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109A - 수평에서 수직 운동으로의 전환을 갖는 치솔 - Google Patents

수평에서 수직 운동으로의 전환을 갖는 치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109A
KR20030029109A KR10-2003-7000750A KR20037000750A KR20030029109A KR 20030029109 A KR20030029109 A KR 20030029109A KR 20037000750 A KR20037000750 A KR 20037000750A KR 20030029109 A KR20030029109 A KR 20030029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able
toothbrush
axis
assemblies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벤-아리 트사프리르
Original Assignee
벤-아리 트사프리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아리 트사프리르 filed Critical 벤-아리 트사프리르
Publication of KR20030029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1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46B7/1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as a rotating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46B7/08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as a rotating disc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6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movably during use, i.e. the normal brushing action caus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치솔(10)은 손잡이(16)와 함께 이동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18)을 가진다.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 각각은 방사적으로 돌출한 털들(26)을 가지며 축(24)에 대해 치아와 접촉 평면에 거칠게 평행하게 회전하도록 배열된 바퀴(22)를 포함한다. 회전축(24)은 손잡이(16)의 연장 방향(14)에 대응하고, 대략 15°및 75°사이의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략 45°근방의 각도로 치솔(10)의 최초 삽입 방향(14)에 대해 경사진다.

Description

수평에서 수직 운동으로의 전환을 갖는 치솔{Toothbrush with longitudinal to lateral motion conversion}
상방 및 하방 운동으로 치아를 닦으므로써 인접하는 치아들 사이의 크랙들내의 음식물을 쳐서 제거할 수 있도록 돕게 되어 최상의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 문제로서, 사용자들의 아주 작은 비율만이 실제적으로 그러한 치솔질을 하려고 시도한다. 대신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너무나 쉽게 측면에서 측면으로의 치솔질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덜 효과적이다.
전동 치솔에 있어서, 이러한 문제점은 통상적으로 손잡이(측면에서 측면으로의 최초 운동 방향에 일반적으로 평행한)와 직각을 이루는 치솔 부재들의 진동 또는 회전을 발생시킴으로써 통상적으로 제기된다. 그러한 동작을 채택하는 전동 치솔의 예들은 쉴레겔(Schlegel)의 미국 특허 번호 제 2,583,886 호, 그로버(Grover)의 미국 특허 번호 제 2,665,675호 및 아녹스(Arnoux)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 5,864,911호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수동 치솔 분야에서, 그 문제점들은 손쉽게 해결될 수 없다. 치솔구조들의 광범위한 다양성은 사용자가 측면에서 측면으로의 최초 운동 방향에서 활발히 치솔을 움직일 때 조차도 2차적인 상하 운동을 수행하기 위한 시도에서 제안 되고 있다. 이들 중 많은 수가 최초 운동 방향과 직각인 하나의 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치된 회전가능한 솔 운반 부재들을 채용한다. 그러한 구조들의 예들이 박(Park)의 미국 특허 번호 제 5,142,724 호, 아미트(Amit)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 5,186,627 호, 및 스미스(Smith)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 5,996,157 호에서 찾아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어느 것도 특별하게 효과적인 것을 찾아낼 수 없다.
대안적인 해법이 라자루스(Lazarus)의 미국 특허 번호 제 1,643,217 호에서 제시된다. 여기서, 솔들의 나선형 배열은 최초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선회적으로 장착된 회전가능한 샤프트(shaft)를 따라 연장한다. 그 설명은 "솔의 술(bristle tufs)의 나선형 배열이 치아 또는 그 유사한 것에 대항하여 문질러질 때 솔 부재를 손잡이상에서 회전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신선한 표면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된다."라고 진술된다. 그러나, 실제로, 회전축은 운동 방향과 평행하기 때문에, 사실상 회전이 일어나지 않거나 힘들다.
그러므로, 수동 치솔에 대한 요구는 사용자가 측면에서 측면으로의 최초 운동 방향으로 치솔을 활동적으로 움직일 때 2차적인 상하 운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또한 운동 방향과 직각으로 솔질을 수행할 수 있도록 치열을 따라 솔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큰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치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에서 수직 운동으로의 전환을 갖는 치솔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치아를 문질러 닦기 위해 운동 방향으로 이동되는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를 보이는 제 1의 개략적인 동 크기 도면.
도 1b는 도 1a의 운동 방향에 따라 보여진 제 2의 동 크기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암시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하는 치솔의 제 1 실시예를 보이는 개략적인 동 크기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치솔이 갖는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의 바람직한 완성 형태를 함께 이루는 바퀴 조립체 및 소켓 각각을 보이는 개략적인 동 크기 도면.
도 4는 도 2의 치솔이 갖는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를 통과하여 보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5a는 도 2의 치솔의 평면도.
도 5b는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의 도 2의 치솔의 제 1 변형을 보이는 평면도.
도 5c는 변형가능하며 각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을 사용하는, 도 2의 치솔의 제 2 변형을 보이는 평면도.
도 6은 변형가능하며 각회전가능한 솔 조립체에 대한 바람직한 구조를 설명하는 도 5c의 라인 VI-VI을 따라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2의 치솔이 갖는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의 제 1의 다른 구조를 함께 이루는 바퀴 조립체 및 소켓 각각을 보이는 개략적인 동 크기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암시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하는 치솔내에서 사용을 위한 현수형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를 보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암시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하는 치솔내에서 사용을 위한 다른 현수형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를 보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도 5c의 동작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 배열된 현수형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를 보이는 개략적인 단면도.
본 발명은 수평에서 수직 운동으로의 전환을 갖는 치솔이다.
본 발명의 암시에 따르면,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 치아를 문질러 닦기 위한 치솔에 있어서: (a) 상기 구강 내로 상기 치솔의 최초 삽입 방향을 정의하도록 배치된 손잡이; 및 (b) 상기 손잡이와 함께 이동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은 상기 치아와 접촉하는 접촉 평면을 정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은 하나의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되는 하나의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그들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사적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털들(bristles)을 가지며,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은 상기 축이 상기 접촉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배열되며 대략 15°및 75°사이의 각도로 상기 최초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치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의 상기 축은 대략 30°및 60°사이의 각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40°및 50°사이의 각도로 상기 최초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진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은, 회전축이 상기 최초 삽입 방향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경사진 제 1 그룹과 상기 회전축이 상기 최초 삽입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경사진 제 2 그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그룹은 상기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라인을 따라 배열된 상기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을포함하며, 상기 제 2 그룹은 상기 제 1 라인로부터 옮겨지지만 평행한 제 2 라인을 따라 배열된 상기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은 상기 축에 대해 정해진 방향으로 상기 바퀴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배열된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은 상기 접촉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회전고리 축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고리를 경유하여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고리 축은 상기 바퀴의 상기 회전축에 대해 오프셋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와 함께 집적적으로 형성된 치솔 머리부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머리부분은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을 위한 함몰된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 각각의 일부분이 상기 함몰된 소켓들 중 대응하는 하나 내에 수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암시에 따르면, 운동 방향에 직각으로 치솔질 하기 위하여 치열을 따라 문질러 닦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실질적으로 방사적으로 돌출한 복수개의 털들을 가지며 하나의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된 바퀴를 포함한 하나이상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를 포함하는 치솔을 제공하는 과정; (b) 치열의 일부분에 접촉하도록 상기 다수의 털들을 갖는 치솔을 위치시키는 과정; 및 (c) 하나의 운동 방향으로 상기 치열을 따라 상기 치솔을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하나이상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는 상기 운동 방향으로 대략 15°및 75°사이의 각도로 경사진 축과 방향이 맞춰지며, 상기 운동에 의해 야기된 상기 바퀴의 회전은 상기 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상기 털들의 운동 성분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나이상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는 상기 운동 방향으로 대략 30°및 60°사이의 각도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40°및 50°사이의 각도로 경사진 축과 방향이 맞춰진다.
본 발명은 여기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된다.
본 발명은 수직에서 수평 운동으로의 전환을 갖는 치솔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솔들의 원리 및 동작은 도면 및 부가된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잘 이해될 것이다.
지금, 도면에 관하여, 도 1a 내지 도 5a 는 사용자의 구강 내 치아(12)를 문질러 닦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암시에 따라 구성되고 작동하는, 일반적으로 10으로지시된 치솔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치솔(10)은 치솔 손잡이(16)의 연장된 방향에 의해 정의된 바대로(도 2) 구강내로 삽입하는 최초 방향에 대응하는 운동의 최초 방향(14)에서 사용하도록 배열된다(도 1a).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치솔(10)은 손잡이와 함께 이동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18)을 포함하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은 치아와의 접촉 평면(20)을 정의하기 위하여 배치된다. 각각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는 축(2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된 바퀴(22)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그곳으로부터 방사적으로 돌출시킨 복수개의 털들(26)을 갖는다.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 각각이 배열되며 그 결과 솔 조립체의 축(24)은 접촉 평면(2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며 대략 15°및 75°사이의 각도 θ로 최초 운동 방향(14)에 대하여 경사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30°및 60°사이의 각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40°및 50°이다. 전형적으로, 약 45°각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결과로서, 치솔(10)이 구강으로 삽입될 때, 치아(12)의 열 부분과 접촉하는 몇몇 털들(26)이 위치하게 되며 운동 방향(14)으로 움직이고, 치아와의 마찰 및/또는 기계적인 맞물림은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18)의 회전을 야기한다. 운동 방향(14)과 관련하여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의 축들(24)의 경사로 인하여, 이러한 회전은 운동 방향(14)에 직각인 방향으로 치아(12)와 접촉되는 솔들(26)의 운동 요소를 도입한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사용자들에 의해 원래 실행되는 일반적인 측면에서 측면으로의 솔질로도 중요한 2차적인 상하 솔질 효과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특징을 더욱 자세히 다루기 전에,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된 것으로써 소정의 용어들을 정의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기하학적 특징들을 정의할 때, 참조부호는 "최초 운동 방향(14)", "구강 내로의 최초 삽입 방향" 및 "치솔 손잡이의 연장 방향(16)"과 같이 여러가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형적인 경우에서, 이들은 모두 평행하도록 가정된다. 개념적으로, 본 발명의 적절한 동작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것은 운동 방향에 관련한 기하학이다. 손잡이의 연장 방향은 운동 방향과 관련되는 구조적인 특징으로서 선택된다. 그러나, 치솔 손잡이들은 종종 치솔의 머리(head)에 평행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참조부호는 손잡이 배열에 의해 정의된 "구강 내로의 치솔의 최초 삽입 방향"과 같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 방향은 평면(20)상에서 손잡이의 연장 방향의 돌출로서 정의된다. 이 기하학적인 구조는 측면에서 측면으로의 형태로 솔질하는 전형적인 사용자에 의해 이행되는 운동 방향에 대응한다.
축(24)은 "접촉 평면(20)과 실질적으로 평행"으로서 설명된다. 이러한 구문은 솔-지지 부재가 접촉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하나의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수많은 종래 구조들로부터 본 발명의 배열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한 구조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기능을 명백히 할 수 없다. 이 문맥에서 "실질적으로 평행"은 축(24) 및 평면(20) 사이의 중요한 범위(±30°까지)내에서 여전히 본 발명의 원리들이 실효가 있다는 것으로 넓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털(bristles)"이라는 용어에 관해서, 이 용어는 자연 및 인조 솔을 포함하여 치솔내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소정의 또는 모든 섬유를 일반적으로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지금, 치솔(10)의 특징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고찰하면, 도 3(a), 3(b) 및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형태는 제조 및 조립의 간결성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도 3(a)는 조립하기 이전의 방사적인 돌출 솔(26)과 함께 바퀴(22)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바퀴(22)는 축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하여 축 돌출부(28)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는 그 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제조 기술들의 범위에서 제조될 수 있다. 예들은 부드러운 플라스틱내로 섬유다발의 이식 및 섬유들의 준비된 배열 주위로 몰딩 주입을 포함하지만, 그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b)는 치솔(10)의 머리 부분의 표면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소켓(30)의 바람직한 형태를 도시한다. 소켓(30)은 그 내부에 또는 인접하여, 조립시에 바퀴(22)의 돌출부(28)와 영구적인 스냅-핏(snap-fit)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해 배열된 함몰부(recess)(42)를 갖는 두 개의 스프링 브라켓(40)을 세운다. 소켓(30)의 나머지는 바퀴(22)의 정상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에서 적어도 솔(26)의 비율로 맞추어지도록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바퀴(22)는 잘 정의되어 감소된 접촉 표면 영역에 브라켓(40)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돌출부(28) 주위로 아주 작은 돌출 허브(hub)(44)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바퀴의 회전에 마찰 저항을 감소시킨다.
소켓(30)과 함께 형성된 치솔의 머리 및 치솔 손잡이를 포함하여 치솔(10)의 몸체 전부가 적합한 금속 브라켓들 주위의 플라스틱 주입 몰딩과 같은 공지 기술의 범위에서 형성된 단일의 집적 부재로써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될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소켓(30)은 조립체의 세척 및 물이 빠지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치솔 머리의 뒷면에서 개방된 배수 통로(46)를 부가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기술된 단일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가 목적한 운동 방향에서 점점 수평적으로 어긋나 움직이는 경향을 가진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될 것이다. 이러한 경향을 저지하기 위하여, 치솔(10)은 바람직하게는 최초 삽입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적어도 두 개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의 그룹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하여, 도 2, 도 5a 및 5b는 각각 최초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각 ±θ로 경사진 두개의 평행 라인들을 따라 배열된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들의 두 개의 그룹들을 갖는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 경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들의 배열들은 삽입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도 2 및 도 5a 에서의 실시예들은 2개 열의 경사 방향이 거꾸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단지 상이하다.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들이 이미 언급한 이유들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경사진 그룹들내에서 바람직하게 배치되며, 상세한 배치는 명백히 상당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부재들의 크기에 따라 2개 열 이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들의 효과적인 폐쇄 패킹(packing)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열들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교차하여 엇갈리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세트에서,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들은 양방향에서 자유로이 변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5a 및 도 5b 에서 도시된 배열들에서, 조립체들의 회전은 치솔이 구강 내를 향하고 있을 때 치솔 머리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의 솔질을 야기하며, 그리고 외측의 솔질은 이미 중지된다. 이러한 교차 방향이 많은 출원에서 받아들여질 수도 있다고 생각되지만, 탁월한 결과들이 종종 일 방향에서 배타적으로 회전하도록 조립체들을 변경시킴으로써 제공될 수도 있고 래치트(ratchet)-식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특징은 바람직하게는 회전가능한 조립체들을 내측으로 배타적으로 문질러 닦도록 배치하는데 이용되며, 따라서 그들은 치솔의 교차적인 스트로크(stroke) 동안에 변화될 수 없다. 이 선택적 특징 중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다.
특별하게, 바퀴(22)가 브라켓(40)들 사이 공간보다 아주 작은 허브(44)들 사이의 축 치수를 가진다는 것을 여기서 보이며, 따라서 단지 하나의 허브만이 동시에 인접 브라켓과 접촉한다. 허브(44)들 중 하나가 부드럽게 만들어지며, 반면에 나머지는 방사 리브(rib)(48)의 부가로서 확대 및/또는 변경되고, 또는 다른 표면 특성들은 증가된 마찰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증가된 마찰 표면에 대향하는 하나의 브라켓(40)의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완성된 양식에서 거칠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매우 간단하고 신뢰성있지만 거의 효과적이지 못한 래치트-식 기능을 제공한다. 특별하게는, 치솔이 제 1 방향으로 진행될 때, 바퀴(22) 상의 힘들이 대응하는 브라켓(40)과 그 내부에서 접촉하는 부드러운 허브(44)를 제 1 위치로 움직이며, 그 결과 바퀴(22)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동안에 자유로이 변화할 수 있도록 허용된다. 치솔 운동 방향이 반대로 바뀔 때, 바퀴(22)가 제 2 브라켓과 접촉하도록 축성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 2 허브의 증가된 마찰 표면 및 대응하는 브라켓은 접촉을 가지며, 반대의 치솔 스트로크 동안에 바퀴(22)의 회전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한 마찰 저항을 발생시킨다.
다른 선택적인 특징에 따라, 회전 솔 조립체들은 치솔 머리에 대하여 배타적으로 내측(또는 외측)으로의 양방향 모두에서의 치솔 스트로크 동안에 동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것은 도 5c 및 도 6을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회전고리(swivel)-탑재된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를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특별하게, 이 예에서, 각각의 조립체(18)는 접촉 평면(20)과 실질적으로 직각인 회전고리 축(50)에 대하여 회전 고리에 배치되며, 그 결과 그것의 회전축(24)은 운동 방향(14)에 관한 ±θ 범위를 넘어서 변화할 수 있다. 회전고리 축(50)은 바람직하게는 바퀴(22)의 축(24)에 대해 오프셋(offset)되며 그 결과 치아와의 솔(26)의 마찰로부터 바퀴(22)상에 작용하는 힘들이 원하는 각도로 조립체를 회전시키려는 경향으로 축(50)에 대한 변화된 모멘트를 발생시킨다.
구조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것이 도 6에 도시된다. 여기서, 회전고리 축(50)은 확장 소켓(30)의 기반 내에 꽂아 넣어진 회전 활주 베어링(52)에 의해 제공된다. 여기서, 브라켓(40)들은 회전고리 축(50) 및 바퀴(22)의 축(24) 사이에 전술한 오프셋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 각도로 위를 향하여 연장한다.
지금, 도 7 내지 도 10에 대하여, 도 3 및 도 4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가 다수의 가능한 실시예들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바람직한 예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증을 위하여, 도 7 내지 도 10은 다수의 다른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이들은 도 3 및 도 4의 구조와 일반적으로 유사한 것을 도시하지만, 여기서 소켓(30)은 돌출부(28)와 함께 스냅-핏(snap-fit)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해 소켓의 반대면들 상에 집적적으로 두개의 형상으로 된 함몰부(32)를 특징으로 갖는다. 이 경우에, 각각의 바퀴(22)의 정확히 절반이 조립시 치솔의 머리 내에 수용된다. 선택적으로, 털(26)이 광범위한 사용의 결과로서 떨어져 구부러지게 될 지라도 바퀴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하게 하기 위하여 소켓(30)은 그 주변부 즉, 함몰부(32)로부터 원격지 주위로 증가된 폭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지금, 도 8에 대하여, 이 도면은, 지지기둥(38)들에 의해 치솔 머리의 표면 위로 지지되는 축 부재들(36)을 수용하는 속이빈 축 함몰부들 또는 내경들(bores)(34)을 구비하는 바퀴(22)들을 내부에 갖는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18)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치솔 머리의 표면 상에 세워진 지그재그 프레임에 회전적으로 장착된 일련의 바퀴들로서 그 결과가 나타난다. 축 부재(36)들은 로드(rods)로 완성되든지 또는 각각의 바퀴(22)의 반대면들상에 함몰부들 또는 내경들 내로 스냅-핏하는 대향하는 돌출부들 쌍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도 9는 각각의 바퀴(22) 내부에서 상보적인 슬립 링(slip ring)(56)과 결합하는 주변 환상 그루브(groove)(54)와 함께 이중 바퀴 구조를 형성하도록 함께 맞물리는 두 개의 부분들로 형성되는 것 보이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바퀴(22)의 두 개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스냅-핏 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 링(56)과 맞물리는 위치에서 치솔을 조립하는 동안 상호간에 부착된다.
결국, 도 10을 참조하여, 전술한 회전고리-탑재된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가 또한 다른 형태들로 실현될 수 있다. 예로써, 도 10은 중심 허브(60)의 중앙으로부터 회전고리 결합 오프셋을 제공하기 위하여 지지 바아(62)상에 장착되는 바퀴(22)의 중심 비변화 허브(60)를 가능한 실시예로서 도시한다. 바퀴(22)의 회전 부분은 중심 허브(60)에 대한 활주에 있어서 외부에 배치된 외측 링(64)으로써 실행된다.
상술한 것들은 단지 예들로서만 역할을 하며, 많은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그 범위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치솔 제조 산업에서 유용하다.

Claims (11)

  1. 사용자의 구강 내에서 치아를 문질러 닦기 위한 치솔에 있어서:
    (ⅰ) 상기 구강 내로 상기 치솔의 최초 삽입 방향을 정의하도록 배치된 손잡이; 및
    (ⅱ) 상기 손잡이와 함께 이동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은 상기 치아와 접촉하는 접촉 평면을 정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은 하나의 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되는 하나의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그들로부터 실질적으로 방사적으로 돌출하는 복수개의 털들(bristles)을 가지며,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은 상기 축이 상기 접촉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이도록 배열되며 대략 15°및 75°사이의 각도로 상기 최초 삽입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의 상기 축은 대략 30°및 60°사이의 각도로 상기 최초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의 상기 축은 대략 40°및 50°사이의 각도로 상기 최초 삽입 방향에 대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은, 회전축이 상기 최초 삽입 방향에 대해 제 1 방향으로 경사진 제 1 그룹과 상기 회전축이 상기 최초 삽입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의 제 2 방향으로 경사진 제 2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은 상기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1 라인을 따라 배열된 상기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그룹은 상기 제 1 라인으로부터 어긋나지만 평행한 제 2 라인을 따라 배열된 상기 복수개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은 상기 축에 대해 정해진 방향으로 상기 바퀴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배열된 하나이상의 특징을 포함하는 치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은 상기 접촉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회전고리 축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회전고리를 경유하여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고리 축은 상기 바퀴의 상기 회전축에 대해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와 함께 집적적으로 형성된 치솔 머리부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머리부분은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들 각각을 위한 함몰된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 각각의 일부분이 상기 함몰된 소켓들 중 대응하는 하나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솔.
  9. 운동 방향에 직각으로 치솔질 하기 위하여 치열을 따라 문질러 닦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ⅰ) 실질적으로 방사적으로 돌출한 복수개의 털들을 가지며 하나의 축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배열된 바퀴를 포함한 하나이상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를 포함하는 치솔을 제공하는 과정;
    (ⅱ) 치열의 일부분에 접촉하도록 상기 다수의 털들을 갖는 치솔을 위치시키는 과정; 및
    (ⅲ) 하나의 운동 방향으로 상기 치열을 따라 상기 치솔을 이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하나이상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는 상기 운동 방향으로 대략 15°및 75°사이의 각도로 경사진 축과 방향이 맞춰지며, 상기 운동에 의해 야기된 상기 바퀴의 회전은 상기 운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상기 털들의 운동 성분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이상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는 상기 운동 방향으로 대략 30°및 60°사이의 각도로 경사진 축과 방향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이상의 회전가능한 솔 조립체는 상기 운동 방향으로 대략 40°및 50°사이의 각도로 경사진 축과 방향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7000750A 2000-07-18 2001-07-16 수평에서 수직 운동으로의 전환을 갖는 치솔 KR200300291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18,465 US6477729B1 (en) 2000-07-18 2000-07-18 Toothbrush with longitudinal to lateral motion conversion
US09/618,465 2000-07-18
PCT/IL2001/000650 WO2002005679A1 (en) 2000-07-18 2001-07-16 Toothbrush with longitudinal to lateral motion conver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109A true KR20030029109A (ko) 2003-04-11

Family

ID=2447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750A KR20030029109A (ko) 2000-07-18 2001-07-16 수평에서 수직 운동으로의 전환을 갖는 치솔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6477729B1 (ko)
EP (1) EP1313383A4 (ko)
JP (1) JP2004503319A (ko)
KR (1) KR20030029109A (ko)
CN (1) CN100386045C (ko)
AU (1) AU2001278653A1 (ko)
BR (1) BR0112999A (ko)
CA (1) CA2416439A1 (ko)
IL (1) IL153896A0 (ko)
MX (1) MXPA03000592A (ko)
PL (1) PL360291A1 (ko)
RU (1) RU2240714C2 (ko)
WO (1) WO20020056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3604B1 (en) 2000-03-16 2003-04-29 Gillette Canada Company Toothbrush
US20040128784A1 (en) * 2000-07-18 2004-07-08 Ramy Weitz Toothbrush with longitudinal to lateral motion conversion
US6625834B2 (en) * 2001-10-09 2003-09-30 Peter W. Dean Manual toothbrush for gingival tissue stimulation
DE10164336A1 (de) 2001-12-28 2003-07-17 Trisa Holding Ag Triengen Zahnbürs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Zahnbürste
US6658686B1 (en) * 2002-06-05 2003-12-09 Soo-Woong Lee Rotary disc toothbrush
DE10259723A1 (de) 2002-12-19 2004-07-01 Trisa Holding Ag Zahnbürs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20060272112A9 (en) * 2003-03-14 2006-12-07 The Gillette Company Toothbrush
US20040177462A1 (en) * 2003-03-14 2004-09-16 The Gillette Company Toothbrush head
US7121937B2 (en) * 2003-03-17 2006-10-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brasive brush elements and segments
US7941886B2 (en) 2003-09-19 2011-05-17 Braun Gmbh Toothbrushes
US20050144745A1 (en) * 2004-01-07 2005-07-07 Russell Bruce M. Toothbrush
EP1709885B1 (en) * 2004-01-27 2016-03-23 Higuchi Manufactory Co., Ltd. Radial vane for toothbrush, toothbrush using the sam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other radial vane for toothbrush
MX2008003175A (es) * 2005-09-09 2008-03-18 Colgate Palmolive Co Cepillo de dientes.
US20080109979A1 (en) * 2006-11-13 2008-05-15 Heekyoung Jo Toothbrush for use with an orthodontic device
WO2009046571A1 (fr) * 2007-10-11 2009-04-16 Eten Technology Ltd Tête de brosse à dents électrique et brosse à dents électrique
RU2412672C2 (ru) * 2009-05-04 2011-02-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ка Техника Медицина" Механ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и механизм ее привода (варианты)
EP3838066B1 (en) * 2010-06-25 2022-08-31 Swimc Llc Brush with alternate rows of angled tufts
CA2821877A1 (en) 2010-12-23 2012-06-28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8522384B2 (en) 2011-04-19 2013-09-03 Conair Corporation Toothbrush with fluid jet assembly
JP4908644B1 (ja) * 2011-05-09 2012-04-04 幹雄 斉藤 歯ブラシ
US9095205B2 (en) 2011-06-21 2015-08-04 Joseph A. Stofko Orthodontic toothbrush
USD724324S1 (en) * 2012-06-20 2015-03-17 Braun Gmbh Toothbrush head with tongue cleaner
JP5706564B1 (ja) * 2014-07-07 2015-04-22 斉藤 幹雄 回転歯ブラシ。
US11219303B2 (en) 2016-04-20 2022-01-11 Trisa Holding Ag Brush produc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D932193S1 (en) * 2020-01-07 2021-10-05 GSK Consumer Healthcare, S.A. Toothbrush head
USD932191S1 (en) * 2020-01-07 2021-10-05 GSK Consumer Healthcare, S.A. Toothbrush head
USD1015751S1 (en) * 2022-01-17 2024-02-27 Thierry André Christian Vallet Brush for electric toothbrushes
USD1024568S1 (en) * 2022-01-17 2024-04-30 Thierry André Christian Vallet Electric toothbrush apparatus
USD1014093S1 (en) * 2023-08-03 2024-02-13 Rui Ding Toothbrush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3528C (de) * C. FELLER in Efslingen Hand-Rauhapparat
DE68528C (de) * G. RASCHE in Evingsen bei Altena i. Westfalen Knopfzange
US1091090A (en) * 1913-02-19 1914-03-24 Charles Paul Tacail Apparatus for massaging gums.
US1254532A (en) * 1917-07-09 1918-01-22 Frederick N Paul Tooth-brush.
US1503050A (en) * 1922-02-01 1924-07-29 August H Jurk Rotary toothbrush
US2175975A (en) * 1937-05-10 1939-10-10 Steiner Lloyd Tooth brush
US2691182A (en) * 1951-10-26 1954-10-12 Calvin U Baize Triple action spiral toothbrush
FR1147667A (fr) * 1956-04-12 1957-11-28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brosses à dents rotatives
US3127627A (en) * 1962-06-08 1964-04-07 Katsumura Yoshiyuki Cleaning brush
IT1097220B (it) * 1978-07-13 1985-08-26 Massetti Alessandro Struttura di spazzolino da denti
US4438601A (en) * 1981-04-06 1984-03-27 Olson Alvin O Sandpaper cleaning device
SE438084B (sv) * 1983-01-27 1985-04-01 Orvar Larsson Tandborste
SU1708282A1 (ru) * 1989-03-06 1992-01-30 Ignatovich Vladimir S Зубна щетка
USD330287S (en) * 1990-02-16 1992-10-20 Wise Thomas B Rotary dental brush
JP4040754B2 (ja) * 1998-06-22 2008-01-30 秀夫 富山 歯ブラシ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89634B1 (en) * 1998-11-24 2002-05-21 Gillette Canada Company Or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3000592A (es) 2004-12-13
IL153896A0 (en) 2003-07-31
JP2004503319A (ja) 2004-02-05
US20020192621A1 (en) 2002-12-19
RU2240714C2 (ru) 2004-11-27
US6477729B1 (en) 2002-11-12
AU2001278653A1 (en) 2002-01-30
PL360291A1 (en) 2004-09-06
CN1458833A (zh) 2003-11-26
CA2416439A1 (en) 2002-01-24
BR0112999A (pt) 2003-09-09
EP1313383A1 (en) 2003-05-28
EP1313383A4 (en) 2004-10-06
CN100386045C (zh) 2008-05-07
US6918154B2 (en) 2005-07-19
WO2002005679A1 (en) 200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9109A (ko) 수평에서 수직 운동으로의 전환을 갖는 치솔
US8166601B2 (en) Electric toothbrush head
TWI422341B (zh) 牙刷
CA2737847C (en) Toothbrush having diverse cleaning element arrangement
RU2422071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EP2016858B1 (en) Toothbrush head
CA2431516C (en) An electro-motion toothbrush
AU2008200508B2 (en) Toothbrush head
KR100326594B1 (ko) 회동식 칫솔
US20040128784A1 (en) Toothbrush with longitudinal to lateral motion conversion
US6568020B1 (en) Toothbrushes having brush bristles capable of oscillating perpendicularly with respect to a tooth surface
KR100551239B1 (ko) 수동식 회전 칫솔
KR200216717Y1 (ko) 회동식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