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826A -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 Google Patents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0826A
KR20030030826A KR1020020022840A KR20020022840A KR20030030826A KR 20030030826 A KR20030030826 A KR 20030030826A KR 1020020022840 A KR1020020022840 A KR 1020020022840A KR 20020022840 A KR20020022840 A KR 20020022840A KR 20030030826 A KR20030030826 A KR 20030030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ed ginseng
ginseng
re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2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규석
Original Assignee
(주)윤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윤창 filed Critical (주)윤창
Priority to KR1020020022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0826A/ko
Publication of KR2003003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826A/ko
Priority to FI20030607A priority patent/FI119838B/fi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지지다리(26b)가 구비되고 저면 및 둘레에 다수의 홍삼액추출구멍(26a)이 형성되는 질그릇 형상의 탕삼용기(26)와; 상기 탕삼용기(26) 상에 안착되고 바닥에 지지다리(23b)가 구비되며 저면 및 둘레에 다수의 증기유입구멍(23a)이 형성되는 질그릇 형상의 증삼용기(23)와; 상기 증삼용기(23)의 상측 개방부에 씌워지는 뚜껑(24)으로 이루어지는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탕삼용기(26) 상에 증삼용기(23)가 올려지고 증상용기(23) 상에 뚜껑(24)이 올려지는 내부용기(22)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뚜껑(24)을 들어올리면 증삼용기(23)가 개방되고 증삼용기(23)를 들어 올리면 탕삼용기(26)가 개방되므로 내부용기(22)의 분리 및 조립이 매우 편리하여 수삼 또는 제조된 홍삼을 꺼내고 넣기가 매우 편리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inside vessel structure of ginseng steamed red and ginseng steamed red liquid producing system}
본 발명은 홍삼 및 홍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홍삼 및 홍삼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에 관한 것이다.
홍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결과로 홍삼의 화학구조 및 약리활성 성분이 속속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주 성분인 사포닌은 인체 내의 지방분해력이 크고, 영양분의 흡수 및 소화를 촉진시키며, 세포내의 효소들을 활성화하여 신진대사를 촉진, 혈청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에너지를 증가시켜 원기회복, 피로, 무력감, 식욕부진을 개선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홍삼의 뛰어난 장점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홍삼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수삼(건삼)을 홍삼으로 만드는 홍삼 제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조장치에 의해 홍삼이 제조되는 일반적인 방법은, 유리(질그룻)로 이루어진 용기에 수삼과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시키고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물과 수삼을 일정시간 가열한 후 가열된 수삼을 자연건조시켜서 홍삼을 제조하거나, 증기를 이용하여 수삼을 찐 후 이를 자연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홍삼을 만든다.
또한 홍삼액을 제조하려면 물과 수삼을 고온 열탕으로 일정시간 가열하여 액체 상태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 홍삼을 제조하거나, 증기를 이용하여 수삼을 홍삼으로 만든 후 제조된 홍삼을 미세한 입자로 파쇄한 후 이를 다시 물과 혼합하여 액체상태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 홍삼액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홍삼 및 홍삼액을 제조할 경우, 중요한 문제가 발생되는데, 먼저, 홍삼을 제조하기 위해 장시간에 걸쳐서 수삼을 가열 및 건조시켜야 하며, 홍삼액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제조된 홍삼을 물에 넣어 다시 장시간 동안 가열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여 소비자들이 홍삼액을 지속적으로 섭취하지 못하는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1-0025223호)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삼과 홍삼이 각각 수납되는 내부용기(IV)와, 수삼을 증삼시키는 증삼기를 더 구비하였다.
따라서, 내부용기(IV) 상측의 증삼통(ST)에서 수삼이 홍삼으로 제조되는 동안 이미 제조된 홍삼은 내부용기(IV) 하측의 탕삼통(SO) 내에서 홍삼액으로 제조되므로 수삼을 홍삼으로 제조하는 과정과 제조된 홍삼을 홍삼액으로 제조하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로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결국 홍삼과 홍삼액을 제조하는 총 시간을 1/2정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홍삼 및 홍삼액을 제조하는는데 장시간이 소요되어 장기 복용 의욕을 저하시켰던 종래 홍삼 제조장치의 가장 큰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홍삼 및 홍삼 제조장치의 내부용기(IV)는 사용이 불편하였는데, 증삼통(ST) 하단에 뚜껑(C)이 결합되고, 증삼통(ST)과 탕삼통(SO) 사이에 소켓(K)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증삼통(ST)에 수삼을 넣고 탕삼통(SO)에 제조된 홍삼을 넣을 때마다 뚜껑(C) 및 소켓(K)을 회전시켜서 일일이 분리, 조립해야 하였고, 소정시간 경과할때마다 증삼통(ST) 및 탕삼통(SO)의 위치를 바꿔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삼 및 홍삼을 넣고 꺼내기가 매우 편리한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는,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다리가 구비되고 저면 및 둘레에 다수의 홍삼액추출구멍이 형성되는 질그릇형상의 탕삼용기와; 상기 탕삼용기 상에 안착되고 바닥에 지지다리가 구비되며 저면 및 둘레에 다수의 증기유입구멍이 형성되는 질그릇형상의 증삼용기와; 상기 증삼용기의 상측 개방부에 씌워지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탕삼용기 상에 증삼용기가 올려지고 증삼용기 상에 뚜껑이 올려지는 내부용기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뚜껑을 들어올리면 증삼용기가 개방되고 증삼용기를 들어 올리면 탕삼용기가 개방되므로 내부용기의 분리 및 조립이 매우 편리하여 수삼 또는 제조된 홍삼을 꺼내고 넣기가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2는 본 발명 내부용기구조가 설치된 상태의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3은 본 발명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를 보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내부용기 23 ; 증삼용기
23a ; 증기유입구멍 23b,26b ; 지지다리
26 ; 탕삼용기 26a ; 홍삼액추출구멍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내부용기(22)가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결합 단면도이고, 도3은 내부용기(22)를 발췌한 단면도이다.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는, 본체(2)와, 이 본체 상부에 안착되는 가용기(11)와, 가용기(11) 상부에 결합되는 증삼기(14)와, 가용기(11)와 증삼기(14) 내에 위치되는 내부용기(22)와, 증삼기(14) 상부에 안착되는 응축기(17)와, 그리고 응축기(17)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31)와, 상부커버(31)하측 둘레에 결합되는 보호케이스(35)로 대분된다.
본체(2)는 다리(4)가 구비된 하부프레임(3)과 하부프레임(3) 상부에 결합된 단열막(5)과, 단열막(5) 상부에 결합되는 내부열통(6)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 본체(2) 내부에는 히터(7)와, 콘트롤판넬(9), 코드(10) 등의 부품이 설치되어 있고, 중앙 내부에는 안착부가 구비되어 있어 홍삼액추출실(12)을 가지는 가용기(11)가 이에 안착된다.
(여기서 본체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가용기(11) 상부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증삼실(15)을 가지는 증삼기(14)가 안착되며 증삼기(14) 저면 둘레에는 제4패킹(16)이 결합되어 있어 증삼기(14)와 가용기(11) 사이를 밀착시키게 된다.
증삼기(14) 상에는 응축실(18)을 가지는 공지의 응축기(17)가 구비되며, 이 응축실 저면 둘레에는 스팀유입구멍(20)을 가지는 제2패킹(19)이 결합되어 있어 응축기(17)와 증삼기(14) 사이를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응축기(17) 상측 둘레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응축기(17) 둘레의 공기 흐름을 가속화시키도록 응축기(17) 상부 둘레에 상부커버(31)가 구비되는바, 상부커버(31) 내측에는 누름부(33)가 돌출되어 있어 누름부(33) 단부가 가용기(17)상단 중앙에 지지된다.
또한 상부커버(31) 하단 둘레에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보호케이스(35)가 결합구비되는바, 이는 상단이 상부커버(31) 하측에 나사결합되고, 하부 내측 둘레에는 증삼기(14) 하부에 지지되도록 제3패킹(37)이 씌워진 지지부(36)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증삼기(14)와 가용기(11) 내부에는 본 발명의 특징인 내부용기(22)가 위치된다. 이 내부용기(22)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에 지지다리(26b)가 구비되고 저면 및 둘레에 다수의 홍삼액추출구멍(26a)이 형성되는 질그릇 형상의 탕삼용기(26)가 구비된다.
탕삼용기(26) 상에는 바닥에 지지다리(23b)가 구비되며 저면 및 둘레에 다수의 증기유입구멍(23a)이 형성되는 질그릇 형상의 증삼용기(23)가 구비되며, 증삼용기(23)의 상측 개방부에는 뚜껑(24)이 씌워진다.
이러한 구성의 내부용기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내부용기(22)의 증삼용기(23)에 수삼을 넣은 후 50-70℃의 온도로 장시간 증삼시켜 홍삼으로 제조한다.
이와 같이 내부용기(22)의 증삼용기(23)내에서 홍삼이 제조되면 상부커버(31)의 손잡이(32)을 들어 올려서 응축기(17) 및 증삼기(14)를 들어 올리고, 내부용기(22)를 꺼낸다.
그리고 제조된 홍삼을 내부용기(22)의 탕삼용기(26)로 옮겨 넣고 다른 수삼을 증삼용기(23)에 투입한다.
이와 같이 한 후 가용기(11)의 물을 95-100℃로 가열하면 증발되는 수증기에 의해 증삼실(15) 내부는 50-70℃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가용기(11) 내에서는 홍삼액이 추출되며, 증삼실(15)에서는 수삼이 홍삼으로 제조된다.
한편 증발되는 수증기에 의해 응축기(17) 내부에는 결로가 맺히게 되는데, 결로는 응축기(17) 내면을 따라 흘러 내려서 스팀유입구멍(20)을 통해 증삼통(23) 상부로 떨어지게 되며, 증삼통(23) 상부는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떨어지는 낙수는 증삼통(23) 내부에 유입되지 않는다.
증삼통(23) 내의 증삼온도는 70℃를 유지해야 하는데, 25-30℃의 낙수가 증삼통(23) 내부의 수삼에 떨어지면 증삼이 제대로 되지 않으며, 따라서 낙수가 증삼통(23)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증삼통(23) 상부의 밀폐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는 내부용기(22)의 증삼용기(23)에서 수삼이 홍삼으로 제조되는 동안 내부용기(22)의 탕삼용기(26)에서는 제조된 홍삼에서 홍삼액이 추출되므로 홍삼 제조과정과 홍삼액 제조과정이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수행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는, 몇가지 장점을 가지는바, 증삼용기(23) 상의 뚜껑(24)을 간단히 들어 올리면 증삼용기(23) 내에 수삼을 넣거나 제조된 홍삼을 꺼낼 수 있다.
또한 증삼용기(23)를 들어 올리면 탕삼용기(26)가 간단히 개방되므로 그 내부에 홍삼을 투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탕삼용기(26)에 형성된 다수의 홍삼액추출구멍(26a)에 의해 내부용기(22)를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에 장착시키면 가용기(11) 내의 물이 홍삼 액추출구멍(26a)을 통해 탕삼용기(26)내로 신속히 유입되며, 내부용기(22)를 들어 올리면 반대로 제조된 홍삼액이 신속히 배출되므로 홍삼액 추출이 원활히 이루어진다.
그리고 증삼용기(23)에 형성된 다수의 증기유입구멍(23a)에 의해 수증기와 열기가 증삼용기(23) 내로 신속히 유입되며, 이에 따라 홍삼이 신속하고 확실하게 제조된다.
이러한 증삼용기(23)와 탕삼용기(26) 바닥에 구비된 지지다리(23b)(26b)들은 내열 실리콘 고무재로써, 증삼용기(23) 및 탕삼용기(26)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하고, 이들을 바닥에 내려 놓을시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는 탕삼용기(26), 증삼용기(23), 뚜껑(24)이 단순히 올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작업이 매우 용이한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에 의하면, 탕삼용기(26) 상에 증삼용기(23)가 올려지고 증삼용기(23) 상에 뚜껑(24)이 올려지는 내부용기(22)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뚜껑(24)을 들어올리면 증삼용기(23)가 개방되고 증삼용기(23)를 들어 올리면 탕삼용기(26)가 개방되므로 내부용기(22)의 분리 및 조립이 매우 편리하여 수삼 또는 제조된 홍삼을 꺼내고 넣기가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에 있어서,
    바닥에 지지다리(26b)가 구비되고 저면 및 둘레에 다수의 홍삼액추출구멍(26a)이 형성되는 질그릇 형상의 탕삼용기(26)와;
    상기 탕삼용기(26) 상에 안착되고 바닥에 지지다리(23b)가 구비되며 저면 및 둘레에 다수의 증기유입구멍(23a)이 형성되는 질그릇 형상의 증삼용기(23)와;
    상기 증삼용기(23)의 상측 개방부에 씌워지는 뚜껑(2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KR1020020022840A 2002-04-22 2002-04-22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KR20030030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840A KR20030030826A (ko) 2002-04-22 2002-04-22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FI20030607A FI119838B (fi) 2002-04-22 2003-04-22 Etäisyysmittausmenetelmä ortogonaaliseen taajuusjakoiseen monipääsyjärjestelyyn perustuvassa matkaviestinjärjestelyss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2840A KR20030030826A (ko) 2002-04-22 2002-04-22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116U Division KR200260143Y1 (ko) 2001-10-11 2001-10-11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826A true KR20030030826A (ko) 2003-04-18

Family

ID=1972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840A KR20030030826A (ko) 2002-04-22 2002-04-22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0030826A (ko)
FI (1) FI11983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8686A1 (en) * 2009-08-31 2012-06-14 Dong Hyun Kim Method of improving skin regeneration effect of medicinal materials by double boiling using earthenware po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280Y1 (ko) * 1985-06-17 1989-03-08 주식회사 금 성 사 냉장고 전압 전환장치의 덮개를 겸한 전원전선 권취 고정장치
KR930002897A (ko) * 1991-07-31 1993-02-23 이우에 사또시 상형성장치
KR960033453U (ko) * 1995-04-13 1996-11-19 양순호 건강음료 보약탕기
KR100227199B1 (ko) * 1996-10-16 1999-10-15 이관규 한약 추출기
KR200188131Y1 (ko) * 2000-02-14 2000-07-15 정진훈 홍삼 원액 제조기
KR200254720Y1 (ko) * 2001-08-20 2001-12-01 (주)윤창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280Y1 (ko) * 1985-06-17 1989-03-08 주식회사 금 성 사 냉장고 전압 전환장치의 덮개를 겸한 전원전선 권취 고정장치
KR930002897A (ko) * 1991-07-31 1993-02-23 이우에 사또시 상형성장치
KR960033453U (ko) * 1995-04-13 1996-11-19 양순호 건강음료 보약탕기
KR100227199B1 (ko) * 1996-10-16 1999-10-15 이관규 한약 추출기
KR200188131Y1 (ko) * 2000-02-14 2000-07-15 정진훈 홍삼 원액 제조기
KR200254720Y1 (ko) * 2001-08-20 2001-12-01 (주)윤창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8686A1 (en) * 2009-08-31 2012-06-14 Dong Hyun Kim Method of improving skin regeneration effect of medicinal materials by double boiling using earthenware pot
US9138601B2 (en) * 2009-08-31 2015-09-22 Amorepacific Corporation Method of improving skin regeneration effect of medicinal materials by double boiling using earthenware 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20030607A0 (fi) 2003-04-22
FI119838B (fi) 2009-03-31
FI20030607A (fi)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7038B (zh) 多功能汽锅及其控制方法
CN202760977U (zh) 新型隔渣养生壶
KR200260143Y1 (ko)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CN204318420U (zh) 节能蒸汽养生壶
CN203041833U (zh) 高效节能的电蒸笼
KR20030030826A (ko)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KR200254720Y1 (ko)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KR100536229B1 (ko) 떡찜장치
CN101647836A (zh) 红参制造器
CN106419514A (zh) 一种可自动控制的电加热汽锅
CN206777212U (zh) 一种食品料理机
CN210446639U (zh) 一种微压防溢的电饭锅
KR20000072062A (ko)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CN207444799U (zh) 一种改进的防溢锅
CN206641316U (zh) 一种高效节能的豆腐加热锅
KR100423802B1 (ko)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CN2354965Y (zh) 蒸气馏酒机
CN206365809U (zh) 一种双发热管发热盘及含有其的电炖锅
CN202269882U (zh) 多功能煮粥煮饭一体锅
CN203735991U (zh) 电压力锅延时保压安全阀
TWI284026B (en) Counter-flow cookware having down opening for cooking
CN2456597Y (zh) 快速节能紫砂陶瓷电热锅
CN208829633U (zh) 一种黄酒生产用具有分层功能的蒸煮装置
CN2220277Y (zh) 多功能电热煎药壶
CN208243391U (zh) 一种节能防蒸干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