textron Inc. Gas pressure regulator
US4276902A (en) 1979-11-05 1981-07-07 Rk Industries Modular fluid pressure regulator valves
US4349136A (en) 1980-02-07 1982-09-14 Draft Systems, Inc. Safety pressure reducing regulator
US4484695A (en) 1980-02-07 1984-11-27 Draft Systems, Inc. Safety pressure reducing regulator
US4541454A (en) 1981-12-07 1985-09-17 Sturman Oded E Pressure regulators
JPS58123112A (ja) 1982-01-18 1983-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ガバナ
JPS61229109A (ja) 1985-04-04 1986-10-13 Asahi Seisakusho:Kk 燃料ガスの圧力調整器
US4719940A (en) * 1986-08-18 1988-01-19 Victor Equipment Company Adjustable tied-diaphragm gas pressure regulator
DE3708166C2 (de) 1987-03-13 1999-02-04 Neheim Goeke & Co Metall Differenzdruckregelventil
US4898205A (en) 1987-03-17 1990-02-06 Western/Scott Fetzer Company Stem regulator
US4744387A (en) 1987-06-25 1988-05-17 Otteman John H Fluid pressure regulator
EP0354427B2 (de) 1988-08-11 1998-09-16 Milan Medvescek Differenzdruckregelventil
BG47752A1 (en) 1988-12-15 1990-09-14 Vissh Mashinno Elektrotekhnich Reductor- evaporator
IT1237486B (it) * 1989-06-23 1993-06-07 Agip Spa Procedimento e dispositivo a sensori interferometrici a fibra ottica per l'analisi della deformazione dinamica di una struttura o di suoi componenti
CA1326794C (en) 1989-09-29 1994-02-08 Ortech Corporation Flow control system
US5103861A (en) 1991-08-21 1992-04-14 Chen Fong Enterprise Co., Ltd. Sealing means for a two-stage gas regulator for liquefied-gas containers
US5218991A (en) * 1992-04-23 1993-06-15 Span Instruments, Inc. Regulator flow control
CA2131108C (en) 1994-08-30 2005-06-07 Stephen A. Carter Two-stage pressure regulator
CA2136699C (en) 1994-11-25 2003-09-30 Stephen A. Carter Three-stage gas pressure regulator
DE4445588C2 (de) 1994-12-20 2002-12-05 Danfoss As Membrangesteuertes Differenzdruckventil
US6186168B1 (en) 1999-05-19 2001-02-13 Veritek Ngv, Corp Pressure Reg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95190A1 (en) 2003-03-26
US20020011270A1 (en) 2002-01-31
CA2312237A1 (en) 2001-12-23
US6523565B2 (en) 2003-02-25
AU2001268876A1 (en) 2002-01-08
KR100709997B1 (ko) 2007-04-20
JP2004502230A (ja) 2004-01-22
JP3927116B2 (ja) 2007-06-06
WO2002001307A1 (en) 200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997B1 (ko) 압력 조절장치
JP3857646B2 (ja) ガス流調整システム
KR100352886B1 (ko) 개량된2단계압력조절기
EP1181630B1 (en) Pressure regulator
US6354319B1 (en) Low differential, pilot operated fluid pressure regu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40283794A1 (en) Pressure control valve for gaseous fuel
CA2414237C (en) Pressure regulator
US20050056319A1 (en) Regulator for fuel cell systems
US11249496B1 (en) Gas pressure regulator valve
US20220283598A1 (en) 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pressure regulator
KR101937031B1 (ko) 스템 가이드 댐퍼 어셈블리가 적용되는 직동식 레귤레이터
CN114198545A (zh) 二级减压阀
US4246931A (en) Fuel safety valve and regulator
US4513775A (en) Pressure regulator
KR20100087489A (ko) 내장형 레귤레이터
CA2198610C (en) Improved two-stage pressure regulator
RU2103719C1 (ru)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 газа
KR200441641Y1 (ko) 고도보정형 공기압력 조절밸브
CA2414233A1 (en) Gas flow regulation system
KR20150005786A (ko) 레귤레이터
JPH06147341A (ja) ベローズ式圧力制御弁
MXPA97003862A (en) Three eta gas pressure regul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