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6229B1 - 떡찜장치 - Google Patents

떡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6229B1
KR100536229B1 KR1020050083806A KR20050083806A KR100536229B1 KR 100536229 B1 KR100536229 B1 KR 100536229B1 KR 1020050083806 A KR1020050083806 A KR 1020050083806A KR 20050083806 A KR20050083806 A KR 20050083806A KR 100536229 B1 KR100536229 B1 KR 10053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ice cake
cylinder
settling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숙자
Original Assignee
(주)질시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질시루 filed Critical (주)질시루
Priority to KR102005008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Abstract

본 발명은 떡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떡가루수용체로써 목재 재질의 딤섬을 이용하고 패킹부재와 체결수단을 통하여 증기가 손실되지 않고 상기 딤섬으로 집중시켜 떡을 빨리 찔 수 있는 떡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떡찜장치는 가열되고 내부에 증기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증기발생용기; 상기 증기발생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안치시 기밀성 향상을 위하여 하부 테두리에 배열되어 있는 패캥부재를 갖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서 상부로 솟아 있으며 상단 테두리에 패킹부재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진 안치부재;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 상부에 안치되고, 하부에 증기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떡가루수용체; 상기 떡가루수용체 상부 테두리에 안치되는 가압보조통체; 및 상기 증기발생용기와 상기 안치부재, 그리고 상기 안치부재와 상기 가압보조 통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패킹부재가 가압되도록 하여 증기가 상기 떡가루수용체으로 집중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떡찜장치{STEAM DISH IMPLEMENT FOR RICE CAKE}
본 발명은 증기를 이용하여 떡을 익히는 떡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떡이 잘 달라붙지 않는 떡가루수용체 특히 목재 재질의 딤섬을 활용함에 있어 증기발생용기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상기 딤섬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증기발생용기와 상기 딤섬 사이에 위치하는 안치부재를 도입하고, 상기 딤섬 상부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가압보조통체를 도입하여 상기 안치부재에 상기 딤섬이 밀착되어 증기가 손실되지 않고 집중되도록 하여 떡을 찌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떡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로 가열수단과 일체화된 떡찜장치를 제안한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면 대한민국특허등록 제0317093호(2001.12.22.공고일) “떡 제조장치”에서는 떡을 찌기 위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별도의 보일러를 갖지 않고 떡시루 다이의 저면에 가열원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성 및 설치성은 물론 사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가열시간과 열원의 낭비를 줄여 에너지의 절감을 기하고, 떡시루의 고른 가열로 인하여 떡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0385322호(2005.05.27.공고일)“떡 찜용 증기발생장치”는 제한된 공간내에서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가열매체의 가열시간을 단축하여 에너지손실을 최소화시키면서 단시간 내에 떡을 효율적으로 찔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떡 찌는 용도 이외에 팥 등을 삶는 용도로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떡 찜용 증기발생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저수조와 전기히터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면을 밀폐하는 떡시루 받침판, 원통형의 제1, 제2 증기배출조절부, 제3,제4 증기배출공, 증기배출보조구로 이루어진다.
그 외에 떡시루에서 제조된 떡이 상품성을 갖도록 부서지지 않게 들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있다.
실용신안공고 제1980-0000657호(1980.05.22.공고일)“떡시루”에서는 시루통 안에 든 떡을 부서지게 하지 않고 일시에 용이하게 들어낼 수 있게 하는 떡시루에 관한 것으로, 벽내 전체가 내통되는 냉수주입조를 형성하여 외벽상부에 흡배수관을 설치하고 시루간의 기밀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착구를 전체적으로 요설하여 패킹을 끼우고 시루의 밑바닥을 시루통과 분리하여 보조대를 붙여 시루통과 밑바닥을 자유로이 분리할 수 있게 한 구조로 일시에 용이하게 떡을 들어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실용신안공고 제1991-0003231호(1991.05.18.공고일)“떡시루”에서는 떡시루 구조를 테프론판 조립체로 개선하여 증기로 떡을 찐 후 시루로부터 떡을 인출할 시 떡이 시루내 벽면에 부착됨이 없이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용의, 편리성 제공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떡가루수용체로써 떡이 잘 달라붙지 않는 목재 재질의 딤섬을 활용함에 있어 증기발생용기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상기 딤섬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증기발생용기와 상기 딤섬 사이에 위치하는 안치부재를 도입하고, 상기 딤섬 상부에 체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가압보조통체를 도입하여 상기 안치부재에 상기 딤섬이 밀착되어 증기가 손실되지 않고 집중되도록 하여 떡을 찌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인 떡가루수용체를 이용하고 패킹부재와 체결수단을 통하여 증기가 유실되지 않게 하여 상기 떡가루수용체로 증기가 집중시켜 떡을 찌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기 위한 떡찜장치는 상기 증기발생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안치시 기밀성 향상을 위하여 하부 테두리에 배열되어 있는 패캥부재를 갖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서 상부로 솟아 있으며 상단 테두리에 패킹부재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진 안치부재;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 상부에 안치되고, 하부에 증기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떡가루수용체; 상기 떡가루수용체 상부 테두리에 안치되는 가압보조통체; 및 상기 증기발생용기와 상기 안치부재, 그리고 상기 안치부재와 상기 가압보조 통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패킹부재가 가압되도록 하여 증기가 상기 떡가루수용체로 집중되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1에서는 본 발명인 떡찜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떡찜장치는 증기발생용기(20), 본체(11)와 통체(15)로 이루어지는 안치부재(10), 떡가루수용체로서 딤섬(30), 가압보조통체(40)와 체결수단(13)(17)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떡찜장치에서 제조된 떡의 형상을 결정하는 떡가루수용체는 그 대표적인 예로써 중국식 만두 찜에 사용되는 딤섬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떡가루수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 딤섬의 소재와 관련하여 목재를 위주로 설명하지만,
소재면에서도 스텐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나 질그릇과 같은 세라믹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딤섬이 활용될 수 있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부재의 본체(11)는 상기 증기발생용기(20)와의 체결수단(13)인 고정갈고리(13a)를 포함하며,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 하부에는 상기 증기발생용기(20)에서 발생되는 증기압력이 상기 딤섬(30)에 위치한 떡가루에 바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판(1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완충판(18)에는 다수의 공기배출구(1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완충판(18)은 연결부재, 특히 120도 간격으로 삼발이 형태로 배열된 판상의 연결부재(18b)에 의하여 상기 안치부재의 본체(11)의 하부에 이격 연결되어 있고,
상기 공기배출구(18a)와 상기 완충판과 상기 통체(15) 사이의 이격 틈새를 통하여 적절하게 완화된 증기압력이 상기 딤섬(30)에 가해지게 된다.
도2에서 도시된 결합단면도에서는 실선으로 도시된 연결부재(18b)가 하나만 보이고 있는데, 실제 연결부재(18b)는 삼발이 형태로 상기 완충판(18)을 상기 안치부재의 본체(11)로부터 이격시키고 있어 단면도상으로는 볼 수가 없지만, 점선으로 나머지 두개의 연결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1에서 도시된 상기 안치부재의 본체(11)의 체결수단인 상기 고정갈고리(13a)는 상기 증기발생용기(20)의 체결수단인 힌지고리(13b), 레버부재(13c)와 걸쇠(13d)와 반대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치부재의 본체(11)에는 힌지고리, 레버부재와 걸쇠가 배열되고, 상기 증기발생용기(20)에는 고정갈고리가 배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된 상기 체결수단 외에도 다양한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는 상부로 솟아 있고 그 상면에 패킹부재(16)가 장착된 수용부(19)가 구비되어 상기 목재 딤섬(30)을 안치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가압통체(40)와 연결되는 체결수단(17)인 힌지고리(17b), 레버부재(17c)와 걸쇠(17d)가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 옆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 하부에는 증기압력이 상기 딤섬(30)에 위치한 떡가루에 바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판(18)이 구비되어 있는데, 왜냐하면 증기발생용기에 의한 증기가 상기 완충판(18) 없이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를 통해 상기 목재 딤섬(30)에 바로 접촉하면 증기압력이 너무 강해서 상기 목재 딤섬(30) 내부의 떡가루에 증기의 영향이 직접 미쳐 떡가루가 증기로 인해 응결되어 익어서 떡이 되는 과정에서 떡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완충판(18)은 다수의 공기배출구(18a)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완충판에 대하여 연결부재(18b)로서 120°간격으로 장착되어진 삼발이 형태를 이용하여 상기 완충판(18)을 상기 안치부재의 본체(11)로부터 이격시켜 적절한 증기압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도1에서 도시된 상기 힌지고리(17b), 레버부재(17c)와 걸쇠(17d)는 상기 보조가압통체의 체결수단인 고정갈고리(17a)와 반대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 옆면에는 고정갈고리가 배열되고, 상기 보조가압통체(40)에는 힌지고리, 레버부재와 걸쇠가 배열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된 상기 체결수단 외에도 다양한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딤섬(30)은 도2의 결합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치부재 통체(15)의 수용부(19)에 안치되어 상기 가압보조통체(40)의 고정갈고리(17a)와 상기 안치부재 통체(15)의 힌지고리(17b), 레버부재(17c)와 걸쇠(17d)에 의하여 결합될 때 상기 수용부의 패킹부재(16)에 의하여 기밀성이 향상되어 증기 기압이 상기 딤섬(30)으로 집중되는 것이다.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딤섬(30)의 하부에는 증기 유입부(31)가 형성되어 있어 증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도2의 결합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딤섬(30)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환턱(33)이 형성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가압보조통체(4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환턱(41)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결합상태의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상기 가압보조통체(40)의 하단에 돌출되어 있는 환턱(41)은 상기 딤섬의 환턱(33)과 엇물리게 되어 결합상태의 안정성을 높인다.
상기 딤섬(30)은 본 발명의 제조상품인 떡의 제조과정에서 떡가루가 직접적으로 위치하는 곳으로 제조 후에 떡이 원형을 유지한 상태로 딤섬에서 분리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하는데,
떡 제조가 전부 끝난 후 상기 딤섬(30)에서 떡을 떼어내는 공정에서, 딤섬의 재질이 스테인레스인 경우에는 떡이 달라붙는 정도가 심하여 떼어내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고 그러므로 원형 훼손 파괴되기 쉬운데 비하여, 그 재질이 목재인 경우에는 용이하게 떡을 떼어낼 수 있어 제조한 떡의 원형을 유지하여 상품성을 갖게 되고 따라서 목재로 된 딤섬이 이용되는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보조통체(40)는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와 결합되는 체결수단인 고정갈고리(17a)를 가지며, 상기 딤섬(30) 상부 테두리에 안치될 수 있도록 하부의 환턱(41)이 돌출되어 나와 있고,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갈고리(17a)는 상기 안치부재의 본체(11)의 고정갈고리(13a)와는 달리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와의 결합시에 상기 딤섬(30)을 안치하기 위하여 이격거리가 필요하게 되어, 상기 안치부재의 본체의 고정갈고리(13a)보다 길이가 길게 장착되었다.
실제 떡 제조시에는 도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된 가압보조통체(40)의 상부가 삼베보자기(50)로 덮여 상기 딤섬(30)에서 떡 가루가 증기와 응결하여 떡으로 익게 해준다.
본 발명인 떡찜장치에서 증기에 관하여 살펴보면,
우선 내부에 증기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증기발생용기(20)가 외부 열원(예: 가스불)이나 용기 내부에 구비된 내부열원(예: 전열체)에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되고, 발생된 증기는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완충판(18)을 거쳐 상기 딤섬(30)에 가해지게 된다.
상기 완충판(18)은 상기 증기발생용기(20)에서 발생되는 증기압력이 상기 딤섬(30)에 위치한 떡가루에 바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공기배출구(18a)와 상기 연결부재(18b)로 인하여 상기 완충판과 상기 본체(10)와 떨어져 있어 형성된 틈새를 통하여 완화된 증기가 딤섬으로 전달된다.
상기 안치부재의 본체(11)하부에는 패킹부재(12)가 구비되어 상기 증기발생용기(20)와의 체결수단(13)에 의한 결합시에 기밀성을 높여 증기가 손실되지 않고 상기 완충판(18)을 거쳐 상기 딤섬(30)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딤섬(30) 하부에는 증기유입부(31)가 형성되어 있어 증기가 상기 증기유입부(31)를 통해 상기 딤섬(30)내부의 떡가루에 가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딤섬(30) 상부 테두리에 안치되는 가압보조통체(40)와 상기 안치부재(15)가 체결수단(17)에 의하여 결합되어 이에 의하여 증기압력을 높여 떡가루가 증기와 응결되어 떡으로 익게 되어 신속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자의 실험결과 상기 두 체결수단(13)(17)과 패킹부재가 없을 경우 동일한 열원으로 동일한 양의 떡을 제조함에 있어 20분 정도 걸리던 것이, 본 발명에 따른 떡찜장치를 이용할 경우 떡의 종류에 따라 3분에서 5분 내에 떡이 익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가압보조통체(4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는데, 실제 떡 제조시에는 상기 개방된 가압보조통체(40)의 상부는 삼베보자기(50)를 덮어 딤섬을 통과한 증기가 바로 배출되지 않고 적절하게 딤섬 내에 머물다가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체결수단(13)(17)에 의해 결합될 때 패킹부재(12)(16)를 이용하여 기밀성을 높여 증기압력이 상기 딤섬(30)에 집중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안치부재의 본체(11) 하부 테두리에 패킹부재(12)가 배열되어 상기 증기발생용기(20)의 상부 테두리에 안치시에 기밀성 향상을 유도하고, 또한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에도 상단 테두리에 패킹부재(16)를 갖고 있어 상기 가압보조통체(40)와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가 상기 체결수단(17)에 의하여 결합시에 상기 패킹부재(16)는 기밀성을 높여 증기가 상기 딤섬(30)으로 집중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도2에서는 본 발명인 떡찜장치의 결합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3에서는 안치부재(1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는 상기 목재 딤섬(30)의 모양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10) 중앙에 뚫려 있는 증기 구멍 주위로 용접되어 장착된다. 도3a에서는 원통인 딤섬이 도시되어 있지만, 사각통 모양의 딤섬에 대응되는 사각모양의 안치부재도 가능한 것이다.
상기 수용부(19)는 상기 딤섬(30)이 안치될 수 있도록 상기 딤섬(30) 하부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고, 패킹부재(16)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가압보조통체(40)의 고정갈고리(17a)와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15) 옆면의 힌지고리(17b), 레버부재(17c)와 걸쇠(17d)가 결합될 때 기밀성을 높여 상기 목재 딤섬(30)에 증기가 집중되도록 한다.
도4에서는 떡찜장치의 일실시예로 삼베보자기를 덮은 사용상태도를 도시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떡찜장치는 떡가루수용체로써 특히 목재 재질의 딤섬과 패킹부재를 이용하여 증기가 상기 딤섬으로 집중되도록 하여 신속하게 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제조상품인 떡이 상품성을 가질 수 있도록 목재재질의 딤섬을 이용하여 떡이 잘 떨어지도록 하여 떡이 원형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떡찜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떡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떡찜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떡찜장치의 안치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떡찜장치의 일실시예로 삼베보자기를 덮은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안치부재 11: 안치부재의 본체
12: 패킹부재 13: 체결수단
13a: 고정갈고리 13b: 힌지고리
13c: 레버부재 13d: 걸쇠
15: 안치부재의 통체 16: 패킹부재
17: 체결수단 17a: 고정갈고리
17b: 힌지고리 17c: 레버부재
17d: 걸쇠 18: 완충판
18a: 공기배출구 18b: 연결부재
30: 딤섬 31: 증기유입부
33: 요입환턱 40: 가압보조통체
41: 돌출환턱 50: 삼베보자기

Claims (5)

  1. 가열되고 내부에 증기발생을 위한 물이 채워지는 증기발생용기;
    상기 증기발생용기의 상부 테두리에 안치시 기밀성 향상을 위하여 하부 테두리에 배열되어 있는 패캥부재를 갖는 본체, 그리고 상기 본체에서 상부로 솟아 있으며 상단 테두리에 패킹부재를 갖는 통체로 이루어진 안치부재;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 상부에 안치되고, 하부에 증기 유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떡가루수용체;
    상기 떡가루수용체 상부 테두리에 안치되는 가압보조통체; 및
    상기 증기발생용기와 상기 안치부재, 그리고 상기 안치부재와 상기 가압보조 통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패킹부재가 가압되도록 하여 증기가 상기 떡가루수용체로 집중되도록 하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떡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 하부에는 상기 증기발생용기에서 발생되는 증기압력이 상기 떡가루수용체에 위치한 떡가루에 바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완충판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판은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연결부재로 인하여 상기 완충판이 상기 안치부재 본체로부터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찜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떡가루수용체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환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보조통체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환턱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결합상태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증기발생용기 또는 상기 본체, 그리고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 또는 상기 가압보조통체에 구비되어 있는 고정갈고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증기발생용기, 그리고 상기 가압보조통체 또는 상기 안치부재의 통체에 구비되어 있는 힌지고리, 그리고 상기 힌지고리에 구비되어 있는 레버부재, 상기 레버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갈고리에 걸쳐지는 걸쇠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찜장치.
KR1020050083806A 2005-09-08 2005-09-08 떡찜장치 KR10053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806A KR100536229B1 (ko) 2005-09-08 2005-09-08 떡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806A KR100536229B1 (ko) 2005-09-08 2005-09-08 떡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6229B1 true KR100536229B1 (ko) 2005-12-14

Family

ID=3730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806A KR100536229B1 (ko) 2005-09-08 2005-09-08 떡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2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16B1 (ko) 2007-06-28 2008-12-16 박종옥 휴대용 떡시루 장치
KR20110131334A (ko) * 2010-05-29 2011-12-07 임철한 간이형 떡 찜 세트
KR101211028B1 (ko) 2012-07-18 2012-12-11 (주)다원푸드 떡 및 밥 제조장치
KR102283840B1 (ko) * 2020-08-14 2021-08-02 유은형 적층형 떡시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216B1 (ko) 2007-06-28 2008-12-16 박종옥 휴대용 떡시루 장치
KR20110131334A (ko) * 2010-05-29 2011-12-07 임철한 간이형 떡 찜 세트
KR101211028B1 (ko) 2012-07-18 2012-12-11 (주)다원푸드 떡 및 밥 제조장치
KR102283840B1 (ko) * 2020-08-14 2021-08-02 유은형 적층형 떡시루
WO2022035240A1 (ko) * 2020-08-14 2022-02-17 유은형 적층형 떡시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229B1 (ko) 떡찜장치
KR20030044585A (ko) 이중냄비의 에어포켓 내부 압력조절장치
DE60209368D1 (de) Kochtopf
KR20140002356A (ko) 전기조리기
CN104887066B (zh) 一种带抽气的电压力锅
WO2002011591A3 (de) Heissluftdeckel
KR101244277B1 (ko) 중탕기
KR100764816B1 (ko) 전기밥솥의 다용도 밥통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101209067B1 (ko) 중탕기의 강제 배기장치
KR200443703Y1 (ko) 조리용 진공 솥
US20070221650A1 (en) Constructive Arrangement Applied To Vessel For Heating
CN208973313U (zh) 烹饪器具
KR100874216B1 (ko) 휴대용 떡시루 장치
KR200260143Y1 (ko)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의 내부용기구조
KR100763990B1 (ko) 전기압력밥솥 및 그 밀폐구조
CN208677003U (zh) 烹饪器具
KR200190003Y1 (ko) 전자렌지용 밥솥
CN209377348U (zh) 蒸笼及烹饪器具
CN215424105U (zh) 电热蒸汽桶
KR200332192Y1 (ko)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KR101488746B1 (ko) 열손실방지수단이 구비된 파스타 쿠커
KR101212245B1 (ko) 중탕기의 강제 배기구조체
CN211609130U (zh) 烹饪组件及具有其的食物烹饪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