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230A -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230A
KR20030031230A KR1020010063021A KR20010063021A KR20030031230A KR 20030031230 A KR20030031230 A KR 20030031230A KR 1020010063021 A KR1020010063021 A KR 1020010063021A KR 20010063021 A KR20010063021 A KR 20010063021A KR 20030031230 A KR20030031230 A KR 2003003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unit
engine
brak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6524B1 (ko
Inventor
채무형
김승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스포
Priority to KR102001006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5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패턴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부와;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와; 제동상태를 감지하는 제동감지부와;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엔진저회전(under rpm)과 엔진과회전(over rpm)과 급제동과 급가속을 판단하며,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엔진저회전과 엔진과회전과 급제동과 급가속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여 총감점을 연산하고, 이 연산된 총감점에 따라서 운전자의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하도록 상기 차속검출부와 상기 회전검출부 그리고 상기 제동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총감점 및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할 수 있도록 기초데이타를 입력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수치등을 저장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표시구동부와; 상기 표시구동부와 접속된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운전패턴수치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준수치보다 적을 경우 이를 청각적으로 경고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고부로 이루어져, 자동차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운전패턴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Preliminary Hazard Analysis Technology for Driving the Automobiles}
본 발명은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할 경우 운전패턴을 감지할 수 있는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운전을 할 경우 자동차의 속도와 엔진회전수 그리고 제동상태를 감지하여서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급가속과 급제동 그리고 엔진저회전(under rpm) 및 엔진과회전(over rpm)등과 같은 운전패턴을 검출하고 이들의 검출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소정의 점수이하일 경우 그 운전자를 경고하므로서 자동차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할 경우 그 운전패턴에 따라서 사고의 발생이 급증하게 된다.
즉, 운전자가 자동차의 액셀러이터를 밟아서 자동차의 속도가 규정된 속도이상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과속으로 인해 사고유발을 초래할 수 있고, 규정된 속도이상으로 장시간 주행할 경우 사고유발 확율은 더욱 증가되게 된다.
또, 엔진의 회전수가 소정의 회전수보다 높거나 혹은 낮을 경우 엔진에 무리가 발생되어 자동차의 고장으로 인한 사고를 초래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주행중에 급제동할 경우 급제동으로 인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따라서 여러 가지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다수의 차량을 보유한 운수업체는 상기와 같은 사고유발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바이오리듬에 따라 운전자의 심리상태를 파악하고, 이 바이오리듬에 따라서 사고예방을 하기도 하나, 이는 직접적인 운전패턴과는 다소 차이가 발생되어 그다지 큰 효과를 창출할 수 없었다.
즉, 종래에는 자동차를 운전할 경우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급가속과 급제동 그리고 엔진저회전 및 엔진과회전등으로 인한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었으나, 이에대한 분석데이타를 고용주가 알 수 없어 자동차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지 못하므로 인명 및 재산상 막대한 손해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운전을 할 경우 자동차의 속도와 엔진회전수 그리고 제동상태를 감지하여서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급가속과 급제동 그리고 엔진과회전 및 엔진저회전등의 운전패턴을 검출하고 이들의 검출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정의 점수이하일 경우 그 운전자를 경고하므로서 자동차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의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차속검출부 20...회전수검출부
30...제동감지부 40...입력부
50...저장부 60...제어부
70...표시구동부 80...표시부
90...경고부 100..출력부
10..프린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운전패턴 감지장치는, 과속 및 장시간과속등을 판단하도록 자동차의 트랜스밋숀에 연결된 회전센서를 통해서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부와; 엔진저회전 및 엔진과회전등을 판단하도록 자동차의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와; 급제동 및 급가속등을 판단하도록 자동차의 주행중 브레이크페달을 밟아 제동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제동감지부와; 상기 차속검출부에서 검출된 차속과 기준속도를 비교하여서 과속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속검출부에서 검출된 속도가 과속이고 일정시간을 경과할 경우 장시간과속임을 판단하며, 상기 회전수검출부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하한회전수보다 적고 소정시간이 경과될 경우 엔진저회전(under rpm)임을 판단하고, 상기 회전수검출부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상한회전수를 초과할 경우 엔진과회전(over rpm)임을 판단하며, 상기 제동감지부에서 운전자의 제동이 감지될 경우 자동차의 감속도를 산출하여 그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보다 클 경우 급제동상태임을 판단하고, 상기 제동감지부에서 운전자의 제동상태가 아닐 경우 자동차의 가속도를 산출하여 현재가속도가 기준가속도보다 클 경우 급가속상태임을 판단하며,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엔진저회전과 엔진과회전과 급제동과 급가속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여 총감점을 연산하고, 이 연산된 총감점에 따라서 운전자의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하도록 상기 차속검출부와 상기 회전검출부 그리고 상기 제동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총감점 및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할 수 있도록 기초데이타를 입력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수치등을 저장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표시구동부와; 상기 표시구동부와 접속된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운전패턴수치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준수치보다 적을 경우 이를 청각적으로 경고하도록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운전패턴 감지방법은,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엔진저회전과 엔진과회전과 급제동 그리고 급가속을 판단할수 있도록 기초데이타를 입력부를 통해 입력시킴과 동시에 제어부에서 총감점 및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를 통해 기초데이타 및 식을 입력하는 입력스텝과; 상기 입력스텝에서 기초데이타 및 식을 입력시킨 후에 자동차가 주행되면 차속검출부에서는 자동차의 차속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고, 회전수검출부에서는 자동차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며, 주행중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을 밟으면 제동감지부에서 제동상태를 감지하여서 상기 제어부로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차속과 엔진회전수와 제동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검출된 차속이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제한속도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과속으로 판단하고 이 과속정보를 저장부로 저장하고 과속카운터를 증가시키는 과속판단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검출된 차속이 과속상태에서 소정시간이상으로 지속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장시간과속으로 판단하고 이 장시간과속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저장하고 장시간과속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장기간과속판단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하한회전수보다 적은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엔진저회전(under rpm)으로 판단하고 이 엔진저회전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저장하고 엔진저회전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엔진저회전판단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한회전수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엔진과회전(over rpm)으로 판단하고 이 엔진과회전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저장하고 엔진과회전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엔진과회전판단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제동상태가 검출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감속도를 산출하는 감속도산출스텝과;상기 감속도산출스텝에서 산출된 현재감속도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준감속도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급제동으로 판단하고 이 급제동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저장하고 급제동카운터를 증가시시키는 급제동판단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제동상태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에서 가속도를 산출하는 가속도산출스텝과; 상기 가속도산출스텝에서 산출된 현재가속도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준가속도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급가속으로 판단하고 이 급가속정보를 상기 저장부로 저장하며 급가속카운터를 증가시키는 급가속판단스텝과; 상기 과속판단스텝과 상기 장시간과속판단스텝과 상기 엔진저회전판단스텝과 상기 엔진과회전판단스텝과 상기 급제동판단스텝과 상기 급가속판단스텝에서 판단된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엔진저회전과 엔진과회전과 급제동 그리고 급가속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여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따른 총감점을 산출하는 총감점산출스텝과; 상기 총감점산출스텝에서 산출된 총감점을 근거로 하여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하는 운전패턴수치산출스텝과; 상기 운전패턴수치산출스텝에서 산출된 운전패턴수치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준수치보다 적을 경우에는 운전자의 운전상태가 극히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청각적으로 이를 경고하므로서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대해 경고하는 경고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의하면, 운전자가 운전을 할 경우 자동차의 속도와 엔진회전수 그리고 제동상태를 감지하여서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급가속과 급제동 그리고 엔진저회전(under rpm) 및 엔진과회전(over rpm)등과 같은 운전패턴을 검출하고 이들의 검출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소정의 점수이하일 경우 그 운전자를 경고하므로서 자동차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10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부로서, 자동차의 트랜스밋숀에 연결된 회전센서에서 검출된 속도펄스로부터 자동차의 속도를 검출하여서 후술하는 제어부로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또, 상기 차속검출부(10)에서 검출된 차속을 근거로 하여 후술하는 제어부에서 제한속도이상인지를 판단하고 과속여부 및 장시간과속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의 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또한, 부호 20은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로서,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후술하는 제어부로 검출신호를 출력하여 엔진저회전(under rpm) 및 엔진과회전(over rpm)을 판단하게 된다.
또, 부호 30은 자동차의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이를 감지하는 제동감지부로서, 자동차의 제동을 감지하여 후술하는 제어부로 검출신호를 출력하여 기준속도이상 감속할 경우 이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부호 60은 제어부로서, 상기 차속검출부(10)와 상기회전수검출부(20) 그리고 상기 제동감지부(30)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급가속과 급제동 그리고 엔진저회전 및 엔진과회전등과 같은 운전패턴을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차속검출부(10)에서 검출된 차속과 기준속도를 비교하여서 과속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속검출부(10)에서 검출된 속도가 과속이고 일정시간을 경과할 경우 장시간과속임을 판단하며, 상기 회전수검출부(20)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하한회전수보다 적고 소정시간이 경과될 경우 엔진저회전(under rpm)임을 판단하고, 상기 회전수검출부(20)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상한회전수를 초과할 경우 엔진과회전(over rpm)임을 판단하며, 상기 제동감지부(30)에서 운전자의 제동이 감지될 경우 자동차의 감속도를 산출하여 그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보다 클 경우 급제동상태임을 판단하고, 상기 제동감지부(30)에서 운전자의 제동상태가 아닐 경우 자동차의 가속도를 산출하여 현재가속도가 기준가속도보다 클 경우 급가속상태임을 판단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부(60)는 운전자의 과속이 판단될 경우 과속에 따른 벌점을 부여하고 과속회수를 곱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고, 운전자의 장시간과속이 판단될 경우 장시간과속에 따른 벌점을 부여하고 장시간과속회수를 곱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며, 운전자의 엔진저회전이 판단될 경우 엔진저회전에 따른 벌점을 부여하고 엔진저회전회수를 곱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고, 운전자의 엔진과회전이 판단될 경우 엔진과회전에 따른 벌점을 부여하고 엔진과회전회수를 곱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며, 운전자의 급제동상태를 판단할 경우 급제동에 따른벌점을 부여하고 급제동회수를 곱하여 점수를 산출하며, 운전자의 급가속상태를 판단할 경우 급가속에 따른 벌점을 부여하고 급가속상태를 곱하여 점수를 산출한다.
또,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상기에서 산출된 점수를 더하여 총감점을 연산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식1에 따른 총감점을 연산하게 된다.
식1) 총감점=(과속벌점*과속회수)+(장시간과속벌점*장시간과속회수)+(엔진저회전벌점*엔진저회전회수)+(엔진과회전벌점*엔진과회전회수)+(급제동벌점*급제동회수)+(급가속벌점*급가속회수)
또한,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식1을 근거로 하여 식2에 의거하여 운전자의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한다.
식2) 운전패턴수치=기준점수-(기준거리/운행거리)*총감점
또,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운전자의 운전패턴수치가 산출되면 기준수치와 비교하고, 산출된 운전패턴수치가 기준수치에 미달될 경우 이를 경고하게 된다.
한편, 부호 40은 입력부로서, 상기 제어부(60)에서 총감점 및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할 수 있도록 기초데이타를 입력한다.
즉, 상기 입력부(40)를 통해서 총감점을 산출하기 위한 과속벌점과 장시간과속벌점과 엔진저회전벌점과 엔진과회전벌점과 급제동벌점과 급가속벌점을 입력하고,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하기 위한 기준점수와 기준거리를 입력하게 된다.
또, 상기 압력부(40)를 통해 상기 식1과 식2를 입력하는 것은 물론이고, 기준수치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부호 50은 저장부로서,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60)에서 산출된 수치들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부호 70은 표시구동부로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에 따라서 표시부(80)를 구동하여 시각적으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 부호 90은 경고부로서, 상기 제어부(60)에서 산출된 운전패턴수치가 기준수치에 미달될 경우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해 청각적으로 이를 경고하는 것이다.
또한, 100은 출력부로서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종데이타가 출력되며, 110은 프린터로서 상기 출력부(100)의 구동에 따라서 각종 데이터를 출력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운전패턴 감지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제어부(60)에서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엔진저회전과 엔진과회전과 급제동 그리고 급가속을 판단할 수 있도록 기초데이타를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60)에서 총감점 및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기초데이타 및 식을 입력한다.
또,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기초데이타 및 식을 입력시킨 후에 자동차가 주행되면 상기 차속검출부(10)에서는 자동차의 차속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60)로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회전수검출부(20)에서는 자동차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60)로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의 주행중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을 밟으면 상기 제동감지부(30)에서 제동상태를 감지하여서 상기 제어부(60)로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상기 차속검출부(10)에서 검출된 차속이 상기 입력부(40)에서 입력된 제한속도이상일 경우 과속으로 판단하고 이 과속정보를 상기 저장부(50)로 저장하고 과속카운터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상기 차속검출부(10)에서 검출된 차속이 과속상태에서 소정시간이상으로 지속될 경우 이를 장시간과속으로 판단하고 이 장시간과속정보를 상기 저장부(50)로 저장하고 장시간과속카운터를 증가시킨다.
또 한편,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상기 회전수검출부(20)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하한회전수보다 적은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될 경우 엔진저회전(under rpm)으로 판단하고 이 엔진저회전정보를 상기 저장부(50)로 저장하고 엔진저회전카운터를 증가시킨다.
또,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상기 회전수검출부(20)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상한회전수보다 클경우에는 엔진과회전(over rpm)으로 판단하고 이 엔진과회전정보를 상기 저장부(50)로 저장하고 엔진과회전카운터를 증가시킨다.
또한, 주행중에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을 경우 상기 제동감지부(30)에서는 제동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6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60)에서 제동상태가 감지되면 감속도를 산출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부(60)에서 산출된 현재감속도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기준감속도보다 클경우에는 급제동으로 판단하고 이 급제동정보를 상기 저장부(50)로 저장하고 급제동카운터를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제동감지부(30)에서 제동상태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0)에서는 가속도를 산출하게 된다.
또, 상기 제어부(60)에서 산출된 현재가속도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기준가속도보다 클경우에는 급가속으로 판단하고 이 급가속정보를 상기 저장부(50)로 저장하며 급가속카운터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60)에서는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엔진저회전과 엔진과회전과 급제동 그리고 급가속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여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따른 총감점을 산출하게 된다.
즉, 운전자의 과속이 판단될 경우 과속에 따른 벌점을 부여하고 과속회수를 곱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고, 운전자의 장시간과속이 판단될 경우 장시간과속에 따른 벌점을 부여하고 장시간과속회수를 곱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며, 운전자의 엔진저회전이 판단될 경우 엔진저회전에 따른 벌점을 부여하고 엔진저회전회수를 곱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고, 운전자의 엔진과회전이 판단될 경우 엔진과회전에 따른 벌점을 부여하고 엔진과회전회수를 곱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며, 운전자의 급제동상태를 판단할 경우 급제동에 따른 벌점을 부여하고 급제동회수를 곱하여 점수를 산출하며, 운전자의 급가속상태를 판단할 경우 급가속에 따른 벌점을 부여하고 급가속상태를 곱하여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에서 산출된 점수를 더하여 총감점을 연산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식1에 따른 총감점을 연산하게 된다.
식1) 총감점=(과속벌점*과속회수)+(장시간과속벌점*장시간과속회수)+(엔진저회전벌점*엔진저회전회수)+(엔진과회전벌점*엔진과회전회수)+(급제동벌점*급제동회수)+(급가속벌점*급가속회수)
또한, 상기 제어부(60)에서는 식1을 근거로 하여 식2에 의거하여 운전자의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한다.
식2) 운전패턴수치=기준점수-(기준거리/운행거리)*총감점
이때, 상기 제어부(60)에서 산출된 운전패턴수치는 상기 표시구동부(70)로 제어신호가 송신되어 상기 표시부(80)를 구동하므로서 시각적으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60)에서 산출된 운전패턴수치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기준수치보다 적을 경우에는 운전자의 운전상태가 극히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고부(9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청각적으로 이를 경고하므로서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대해 경고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력부(100)에서는 상기 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종데이타가 상기 프린터(110)를 매개로 출력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의하면, 운전자가 운전을 할 경우 자동차의 속도와 엔진회전수 그리고 제동상태를 감지하여서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급가속과 급제동 그리고 엔진저회전(under rpm) 및 엔진과회전(over rpm)등과 같은 운전패턴을 검출하고 이들의 검출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소정의 점수이하일 경우 그 운전자를 경고하므로서 자동차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과속 및 장시간과속등을 판단하도록 자동차의 트랜스밋숀에 연결된 회전센서를 통해서 주행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부(10)와;
    엔진저회전 및 엔진과회전등을 판단하도록 자동차의 엔진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검출부(20)와;
    급제동 및 급가속등을 판단하도록 자동차의 주행중 브레이크페달을 밟아 제동할 경우 이를 감지하는 제동감지부(30)와;
    상기 차속검출부(10)에서 검출된 차속과 기준속도를 비교하여서 과속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속검출부(10)에서 검출된 속도가 과속이고 일정시간을 경과할 경우 장시간과속임을 판단하며, 상기 회전수검출부(20)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하한회전수보다 적고 소정시간이 경과될 경우 엔진저회전(under rpm)임을 판단하고, 상기 회전수검출부(20)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상한회전수를 초과할 경우 엔진과회전(over rpm)임을 판단하며, 상기 제동감지부(30)에서 운전자의 제동이 감지될 경우 자동차의 감속도를 산출하여 그 감속도가 기준감속도보다 클 경우 급제동상태임을 판단하고, 상기 제동감지부(30)에서 운전자의 제동상태가 아닐 경우 자동차의 가속도를 산출하여 현재가속도가 기준가속도보다 클 경우 급가속상태임을 판단하며,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엔진저회전과 엔진과회전과 급제동과 급가속에 따른 점수를 산출하여 총감점을 연산하고, 이 연산된 총감점에 따라서 운전자의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하도록 상기 차속검출부(10)와 상기 회전검출부(20) 그리고 상기 제동감지부(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어부(60)와;
    상기 제어부(60)에서 총감점 및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할 수 있도록 기초데이타를 입력하며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입력부(40)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서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60)에서 산출된 수치등을 저장하도록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저장부(50)와;
    상기 저장부(50)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표시부(8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표시구동부(70)와;
    상기 표시구동부(70)와 접속된 상기 제어부(60)에서 산출된 운전패턴수치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기준수치보다 적을 경우 이를 청각적으로 경고하도록 상기 제어부(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고부(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패턴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에서 연산된 총감점은,
    (과속벌점*과속회수)+(장시간과속벌점*장시간과속회수)+(엔진저회전벌점*엔진저회전회수)+(엔진과회전벌점*엔진과회전회수)+(급제동벌점*급제동회수)+(급가속벌점*급가속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패턴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에서 산출되는 운전자의 운전패턴수치는,
    기준점수-(기준거리/운행거리)*총감점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패턴 감지장치.
  4.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엔진저회전과 엔진과회전과 급제동 그리고 급가속을 판단할 수 있도록 기초데이타를 입력부(40)를 통해 입력시킴과 동시에 제어부(60)에서 총감점 및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기초데이타 및 식을 입력하는 입력스텝과;
    상기 입력스텝에서 기초데이타 및 식을 입력시킨 후에 자동차가 주행되면 차속검출부(10)에서는 자동차의 차속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60)로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고, 회전수검출부(20)에서는 자동차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60)로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며, 주행중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을 밟으면 제동감지부(30)에서 제동상태를 감지하여서 상기 제어부(60)로 검출된 신호를 출력하도록 차속과 엔진회전수와 제동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검출된 차속이 상기 입력부(40)에서 입력된 제한속도이상일 경우 상기 제어부(60)에서 과속으로 판단하고 이 과속정보를 저장부(50)로 저장하고 과속카운터를 증가시키는 과속판단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검출된 차속이 과속상태에서 소정시간이상으로 지속될 경우 상기 제어부(60)에서 장시간과속으로 판단하고 이 장시간과속정보를 상기 저장부(50)로 저장하고 장시간과속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장기간과속판단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하한회전수보다 적은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될 경우 상기 제어부(60)에서 엔진저회전(under rpm)으로 판단하고 이 엔진저회전정보를 상기 저장부(50)로 저장하고 엔진저회전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엔진저회전판단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검출된 회전수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상한회전수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60)에서 엔진과회전(over rpm)으로 판단하고 이 엔진과회전정보를 상기 저장부(50)로 저장하고 엔진과회전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엔진과회전판단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제동상태가 검출될 경우 상기 제어부(60)에서 감속도를 산출하는 감속도산출스텝과;
    상기 감속도산출스텝에서 산출된 현재감속도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기준감속도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60)에서 급제동으로 판단하고 이 급제동정보를 상기 저장부(50)로 저장하고 급제동카운터를 증가시시키는 급제동판단스텝과;
    상기 검출스텝에서 제동상태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60)에서 가속도를 산출하는 가속도산출스텝과;
    상기 가속도산출스텝에서 산출된 현재가속도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기준가속도보다 클 경우 상기 제어부(60)에서 급가속으로 판단하고 이 급가속정보를 상기 저장부(50)로 저장하며 급가속카운터를 증가시키는 급가속판단스텝과;
    상기 과속판단스텝과 상기 장시간과속판단스텝과 상기 엔진저회전판단스텝과 상기 엔진과회전판단스텝과 상기 급제동판단스텝과 상기 급가속판단스텝에서 판단된 과속과 장시간과속과 엔진저회전과 엔진과회전과 급제동 그리고 급가속에 따른 점수를 부여하여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따른 총감점을 산출하는 총감점산출스텝과;
    상기 총감점산출스텝에서 산출된 총감점을 근거로 하여 운전패턴수치를 산출하는 운전패턴수치산출스텝과;
    상기 운전패턴수치산출스텝에서 산출된 운전패턴수치가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된 기준수치보다 적을 경우에는 운전자의 운전상태가 극히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부(90)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청각적으로 이를 경고하므로서 운전자의 운전패턴에 대해 경고하는 경고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패턴 감지방법.
KR1020010063021A 2001-10-12 2001-10-12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10043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021A KR100436524B1 (ko) 2001-10-12 2001-10-12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021A KR100436524B1 (ko) 2001-10-12 2001-10-12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794U Division KR200267316Y1 (ko) 2001-10-18 2001-10-18 운전패턴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230A true KR20030031230A (ko) 2003-04-21
KR100436524B1 KR100436524B1 (ko) 2004-06-23

Family

ID=2956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021A KR100436524B1 (ko) 2001-10-12 2001-10-12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52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20B1 (ko) * 2007-03-05 2008-09-10 (주)율시스템즈 운전자 운전습관 측정 시스템 및 활용방법
KR100925174B1 (ko) * 2007-05-18 2009-11-0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안전운전 도우미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1130585A2 (en) * 2010-04-16 2011-10-20 Tiny Towne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training in a controlled driving environment
KR101272570B1 (ko) * 2011-04-01 2013-06-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패턴인식을 이용한 자동차 가감속 정보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7103B1 (ko) * 2011-11-16 2013-11-20 주식회사 동희산업 운전자 운전성향 감응형 가속페달 제어 유닛트
US9424746B2 (en) 2013-07-11 2016-08-23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warning reference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KR20170068297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리어마운트 구조를 갖는 차량
WO2018021760A1 (ko) * 2016-07-29 2018-02-01 한정훈 전기차 충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긴급 출동 차량
CN114884995A (zh) * 2022-05-11 2022-08-09 新元联创(山东)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车联网大数据的新能源汽车全面评估的便携设备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698B1 (ko) * 2006-07-25 2013-03-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무단 주행 위험 방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280A (ko) * 1998-11-21 2000-06-15 홍종만 주행 습관 검사 방법
JP2000268297A (ja) * 1999-03-16 2000-09-29 Nissan Motor Co Ltd 安全運転評価装置
KR19990068556A (ko) * 1999-06-02 1999-09-06 신성배 전자식운행기록장치와운행기록데이터의통신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20B1 (ko) * 2007-03-05 2008-09-10 (주)율시스템즈 운전자 운전습관 측정 시스템 및 활용방법
KR100925174B1 (ko) * 2007-05-18 2009-11-0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안전운전 도우미 자동차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1130585A2 (en) * 2010-04-16 2011-10-20 Tiny Towne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training in a controlled driving environment
WO2011130585A3 (en) * 2010-04-16 2012-01-19 Tiny Towne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training in a controlled driving environment
US8598977B2 (en) 2010-04-16 2013-12-03 Tiny Towne International Llc System and method for driver training in a controlled driving environment
KR101272570B1 (ko) * 2011-04-01 2013-06-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패턴인식을 이용한 자동차 가감속 정보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7103B1 (ko) * 2011-11-16 2013-11-20 주식회사 동희산업 운전자 운전성향 감응형 가속페달 제어 유닛트
US9424746B2 (en) 2013-07-11 2016-08-23 Hyundai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warning reference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KR20170068297A (ko) * 2015-12-09 2017-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 리어마운트 구조를 갖는 차량
WO2018021760A1 (ko) * 2016-07-29 2018-02-01 한정훈 전기차 충전용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긴급 출동 차량
CN114884995A (zh) * 2022-05-11 2022-08-09 新元联创(山东)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车联网大数据的新能源汽车全面评估的便携设备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6524B1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1305B2 (en) Driver warning device
US20030060950A1 (en) Vehicle stability operator feedback system
KR100436524B1 (ko) 운전패턴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CN107054521A (zh) 电动汽车遇行人或骑乘者的多级预警系统
EP0657314B2 (en) Apparatus for alarming tyre deflation
JP2001074764A (ja) 運転技能評価装置及びゲーム装置並びに運転技能評価機能付きゲーム装置
CN111959488B (zh) 控制车辆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车辆
KR200267316Y1 (ko) 운전패턴 감지장치
JPH07242164A (ja) 追突警報装置付車両の自動ブレーキ装置
JPH1086697A (ja) 車両制御システムの警報装置
JP3508177B2 (ja) 車両の安全装置
JP3116408B2 (ja) 運転監視装置
CN211685058U (zh) 一种汽车防超速限速控制装置
KR20080051222A (ko) 속도 제한 장치 및 그 방법
CN113442723A (zh) 一种车辆的防误踩油门的控制方法、装置及车辆
CN206719393U (zh) 电动汽车遇行人或骑乘者的多级预警系统
KR20000020486U (ko) 차량 운전상태 알림장치
KR100203488B1 (ko) 차량 자동 주행 시스템
KR960010158B1 (ko) 센서의 자동절환을 이용한 자동차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H02279440A (ja) 運転の異常状態検出方法
KR20030001014A (ko) 자동차의 추돌 경보장치및 그 방법
KR20100080136A (ko) 졸음운전에 의한 충돌 회피장치
EP4342758A1 (en) Driver state determination apparatus
KR960002580B1 (ko) 곡선로 인식 기능을 갖는 자동차 충돌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H09109967A (ja) 自動二輪車の転倒警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