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017A - 연결 고정부재 및 이 연결 고정 부재가 부착된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결 고정부재 및 이 연결 고정 부재가 부착된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017A
KR20030029017A KR1020020059281A KR20020059281A KR20030029017A KR 20030029017 A KR20030029017 A KR 20030029017A KR 1020020059281 A KR1020020059281 A KR 1020020059281A KR 20020059281 A KR20020059281 A KR 20020059281A KR 20030029017 A KR20030029017 A KR 20030029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fixing member
members
fix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274B1 (ko
Inventor
이또히로시
시마무라구니히꼬
다노꾸라도루
오가와시로
사에끼다까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ublication of KR2003002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1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ast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29C33/1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against the mould wall
    • B29C33/1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against the mould wall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B29C44/1261Avoiding impregnation of a preformed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27Fastening elements
    • B29L2031/729Hook and loop-type faste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Magnetic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7Buckles, buttons, clasps, etc. including readily dissociable fastener having numerous, protruding, unitary filaments randomly interlocking with, and simultaneously moving towards, mating structure [e.g., hook-loop typ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2Buckles, buttons, clasps, etc. having magnetic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33Buckles, buttons, clasps, etc. having adhesiv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9Sheets or webs edge spliced or joined
    • Y10T428/192Sheets or webs coplanar
    • Y10T428/197Sheets or webs coplanar with noncoplanar reinfor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008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fastener for attaching to external surface
    • Y10T428/24017Hook or bar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 Y10T428/24537Parallel ribs and/or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결 고정부재는, 기판과 이 기판의 전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부재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몰드-인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인 고정부재는 그 후면에 배치된 가요성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연결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다수의 고정부재는 단일 작업으로 성형형의 오목부에 쉽게 끼워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연결 고정부재 및 이 연결 고정 부재가 부착된 수지 성형체의 제조방법 {CONNECTED FASTENING MEMBERS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RESIN MOLDED ARTICLE WITH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은 차량의 좌석 쿠션과 사무용의 의자 쿠션과 같은 수지 성형체의 표면에 매설되는 몰드-인 (mold-in)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쿠션에 매설된 고정부재는 천과 같은 실내장식 재료를 쿠션에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의 좌석이나 사무용 의자를 제조하는데 유용하다.
차량의 좌석이나 사무용 의자는 일반적으로 발포 폴리우레탄 등으로 제조된 쿠션의 표면을 좌석 커버 (실내장식 재료) 로 덮음으로써 제조된다. 종래 제조방법에서, 소위 호그링 방법 (Hogring method) 으로, 성형형의 오목부내에 유지되는 와이어를 쿠션으로 매설함으로써 몰드-인 와이어를 가진 쿠션이 제조되고, 좌석 커버는 몰드-인 와이어를 좌석 커버와 결합하는 다수의 금속 고정부재에 의해서 쿠션에 부착된다. 호그링 방법의 제조방법은 전기 도구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최근에, 예컨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 2001-260150 호에서 차량의 시트를 제조하는 새로운 성형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 상부면상에 다수의 결합부재 (갈고리부재) 를 각각 갖춘 고정부재, 즉 편평한 고정자 테이프를 성형형의 오목부내에 끼우는 단계; 발포 수지를 성형형으로 주입하는 단계; 및 각 고정부재의 일부분이 쿠션의 표면에 일체로 매설되어 결합부재가 외부면에 존재하지 않도록 수지를 늘리는 단계를 포함한다(소위 몰드-인 방법이라고 함). 최종적으로 쿠션은 고정부재의 결합부재와 결합할 수 있는 부재 (고리부재 (loop elements)) 를 후면상에 구비한 좌석 커버로 덮여진다.
상기 몰드-인 방법에서, 넓은 표면에 걸쳐서 수지 성형체와 실내장식 재료의 밀착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서 수지 성형체상에 다수의 고정부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이로 인해 양호한 외형을 가진 제품을 제조한다. 지금까지, 길고 좁은 테이프 형태의 다수의 고정부재는 성형형의 각 오목부에 수동으로 끼워졌었다.
따라서, 종래 몰드-인 방법에서, 작업자가 길고 좁은 고정부재를 하나씩 성형형의 오목부에 끼워야하기 때문에, 설치과정에 상당한 시간이 소비된다. 따라서, 작업 효율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고정부재를 단일 작업으로 성형형의 대응 오목부에 동시에 끼울 수 있는 연결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판, 다수의 결합부재를 가진 전면, 및 결합부재가 없는 후면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몰드-인 고정부재와; 상기 몰드-인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연결 고정부재를 제공하고, 상기 몰드-인 고정부재는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가요성 연결수단은 각 고정부재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몰드-인 고정부재는 그 길이방향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그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 어떠한 공간도 없이 서로 실질적으로 밀착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수지 성형체 또는 다공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1) 결합부재가 오목부의 바닥면에 대면하게 하여, 전술한 연결 고정부재의 각 고정부재를 성형형내 형성된 대응 오목부에 끼우는 단계, (2) 수지를 성형형으로 주입하는 단계, 및 (3)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부재가 부착된 성형체 제조과정을 제공한다.
전술한 과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는 연결 고정부재가 사용되는데, 상기 몰드-인 고정부재는 그 길이방향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그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 어떠한 공간도 없이 서로 실질적으로 밀착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성형형의 오목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사용된 고정부재의 실시형태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도 2 의 선 A-A' 를 따른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고정부재를 도 1 에 도시된 성형형으로 끼우는 실시형태의 후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연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성형형의 오목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8 은 도 7 에 도시된 연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성형형의 오목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형태의 전면을 도시한 평면도, 및
도 10 은 도 9 에 도시된 연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성형형의 오목부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내부 바닥부2 - 6, 36 - 40 : 오목부
7 : 기판8 : 전면
9, 9', 28, 29 : 결합부재10 : 후면
11 - 15, 21 - 25 : 고정부재16, 17, 26, 27 : 연결부재
30 - 35 : 밀봉부재41, 42 : 숄더
43 - 48 : 오목부의 길이방향 단부49 - 57 : 편평부
55 : 외측면부
도 1 은 성형형의 내부 바닥부에 형성된 다수의 오목부의 배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개의 오목부 (2 내지 6) 는 성형형의 내부 바닥부상에 H 형상으로 배열된다. 테이프형 고정부재는 정면 (결합면) 이 내려가서 각각의 오목부로 끼워진다. 도 1 에 도시된 배열은 다수의 몰드-인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고정부재를 수용하고, 이 다수의 몰드-인 고정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단부가 소정의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후면에서 가요성 연결수단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도 1 에 도시된 배열은 오목부 (2, 4) 를 결합하고 또한 오목부 (5, 6) 를 결합하여 2 개의 연속된 긴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배열에서 연결 고정부재는 2 개의 평행한 긴 고정부재와 오목부 (3) 에 대응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이 오목부 (3) 는 단락 형상으로 긴 고정부재의 중심부 사이에 근접하게 삽입된다. 즉, 상기 오목부 배열에서 연결 고정부재에 있어서, 2 개의 고정부재는 1 개의 연결부에서 연결된다.
도 2 에서는 연결될 고정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에서는 도 2 의 선 A-A' 를 따라서 고정부재의 단면이 도시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된 고정부재는 기판 (7) 과 이 기판의 전면 (8) 에 제공된 다수의 결합부재 (9, 9') 를 포함한다. 각 결합부재는 버섯 형상, 화살머리 형상, 또는 갈고리 형상의 돌출 헤드부를 구비한다. 고정부재 표면상의 결합부재는 이후에 언급된 실내장식 재료의 후면상에 형성된 고리부재와 결합한다.
기판의 후면 (10) 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할 수 있다. 다른방법으로, 수지 성형체용 정착부재 (anchoring elements) 로 사용되는 연속 리지 (비도시) 는 후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후면상의 정착부재와 고정부재는 수지 성형체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더욱이, 이후에 기재한 바와 같이, 연속 홈 (도 2 와 도 3 에서 B 로 도시) 은 측면부가 기판 본체에 대하여 가요적으로 굽어지도록 측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속 홈을 제공함으로써, 측면부는 성형형의 오목부의 숄더와 밀착 접촉할 수 있다. 도 3 에서는 기판의 전면과 후면상에 연속 홈이 형성되었지만, 이 연속 홈은 전면과 후면 중 하나상에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성형형의 대응 오목부의 바닥부에 매설된 자석의 자기 인력으로 연결 고정부재를 성형형으로 쉽게 끼우기 위해서, 상기 전면과 후면상에 페라이트-함유 수지층과 기판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변형은 액체 수지가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고정부재는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폴리아미드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중, 폴리올레핀 수지, 통상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은 성형성 (moldability) 과 가요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고정부재의 자세한 구성은 용도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시트에 사용될 때, 고정부재는 일반적으로 5 내지 50 m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mm 의 폭과 10 내지 100 c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70 cm 의 길이를 가진다. 기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7 mm 이다.
각 결합부재의 높이는 특히 비한정적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 mm 이다. 결합부재는 기판의 폭에 따라서 단일 열 또는 다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결합부재의 밀도는 30 내지 100 /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 리지 형태의 정착부재는 기판의 후면상에 단일 열 또는 다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연속 리지의 열과 전면에 제공된 테이프를 형성하기 위해서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를 적절한 슬릿을 가진 노즐을 통하여 용융-압출하는 단계; 작은 간격으로 각 연속 리지를 따라서 다수의 절취부를 형성하는 단계; 그 후 전면상에 다수의 결합부재를 형성하기 위해서 길이방향으로 테이프를 인발하는 단계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기판의 후면상의 정착부재가 예정될 때, 고정부재는, 각 정착부재에 대응하는 슬릿을 갖춘 노즐을 사용하여 정착부재용 연속 리지를 형성하는 과정을 제외하고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는 후면에서 (결합부재를 가진 표면의 반대 측에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고정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H 형상으로 배열된 5 개의 고정부재 (11-15) 는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단부가 서로 모이는 부분에서 연결부재 (16, 17) 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2 개의 고정부재에서 하나는 측면 가장자리에서 다른 하나는 길이방향 단부에서 연결되고, 또는 2 개의 인접한 길이방향 단부에서 연결된다. 도 4 에서, 모든 5 개의 고정부재는 길이방향의 단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2 이상의 고정부재는 단일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인접한 길이방향 단부에서 연결되는 경우에 있어서, 3 또는 4 개의 고정부재는 단일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측면 가장자리와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서 연결되는 경우에 있어서, 2 또는 3 개의 고정부재는 단일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후에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는 그 사이에 어떠한 틈도 남기지 않고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수의 고정부재는 길이방향의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고정부재가 겹쳐져 배치될 때, 예컨대 어떠한 공간도 만들지 않고 차곡차곡 배치될 때, 레벨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성형 형성시 결합부재와 기판 표면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액체 수지가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주의를 요한다. 어떠한 틈도 남기지 않고 서로 인접한 고정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레벨 차이는 피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 에서는 본 발명의 연결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를 수용하는데 적절한 성형형의 오목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였다.
도 5 는 결합부재와 전면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연결 고정부재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5 개의 고정부재 (21-25) 는 2 개의 연결수단 (26, 27) 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수직으로 정렬된 2 개의 고정부재 (21, 23) 는, 그 사이에 어떠한 틈도 남기지 않고 기판 표면사이의 레벨 차이도 만들지 않으면서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22) 로 연결된다. 각 고정부재의 전면상에는 다수의 결합부재 (갈고리형 부재) (28, 29) 가 제공된다.
또한, 도 5, 도 7, 및 도 9 에 도시된 고정부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본체에 대하여 가요적인 측면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종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신장한 홈 (비도시) 을 갖춘 맞은편 각 측면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측면부와 기판 사이의 경계부에서의 홈은 기판의 두께를 매우 감소시켜 측면부가 기판 본체에 대하여 쉽게 굽어지게 한다. 그 결과, 액체 수지가 틈을 통하여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측면부는 성형형의 오목부의 숄더와 밀착 접촉한다. 홈은 기판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또는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홈의 깊이 (양 표면상에 형성될 때 전후 홈의 전체 깊이) 는 기판 두께의 약 40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구조물을 유지하기 위해서, 연결수단 (26) 은 고정부재 (21, 22, 23) 의 후면에 끼워진다. 수직으로 정렬된 다른 2 개의 고정부재 (24, 25) 와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22) 는 연결수단 (27) 에 의해 연결된다.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22) 의 반대편 길이방향 단부에서 결합부재의 표면상에, 액체 성형 수지가 길이방향 단부를 통하여 밀봉부재에 부분적으로 흡수되도록 섬유재료 또는 발포 수지로 제조된 다공 밀봉부재 (30,31) 가 제공된다. 또한,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21, 23, 24, 25) 의 길이방향 자유단부에는 다공 밀봉부재 (32, 33, 34, 35) 가 제공된다. 길이방향 단부에서 밀봉부재로 흡수되는 액체 수지는 밀봉부재내에서 발포 및 경화되어서, 액체 수지가 밀봉부재이상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밀봉부재는 성형형의 오목부내에서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에 도시된 연결 고정부재는 도 6 에 도시된 성형형의 오목부에 끼워진다. 도 6 에 도시된 오목부는 대응 고정부재 (21-25) 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5 개의 오목부 (36-40) 를 포함한다. 각 오목부는 고정부재와 오목부를 한정하는 2 개의 숄더 (41, 42) 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가진다. 연결 고정부재가 오목부에 끼워질 때, 각 고정부재는 측면부가 숄더와 밀착 접촉하도록 숄더상의 양 측면부와 대응 오목부에 끼워져서, 액체 성형 수지가 측면부와 숄더사이의 틈을 통하여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결합부재가 수지에 잠기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재의 측면부와 오목부의 숄더 사이의 밀착 접촉을 위해서, 기판 본체에 대하여 가요적인 측면부를 형성하도록 측면부의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전술한 홈의 형성을 위한 대안으로서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오목부의 길이방향 단부 (43-48) 는 개방 단부이다. 도 5 에 도시된 연결 고정부재가 오목부에 끼워질 때, 각 고정부재의 맞은편 측면부는 대응 오목부의 숄더와 밀착 접촉하게 된다.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22) 의 반대편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된 밀봉부재 (30, 31) 는 액체 성형 수지가 길이방향 단부 (44, 47) 를 통하여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부에서 고정부재의 측면부와 오목부의 숄더 사이의 완전한 밀착 접촉을 위해서, 기판면 사이에서 레벨 차이가 나지 않도록 고정부재를 매끄럽게 연결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21, 23, 24, 25) 의 길이방향 단부는 밀봉부재 (32-35) 로 밀봉되어 액체 수지가 개방 단부 (43, 45, 46, 48) 를 통하여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성형형의 오목부의 바닥부에 매설된 자석과 고정부재상에 형성된 페라이트-함유 층 사이의 자기 인력에 의해서, 고정부재와 오목부의 끼움 및 그 사이의 밀착 접촉이 촉진되고 보장된다. 물론, 고정부재에는 페라이트-함유 층과 홈 모두 제공될 수 있다. 페라이트-함유 층은 결합부재의 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은 갈고리형 결합부재를 갖춘 표면에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고정부재는, 이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의 구조물이 도 5 와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도 5 의 연결 고정부재와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즉, 결합부재를 기판으로부터 떨어져 부분 절취함으로써 각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에 편평부가 형성된다.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편평부 (49, 50) 가 제공되고,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편평부 (51-54) 가 제공된다. 구조물의 다른 부분은 도 5 에 도시된 부분과 유사하다.
도 8 에서는 도 7 의 연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성형형의 오목부를 도시하였고, 이 성형형의 오목부는 연속적으로 일체로 형성된 5 개의 오목부를 포함한다. 오목부의 숄더 (41, 42) 는 개방단부를 갖지 않고 전체 주변부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신장한다. 도 7 의 연결 고정부재가 도 8 의 오목부에 끼워질 때, 고정부재의 맞은편 측면부는 오목부의 숄더와 접촉하게 되고, 또한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되는 6 개의 편평부는 오목부의 6 개의 대응 단부에서 숄더와 밀착 접촉하여, 액체 수지가 오목부의 주변부와 고정부재 사이의 틈을 통하여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구조물에서, 연결 고정부재와 오목부의 숄더 사이의밀착 접촉은 오목부에 제공된 자석과 고정부재상에 형성된 페라이트-함유 층 사이의 자기 인력에 의해서 강화된다.
도 9 는 갈고리형 결합부재를 갖춘 표면에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연결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횡방향으로 고정된 고정부재 (22) 의 반대편 길이방향 단부에는 결합부재가 없는 편평부 (56, 57) 가 제공된다. 이후에, 도 9 에서 도시된 고정부재의 연결부에 대해서 설명된다.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21) 는, 고정부재 (21) 의 외측면 (55) 과 고정부재 (22) 의 편평부 (56) 의 외좌측면이 연속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22) 와 연결된다. 상기 연속 일직선 정렬은, 틈을 남기지 않고 연결 고정부재를 성형형의 오목부에 끼우는데 중요하다.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21) 와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22) 는 틈을 남기지 않고 동일면상에 형성되도록 연결수단 (26) 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우측면에서의 연결부도 유사하게 형성된다.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부재의 각 길이방향 단부에는 도 5 에서 도시된 밀봉부재와 유사한 밀봉부재 (32-35) 가 제공된다. 편평부의 외측면과 가요성 측면 단부 (홈을 형성하거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가요적으로 형성되는 측면 단부) 의 외측면이 거의 일직선으로 정렬되도록 연결부에서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가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것이 본 발명에서 충분하다. 따라서,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는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부재의 외측면이상으로 횡방향으로 조금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로 예컨대 이후에 설명한 방식으로 액체 수지가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의 반대편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오목부의 외부 숄더에 인접한 부분의 결합부재가 분리된다.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성형형상에 배치된 자석의 자기 인력으로 인해 틈이 생기지 않도록 고정부재의 양단부와 오목부의 양 외부 숄더가 밀착 접촉하기 위해서, 오목부의 외부 숄더이상으로 돌출한 돌출부상에 자석층이 제공된다.
도 10 은 도 9 에서 도시된 연결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성형형의 오목부의 평면도이다. 오목부는 연속적인 H 형 홈과 숄더 (41, 42) 를 포함한다. 2 개의 수직한 오목부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4 개의 개방 단부 (43, 45, 46, 48) 가 제공된다. 도 9 의 연결 고정부재가 도 10 에 도시된 오목부에 끼워질 때, 틈이 생기지 않도록 고정부재의 가요성 측면부의 중간부는 오목부의 숄더와 밀착 접촉하게 된다. 또한,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부재와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사이의 연결부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부재 (55) 의 외측면부와 횡방향으로 배열된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에서의 편평부 (56) 가 동일면에서 연결되어 오목부의 숄더와 외측면부 사이의 밀착 접촉을 보장해주기 때문에, 고정부재와 오목부의 숄더 사이의 틈 형성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연결부도 동일 구조물을 구비한다. 오목부의 개방 단부 (43, 45, 46, 48) 는 수직으로 배열된 고정부재의 4 개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밀봉부재 (32-35) 에 의해 밀봉된다. 서로 연결될 고정부재를 유지하기 위해서 연결수단 (26, 27) 이 제공된다. 도 9 에서 도시된 고정부재상에는 페라이트-함유 층이 제공되어서 도 10 의 오목부내에 배치된 자석의 자기 인력에 의해 고정부재와 오목부간의 밀착 접촉을 보장해준다. 자기 인력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측면부와 기판 본체 사이에 전술한 홈을 제공함으로써 가요적인 측면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의 길이방향 단부가 개방 단부이기 때문에, 도 9 에 도시된 연결 고정부재의 각 고정부재는 도 10 에 도시된 대응 오목부내에 쉽게 끼워진다.
연결 고정부재 및 성형형의 오목부용 상기 3 종류의 구조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재는 결합부재가 없는 후면에 부착된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그 결과, 동시에 다수의 연결 고정부재는 단일 작업으로 도 1 에 도시된 성형형의 다수의 대응 오목부에 끼워진다. 연결 고정부재가 서로 비연속적으로 별개이기 때문에, 각 고정부재는 오목부와 고정부재간의 양호한 밀봉을 유지하면서 성형형의 별개의 오목부에 끼워진다. 상기 구조물에서, 성형형으로 주입된 성형 수지가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즉 성형 수지가 결합부재를 갖춘 표면으로 도달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결합부재가 잠기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연결수단은 가요성 수지로 각각 제조된 성형체 또는 다공체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연결될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단부를 연결 또는 덮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진다. 그 형상은 직사각형, 원형, 또는 타원일 수 있다. 또한, 연결될 고정부재의 외형에 적합한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 연결수단의 특정한 실시예로는 플라스틱 시트, 천, 부직물, 및 발포 수지이다. 연결 고정부재는 고정부재와 오목부의 상대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성형형의 오목부에 끼워진다. 따라서, 연결수단은 가요적일 필요가 있다. 가요적이지 않다면, 미세한 위치결정이 어렵게 된다. 연결부재는 오목부와 고정부재의 상대 위치를 가시적으로 관찰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제조된 성형체일 수 있다. 연결수단과 고정부재를 동일한 종류의 재료로 제조함으로써, 이 연결수단과 고정부재 사이의 용융 부착이 강화될 수 있다.
연결수단이 매우 가요적이면, 연결 고정부재는 쉽게 이동하여 고정부재의 위치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연결수단은 적절한 강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수단은 접착제, 감압 접착제, 또는 용융 부착제에 의해 고정부재에 부착된다. 감압 접착제로 피복된 천 테이프는 연결수단용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수지 시트를 사용할 때, 부착제는 초음파 용융 부착제 또는 유도 용융 부착제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의 후면은 연결수단에 상호 연결되는 길이방향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착부재가 기판의 후면에 형성된다면, 연결될 기판 단부는 이 정착부재를 제거하거나 연결 작업시 열을 가함으로써 편평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가 부착된 수지 성형체는, 연결 고정부재를 성형형의 오목부에 끼우는 단계; 폴리우레탄과 같은 액체 성형 수지를 성형형으로 주입하는 단계; 결합부재가 표면상에 거의 놓여있지 않으면서 최종 성형체의 표면에서 고정부재로 매설된 수지를 발포 또는 경화시키는 단계로 제조된다. 틈을 통하여 오목부로 흡수된 액체 수지가 기판상의 결합부재를 잠기게 하면 성형체를 덮는 실내장식 재료와 결합부재의 결합 기능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고정부재와 오목부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이 고정부재와 오목부를 밀착 접촉시킴으로써 액체 수지가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공지된 구조물에 의해서, 예컨대 오목부의 종방향 숄더와 밀착 접촉하는 측면을 따라서 고정부재의 전면상에 형성된 연속 밀봉 리지에 의해서; 또는 고정부재가 오목부에 끼워질 때 오목부의 내부면과 밀착 접촉하게 되는 기판의 양 측면부 중 후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연속 밀봉 돌출부에 의해서 상기 수지가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기판 본체에 대하여 가요적인 측면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측면을 따라서 고정부재의 기판상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또한 고정부재의 전후면상에 페라이트-함유 층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수지가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이 더 방지될 수 있다. 가요성 측면부는 페라이트-함유 층과, 오목부의 바닥부면상에 배치된 자석간의 자기 인력에 의해서 오목부의 숄더와 밀착 접촉하게 된다. 상기 수지가 길이방향의 단부로부터 오목부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의 약간 내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오목부에 위어가 제공될 수 있고, 또는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에 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수단은 그 내부에 성형수지가 매설되기 때문에 성형 수지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는 구조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수단이 플라스틱 성형체일 때, 상기 수지에 접촉하는 정착부재로서 적절한 돌출부는 고정부재가 부착되는 표면 반대편 후면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잡을 수 있는 그립으로서 사용될 수 있고, 그 결과 연결 고정부재를 성형형의 오목부에 끼우기 위한 가공성을 개선시킨다. 연결수단이 천일 때, 부직물 또는 수지 발포체는 액체 성형 수지가 구조물로 부분적으로 스며들게 하는 다공성 구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스며든 수지는 연결수단을 수지 성형체에 단단히 부착하도록 경화된다.
고정부재의 표면에 제공되는 수지 성형체는 사용시 실내장식 재료로 덮여진다. 실내장식 재료는 천, 부직물, 또는 인조 가죽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내장식 재료의 후면, 즉 고정부재의 결합부재와 직면하는 표면상에 고리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고리부재는, 특히 고정부재의 돌출된 헤드부와 결합되는 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다중-필라멘트를 편조 또는 제직함으로써 획득되는 섬유고리, 또는 그 표면상에 권취 및 기모 (raised) 섬유를 가진 섬유 재료를 포함한다.
H 형으로 배열된 연결 고정부재가 전술되었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결 고정부재는 V 형, L 형, T 형, Y 형, K 형, E 형, N 형, M 형, X 형, + 형, ∏형, 田 형, 사각형, 士 형 및 변형된 다른 형상과 같은 다른 적절한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후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이후의 실시예는 설명적이고 본 발명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11 mm 의 폭과 0.5 mm 의 두께의 기판을 포함하는 고정부재와, 기판의 종방향을 따라서 신장한 결합부재의 3 개의 열이 사용된다. 결합부재는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융기되고, 각 결합부재는 기판의 종방향으로 2.5 mm 의 높이와 0.2 mm 의 폭을 가지며, 이 결합부재의 밀도는 60 부재/cm2이다. 상기 결합부재는 기판의 폭방향으로 뻗은 버섯 형상의 끝단을 가진다. 3 mm 의 폭과 0.5 mm 두께의 2 개의 경계부를 한정하기 위해서 기판의 측면을 따라서 2 개의 홈이 제공된다. 페라이트-함유 층은 결합부재의 하부 근처의 기판면에만 형성된다. 그런데, 경계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는 폴리프로필렌-기판의 수지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액체 발포 수지 조성물이 성형형의 오목부 가장자리를 통하여 결합부재의 표면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액체 조성물을 흡수하는 밀봉부재가 고정부재의 길이방향 단부에 제공된다. 도 1 에서 도시된 오목부에 대응하는 5 개의 고정부재가 사용되고, 하나는 40 cm 의 길이를 가지며, 다른 4 개는 50 cm 의 길이를 가진다. 고정부재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이 위로 향하도록 배열된다. 그 후, 30 mm 의 길이, 20 mm 의 폭, 및 0.5 mm 의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시트 형태의 연결수단은 도 4 에 도시된 고정부재상에 놓여서, 초음파 용융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연결 고정부재를 형성한다. 고정부재에 용융된 표면의 반대편 표면상에는 연결 고정수단을 오목부에 끼우는 작업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그립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그립은 성형후에 정착부재로서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형성된 연결 고정부재는 도 1 에 도시된 H 형 오목부를 갖춘 좌석 쿠션을 형성하기 위해서 성형형으로 끼워지고, 상기 표면에는 H 형 오목부의 바닥면으로 향하는 결합부재가 제공된다. 그 후, 폴리우레탄 수지는 성형형으로 부어져서 발포된다. 그런데,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자석이 매설된다. 수지를 완전히 경화시킨 후, 성형된 쿠션은 성형형으로부터 분리된다. 획득된 성형 쿠션은 그 표면에 일체로 단단히 매설된 연결 고정부재를 구비하게 된다.연결 고정수단을 오목부에 끼우는데 필요한 시간은 평균 3.5 sec 이다. 작업 효율은 매우 높고, 실질적으로 결합부재의 표면으로 어떠한 수지도 흡수되지 않는다.
실시예 2
성형 쿠션을 획득하기 위해서, 연결수단으로서 접착제로 피복된 다공 천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과정이 반복된다. 연결 고정수단을 오목부에 끼우는데 필요한 시간은 평균 5 sec 이다. 실질적으로 결합부재의 표면으로 어떠한 수지도 흡수되지 않는다. 충분한 양의 폴리우레탄 수지가 천 테이프의 섬유 또는 직물로 흡수되어 폴리우레탄 수지와 천 테이프를 단단히 부착시킨다.
비교예 1
성형 쿠션을 획득하기 위해서, 연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5 개의 각 고정부재를 오목부로 수동으로 분리되게 끼우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과 동일한 과정이 반복된다. 모든 고정부재를 끼우는데 필요한 시간은 평균 10 sec 이고, 작업 효율을 저하시킨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재가 연결부재로 서로 연결된 연결 고정부재는 성형형의 오목부로 끼워지며, 그 결과 몰드-인 고정부재를 끼우는 번거로운 작업이 감소되어 작업 효율이 상당히 개선된다.

Claims (5)

  1. 기판, 다수의 결합부재를 가진 전면, 및 결합부재가 없는 후면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몰드-인 고정부재, 및
    상기 몰드-인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가요성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인 고정부재는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가요성 연결수단은 각 고정부재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덮도록 배치되는 연결 고정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인 고정부재는, 그 길이방향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거나, 또는 그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 어떠한 공간도 없이 서로 실질적으로 밀착 접촉하도록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고정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다공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고정부재.
  4. 고정부재가 부착된 성형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결 고정부재의 각 고정부재를, 그 고정부재의 결합부재가 성형형내에 형성된 오목부의 바닥면에 대면하게 하여 각 고정부재의 측면부가 오목부의 숄더와 밀착 접촉하도록 대응 오목부로 끼우는 단계,
    상기 성형형에 수지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인 고정부재는, 그 길이방향 단부가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그 길이방향 단부 사이에 어떠한 공간도 없이 서로 실질적으로 밀착 접촉하도록 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KR10-2002-0059281A 2001-10-04 2002-09-30 연결 고정부재 및 이 연결 고정 부재가 부착된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KR100522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8141 2001-10-04
JP2001308141 2001-10-04
JPJP-P-2001-00320207 2001-10-18
JP2001320207A JP2003174907A (ja) 2001-10-04 2001-10-18 係止部材の連結体および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017A true KR20030029017A (ko) 2003-04-11
KR100522274B1 KR100522274B1 (ko) 2005-10-18

Family

ID=2662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281A KR100522274B1 (ko) 2001-10-04 2002-09-30 연결 고정부재 및 이 연결 고정 부재가 부착된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28004B2 (ko)
EP (1) EP1300229B1 (ko)
JP (1) JP2003174907A (ko)
KR (1) KR100522274B1 (ko)
CN (1) CN1206092C (ko)
CA (1) CA2405271A1 (ko)
DE (1) DE60223327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629B1 (ko) * 2009-01-14 2012-05-29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몰드 조립체 시스템 및 몰드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617A (ja) * 2000-11-28 2002-06-11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ファスナー位置決め部材及び位置決め機能付きファスナー
CA2555671A1 (en) * 2004-02-10 2005-08-25 Avery Dennison Corporation Fastening member for a molded article
US7487575B2 (en) 2005-07-13 2009-02-10 Lyle J Smith System for attaching trim covers to a flexible substrate
BRPI0715264A2 (pt) * 2006-09-27 2013-06-04 Toscana Gomma S P A sistema de ancoragem para fixar um material em forma de folha em um corpo moldado e mÉtodo de manufatura deste
US8091184B2 (en) 2007-04-19 2012-01-10 Hope Global, Division Of Nfa Corp. Festooned trim clip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festooned clips to a substrate
US8099837B2 (en) 2007-09-07 2012-01-24 Hope Global, Division Of Nfa Corporation Low-profile upholstery clip for attaching a bead to a foam substrate
JP2011143711A (ja) * 2009-12-16 2011-07-28 Hitachi Cable Ltd インサート成形方法及びインサート成形品
USD697726S1 (en) 2012-09-20 2014-01-21 Steelcase Inc. Chair
JP6342259B2 (ja) * 2014-08-06 2018-06-13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パッド
US9834431B2 (en) 2015-08-28 2017-12-05 Hope Global, Division Of Nfa Corp. Listing bead for upholstery clips
DE102018109253A1 (de) * 2018-04-18 2019-10-24 Hans-Joachim Kleeberg Befestigungs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Matratz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0857A (en) * 1982-06-25 1984-09-11 R. A. Casalou, Inc. Method of making foam plastic article
US4842916A (en) * 1987-01-19 1989-06-27 Kuraray Company Ltd. Separable fastener component & moldings attached with such fastener component
JPS649708A (en) * 1987-07-01 1989-01-13 Inoue Mtp Kk Molding method for cushion body
KR940006314B1 (ko) * 1987-12-15 1994-07-16 가부시끼가이샤 구라레 죔쇠 부재
JP2611077B2 (ja) * 1992-01-17 1997-05-21 株式会社クラレ モールド成形体の製造法およびモールド成形体
JP3404100B2 (ja) * 1993-11-29 2003-05-06 株式会社クラレ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
US5900303A (en) * 1997-09-30 1999-05-04 Aplix, Inc. Fastener assembly with mechanical end seals
US6460230B2 (en) * 2000-01-12 2002-10-08 Kuraray Co., Ltd. Mold-in fastening member and production of molded resin article having mold-in fastening memb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629B1 (ko) * 2009-01-14 2012-05-29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몰드 조립체 시스템 및 몰드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2274B1 (ko) 2005-10-18
CA2405271A1 (en) 2003-04-04
JP2003174907A (ja) 2003-06-24
DE60223327D1 (de) 2007-12-20
EP1300229A1 (en) 2003-04-09
EP1300229B1 (en) 2007-11-07
US20030072912A1 (en) 2003-04-17
CN1206092C (zh) 2005-06-15
DE60223327T2 (de) 2008-02-14
US6828004B2 (en) 2004-12-07
CN1410243A (zh) 2003-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9086B2 (en) Hooking member for in-mold molding
EP1116450B1 (en) Mold-in fastening member and production of molded resin article having mold-in fastening member
US7488527B2 (en) Molded touch fasteners
WO2010052779A1 (ja) 成形雄面ファスナー
KR100522274B1 (ko) 연결 고정부재 및 이 연결 고정 부재가 부착된 수지성형체의 제조방법
JP4769245B2 (ja) 面ファスナ部品
JP3886971B2 (ja) 成形面ファスナーと同面ファスナーに成形一体化されたクッション体
WO2014106896A1 (ja) 成形面ファスナー及びクッション体の製造方法
KR20140010934A (ko) 터치 패스닝 제품 면 구조
GB2468869A (en) Fastener strip for use with cushion body
JP4156449B2 (ja) シートの係止連結部材、該部材を有するシート、該部材を用いた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46426B1 (ko) 몰드-인 성형용 걸림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수지성형체의제조방법
JP6492364B2 (ja) 自動車用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55384B2 (ja) モールドイン成形体、成形方法、成形用係止部材
JP3128444B2 (ja)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7292817B2 (ja) 面ファスナー及び面ファスナーの製造方法
JP4108319B2 (ja) モールドイン用の係止部材および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4368473B2 (ja)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
JPH02128812A (ja) 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2001138335A (ja) モールドイン成形用金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