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583A -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583A
KR20030031583A KR1020010063286A KR20010063286A KR20030031583A KR 20030031583 A KR20030031583 A KR 20030031583A KR 1020010063286 A KR1020010063286 A KR 1020010063286A KR 20010063286 A KR20010063286 A KR 20010063286A KR 20030031583 A KR20030031583 A KR 20030031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nit
bankbook
input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현
Original Assignee
케이아이에스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아이에스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아이에스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1583A/ko
Publication of KR2003003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5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2금융기관의 출장수납 업무를 자동화하여 출장직원이 별도의 수작업없이 현장에서 자금의 입출금과 계좌조회 및 이체 업무 등을 실시간에 수행할 수 있고, 고객은 출장수납으로 이루어진 금융거래의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각종 금융업무를 처리하는 업무처리부; 업무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업무들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토록 하고, 선택된 각 업무의 진행 중에 사용자에게 알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가 상기 업무처리부의 업무를 선택하고, 각 업무의 진행 중에 필요한 계좌번호, 비밀번호, 금액 등을 입력하는 키조작부; 사용자의 통장에 부착된 마그네틱띠를 읽어서 계좌정보를 독취하는 통장독취부; 사용자의 현금카드 또는 신용카드로부터 계좌정보를 독취하는 카드독취부; 상기 업무처리부에서 처리된 업무의 결과를 전표로서 발행하거나 통장에 인쇄하는 프린터부; 상기 업무처리부의 업무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요청하고 중앙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Wireless terminal for mobile banking}
본 발명은 금융기관, 특히 제2금융기관에서 수행하는 출장업무를 위한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2금융기관은 자체 신용창출기능과 대외 결제시스템이 없으므로 이런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1금융기관인 은행에 종속적으로 시스템을 연결하여 제2금융기관 및 제2금융기관 고객의 자금이체, 송금 및 조회업무 등을 하고 있다. 제2금융기관은 출장수납 업무를 행하고 있는바, 출장수납 업무에 있어서의 자동화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입출금, 계좌조회, 계좌이체, 통장정리 등의 업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여기서 제2금융기관이란 제1금융기관인 은행을 제외한 증권사, 보험사, 카드사,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상호신용금고, 투신사, 각종 캐피탈, 기술금융 등을 일컬으며, 이외에도 이런 기관과 연결하여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인, 기업, 관공서, 임의단체 등 제2금융기관과 직접 거래하는 고객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2금융기관의 출장수납 업무를 자동화하여 출장직원이 별도의 수작업없이 현장에서 자금의 입출금과 계좌조회 및 이체 업무 등을 실시간에 수행할 수 있고, 고객은 출장수납으로 이루어진 금융거래의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외관구성과 전체 시스템도.
도1b는 본 발명의 무선단말기의 내부구성도.
도2a~d는 당행입금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와 표시화면 예시도.
도3a,b는 당행출금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와 표시화면 예시도.
도3c는 타행송금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3d는 타행출금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4a,b는 조회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와 표시화면 예시도.
도5a~d는 이체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와 표시화면 예시도.
도6은 통장정리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7은 수표조회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8은 현금서비스 처리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부호의 설명>
10 무선단말기, 12 표시부, 14 키조작부, 15 업무처리부, 16 통장독취부, 17 프린터부, 18 카드독취부, 19 무선통신부, 20 중앙서버, 21 초기메뉴 화면, 23 입력수단 선택화면, 25 입금처리 전표 화면, 31 출금처리 전표 화면, 41 조회처리 전표 화면, 51 이체은행 선택화면, 53 자행 이체정보 입력화면, 55 타행 이체정보 입력화면
업무 개요
1. 당행입금ㆍ타행송금 업무
제2금융기관의 직원이 고객을 찾아가 현장(고객측 위치)에서 현금입금과 동시에 무선단말기를 통해서 온라인 처리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여 고객에게 확인시키는 업무이다. 당행입금과 타행송금이 모두 가능하다.
2. 당행ㆍ타행출금 업무
제2금융기관의 직원이 고객을 찾아가 현장(고객측 위치)에서 현금출금과 동시에 무선단말기를 통해서 온라인 처리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여 고객에게 확인시키는 업무이다. 출금은 당행과 타행 모두 가능하다.
3. 계좌조회 업무
제2금융기관의 직원이 고객을 찾아가 현장(고객측 위치)에서 고객의 계좌에 대한 잔액조회가 가능하도록 무선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조회를 한다.
4. 계좌이체 업무
제2금융기관의 직원이 고객을 찾아가 현장(고객측 위치)에서 타행 또는 자행의 다른 계좌로 현금이체를 할 수 있도록 무선단말기를 통해 온라인 이체를 하고 결과를 고객에게 확인시킨다.
5. 통장정리 업무
제2금융기관의 직원이 고객을 찾아가 현장(고객측 위치)에서 고객의 통장정리를 할 수 있도록 무선단말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거래내역을 전송받아 인쇄한다. 또한 입금ㆍ출금ㆍ이체 등의 업무를 한 경우에 그 결과가 통장으로 인쇄될 수 있다.
6. 수표조회 업무
제2금융기관의 직원이 고객을 찾아가 현장(고객측 위치)에서 무선단말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수표를 조회한다. 이때 연계된 은행을 통해서 수표조회를 할 수 있다.
7. 현금서비스 처리부
제2금융기관의 직원이 고객을 찾아가 현장(고객측 위치)에서 무선단말기를 통해 온라인으로 현금서비스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무선단말기의 구성
도1a는 본 발명에 따른 모빌뱅킹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우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선단말기가 필요한데, 무선단말기(10)는 도1a에 나타낸 것과 같은 외관구조를 갖는다. 도1a에 나타낸 무선단말기(10)는
처리되는 업무메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2); 사용자가 표시부(12)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고 계좌번호, 비밀번호, 금액을 입력하는 키조작부(14); 사용자의 통장을 받아들여 통장에 부착된 마그네틱띠를 읽어서 계좌정보를 독취하는 통장독취부(16); 사용자의 현금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을 받아들여 계좌정보를 독취하는 카드독취부(18)를 포함하고 있다.
도1a에서 무선단말기(10)는 제2금융기관의 출장직원이 휴대를 하여야 하므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20)에 접속된다. 중앙서버(20)는 무선단말기(10)를 운용하는 금융기관의 호스트서버가 된다.
도1a에 덧붙여, 도1b에 무선단말기(10)의 내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1a에서는 무선단말기(10)의 외관구성을 볼 수 밖에 없었지만, 도1b를 보면
입금 처리부, 타행송금 처리부, 당행출금 처리부, 타행출금 처리부, 조회 처리부, 이체 처리부, 통장정리 처리부, 수표조회 처리부, 현금서비스 처리부로 구성되는 업무처리부(15); 처리된 업무의 결과를 전표로서 발행하거나 통장에 인쇄하는 프린터부(17); 업무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요청하고 수신하는 무선통신부(19)가 추가로 포함된다.
표시부(12)는 LCD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형식의 LCD소자가 개발되어서 시판되고 있다.
키조작부(14)는 키매트릭스 회로를 채용한 키입력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키의 배열은 도1a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말기 설계시의 필요에 따라 키 배열을 결정할 수 있고 어떠한 방식의 키입력모듈을 사용할지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통장독취부(16)는 통장 자체를 받아들여서 마그네틱띠를 독취하는 기능을 하지만, 기구적으로는 통장을 받아들여서 프린터부(22)로 하여금 통장에 인쇄를 하도록 하는 메카니즘을 가져야 한다. 통장독취부(16)와 카드독취부(18)는 기존의 ATM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업무처리부(15)는 도1b에서는 기능적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일 뿐, 실제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된다. 업무처리부(15)에 대해서는 이후 상세하게 설명한다.
무선통신부(19)는 CDMA 방식 이동통신을 위한 통신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기존의 이동통신사(예컨대, "019")와 제휴하여 이동통신사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단말기(10)와 중앙서버(20)를 연결시키면 시스템 구축비용과 관리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무선통신부(19)는 중앙서버(20)와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 사이에 업무처리에 필요한 전문데이터를 원격 교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매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설명한다.
업무처리부의 기능
(1) 당행입금 처리부
도2a는 당행입금 처리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흐름도이고, 도2b~d는 당행입금 처리시의 표시부(12)의 표시화면을 예시한다.
업무처리가 시작되면 표시부(12)에 초기메뉴 화면이 표시된다[201]. 예컨대,초기메뉴 화면(21)은 도2b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즉, 업무처리부(15)의 각종 업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초기 메뉴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10)의 기능인 당행입금, 당행출금, 타행송금, 타행송금, 계좌조회, 계좌이체, 통장정리, 수표조회, 현금서비스이다.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21)을 보고 키조작부(14)를 조작하여 당행입금업무를 선택하면[203], 무선단말기(10)에서는 도2c와 같은 입력수단 선택화면(23)을 표시한다. 즉, 입력수단으로서 통장, 카드, 무통장 중에서 어느 것을 사용할 것인지를 물어본다. 사용자가 입력수단 선택화면(23)에서 통장을 선택하고 통장을 통장독취부(16)에 삽입하면 통장정보(계좌정보)가 독취되고[209],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여 카드를 카드독취부(18)에 삽입하거나 통과시키면 카드정보(계좌정보)가 독취되며[211], 사용자가 무통장을 선택한다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213]. 이렇게 통장정보를 독취하거나 카드정보를 독취하거나 계좌번호를 입력한 후에,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215]. 사용자가 키조작부(14)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앞에서 독취한 계좌정보와 비밀번호를 무선통신부(19)를 통해 중앙서버(20)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한다[217]. 중앙서버(20)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계좌정보와 비밀번호가 맞는지 확인을 하여 승인을 한다[219]. 승인이 되지 않았다면 입금처리를 취소한다. 승인이 되었다면 그 사실을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알리게 되고,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얼마를 입금할 것인지 입력하도록 지시한다[221]. 사용자가키조작부(14)로서 원하는 입금액을 입력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입금액을 중앙서버(20)에 전송하여 입금처리해 줄 것을 요청한다[223]. 이 때 물론 고객은 출장직원에게 입금액에 해당하는 액수의 돈을 지급하여야 한다. 중앙서버(20)에서는 입금처리를 수행하고 처리결과를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알린다. 입금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면 입금처리를 취소하고[227], 제대로 처리되었으면[225] 처리결과를 인쇄하여 전표를 발행한다[229]. 발행된 전표(25)의 예를 도2d에 나타내었다. 한편, 입력수단으로서 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207] 사용자가 삽입한 통장에 직접 프린터부(17)로 인쇄를 하여[231]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해서 입금 처리부의 업무프로세스가 끝나면 다시 초기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되돌아가[233]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다음 명령을 기다리며 대기한다.
(2) 당행출금 처리부
도3a는 당행출금 처리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흐름도이고, 도3b는 당행출금처리시의 표시부(12)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다. 본 당행출금 처리부의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입금 처리부의 기능과 유사하다. 다른 점은, 중앙서버(20)에 금액데이터를 입력하느냐 중앙서버(20)로부터 금액데이터를 인출하느냐의 차이이고,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초기상태로서 표시부(12)에 초기메뉴 화면이 표시된다[201]. 앞에서, 초기메뉴 화면의 예시도(21)를 도2b에 나타낸 바 있다.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21)을 보고 키조작부(14)를 조작하여 당행출금업무를 선택하면[303],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도2c에서 설명하였던 입력수단 선택화면(23)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입력수단 선택화면(23)에서 통장을 선택하면 통장정보(계좌정보)가 독취될 것이고[309],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면 카드정보(계좌정보)가 독취될 것이며[311], 사용자가 무통장을 선택한다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할 것이다[313]. 이렇게 통장정보를 독취하거나 카드정보를 독취하거나 계좌번호를 입력한 후에,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315]. 사용자가 키조작부(14)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앞에서 독취한 계좌정보와 비밀번호를 무선통신부(19)를 통해 중앙서버(20)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한다[317]. 중앙서버(20)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계좌정보와 비밀번호가 맞는지 확인을 하여 승인을 한다[319]. 승인이 되지 않았다면 당행출금처리를 취소한다[327]. 승인이 되었다면 그 사실을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알리게 되고,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얼마를 출금할 것인지 입력하도록 지시한다[321]. 사용자가 키조작부(14)로서 원하는 출금액을 입력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출금액을 중앙서버(20)에 전송하여 출금처리해 줄 것을 요청한다[323]. 중앙서버(20)에서는 당행출금처리를 수행하고 처리결과를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알린다. 당행출금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면 당행출금처리를 취소하고[327], 제대로 처리되었으면[225] 처리결과를 인쇄하여 전표를 발행한다[329]. 발행된 전표(31)의 예를 도3b에 나타내었다. 한편, 입력수단으로서 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307] 사용자가 삽입한 통장에 직접 프린터부(17)로 인쇄를 하여[331]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해서 당행출금 처리부의 업무프로세스가 끝나면 다시 초기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돌아가[333]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다음 명령을 기다리며 대기한다. 이 때 물론 출장직원은 고객에게 출금액에 해당하는 액수의 돈을 지급하여야 한다.
(3) 타행송금 처리부
도3e는 타행송금 처리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본 타행송금 처리부의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당행입금 처리부의 기능과 유사하다. 다른 점은, 중앙서버(20)에 의해 타행으로 송금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있다.
초기상태로서 표시부(12)에 초기메뉴 화면이 표시된다[201]. 앞에서, 초기메뉴 화면의 예시도(21)를 도2b에 나타낸 바 있다.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21)을 보고 키조작부(14)를 조작하여 타행송금업무를 선택하면[341],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도2c에서 설명하였던 입력수단 선택화면(23)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입력수단 선택화면(23)에서 통장을 선택하면 통장정보(계좌정보)가 독취될 것이고[345],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면 카드정보(계좌정보)가 독취될 것이며[347], 사용자가 무통장을 선택한다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할 것이다[349]. 이렇게 통장정보를독취하거나 카드정보를 독취하거나 계좌번호를 입력한 후에,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351]. 사용자가 키조작부(14)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송금코자 하는 타행의 코드와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353]. 다음에,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얼마를 타행송금할 것인지 입력하도록 지시한다[355]. 사용자가 키조작부(14)로서 원하는 출금액을 입력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출금액을 중앙서버(20)에 전송하여 타행송금처리해 줄 것을 요청한다[357]. 중앙서버(20)에서는 타행송금처리를 수행하고 처리결과를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알린다. 타행송금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면 타행송금처리를 취소하고[361], 제대로 처리되었으면[359] 처리결과를 인쇄하여 전표를 발행한다[363]. 한편, 입력수단으로서 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345] 사용자가 삽입한 통장에 직접 프린터부(17)로 인쇄를 하여[365]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해서 타행송금 처리부의 업무프로세스가 끝나면 다시 초기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돌아가[367]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다음 명령을 기다리며 대기한다.
(4) 타행출금 처리부
도3d는 타행출금 처리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본 타행출금 처리부의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당행출금 처리부의 기능과 유사하다. 다른 점은, 입력수단으로서 카드만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초기상태로서 표시부(12)에 초기메뉴 화면이 표시된다[201]. 앞에서, 초기메뉴 화면의 예시도(21)를 도2b에 나타낸 바 있다.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21)을 보고 키조작부(14)를 조작하여 타행출금업무를 선택하면[371],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카드를 삽입하도록 지시하여 카드정보를 독취한다[375]. 카드정보를 독취하여 해당 카드가 속하는 은행코드와 계좌번호를 확인한 후에[377],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379]. 사용자가 키조작부(14)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앞에서 독취한 계좌정보와 비밀번호를 무선통신부(19)를 통해 중앙서버(20)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한다[381]. 중앙서버(20)는 해당 계좌정보와 비밀번호가 맞는지 확인을 하여 승인을 한다[383]. 승인이 되지 않았다면 타행출금 처리를 취소한다[391]. 승인이 되었다면 그 사실을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알리게 되고,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얼마를 출금할 것인지 출금액을 입력하도록 지시한다[385]. 사용자가 키조작부(14)로서 원하는 출금액을 입력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출금액을 중앙서버(20)에 전송하여 출금처리해 줄 것을 요청한다[387]. 중앙서버(20)에서는 타행출금처리를 수행하고 처리결과를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알린다. 타행출금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면 타행출금처리를 취소하고[391], 제대로 처리되었으면[389] 처리결과를 인쇄하여 전표를 발행한다[393].
이렇게 해서 타행출금 처리부의 업무프로세스가 끝나면 다시 초기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돌아가[395]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다음 명령을 기다리며 대기한다. 이 때 물론 출장직원은 고객에게 출금액에 해당하는 액수의 돈을 지급하여야 한다.
(5) 조회 처리부
조회 처리부는 중앙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계좌내역을 조회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앞의 입금ㆍ타행송금 처리부보다는 그 기능이 다소 단순하다. 도4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초기상태로서 표시부(12)에 초기메뉴 화면이 표시된다[201].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21)을 보고 키조작부(14)를 조작하여 조회업무를 선택하고[403], 입력수단 선택화면(23)에서 통장 또는 카드 또는 무통장을 선택한다. 통장을 선택하면 통장정보(계좌정보)가 독취될 것이고[409],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면 카드정보(계좌정보)가 독취될 것이며[411], 사용자가 무통장을 선택한다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할 것이다[413]. 이렇게 통장정보를 독취하거나 카드정보를 독취하거나 계좌번호를 입력한 후에,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415].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계좌정보와 비밀번호를 무선통신부(19)를 통해 중앙서버(20)에 전송하여 조회처리를 요청한다[417]. 중앙서버(20)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계좌정보와 비밀번호를 검색하여 계좌내역을 조회처리하고, 처리결과를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알린다. 조회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면 조회처리를 취소하고[421], 제대로 처리되었으면[419] 처리결과를 인쇄하여 전표를 발행한다[423]. 발행된 전표(41)의 예를 도4b에 나타내었다. 한편, 입력수단으로서 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407] 사용자가 삽입한 통장에 직접 프린터부(17)로 인쇄를 하여[425]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해서 조회 처리부의 업무프로세스가 끝나면 다시 초기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돌아가[427]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다음 명령을 기다리며 대기한다.
(6) 이체 처리부
도5a는 이체 처리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흐름도이고, 도5b~d는 이체처리시의 표시부(12)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한다. 본 이체 처리부의 기능은 위에서 설명한 입금 처리부나 당행출금 처리부의 기능보다 다소 복잡하다. 그 이유는, 이체할 은행이 자행인지 타행인지 선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타행으로의 이체를 위해서는 타행의 식별코드와 타행의 계좌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본 이체처리 업무에서도 초기상태는 표시부(12)에 초기메뉴 화면이 표시되는 단계이다[201].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21)을 보고 키조작부(14)를 조작하여 이체업무를 선택하면[503],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도2c에서 설명하였던 입력수단 선택화면(23)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입력수단 선택화면(23)에서 통장을 선택하면 통장정보(계좌정보)가 독취되고[509],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면 카드정보(계좌정보)가 독취되며[511], 사용자가 무통장을 선택한다면 무선단말기(10)의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513]. 이렇게 통장정보를 독취하거나 카드정보를 독취하거나 계좌번호를 입력한 후에,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515]. 사용자가 키조작부(14)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이체은행을 선택하도록 지시한다[517]. 즉, 자행인지 타행인지 선택토록 한다. 이 때의 표시화면 예시도(51)를 도5b에 나타내었다. 사용자가 표시화면(51)을 보고 키조작부(14)로써 자행을 선택한 경우에는[519] 이체할 계좌의 계좌번호와 이체액을 입력하도록 지시하고[521], 사용자가 타행을 선택한 경우에는 해당 이체은행의 코드와 계좌번호 및 이체액을 입력하도록 지시한다[523]. 도5c에는 자행인 경우의 이체 계좌번호와 이체금액을 표시하는 화면(53)이 예시되어 있고, 도5d에는 타행인 경우의 은행코드와 이체 계좌번호, 이체금액을 표시하는 화면(55)이 예시되어 있다.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입력된 비밀번호와, 이체 계좌번호, 이체액 및 이체 은행코드를 중앙서버(20)에 전송하여 이체처리를 요청한다[525]. 중앙서버(20)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또는 타 은행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계좌로 이체금액을 이체처리한다. 중앙서버(20)에서는 이체처리를 수행하고 처리결과를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알린다. 이체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면 이체처리를 취소하고[529], 제대로 처리되었으면[527] 처리결과를 인쇄하여 전표를 발행한다[531]. 한편, 입력수단으로서 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507] 사용자가 삽입한 통장에 직접 프린터부(17)로 인쇄를 하여[533]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해서 이체 처리부의 업무프로세스가 끝나면 다시 초기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돌아가[535]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다음 명령을 기다리며 대기한다.
(7) 통장정리 처리부
통장정리 처리부는 중앙서버(20)의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되어 있는 계좌내역을 단순히 통장에 인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입력수단으로서 카드와 무통장을 선택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따라서 앞의 이체 처리부보다는 그 기능이 다소 단순하다.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초기상태로서 표시부(12)에 초기메뉴 화면이 표시된다[201].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21)을 보고 키조작부(14)를 조작하여 통장정리업무를 선택하고[603] 통장을 통장독취부(16)에 삽입하면 통장독취부(16)에서는 통장에 부착된 마그네틱띠를 읽어서 통장정보를 독취한다[607]. 업무처리부(15)는 통장정보를 무선통신부(19)를 통해 중앙서버(20)에 전송하여 통장정리처리를 요청한다[609]. 중앙서버(20)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계좌정보를 검색하여 통장정리내역을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전송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서는 정리내역을 수신한다[611]. 그리고, 수신한 데이터를 프린터부(17)로써 통장에 인쇄하여[613]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렇게 해서 통장정리 처리부의 업무프로세스가 끝나면 다시 초기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돌아가[615]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다음 명령을 기다리며 대기한다.
(8) 수표조회 처리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초기상태로서 표시부(12)에 초기메뉴 화면이 표시된다[201].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21)을 보고 키조작부(14)를 조작하여 수표조회업무를 선택하면[703],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수표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707]. 여기서, 수표정보라 함은, 수표발행일ㆍ수표번호ㆍ수표분류코드ㆍ수표코드ㆍ지로코드 등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키조작부(14)를 이용하여 수표정보를 입력하면, 업무처리부(15)는 수표정보를 중앙서버(20)에 전송하여 해당 수표의 조회를 요청한다[709]. 중앙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해당 수표정보를 검색하여 수표조회를 처리하고 처리결과를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전송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서는 수표조회내역을 수신한다. 만약 수표조회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면 조회처리를 취소하며[713], 제대로 처리되었으면[711] 처리결과를 인쇄하여 전표를 발행한다[715].
이렇게 해서 수표조회 처리부의 업무프로세스가 끝나면 다시 초기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돌아가[717]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다음 명령을 기다리며 대기한다.
(9) 현금서비스 처리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초기상태로서 표시부(12)에 초기메뉴 화면이 표시된다[201].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21)을 보고 키조작부(14)를 조작하여 현금서비스업무를 선택하면[803],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사용자로 하여금 카드를 삽입하도록 지시하여 카드정보를 독취한다[807]. 다음에 업무처리부(15)는 서비스금액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한다[809, 811]. 사용자가 키조작부(14)를 이용하여 서비스금액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업무처리부(15)는 중앙서버(20)에 이들 데이터를 전송하여 현금서비스 처리를 요청한다[812]. 중앙서버(20)가 처리결과를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 전송하면,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에서는 이를 수신하는데, 만약 현금서비스가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다면 처리를 취소하며[815], 제대로 처리되었으면[813] 처리결과를 인쇄하여 전표를 발행한다[817].
이렇게 해서 수표조회 처리부의 업무프로세스가 끝나면 다시 초기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돌아가[819] 무선단말기(10)의 업무처리부(15)는 다음 명령을 기다리며 대기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험사, 신용카드사 등 자금집금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집금기관과 제2금융기관의 전산장비를 연결하여 중앙서버를 통해 대금수납 및 대금지급 등의 관리에 필요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금융기관의 출장직원이 휴대하며 무선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에 접속되는 단말기로서,
    당행입금 처리부, 당행출금 처리부, 타행송금 처리부, 타행출금 처리부, 조회 처리부, 이체 처리부, 통장정리 처리부, 수표조회 처리부, 현금서비스 처리부로 구성되는 업무처리부;
    업무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상기 업무들을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토록 하고, 선택된 각 업무의 진행 중에 사용자에게 알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가 상기 업무처리부의 업무를 선택하고, 각 업무의 진행 중에 필요한 계좌번호, 비밀번호, 금액 등을 입력하는 키조작부;
    사용자의 통장에 부착된 마그네틱띠를 읽어서 계좌정보를 독취하는 통장독취부;
    사용자의 현금카드 또는 신용카드로부터 계좌정보를 독취하는 카드독취부;
    상기 업무처리부에서 처리된 업무의 결과를 전표로서 발행하거나 통장에 인쇄하는 프린터부;
    상기 업무처리부의 업무처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중앙서버로 요청하고 중앙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2. 청구항 1에서, 상기 통장독취부는 통장 자체를 받아들여서 계좌정보를 독취하고, 상기 프린터부에 통장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3. 청구항 1에서, 상기 업무처리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4. 청구항 1에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CDMA 방식 이동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로서, 이동통신사의 무선통신망을 통해 무선단말기와 중앙서버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5.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업무처리부의 당행입금 처리부는
    상기 표시부에 각 업무(초기메뉴 화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를 선택케 하는 제1수단;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을 보고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당행입금업무를 선택하면, 표시부로 하여금 통장, 카드, 무통장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선택화면을 표시토록 하는 제2수단;
    사용자가 입력수단 선택화면에서 통장을 선택하면 통장독취부로 하여금 통장을 읽어 계좌정보를 독취토록 하고,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면 카드독취부로 하여금 카드를 읽어 계좌정보를 독취토록 하며, 사용자가 무통장을 선택한다면 사용자로 하여금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제3수단;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여 사용자가 키조작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독취한 계좌정보와 입력된 비밀번호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제4수단;
    중앙서버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에 사용자로 하여금 입금액을 입력하도록 지시하고, 사용자가 키조작부로써 원하는 입금액을 입력하면 입금액을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입금처리를 요청하는 제5수단;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입금처리 결과를 프린터부에 전송하여, 제3수단에서 입력수단으로서 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삽입한 통장에 입금처리 결과를 인쇄하도록 지시하고, 반면에 제3수단에서 입력수단으로서 카드 또는 무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 입금처리 결과를 전표로서 발행하도록 지시하는 제6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6.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업무처리부의 당행출금 처리부는
    상기 표시부에 각 업무(초기메뉴 화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를 선택케 하는 제1수단;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을 보고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당행출금업무를 선택하면, 표시부로 하여금 통장, 카드, 무통장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선택화면을 표시토록 하는 제2수단;
    사용자가 입력수단 선택화면에서 통장을 선택하면 통장독취부로 하여금 통장을 읽어 계좌정보를 독취토록 하고,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면 카드독취부로 하여금 카드를 읽어 계좌정보를 독취토록 하며, 사용자가 무통장을 선택한다면 사용자로 하여금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제3수단;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여 사용자가 키조작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독취한 계좌정보와 입력된 비밀번호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제4수단;
    중앙서버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에 사용자로 하여금 출금액을 입력하도록 지시하고, 사용자가 키조작부로써 원하는 출금액을 입력하면 출금액을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당행출금처리를 요청하는 제5수단;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당행출금처리 결과를 프린터부에 전송하여, 제3수단에서 입력수단으로서 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삽입한 통장에 당행출금처리 결과를 인쇄하도록 지시하고, 반면에 제3수단에서 입력수단으로서 카드 또는 무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 당행출금 결과를 전표로서 발행하도록 지시하는 제6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7.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업무처리부의 타행송금 처리부는
    상기 표시부에 각 업무(초기메뉴 화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를 선택케 하는 제1수단;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을 보고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타행송금업무를 선택하면, 표시부로 하여금 통장, 카드, 무통장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선택화면을 표시토록 하는 제2수단;
    사용자가 입력수단 선택화면에서 통장을 선택하면 통장독취부로 하여금 통장을 읽어 계좌정보를 독취토록 하고,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면 카드독취부로 하여금 카드를 읽어 계좌정보를 독취토록 하며, 사용자가 무통장을 선택한다면 사용자로 하여금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제3수단;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여 사용자가 키조작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타행코드와 계좌정보 및 송금액을 입력하도록 지시하여 이들 데이터를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송금처리를 요청하는 제4수단;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송금처리 결과를 프린터부에 전송하여, 제3수단에서 입력수단으로서 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삽입한 통장에 입금처리 결과를 인쇄하도록 지시하고, 반면에 제3수단에서 입력수단으로서 카드 또는 무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 입금처리 결과를 전표로서 발행하도록 지시하는 제5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8.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업무처리부의 타행출금 처리부는
    상기 표시부에 각 업무(초기메뉴 화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를 선택케 하는 제1수단;
    사용자가 삽입한 카드를 독취하여 은행코드와 계좌번호를 확인하는 제2수단;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여 사용자가 키조작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독취한 계좌정보와 입력된 비밀번호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확인을 요청하는 제3수단;
    중앙서버로부터 승인을 받은 후에 사용자로 하여금 출금액을 입력하도록 지시하고, 사용자가 키조작부로써 원하는 출금액을 입력하면 출금액을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타행출금처리를 요청하는 제4수단;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타행출금처리 결과를 프린터부에 전송하여, 타행출금 결과를 전표로서 발행하도록 지시하는 제5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9.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업무처리부의 조회 처리부는
    상기 표시부에 각 업무(초기메뉴 화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를 선택케 하는 제1수단;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을 보고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조회업무를 선택하면, 표시부로 하여금 통장, 카드, 무통장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선택화면을 표시토록 하는 제2수단;
    사용자가 입력수단 선택화면에서 통장을 선택하면 통장독취부로 하여금 통장을 읽어 계좌정보를 독취토록 하고,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면 카드독취부로 하여금 카드를 읽어 계좌정보를 독취토록 하며, 사용자가 무통장을 선택한다면 사용자로 하여금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제3수단;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여 사용자가 키조작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독취한 계좌정보와 입력된 비밀번호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조회처리를 요청하는 제4수단;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조회처리 결과를 프린터부에 전송하여, 제3수단에서 입력수단으로서 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삽입한 통장에 조회처리 결과를 인쇄하도록 지시하고, 반면에 제3수단에서 입력수단으로서 카드 또는 무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 조회처리 결과를 전표로서 발행하도록 지시하는 제5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10.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업무처리부의 이체 처리부는
    상기 표시부에 각 업무(초기메뉴 화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를 선택케 하는 제1수단;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을 보고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이체업무를 선택하면, 표시부로 하여금 통장, 카드, 무통장을 포함하는 입력수단 선택화면을 표시토록 하는 제2수단;
    사용자가 입력수단 선택화면에서 통장을 선택하면 통장독취부로 하여금 통장을 읽어 계좌정보를 독취토록 하고, 사용자가 카드를 선택하면 카드독취부로 하여금 카드를 읽어 계좌정보를 독취토록 하며, 사용자가 무통장을 선택한다면 사용자로 하여금 계좌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제3수단;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이체은행을 자행과 타행 중에서 선택하도록 지시하는 제4수단;
    사용자가 키조작부로써 자행을 선택한 경우에는 이체할 계좌의 계좌번호와 이체액을 입력하도록 지시하고, 사용자가 타행을 선택한 경우에는 해당 이체은행의코드와 계좌번호 및 이체액을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제5수단;
    제4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와 제5수단에서 입력한 이체 계좌번호와 이체액 및 이체 은행코드를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이체처리를 요청하는 제6수단;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이체처리 결과를 프린터부에 전송하여, 제3수단에서 입력수단으로서 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삽입한 통장에 이체처리 결과를 인쇄하고 제3수단에서 입력수단으로서 카드 또는 무통장을 선택한 경우에는 이체처리 결과를 전표로서 발행하도록 지시하는 제7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11.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업무처리부의 통장정리 처리부는
    상기 표시부에 각 업무(초기메뉴 화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를 선택케 하는 제1수단;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을 보고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통장정리업무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삽입한 통장을 읽어 계좌정보를 독취하는 제2수단;
    독취된 계좌정보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통장정리처리를 요청하는 제3수단;
    중앙서버로부터 통장정리내역을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프린터부로 하여금 통장에 인쇄하도록 지시하는 제4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12.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업무처리부의 수표조회 처리부는
    상기 표시부에 각 업무(초기메뉴 화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를 선택케 하는 제1수단;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을 보고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수표조회업무를 선택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수표정보를 입력하도록 지시하는 제2수단;
    입력된 수표정보를 무선통신부를 통해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수표조회처리를 요청하는 제3수단;
    중앙서버로부터 조회결과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프린터부로 하여금 인쇄하여 전표를 발행하도록 지시하는 제4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13. 청구항 1~4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업무처리부의 현금서비스 처리부는
    상기 표시부에 각 업무(초기메뉴 화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를 선택케 하는 제1수단;
    사용자가 초기메뉴 화면을 보고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현금서비스업무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카드정보를 독취하는 제2수단;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금액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지시하고, 상기 카드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서비스금액 및 비밀번호를 중앙서버에 전송하여 처리를 요청하는 제3수단;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이체처리 결과를 프린터부에 전송하여 처리결과를 전표로서 발행하도록 지시하는 제4수단을 포함하는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KR1020010063286A 2001-10-15 2001-10-15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KR20030031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286A KR20030031583A (ko) 2001-10-15 2001-10-15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286A KR20030031583A (ko) 2001-10-15 2001-10-15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583A true KR20030031583A (ko) 2003-04-23

Family

ID=29564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286A KR20030031583A (ko) 2001-10-15 2001-10-15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15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221B1 (ko) 2007-07-10 2008-09-24 (주) 엘지텔레콤 금융 칩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8130854A1 (en) * 2007-04-18 2008-10-30 Davis Janette B Device, system and computer writeable media for accomplishing real time downloading of transactional information to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cluding remote server incorporating personal assistant manager software
KR101314822B1 (ko) * 2011-08-09 2013-10-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6564A1 (en) * 1991-09-27 1993-04-01 Khyber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grated portable device for point of sale transactions
US5336870A (en) * 1992-05-26 1994-08-09 Hughes Thomas S System for remote purchase payment transactions and remote bill payments
KR19990075611A (ko) * 1998-03-23 1999-10-15 성인용 휴대용 금융입출금기
KR20010007791A (ko) * 2000-09-16 2001-02-05 이동욱 금융통합 단말기 및 그 작동방법
JP2001209845A (ja) * 2000-01-28 2001-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決済端末装置
KR200242421Y1 (ko) * 2001-05-14 2001-10-15 진용민 카드판독 시스템을 내장한 유무선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6564A1 (en) * 1991-09-27 1993-04-01 Khyber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grated portable device for point of sale transactions
US5336870A (en) * 1992-05-26 1994-08-09 Hughes Thomas S System for remote purchase payment transactions and remote bill payments
KR19990075611A (ko) * 1998-03-23 1999-10-15 성인용 휴대용 금융입출금기
JP2001209845A (ja) * 2000-01-28 2001-08-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決済端末装置
KR20010007791A (ko) * 2000-09-16 2001-02-05 이동욱 금융통합 단말기 및 그 작동방법
KR200242421Y1 (ko) * 2001-05-14 2001-10-15 진용민 카드판독 시스템을 내장한 유무선 통신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0854A1 (en) * 2007-04-18 2008-10-30 Davis Janette B Device, system and computer writeable media for accomplishing real time downloading of transactional information to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cluding remote server incorporating personal assistant manager software
KR100860221B1 (ko) 2007-07-10 2008-09-24 (주) 엘지텔레콤 금융 칩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14822B1 (ko) * 2011-08-09 2013-10-1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모바일 오피스 시스템 및 그 방법, 및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9639B1 (en) Net shopping method, system therefor, and automatic payment transfer device
US7328844B2 (en) Point-of-transaction machine with improved versatility and related method
US8015085B2 (en) System for distributing funds
US7086590B2 (en) Pay-by-card method and pay-by-card system for home delivery service
US20100205063A1 (en)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system
US7818251B2 (en) Web-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KR20140055697A (ko) 원격 화상 금융거래처리 기기 및 이를 이용한 금융서비스 제공방법
JP4803639B2 (ja) 支払処理システム、装置、支払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80067233A1 (en) Controlling Electronic Withdrawals By A Withdrawal Device
JP4351242B2 (ja) 現金支払システム、金融機関端末装置及び現金支払方法
EP1269372A1 (en) A system for managing inter-company settlement and the method therefor
US7360684B2 (en) Controlling electronic withdrawals by a transaction processor
KR20030031583A (ko) 모빌뱅킹용 무선단말기
EP1199656A2 (en) System for managing accounting data in real time
KR100647797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이체 서비스 방법
JP4803638B2 (ja) 現金自動処理装置、支払処理システム、支払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1153612A (ja) 振込管理装置 および振込管理方法
KR0150790B1 (ko) 창구업무처리방법 및 장치
KR100413343B1 (ko) 바코드를 이용한 지로처리시스템
JP2002298062A (ja) 現金受領システム
JP2004199632A (ja) Atmで振出および換金を行う電子手形システム
JP2016181299A (ja) 電子マネーを利用した支払い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20024007A (ko) 제휴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1297196A (ja) 現金自動預払機を利用した現金出納システム及び現金出納方法
KR100647798B1 (ko) Van 서버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이체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