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192Y1 -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 Google Patents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192Y1
KR200332192Y1 KR20-2003-0024806U KR20030024806U KR200332192Y1 KR 200332192 Y1 KR200332192 Y1 KR 200332192Y1 KR 20030024806 U KR20030024806 U KR 20030024806U KR 200332192 Y1 KR200332192 Y1 KR 200332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eat shield
water heater
water
gla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8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순
Original Assignee
이병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순 filed Critical 이병순
Priority to KR20-2003-00248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1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으며 내부로는 일정크기의 공간부를 갖는 수통부(10)와;
그 수통부(10)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히팅부(20)와;
상기 수통부(10)와 히팅부(20)를 외측에서 마감하며,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된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의 상부에서 수통부(10)를 마감하며, 유리재로 구성된 뚜껑(31)으로 구성된 온수기(100)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100)의 뚜껑(31) 저면부로는 뚜껑(31)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뚜껑차열수단(40)이 형성되므로, 본 고안인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는 온수기의 뚜껑(31) 저면부에서 소정 간격차를 갖고 이격된 상태로 뚜껑차열수단(40)이 형성되므로, 온수기(100)의 사용중 발생되는 고온의 수증기와 열기의 상부 이동을 뚜껑차열수단(40)을 통해 방지하여 유리재로 구성되는 뚜껑(31)의 전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뚜껑 접촉시 화상위험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Heat Blocking Device of Lid for Water Heater}
본 고안은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기의 상부로 내부를 마감하며, 내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유리재로 구성되는 뚜껑 저면부로 이중차열장치를 형성하여, 온수기의 사용중 내부 온도상승으로 인한 뚜껑의 과열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기는 전기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를 수통의 저부에 설치하여 물의 비등온도를 상승시켜 사용하는 일종의 액체 가열기구이다.
그리고, 종래 통상적인 온수기의 구성은 몸체 상부 개구부에는 개, 폐가 가능한 뚜껑체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 수통부의 저면에는 전류가 공급될 경우 발열하여 물을 끓을 수 있게 하는 히터로 크게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온수기의 사용중 뚜껑체를 통해서 수통부 내부의 가열현상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뚜껑을 유리재로 구성한 제품도 제안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온수기의 구성에서 뚜껑 몸체가 유리재로 구성된 경우에는 하나의 유리재를 곡면 등의 단층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수통부 내부의 내용물이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수증기와 열기 등에 의하여 뚜껑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층구성을 갖으면서 유리재로 구성되는 뚜껑으로 고온의 수증기와 열기가 전이되면서 뚜껑을 구성하는 유리몸체의 온도역시 급격하게 상승되므로, 사용자 등이 뚜껑과 접촉할 경우 화상의 위험을 발생시키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온수기의 상부로 내부를 마감하며, 내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유리재로 구성되는 뚜껑 저면부로 이중차열장치를 형성하여, 온수기의 사용중 내부 온도상승으로 인한 뚜껑의 과열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온수기를 비롯한 가열조리기의 구성에서 뚜껑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 다양하게 적용시킬 수 있도록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온수기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뚜껑의 구성을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통부 20 - 히팅부
30 - 케이싱 31 - 뚜껑
32 - 안착부 33 - 유리몸체
40 - 뚜껑차열수단 41 - 패킹
42 - 차열유리판 43 - 차열판고정수단
44 - 관통홀 45 - 손잡이
46 - 체결홈 47 - 지지면
48 - 나사 49 - 고정면
50 - 에어밸브 51 - 상부몸체
52 - 하부몸체 53 - 나사부
54 - 배출홀 100 - 온수기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으며 내부로는 일정크기의 공간부를 갖는 수통부(10)와;
그 수통부(10)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히팅부(20)와;
상기 수통부(10)와 히팅부(20)를 외측에서 마감하며,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된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의 상부에서 수통부(10)를 마감하며, 유리재로 구성된 뚜껑(31)으로 구성된 온수기(100)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100)의 뚜껑(31) 저면부로는 뚜껑(31)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뚜껑차열수단(40)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인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는 온수기의 뚜껑(31) 저면부에서 소정 간격차를 갖고 이격된 상태로 뚜껑차열수단(40)이 형성되므로, 온수기(100)의 사용중 발생되는 고온의 수증기와 열기의 상부 이동을 뚜껑차열수단(40)을 통해 방지하여 유리재로 구성되는 뚜껑(31)의 전체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온수기의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써, 뚜껑의 저면부로 차열유리판이 패킹에 의해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중앙부에서 차열판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뚜껑의 구성을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로써 뚜껑의 저면부로 차열유리판이 차열판고정수단에 의해 밀착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인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는 케이싱(30)의 상부 안착부(32)에서 내부 수통부(10)를 마감하며, 내부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유리재로 구성되는 뚜껑(31)으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31)의 저면부로 구성되는 뚜껑차열수단(40)은 뚜껑(31)을 구성하는 유리몸체(33) 저면 외측으로 밀착되면서 뚜껑(31)과 소정 간격을 이격시켜 그 사이에 공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몸체 외측으로는 패킹(41)이 돌출되게 형성된 차열유리판(42)과, 상기 뚜껑(31)과 차열유리판(42)의 중앙부에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열판고정수단(43)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뚜껑차열수단(40)인 차열유리판(42)은 몸체 외측으로 기밀과 이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리콘 패킹(41)이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면서, 뚜껑(31)의 저면 외측으로 완전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차열유리판(42)의 패킹(41)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이격상태. 즉, 뚜껑(31)과 차열유리판(42) 사이의 간격(H)을 설정하는 구성이면서 차열유리판(42)을 통해 상부로 상승되는 수증기를 뚜껑(31) 저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상기 뚜껑차열수단(40)인 차열유리판(42)과 뚜껑(31)의 중앙부에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차열판고정수단(43)이 형성된다.
상기 차열판고정수단(43)은 뚜껑(31)과 차열유리판(42) 중앙부 동일위치로 관통홀(44)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31)의 관통홀(44) 상부로는 내부로 체결홈(46)이 구비된 손잡이(4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열유리판(42)의 관통홀(44) 저면부에서 나사(48)를 상호 조립시키는 구성으로 달성된다.
즉, 뚜껑(31)의 중앙 관통홀(44) 상부에서 손잡이(4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열유리판(42)의 관통홀(44) 저면에서 손잡이(45)의 체결홈(46)과 조립될 수 있는 나사(48)를 체결시키는 구성에 의하여 뚜껑차열수단(40)에 의해 설정된 이격거리를 유지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45)와 나사(48)의 조립에 의하여 뚜껑차열수단(40)인 차열유리판(42) 외측으로 설치된 패킹(41)의 돌출높이로 형성된 이격거리를 중앙부에서 손잡이(45) 몸체 저면의 지지면(47)과 나사(48)의 고정면(49)에 의한 나사 조립에 의하여 유동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5)와 나사(48)의 저부와 상부로는 기밀유지를 위하여 패킹(P)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뚜껑(31)과 차열유리판(42)의 일측단부로는 수통부(10) 내부에서 사용중 발생되는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에어밸브(50) 몸체에 차열판고정수단(43)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밸브(50)의 구성에서 배출홀(54)이 관통되게 형성되도록 상부몸체(51)와 하부몸체(52)로 형성하면서, 상부몸체(51) 상부 지지면(47)과 하부몸체(52)의 고정면(49)이 나사조립되는 구성에 의하여 이격거리를 지속적으로 단속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에어밸브(50) 상부몸체(51)와 하부몸체(52)에 형성되는 차열판고정수단(43)은 상부몸체(51)의 내측으로 체결홈(46)을 형성하고, 하부몸체(52)에는 나사부(53)를 구비하여 상호 나사조립에 의하여 설정된 이격 설정거리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밸브(50)의 몸체 상,하부에는 손잡이(45)와 같이 패킹(P)을 설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인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적 고온의 수증기와 열기가 발생되는 온수기에는 물론 조리기구에서 뚜껑을 필요로 하는 모든 제품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 또한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구성에 가장 큰 특징은 수통부(10)의 내부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유리재로 구성되는 뚜껑(31)의 저면부에서 소정간격을 이격시키면서 고온의 열기가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뚜껑차열수단(40)이 형성되므로, 단층의 유리재로 구성되어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되던 종래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뚜껑(31)과 차열유리판(42)의 중앙부 및 일측 단부로는 손잡이(45)와 에어밸브(50) 몸체에 차열판고정수단(43)을 형성하여 사용하므로, 설정된 이격거리의 유지 및 뚜껑(31)과 차열유리판(42)과의 조립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 뚜껑이 유리재로 형성되면서 단층구성을 갖는 제품에 비하여 뚜껑차열수단에 의하여 온도상승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뚜껑 접촉시 화상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뚜껑차열수단에 의하여 이격거리 내부로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하여 열원의 상부이동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온도상승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뚜껑차열수단과 함께 차열판고정수단을 동시에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격거리의 유지와 전체적인 조립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으며 내부로는 일정크기의 공간부를 갖는 수통부(10)와;
    이 수통부(10)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히팅부(20)와;
    상기 수통부(10)와 히팅부(20)를 외측에서 마감하며, 상부는 개방되게 형성된 케이싱(30)과;
    상기 케이싱(30)의 상부에서 수통부(10)의 개구부를 덮어지게 하는 뚜껑(31)으로 구성된 온수기(100)에 있어서;
    상기 온수기(100)의 뚜껑(31) 저면부로는 뚜껑(31)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뚜껑차열수단(4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차열수단(40)은 뚜껑(31)의 저면부 외측으로 밀착되면서 소정 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도록, 몸체 외측으로는 패킹(41)이 돌출되게 형성된 차열유리판(42)을 뚜껑(31)의 중앙부에는 이격된 상태를 유지토록 차열판고정수단(43)에 의해 고정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판고정수단(43)은 뚜껑(31)과 차열유리판(42) 중앙부 동일위치로 관통홀(44)을 형성하고, 상기 뚜껑(31)의 관통홀(44) 상부로는 내부로 체결홈(46)과 저면으로 지지면(47)이 구비된 손잡이(4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열유리판(42)의 관통홀(44) 저면부에서 나사(48)의 고정면(49)에 의해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열판고정수단(43)은 뚜껑(31)과 차열유리판(42)의 일측단부로 설치되는 에어밸브(50)의 상부몸체(51) 내측으로 체결홈(46)과 지지면(47)을 형성하고, 하부몸체(52)에는 나사부(53)와 고정면(49)을 구비하여 조립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KR20-2003-0024806U 2003-07-31 2003-07-31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KR200332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806U KR200332192Y1 (ko) 2003-07-31 2003-07-31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806U KR200332192Y1 (ko) 2003-07-31 2003-07-31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192Y1 true KR200332192Y1 (ko) 2003-11-05

Family

ID=4941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806U KR200332192Y1 (ko) 2003-07-31 2003-07-31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19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480B1 (ko) * 2014-04-22 2015-08-06 오재탁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조리용기용 뚜껑
KR102122680B1 (ko) * 2019-06-07 2020-06-12 김화옥 금속재 뚜껑이 구비된 조리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480B1 (ko) * 2014-04-22 2015-08-06 오재탁 사용의 편의성이 증진된 조리용기용 뚜껑
KR102122680B1 (ko) * 2019-06-07 2020-06-12 김화옥 금속재 뚜껑이 구비된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106B1 (ko) 전기밥솥
KR100645981B1 (ko) 전자렌지 조리용 시스템용기
US5727448A (en) Electric rice cooker
KR101904403B1 (ko) 전기조리기
KR200332192Y1 (ko)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KR102313275B1 (ko) 화상 방지용 조리 기구
KR100688015B1 (ko) 가스레인지용 그레이트 패킹구조
KR200338923Y1 (ko) 온수기용 뚜껑의 차열장치
CN214048572U (zh) 烹饪器具
KR101209067B1 (ko) 중탕기의 강제 배기장치
JP7323923B2 (ja) 保温調理器
KR0128707Y1 (ko) 3중 구조의 내부용기와 상,하부히터를 구비한 전기밥솥
JP2002078605A (ja) 炊飯ジャー
KR200312275Y1 (ko) 패킹이 장착된 조리구
KR101738479B1 (ko) 서모스탯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JP2002142975A (ja) 炊飯器
KR102454019B1 (ko) 전기압력밥솥
KR200340488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열림 방지장치
KR200214382Y1 (ko) 가스레인지의 열손실방지카버장치
KR101720428B1 (ko)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뚜껑
KR100419919B1 (ko) 밀폐형 조리구
JPH0632020Y2 (ja) 炊飯ジャーの蒸気排出口
KR200357102Y1 (ko) 압력밥솥
JP3386000B2 (ja) 電気炊飯器
KR100948353B1 (ko) 압력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