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748A - 모듈형 지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형 지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748A
KR20030028748A KR1020027016493A KR20027016493A KR20030028748A KR 20030028748 A KR20030028748 A KR 20030028748A KR 1020027016493 A KR1020027016493 A KR 1020027016493A KR 20027016493 A KR20027016493 A KR 20027016493A KR 20030028748 A KR20030028748 A KR 20030028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neumatic
support
support system
damper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6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쯔 요세프 볼프
오토 베버
쿠르트 쿰멜
볼크마르 케크
프라이무트 갈리
Original Assignee
보코 프란쯔 요세프 볼프 운트 컴파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1117443 external-priority patent/DE10117443B4/de
Priority claimed from DE2001117494 external-priority patent/DE10117494B4/de
Application filed by 보코 프란쯔 요세프 볼프 운트 컴파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코 프란쯔 요세프 볼프 운트 컴파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2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74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작용측 덮개부와 지지측 바닥부가 있는 모듈형 지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덮개부와 바닥부 사이에는 복수의 기능성 유니트 가운데 적어도 2개의 기능성 유니트가 고무-금속 지지요소, 공압 지지요소, 유압 지지요소, 고체 지지요소, 스프링, 스프링요소, 환형 코어스프링, 원추형 스프링, 공압 스프링, 댐퍼, 또는 공압댐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를 지지하고서 특히 자동차의 샤시 또는 본체 구조의 형태를 취하는 지지체에 대하여, 상기 덮개부에 의해 지지되고서 특히 차량의 유니트 또는 주행기구의 형태를 취하는 부하작용체의 댐핑 또는 지지를 위해 고정되거나 조절가능한 주파수, 댐핑, 또는 진폭에 따라 평행한 접속상태로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용도와, 이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주파수, 댐핑, 또는 진폭을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형 지지시스템{MODULAR BEARING SYSTEM}
종래에, 다양한 댐핑 또는 지지특성을 제공하는 받침이 매우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특히, 자동차공학 분야에서는 신규한 받침에 대한 개념이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는데, 여기서 유니트의 진동 및 본체의 소음이 객실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었다. 따라서, 공압 댐핑장치를 갖춘 고무-금속 지지요소는 댐핑특성을 고려한 것외에도 재활용성이 우수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예컨대, 독일 특허공개 제4035375A1호에는 자동차용 유니트받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댐핑받침이 공지되어 있는 바, 이는 2개의 강성 지지접속부 사이에 평행한 접속상태로 탄성부하를 받는 지지블록과 공압스프링을 포함하며, 이 공압스프링의 공압챔버가 벨로우즈(bellows)로 형성되고 쓰로틀에 의해 2개의 분할챔버로 분할된다. 이 쓰로틀은 막대를 통해 지지접속부 중 하나와 결합하게 되지만, 공압챔버는 나머지 하나의 지지접속부와 접합된 강성 하우징에 수납된다. 이 공압챔버를 형성하는 벨로우즈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밸브를 구비하며, 그 결과 자동적인 부하작용 또는 공압스프링의 공기펌핑이 지지접속부들 사이에 상대운동이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독일 특허공개 제3139915A1호에는 상부 및 하부의 장착블록, 이들 장착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용적을 변경시키는 공압챔버를 형성하는 원통형 탄성체와, 샤프트가 원통체 내부에 압밀상태로 가압되고 상부의 장착블록과 견고하게 조여있는 피스톤모양의 탄성체를 구비한 공기완충식 고무받침이 공지되어 있다. 피스톤모양의 탄성체는 공압챔버를 상부 및 하부의 공압챔버로 분할하기 위해 공압챔버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의 공압챔버는 개구부를 통해 공기를 유출하거나, 공압챔버를 향해 공기를 유입한다. 또한, 두개의 챔버 중 하나 또는 양자와 결합되고 유효한 용적변경의 크기를 정해진 크기만큼 감소시키는 가압막이 구비되어 있다.
유럽 특허공개 제1063446A1호에는 공압댐퍼가 특히 자동차용 유니트받침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공압댐퍼는 서로 평행하게 향하고 유연한 막에 의해 상대적으로 서로 간격을 변경하면서 작동하도록 유지되어 있고 댐퍼챔버가 중간에 폐쇄되어 있는 2개의 댐퍼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막이 바람직하게는 구불한 막으로 형성되고, 쓰로틀 채널이 하나 또는 2개의 댐퍼판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큰 비용이 들지 않고서 제어 및 조정이 가능한 댐퍼성능을 작은 용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독일 특허공고 제3836191C1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환경친화적이지 못한 유압댐퍼도 종래부터 전적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받침들의 경우에는, 이용목적이 매우 제한되고 정확하게 세분되어 있다는 것이 단점으로서, 이것은 예컨대 자동차 제조업자에게는 다양한 받침으로 인해 많은 재고의 유지를 강요하게 되며, 이는 다시 높은 비용부담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모듈형 지지시스템과, 이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용도 및, 이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주파수와 댐핑 및 진폭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지지시스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지지시스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지지시스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4지지시스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지지시스템의 단면도,
도 6은 발생한 진폭에 대한 부하 진폭의 진폭 거동을 주파수에 대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따라서,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면서도 기존의 공간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원하는 특성에 따라 모듈개념으로 조립될 수 있는 모듈형 지지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로 인해, 특히 자동차 제조업자는 재고의 유지를 적게 하면서 다수의 다양한 받침 또는 댐핑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단점을 극복함과 더불어, 특히 상기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댐핑 또는 지지특성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부하작용측 덮개부와 지지측 바닥부를 구비한 모듈형 지지시스템에 의해 달성되며, 여기서 덮개부에 의해 지지되고서 특히 자동차의 유니트 또는 주행기구의 형태를 취하는 부하작용체의 댐핑 또는 지지를, 바닥부를 지지하고서 특히 자동차의 샤시 또는 프레임구조의 형태를 취하는 지지체에 대해 수행하기 위해, 덮개부와 바닥부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기능성 유니트가 고무-금속 지지요소, 공압 지지요소, 유압 지지요소, 고체 지지요소, 스프링, 스프링요소, 환형 코어스프링, 원추형 스프링, 공압 스프링, 댐퍼, 또는 공압댐퍼를 하나 이상 구비한 다수의 기능성 유니트 중에서 선택되며, 고정되거나 조정가능한 주파수와 댐핑 및 진폭으로 평행한 접속상태로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덮개부 또는 바닥부는 부하작용체 또는 지지체에 의해 적어도 영역별로 둘러싸이며, 이때 바람직하게 바닥부는 지지체에 의해 적어도 영역별로 둘러싸인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은 부하작용체 또는 지지체가 특히 2개의 반쪽 컵의 형태를 취하는 중공(中空)의 윤곽부를 구비하며, 이때 바람직하게 상부의 반쪽 컵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유니트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하부의 반쪽 컵은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유니트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반쪽 컵은 모두 중심볼트가 기능성 유니트의 착탈식 고정을 위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는 중심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부의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바닥부의 하나 이상의 부품이, 선택된 기능성 유니트의 갯수 또는 형태에 적합하게 고정되거나 조정가능한 주파수와 댐핑 및 진폭으로 교환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는 덮개부와 바닥부 사이에, 또는 덮개부와 바닥부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덮개부와 바닥부 사이에 있는 2개 이상의 기능성 유니트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조 기능성 유니트에 특징을 두고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댐핑 또는 지지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에 특징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유니트, 보조 기능성 유니트, 센서, 부하작용체, 또는 지지체와 연동상태로 되는 조절 또는 제어유니트에 특징을 둘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제조되고 내부에 중공의 공간 또는 채널을 구비하면서 제 1기능성 유니트로서 특히 부하작용측에 배치되는 환형 코어스프링, 원추형 스프링, 스프링요소 중 적어도 하나와, 제 2기능성 유니트로서 특히 지지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동역학적인 공압댐퍼에 특징을 두고 있다.
이 경우에, 공압댐퍼는 환형 코어스프링, 원추형 스프링, 스프링요소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덮개부 및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직접 또는 매개하여 부하작용측으로 경계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댐퍼챔버, 특히 동역학적인 공압챔버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공압댐퍼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동작효과적인 스프링 구성요소도 환형 코어스프링의 지지특성 곡선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공압댐퍼는 덮개부의 하나 이상의 부품과 축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견고하게 결합되고 양측으로 개방된 하나 이상의 쓰로틀구멍이 구비되어 있는 막(膜)판과, 이 막판과 견고하게 결합된 막, 특히 구불한 막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막판에 의해 자체적으로 경계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댐퍼챔버를 구비하며, 바닥부의 막판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대향판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또한, 공압댐퍼는 막판과 관련하여 부하작용측에 배치된 댐퍼챔버를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의해 바닥부는 막을 지지체에 조이기 위해 고정되고 막판의 방해없는 관입(貫入)을 위해 통과가능하게 치수조정된 오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압댐퍼가 2개의 댐퍼챔버를 구비하며, 부하작용측 댐퍼챔버는 막판 및 이와 결합된 막에 의해 지지측 댐퍼챔버로부터 경계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 실시형태는 바닥부가 바람직하게 지지체와 해제 및 결합가능하게, 특히 단지 모양으로 형성된 폐쇄뚜껑을 포함하고, 지지측 댐퍼챔버는 폐쇄뚜껑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모든 댐퍼챔버가 막판과 결합된 막의 원주 방향 조임에 의해 지지체와 폐쇄뚜껑 사이에서 기밀되는 것에 특징을 두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막판은 특히 나사결합에 의해 덮개 및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쓰로틀구멍이 있는 노즐디스크가 댐퍼챔버에 의해 지지측으로 경계가 형성되며, 노즐디스크는 바람직하게는 덮개부 및 바닥부 중 적어도 하나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에 특징을 두고 있다.
이 경우에, 원추형 스프링은 하나 이상의 지지측 스프링돌기를 구비하고, 노즐디스크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돌기에 대해 보상하는 부하작용측 오목부를 특히 쓰로틀구멍의 영역에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댐퍼챔버 속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막판과 대향판 및 폐쇄뚜껑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노즐디스크가 발포층의 형태를 취하는 발포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는 제 3기능성 유니트로서 지지측에 있는 공압댐퍼의 하나 이상의 공압받침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을 두고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공압받침이 바람직하게는 부하작용측으로 노즐디스크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정역학적인 지지챔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지지챔버가 서로 분할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쓰로틀구멍이 있는 하나 이상의 중간디스크를 포함하고, 이 중간디스크는 바람직하게는 바닥부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거나 바닥부에 견고하게 합체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지지챔버에 대해, 특히 밸브를 구비한 공압접속부를 포함하며, 이때 지지접속부는 바람직하게는 바닥부의 교환가능한 부품에 합체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압댐퍼 또는 공압받침 내부의 공기 기둥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 1센서, 또는 공압댐퍼 또는 공압받침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제 2센서를 포함하며, 이때 제 1 또는 제 2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와 연동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쓰로틀구멍은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단차없이 조정될 수 있거나 제어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부하작용체와 지지체 사이의 간격은, 특히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이동가능하고, 팽창가능하며, 경사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상호 견인가능한 덮개부 또는 바닥부의 부재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는, 지지시스템의 모듈이 특히 덮개부의 하나 이상의 부품,바닥부의 하나 이상의 부품 및, 모든 기능성 유니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 조립체의 경량화를 위한 하나 이상의 마킹부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을 두고 있다.
이 경우에, 마킹부는 표준 이용목적을 추론할 수 있다.
또한,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용도가 특히 내연엔진과 같은 유니트의 베어링을 위한 차량공학, 특히 자동차 공학 또는 휠 현가장치에 존재한다.
모듈형 지지시스템이 직면한 목적의 진폭과 댐핑 및 주파수 거동을 조정하는 방법은, 지지시스템의 원하는 진폭과 댐핑 및 주파수 거동을 결정하는 단계와;
특히 부하작용측 덮개부와 지지측 바닥부의 형태를 취하는 4개 이상의 모듈과, 고정되거나 조정가능한 주파수와 댐핑 및 진폭으로 특히 덮개부와 바닥부 사이에서 평행한 접속상태로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무-금속 지지요소, 공압 지지요소, 유압 지지요소, 고체 지지요소, 스프링, 스프링요소, 환형 코어스프링, 원추형 스프링, 공압 스프링, 댐퍼, 또는 공압댐퍼와 같은 2개의 기능성 유니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모듈을 특히 하나 이상의 나사, 리벳, 용접 또는 접착제 결합에 의해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마킹부에 의한 선택은 모듈에 의해 증명되는, 특히 표준 이용목적 또는 고정된 댐핑과 주파수 및 진폭에 특징을 부여하기 위해 경량화로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히 지지시스템의 구동 중에 하나 이상의 모듈에 대한 댐핑과 주파수 및 진폭의 추가 조정 또는 적응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형태의 방법은, 모듈에 대한 댐핑과 주파수 및 진폭의 조정 또는 적응이, 특히 기하학적 구조 또는 하나 이상의 관류특성, 바람직하게는 공압댐퍼 또는 공압스프링에 의해 포위된 2개의 공압챔버 사이에 있는 하나 이상의 쓰로틀구멍의 조정과;
바람직하게는 밸브에 의해 하나 이상의 공압챔버 내부의 공압의 조정 및;
바람직하게는 공압챔버를 추가적인 공압용적부와 결합시킴으로써, 특히 공압챔버와 공압용적부 사이에 배치된 밸브에 의해 하나 이상의 공압챔버의 용적부의 조정 또는 공압챔버의 기하학적 구조의 조정;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와 연동하는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 기둥과, 부하 특성, 바람직하게는 부하작용체의 중량, 진동 주파수 및, 압력과 같은 하나 이상의 측정값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방법은 댐핑과 주파수 및 진폭 거동을 조정하기 위해, 지지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모듈을 제거 또는 교환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받침이 모듈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는 놀라운 인식에 기초하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다양한 구성요소가 다양한 이용목적을 위해 그 자체 뿐만 아니라 서로 조화를 이룬다. 환언하자면,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다양한 기능성 유니트들 사이의 복잡한 조화공정이 부작용없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각 모듈이 적합한 경우에 제조업자측에게 특성이 이미 정해져 있는 표준 부품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자동자 제조업자가 환형 코어스프링과 공압댐퍼를 구비한 고체받침을 특정한 댐핑 및 지지특성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경우, 그 제조업자는 원하는 특성에 속하는 마킹부에 기초하여 모듈 조립부품으로부터 특정한 덮개부, 특정한 바닥부, 특정의 환형 코어스프링, 특정의 공압댐퍼를 선택하고, 이때 제조업자는 양쪽 부분을 예컨대 나사를 통해 서로 결합시키도록, 예컨대 환형 코어스프링을 덮개부에, 그리고 공압댐퍼를 바닥부에 삽입함으로써 이른바 현장에서 모듈을 조립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추후 보완 자체도 가능하다. 예컨대, 환형 코어스프링과 공압댐퍼로 이루어진 전술한 조합이 공압받침으로 보완되는 경우, 바닥부만이 교환된다. 이때, 새로운 바닥부는 공압댐퍼로서 작용하는 동역학적인 공압챔버를 공압받침으로서 작용하는 정역학적인 공압챔버와 결합시키기 위해, 예컨대 쓰로틀구멍을 가진 중간디스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지지시스템은 모듈 시스템의 방식에 따라 매우 많은 수의 응용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지지시스템에 의하면, 제조비용 및 받침의 자중(自重)은 예컨대 자동차의 프레임 구조물과 같은 지지체로부터 완전히 별개로 형성된 바닥부가 지지체에 의해 적어도 영역별로 미리 제공되는 바닥부로 대체됨으로써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덮개부 및, 유니트와 같이 덮개부에 고정될 부하작용체와 관련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 외에도, 자동차 제조업자가 프레임 구조물을 제조할 때 향후 문제가 없는 지지시스템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안전대책을 미리 강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은 최종 조립시에 시간을 더욱 줄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유니트에 의해 진폭과 댐핑 및 주파수 튜닝은, 예컨대 휠 현가장치의 자극 또는 충격자극이 있을 때 자극주파수에 대해 특히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고유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 예컨대 2개의 공압챔버 사이의 쓰로틀구멍을 조정함으로써, 또는 공압챔버에 대한 조정압력 등의 인가를 조정함으로써 사용된 모듈의 기하학적인 치수와 무관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을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 아래의 설명으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고체받침(1)의 형태를 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시스템에 대한 제1실시형태를 부분 측단면도로 보여주고 있다. 이 고체받침(1)은 부하작용접속부(2)와, 이와 동축으로 대향 배치된 지지접속부(3)를 포함한다. 부하작용접속부(2)는 오염과 기계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스커트(5)에 의해 둘러싸인 디스크모양의 영역에 의해 덮개부(4)를 형성하고, 바닥부에 속하는 지지접속부(3)와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이 덮개부(4)의 중심에 배치된 나사구멍(6)은 도시하지 않은 부하작용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덮개부(4)는 환형 코어스프링(7) 위에 배치되고, 이 환형 코어스프링도 역시 바닥부에 속하는 댐퍼하우징(8)에 지지된다. 이 환형 코어스프링(7)을 반경방향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해, 댐퍼하우징(8)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칼라(9)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칼라는 스커트(5)와 연동한다. 댐퍼하우징(8)은 상부 하우징부(10)와 지지접속부(3)를 포함하며, 이 지지접속부의 표면 또는 내부에는 하부 공압댐퍼하우징부로서 역할을 하는 사발모양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부(10)와 지지접속부(3)는 도 1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은 나사볼트와 나사구멍(11)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 나사구멍(11)은 적어도 60도의 각도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원통형 댐퍼하우징(8)의 둘레에 원주방향으로 분포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자동차의 프레임에 고체받침(1)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접속부(3) 내부에 접속구멍(12)이 구비되어 있다.
상부 하우징부(10)와 지지접속부(3) 사이에는 구불한 막(13)이 기밀적으로 조여져 있는데, 이 구불한 막(13)은 고정나사(15)에 의해 다시 덮개부(4)의 결합부(16)에 나사결합되는 막판(14)과 기밀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구불한 막(13)을 막판(14)에 기밀하게 결속하는 것은, 임의의 방식으로 예컨대 가황처리 등과 같은 아교접착처리 또는 본딩(bonding)처리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불한 막(13)과 막판(14)은 전체 지지측 댐퍼하우징(8)의 내부를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7)와 지지측 댐퍼챔버(18)로 분할한다. 따라서, 지지측 댐퍼챔버(18)는 구불한 막(13)의 막판(14)과, 지지접속부(3)의 2개의 측벽(19) 및, 하나의 바닥벽(20)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며, 이 바닥벽(20)은 막판(14)에 대해 평행한 평면형태로 연장한다.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7)는 막판(14), 구불한 막(13), 상기 막판(14)에 대해 평행한 평면형태로 배향된 덮개벽(22), 그리고 상부 하우징부(10)의 측벽(21)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부하작용접속부(2)에 의해 환형 코어스프링(7)의 관(管)모양의 관통구멍을 지나서 막판(14)까지 뻗어 있는 결합부(16)가 관통하도록 덮개벽(22)에는 하우징 개구부(23)가 구비되어 있다. 이것은 공기가 특히 환형 코어스프링(7)이 부하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7)로부터 하우징 개구부(23)를 통해 새어나갈 수 있도록 결합부(16)에 대해 밀폐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부하작용접속부(2)에 작용하는 정역학적인 부하를 수용함으로써, 환형 코어스프링(7)은 상부 하우징부(10)를 향해 확실하게 가압되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쪽 댐퍼챔버(17)가 기밀적으로 폐쇄된다. 막판(14)에는 쓰로틀구멍(24)이 구비되어 있고, 이 쓰로틀구멍은 댐퍼챔버들(17,18)을 서로 연통되게 접속시킨다. 부하작용접속부(2)는 공압댐퍼의 부품들을 형성하는 환형 코어스프링(7) 뿐만 아니라 막판(14)과 결합되며, 이 공압댐퍼는 댐퍼챔버들(17,18)과 구불한 막(13) 및 하우징부들(3,10)을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환형 코어스프링(7)은 단순히 완충역할을 하면서 환형 코어스프링(7)의 특성을 실질적으로 변경하지 아니하고 정상적인 동작범위에서 적어도 진폭만큼 오랫동안 잔류하는 동역학적인 공압댐퍼에 대해 평행한 접속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정역학적인 부하를 수용한 후의 고체받침(1)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 도면에서는 명료하게 하기 위해 부하작용체, 특히 자동차의 유니트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 상태에서, 막판(14)은 이 판에 대해 각각 평행한 평면상태로 형성된 댐퍼하우징(8)의 대향판들(20,22)로부터 거의 동일하게 떨어져 있다. 동역학적인 요구가 있는 경우에, 막판(14)은 예컨대 바닥벽(20) 쪽으로 미끄러지며, 그 결과 지지측 댐퍼챔버(18)의 용적이 줄어들고, 그 챔버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압축된다. 이와 동시에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7)는 이완되며, 그 결과 압력차로 인해 공기가 지지측 댐퍼챔버(18)로부터 쓰로틀구멍(24)을 통해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7)로 흐른다. 이 경우에, 막판(14)의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운동학적인 에너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역학적인 공압댐퍼에 의해 흡수된다. 이와 같이 분산된 에너지는 부하작용접속부(2)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것은 단지 구불한 막(13)의 탄성변형 및 댐퍼하우징(8)의 적절한 기하학적인 구조의 탄성변형에 의해 가능하지만, 이 구불한 막은 막판(14)이 축방향으로 운동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탄성변형되지 않으며, 미리 성형된 주름으로 인해 상향 및 하향으로 물결운동을 한다. 상기 댐퍼챔버들(17,18) 내부의 압력상승에 의해 탄성변형을 받아 풍선처럼 부푼 형태로의 구불한 막(13)의 팽윤(澎潤) 거동은 구불한 막(13)과 댐퍼하우징(8)의 적합한 기하학적인 구조를 형성할 때 재료를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써 피할 수 있다. 따라서, 구불한 막(13)은 각각의 상존하는 조건하에서 자체 강성으로 인해 팽창스프링으로서작용하지 않는 엘라스토머, 또는 어떠한 탄성특성도 없지만 단지 기밀되는 재료로 구성된다. 부하작용체가 복귀 거동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이 반대로 된다. 다만,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7)가 압축되는 반면에, 지지측 댐퍼챔버(18)는 이완된다.
이 상태는 예컨대 차량에 삽입하기 위한 고체받침의 구조에서 준수해야 할 틈새가 도 1에 결코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승용 자동차의 유니트의 상호연결된 동역학적인 부하작용체의 댐핑을 위해 댐퍼챔버(17,18)는 예컨대 약 80㎜의 직경을 가지며, 여기서 막판(14)은 부하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대향판들(20,22) 각각의 표면에 대해 약 2㎜ ∼ 5㎜의 틈새로 유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댐퍼는 약 2㎜ ∼ 5㎜의 표준 범위의 진폭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표준 설치의 경우에도 큰 과부하의 충격진폭을 동역학적으로 완충시키기 위해, 막판(14)과 이와 평행한 대향판들(20,22) 사이에는 발포층(25)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는, 막판(14)도 그 양쪽에 발포층(25)이 구비될 수 있고, 이 외에도 평행한 대향판들(20,22) 모두가 추가적으로 발포층(2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층(25)으로는 폐쇄된 기공을 가진 발포재가 선택된다. 이것은 특히 높은 댐핑 정도에 탁월하며, 이에 따라 막판(14)의 자유진동범위를 초월하는 진폭도 효과적으로 완충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기술된 지지시스템의 모듈 성능은, 예컨대 나사볼트를 나사구멍(11)으로부터 미리 풀고, 이어서 벽들(19,20)에 의해 형성되는 바닥부의 부품을, 가령 도 2에 측벽(19')과 아래로 개방된 바닥벽(20')으로 도시된 바닥부의 다른 새로운 부품과 교환하며, 계속해서 나사볼트를 새로운 부품을 통해 나사구멍(11)속에 고정하는데, 단지 쓰로틀구멍(24)을 통해 대기와 접촉상태로 되는 동역학적인 댐퍼챔버(17)가 잔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2는 도 1에 따른 지지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듈을 포함하지만, 도 1에 따른 지지시스템의 기능과는 상이한 기능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제 2모듈형 지지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 3모듈형 지지시스템은 바닥부가 샤시 지지체(108)에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도 1에 따른 지지시스템과 구별된다. 도 3의 지지시스템도 마찬가지로 도 1의 지지시스템에서 바닥부의 부품을 교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아래에 설명한다.
도 3에 따른 고체받침(101)은 부하작용접속부(102)와, 이와 동축으로 대향되게 배치된 지지접속부(103)를 포함한다. 이 부하작용접속부(102)는 스커트(105)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경계가 형성된 디스크모양의 영역과 함께 덮개부(104)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커트(105)는 고체받침(101)을 오염과 기계적인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부하작용체를 고정하기 위해 부하작용접속부(102)에는 암나사를 가진 접속구멍(106)이 구비된다. 이 부하작용접속부(102)는 환형 코어스프링(107) 위에 배치되는데, 이 환형 코어스프링은 엘라스토머로 제조되고, 탄력적으로 부하를 수용하기 위해 바닥부에 속하는 지지접속부(103)에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지지접속부(103)는 동시에 샤시 지지체(108)의 일체형 부품으로 된다. 도 3에 도시된 샤시 지지체(108)는 중공의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이와관련하여 상부 지지프레임(109)과 하부 지지프레임(110)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접속부(103)를 형성하는 상부 지지프레임(109)과 하부 지지프레임(110)이 서로 뻗어 있고, 이들 프레임은 부하작용측 오목부(111)와 지지측 오목부(112)를 샤시 지지체(108)에 형성한다. 이들 오목부(111,112)는 도시하지 않은 평면도에서는 관입(貫入) 개구부(113)가 중심에 있는 화살모양의 외형을 가진다. 부하작용측 오목부(111)는 스커트(105)와 협동하여 원통형으로 된 환형 코어스프링(107)을 반경방향으로 안정화시킨다. 지지측 오목부(112)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공압댐퍼(114)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환형 코어스프링(107)의 내부에는 중심에 관(管)모양의 오목부가 구비되고, 이 오목부에 의해 결합부(115)가 부하작용접속부(102)로부터 관입 개구부(113)를 통과하여 막판(116)까지 연장한다. 이 막판(116)은 고정나사(117)로 결합부(115)와 견고하게 결합되고, 이에 따라 부하작용접속부(102)와 결합된다. 상기 막판은 구불한 막(118)을 추가로 구비하며, 이 구불한 막은 예컨대 가황처리와 같은 본딩처리에 의해 또는 여기에 적합한 접착제를 추가하여 막판(116)과 기밀하게 결합된다. 구불한 막(118)을 원주방향으로 조이기 위해, 나사구멍(120)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나사를 사용하여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110)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사발모양의 폐쇄뚜껑(119)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21)와 지지측 댐퍼챔버(122)가 형성되고, 이들 챔버는 막판(116)과 구불한 막(118)에 의해 서로 분할된다. 또한,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21)는 샤시 지지체(108)의 지지측 오목부(112)의 외측면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며, 이 샤시 지지체는 막판(116)에 대해평행하게 형성된 샤시대향판(123)과 측벽(124)을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관입 개구부(113)를 지나 샤시대향판(123)으로 공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형 코어스프링(107)은 정역학적인 부하를 수용한 결과로 생긴 탄성변형으로 인하여 지지접속부(103) 뿐만 아니라 결합부(115)에 대해 가압되고, 이에 따라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21)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측 댐퍼챔버(121)도 마찬가지로 막판(116)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된 뚜껑대향판(125)을 구비한다. 막판(116)에는 댐퍼챔버들(121,122)을 서로 연통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개방된 쓰로틀구멍(126)이 양쪽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발포층(127)이 댐퍼챔버들(121,122)속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지지시스템은 원리적으로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지지시스템과 똑같이 작용한다. 다만, 전술한 지지시스템들은 지지체 또는 샤시 지지체에 대한 구성 또는 부속구성에서 실제로 상이하다. 이 경우, 도 3에 따른 실시형태가 바닥부의 부품들이 감소되어서 특히 유리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모듈형 지지시스템은, 쓰로틀구멍(126)에 의해 대기와 접촉하게 되는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21)만이 잔류하도록 예컨대 바닥부의 구성요소인 폐쇄뚜껑(119)이 도 3의 나사구멍(120)의 영역에서 나사구멍을 가진 도시하지 않은 판 또는 링모양의 고정부재에 의해 삽입됨으로써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모듈형 지지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의 지지시스템과 기본적으로 상이하다. 이 지지시스템도 마찬가지로 부하작용접속부(1002)와 지지접속부(1003)를 구비한 고체받침(1001)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는 부하작용접속부(1002)가 하우징부(1005)와 함께 덮개부(1004)를 형성하고, 지지접속부(1003)는 바닥부의 구성 요소로 된다. 부하작용접속부(1002)에서는 나사구멍(1006)이 공지된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고, 부하작용접속부(1002)는 스프링다리(1007a)와, 스프링 돌출부(1007b) 및, 지지측 단부에 있는 중앙 스프링돌기(1007c)를 가진 원추형 스프링(1007)을 지지한다. 하지만, 부하작용접속부(1002)는 원추형 스프링(1007)을 관통하여 뻗어 있지 않다. 또한, 원추형 스프링(1007)과 평행한 접속상태로 댐퍼챔버(1012)가 배치되어 있고, 이 댐퍼챔버는 원추형 스프링(1007)에 의해 부하작용측으로 직접 경계가 형성되며, 노즐디스크(1009)에 의해 지지측으로 경계가 형성된다. 이 노즐디스크(1009)에는 외부 대기와 접촉하도록 쓰로틀구멍(1010)이 구비되어 있고, 이 쓰로틀구멍(1010)은 스프링돌기(1007c)에 대해 상보적으로 구비되어 있는 오목부(1011)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디스크(1009)는 원추형 스프링(1007)의 최대 변형을 제한한다.
이 고체받침(1001)에서는 원추형 스프링(1007)의 특수한 기하학적인 구성으로 인하여 막이 생략될 수 있는데, 상기 원추형 스프링(1007) 자체가 이미 댐퍼챔버(1012)가 동역학적인 공압챔버, 즉 가변용적을 가진 챔버와 관련되는 방식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된 모듈형 지지시스템은, 예컨대 상기 고체받침(1001)과 댐퍼챔버(1012)에 대해 평행한 공압받침이 추가로 배치되어 있는 한편, 노즐디스크(1009)와 뚜껑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폐쇄된 뚜껑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지지체에 접속하는 바닥부에 속하는 플랜지(1008)를 교환함으로써 간단하게 변경될 수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모듈형 지지시스템은 실질적으로 마지막으로 설명하는 지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평행하게 접속되어 있는 스프링요소와 댐퍼 및 받침을 포함한다. 또한, 세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모듈형 지지시스템은 부하작용접속부(10002)와 지지접속부(10003)를 갖춘 고체받침(10001)을 구비한다. 부하작용접속부(10002)는 하우징부(10005)와 함께 덮개부(10004)를 형성하고, 나사구멍(10006)을 구비하며, 스프링요소(10007)를 지지한다. 도 4의 고체받침과 마찬가지로 도 5에 따른 부하작용접속부(10002)는 전체 스프링요소(10007)를 관통하여 뻗어 있지 않다. 스프링요소(10007)는 소정의 기하학적인 구조와, 이에 따른 스프링특성을 가지며, 노즐디스크(10009)와 함께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0012)를 동역학적인 공압챔버의 형태로 경계가 형성된다. 또한, 댐퍼챔버(10012)는 공압스프링을 제공한다. 스프링요소(10007)의 계단부(10007a)를 적절하게 얇게 치수조정하면, 스프링요소(10007)의 스프링특성은 실질적으로 챔버(10012)의 기하학적인 구조에 의해, 그리고 단지 2단으로 된 스프링요소(10007)의 엘라스토머에 의해 생긴다. 상기 노즐디스크(10009)에는 동역학적인 공압챔버(즉,10012)를 정역학적인 공압챔버(10013), 즉 실질적으로 불가변용적을 가진 챔버와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쓰로틀구멍(10010)이 구비되어 있다. 정역학적인 공압챔버(10013)는 노즐디스크(10009)와 바닥부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바닥부는 자신측에 공압접속부(10011)를 구비하며, 그 결과 공압챔버(10013)가 특별히 요구되는 지지특성을, 특히 공압챔버들(10012,10013) 내부에서 압력 거동의 변경을 통해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공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선택에 따라 보조 공압챔버(10016)가 바닥부의 교환가능한 중간디스크(10014)에 있는 쓰로틀구멍(10015)을 개방함으로써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댐핑 및 지지특성이 함께 정해지는 쓰로틀구멍(10010,10015)의 치수는 적합한 노즐디스크(10009) 또는 중간디스크(10014)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쓰로틀구멍(10010,10015)은 원하는 댐핑 또는 지지특성에 따라 공압접속부(10011)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를 조절, 즉 폐쇄할 수 있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공압챔버(10012,10013,10016) 내부의 공기 기둥을 측정하기 위해 도시하지 않는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와 연동되게 제공된다. 또한, 이로써 진동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모듈형 지지시스템은 예컨대 중간디스크(10014)가 생략되고, 이에 따라 단지 정역학적인 지지용 챔버만이 존재하거나, 보조 공압챔버(10016)와 함께 또는 대신에 챔버들(10013,10016)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의 정역학적인 공압챔버, 즉 지지시스템에 의해 국부적으로 분할된 정역학적인 공압챔버가 구비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지지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전체 지지시스템의 주파수 거동과 댐핑 거동 및 진폭 거동 중 적어도 하나를 임의로 조절할 가능성을 제공한다. 도 6에는 다양한 주파수에 대한 진폭 거동, 즉 부하 진폭 거동과 자극 진폭 거동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그래프Ⅰ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시스템의 임계 이하로의 튜닝을 위한 진폭 거동의 주파수 응답특성을 나타내며, 그래프Ⅱ는임계 이상으로 튜닝된 본 발명에 따른 지지시스템의 진폭 거동의 응답특성을 나타내고, 그래프Ⅲ은 부하작용체, 예컨대 유니트의 바람직한 고유주파수 범위를 보여주고 있다. 가령, 차량이 120㎞/h로 평탄하지 않은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또는 차량의 유니트에 가변적인 부하충격이 작용하는 경우에, 자극주파수의 범위는 유니트의 받침에 맞는 8 ∼ 16㎐ 사이의 다른 주파수 범위에 존재하게 된다. 이 외에도, 차량에 다수의 다른 자극주파수 대역이 존재하고, 특히 유니트 진동, 즉 예컨대 고주파수이지만 낮은 진폭을 가진 엔진소음에 의해 발생되는데, 이는 편의상 도 6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6에서 추론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임계 이하로 튜닝된 지지시스템의 고유 또는 공명주파수는 주파수 범위(Ⅲ)의 하반부에 존재하는 반면에, 임계 이상으로 튜닝된 지지시스템의 공명주파수는 주파수 범위(Ⅲ)의 상반부에 존재한다. 지지시스템의 임계 이하의 튜닝은 매우 우수한 차폐 거동에 이르지만, 상대적으로 약한 스프링특성에 이르게 된다. 이에 반해, 임계 이상의 튜닝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예컨대 자동차 탑승자에게는 유쾌한, 전술한 자극의 댐핑을 위해 평탄하지 않은 도로에 적합하게 되는 강한 스프링작용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시스템은 단지 지지시스템의 적응, 즉 진폭과 댐핑 및 주파수 튜닝을 제공할 다수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임계 이하의 튜닝은 다양한 챔버 내부의 공기 기둥을 변경함으로써 달성된다. 이것은 공기 용적부가 다양한 챔버들 사이의 결합 개구부의 변경에 의해, 또는 특히 조건에 따라 공기 용적부의 연결에 의해 변경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형태의 튜닝은 정역학적인 공기 압력이 다양한 챔버들 내부에서 변경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공압접속부(10011) 내부의 밸브에 상응하는 밸브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다수의 다른 변형이 고려될 수 있다는 것도 자명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지지시스템은 어떠한 경우에도 공압댐퍼 또는 공압받침과 평행한 접속상태로 고체받침을 배치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와 도면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은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형태로 실시하기 위한 개별적이거나, 모든 임의의 조합에 실질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Claims (34)

  1. 부하작용측 덮개부(4,5,6,16,104,105,106,115,1004,1005,1006,10004,10005, 10006)과 지지측 바닥부(8,9,10,11,12,19,19',20,20',21,22,108,109,110,111,112, 119,123,124,125,1003,1008,10003,10008,10014)를 구비한 모듈형 지지시스템(1,101 ,1001,10001)으로서, 상기 덮개부에 의해 지지되고서 특히 자동차의 유니트 또는 주행기구의 형태를 취하는 부하작용체의 댐핑 또는 지지를, 바닥부를 지지하고서 특히 자동차의 샤시 또는 프레임 구조의 형태를 취하는 지지체(108)에 대해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덮개부와 바닥부 사이에는 2개 이상의 기능성 유니트(7,17,18,107 ,121,122,1007,1012,10007,10012,10013,10016)가 고무-금속 지지요소, 공압 지지요소(10013,10016), 유압 지지요소, 고체 지지요소, 스프링, 스프링요소(10007), 환형 코어스프링(7,107), 원추형 스프링(1007), 공압 스프링(10012), 댐퍼, 또는 공압댐퍼(17,18,24,121,122,126,1010,1012,10010,10012,10015)를 하나 이상 구비하는 다수의 기능성 유니트 중에서 선택되며, 고정되거나 조정가능한 주파수, 댐핑, 또는 진폭으로 평행한 접속상태로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또는 바닥부(108,109,110,111,112,119,123, 124,125)는 부하작용체 또는 지지체(108,109,110,111,112,123,124)에 의해 적어도 영역별로 둘러싸이며, 바닥부는 지지체에 의해 적어도 영역별로 둘러싸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작용체 또는 지지체는 특히 2개의 반쪽 컵(109,110)의 형태를 취하는 중공(中空)의 프로파일부를 구비하며, 상부의 반쪽 컵(109)은 하나 이상의 기능성 유니트(107)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고, 하부의 반쪽 컵(110)은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유니트(121)를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반쪽 컵(109,110)은 중심볼트가 기능성 유니트(107,121,122)의 착탈식 고정을 위해 장착될 수 있는 중심구멍(1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바닥부의 하나 이상의 부품은 선택된 기능성 유니트의 갯수 또는 형태에 적합하도록, 또는 고정되거나 조정가능한 주파수, 댐핑, 또는 진폭을 교환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10004,10005, 10006)와 바닥부(10003,10008) 사이에, 또는 덮개부와 바닥부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선택에 따라 덮개부(10004,10005,10006)와 바닥부(10003,10008) 사이에 있는 2개 이상의 기능성 유니트(10007,10012,10013)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보조 기능성 유니트(100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댐핑 또는 지지특성을 검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유니트, 보조 기능성 유니트, 센서, 부하작용체, 또는 지지체와 연동되는 조절 또는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로 제조되고서 내부에 중공의 공간 또는 채널을 구비하며, 제 1기능성 유니트로서 특히 부하작용측에 배치되는 환형 코어스프링(7,107), 원추형 스프링(1007), 또는 스프링요소(10007)와, 제 2기능성 유니트로서 특히 지지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동역학적인 공압댐퍼(17,18,24,121,122,126,1010,1012,10010,10012,100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댐퍼는 환형 코어스프링(7,107), 원추형 스프링(1007), 또는 스프링요소(10007)에 의해 덮개부 또는 바닥부의 부품에 직접 또는 매개하여 부하작용측으로 경계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댐퍼챔버(17,18,121, 122,1012,10012), 특히 동역학적인 공압챔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댐퍼는 실질적으로 어떠한 동작효과적인 스프링 구성요소도 환형 코어스프링의 지지특성 곡선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댐퍼(17,18,24,121, 122,126)는 덮개부(4,5,6,16,104,105,106,115) 중 하나 이상의 부품(16,115)과 축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견고하게 결합되고, 양측으로 개방된 하나 이상의 쓰로틀구멍(24,126)이 구비되어 있는 막판(14,116)과, 이 막판(14,116)에 견고하게 결합된 막(13,118), 특히 구불한 막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막판에 의해 자체적으로 경계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댐퍼챔버(17,18,121,122)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부(8,9,10,11,12,19,19',20,20',21,22,108,109,110,111,112,119,123,124,125)의 막판(14,116)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대향판(20,22,123,125)과 평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댐퍼는 막판(14)과 관련하여 부하작용측에 배치된 댐퍼챔버(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8,9,10,11,12,19,20,21,22)는 막(13)을 지지체(8)에 조이기 위해 고정되고, 막판(14)의 방해없는 관입(貫入)을 위해 통과할 수 있도록 치수조정된 오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1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댐퍼는 2개의 댐퍼챔버(17,18,121,122)를 구비하며, 부하작용측 댐퍼챔버(17,121)는 막판(14,116) 및 이와 결합된 막(13,118)에 의해 지지측 댐퍼챔버(18,122)로부터 경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8,109,110,111,112,119,123,124,125)는 지지체(108)와 해제 및 결합가능하게, 특히 단지모양으로 형성된 폐쇄뚜껑(119)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측 댐퍼챔버(122)는 폐쇄뚜껑(119)에 의해 경계가 형성되며, 모든 댐퍼챔버(121,122)는 막판(116)과 결합된 막(118)의 원주방향 조임에 의해 지지체(108)와 폐쇄뚜껑(119) 사이에서 기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16. 제 1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판(14,116)은 특히 나사결합에 의해 덮개부 또는 바닥부(8,108)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쓰로틀구멍(1010,10010)이 있는 노즐디스크(1009,10009)가 댐퍼챔버(1012,10012)에 의해 지지측으로 경계가 형성되며, 이 노즐디스크(1009,10009)는 덮개부 또는 바닥부(1005,10005,10008)와 해제가능하게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스프링(1007)은 하나 이상의 지지측 스프링돌기(1007c)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디스크(1009)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돌기(1007c)에 대해 상보적인 부하작용측 오목부(1011)를 특히 쓰로틀구멍(1010)의 영역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19. 제 9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댐퍼챔버(17,18,121,122)속에 있는, 막판(14,116), 대향판(20), 폐쇄뚜껑(119), 또는 노즐디스크가 발포층(25,127)의 형태를 취하는 발포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20. 제 8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3기능성 유니트로서 지지측에 있는 공압댐퍼(10012)의 하나 이상의 공압받침(10013,100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받침은 노즐디스크(1009)에 의해 부하작용측에 경계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정역학적인 공압챔버(10013,100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공압챔버(10013,10016)는 서로 분할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쓰로틀구멍(10015)이 있는 하나 이상의 중간디스크(10014)를 포함하고, 이 중간디스크(10014)는 바닥부(10008)와 해제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거나, 바닥부에 견고하게 합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23. 제 20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챔버(10013)에 대해, 특히 밸브를 구비한 공압접속부(10011)를 포함하고, 이 공압접속부(10011)는 바닥부(10008)의 교환가능한 부품에 합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24. 제 6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댐퍼 또는 공압받침 내부의 공기 기둥의 높이를 검출하기 위한 제 1센서, 또는 공압댐퍼 또는 공압받침 내부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제 2센서를 포함하고, 이 제 1 또는 제 2센서는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와 연동되게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25. 제 11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쓰로틀구멍은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단차없이 조정될 수 있거나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26.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작용체와 지지체 사이의 간격은, 특히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이동가능하고, 팽창가능하며, 경사가능하고, 회전가능하며, 상호 견인가능한 덮개부 또는 바닥부의 부재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27. 제 1항 내지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시스템의 모듈은 특히 덮개부의 하나 이상의 부품, 바닥부의 하나 이상의 부품, 모든 기능성 유니트의 하나 이상의 부품, 조립체의 경량화를 위한 하나 이상의 마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표준 이용목적을 추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
  29. 특히 내연엔진 또는 휠 현가장치와 같은 유니트의 지지를 위한 자동차 공학과 같은 차량 공학에 사용되는, 제 1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용도.
  30.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진폭, 댐핑, 또는 주파수 거동을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이 지지시스템의 원하는 진폭, 댐핑, 또는 주파수 거동을 결정하는 단계와;
    특히 부하작용측 덮개부 또는 지지측 바닥부의 형태를 취하는 4개 이상의 모듈과, 고정되거나 조정가능한 주파수, 댐핑, 또는 진폭으로 특히 덮개부와 바닥부 사이에 평행한 접속상태로 해제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고무-금속 지지요소, 공압 지지요소, 유압 지지요소, 고체 지지요소, 스프링, 스프링요소, 환형 코어스프링, 원추형 스프링, 공압 스프링, 댐퍼, 또는 공압댐퍼와 같은 2개의 기능성 유니트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듈을 특히 하나 이상의 나사, 리벳, 용접, 또는 접착제 결합에 의해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지지시스템의 진폭, 댐핑, 또는 주파수를 조정하는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마킹부에 의한 선택은 모듈에 의해 증명되는 특히 표준 이용목적, 또는 고정된 댐핑, 주파수, 진폭을 특징지우기 위해 경량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30항 또는 제 31항에 있어서, 특히 지지시스템의 구동 중에 하나 이상의 모듈에 대한 댐핑, 주파수, 또는 진폭의 추가 조정 또는 적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한 모듈에 대한 댐핑, 주파수, 진폭의 조정 또는 적응은,
    특히 기하학적인 구조 또는 하나 이상의 관류특성, 공압댐퍼 또는 공압스프링에 의해 포위된 2개의 공압챔버 사이의 하나 이상의 쓰로틀구멍의 조정과;
    밸브에 의해 하나 이상의 공압챔버 내부의 공압의 조정 및;
    공압챔버를 추가의 공압 용적부와 결합시킴으로써, 특히 공압챔버와 공압 용적부 사이에 배치된 밸브에 의해 하나 이상의 공압챔버의 용적부의 조정 또는 공압챔버의 기하학적인 구조의 조정;을 포함하며,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에 의해, 또는 조정 또는 제어유니트와 연동하는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공기 기둥, 부하 특성, 부하작용체의 중량, 진동 주파수, 압력과 같은 하나 이상의 측정값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30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댐핑, 주파수, 또는 진폭 거동을 조정하기 위해, 지지시스템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모듈을 제거 또는 교환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27016493A 2001-04-03 2002-04-03 모듈형 지지시스템 KR200300287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17493.4 2001-04-03
DE2001117443 DE10117443B4 (de) 2001-04-03 2001-04-03 Feststofflager
DE10117493 2001-04-03
DE10117443.8 2001-04-03
DE10117494.2 2001-04-03
DE2001117494 DE10117494B4 (de) 2001-04-03 2001-04-03 Kraftfahrzeug mit Zuliefertei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748A true KR20030028748A (ko) 2003-04-10

Family

ID=27214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6493A KR20030028748A (ko) 2001-04-03 2002-04-03 모듈형 지지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159991A1 (ko)
EP (1) EP1377760A1 (ko)
JP (1) JP2004523714A (ko)
KR (1) KR20030028748A (ko)
WO (1) WO200208194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327B1 (ko) * 2017-12-29 2018-06-01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KR101886698B1 (ko) * 2018-02-13 2018-08-08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5122B4 (de) * 2002-09-27 2010-10-14 Trelleborg Automotive Germany Gmbh Pneumatisch dämpfendes Lager
DE10318453A1 (de) * 2003-04-23 2004-11-18 Woco Avs Gmbh Hydraulisch gedämpftes Luftfederlager
KR100717356B1 (ko) * 2006-04-03 2007-05-10 주식회사 건화 트렐러보그 공기 감쇠식 리어 액슬 마운트
KR100717355B1 (ko) * 2006-04-03 2007-05-10 주식회사 건화 트렐러보그 공기 감쇠식 기어 박스 마운트
US7530432B2 (en) * 2006-04-05 2009-05-12 Aaa Sales + Engineering, Inc. Bladder-actuated railroad retarder
DE102006036343B4 (de) * 2006-08-03 2012-06-06 Trelleborg Automotive Germany Gmbh Dämpfendes Aggregatlager
CA2587286A1 (en) * 2007-05-03 2008-11-03 177197 Canada Ltee Door shock absorber
JP2009079678A (ja) * 2007-09-26 2009-04-16 Tokai Rubber Ind Ltd 防振装置及び該防振装置の製造方法
JP5233825B2 (ja) * 2009-04-27 2013-07-10 株式会社Ihi 三次元免震装置
JP5409513B2 (ja) * 2010-05-26 2014-02-05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装置
JP5646213B2 (ja) * 2010-05-26 2014-12-24 住友理工株式会社 防振装置
KR101303562B1 (ko) * 2012-05-04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댐핑 마운트
CN107387650B (zh) * 2017-06-23 2019-07-12 宁波成德塑胶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减震器顶胶
DE102018104145B4 (de) * 2018-02-23 2020-10-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Aggregatelager
CN112253686B (zh) * 2019-08-21 2022-05-17 浙江厚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防松型中药设备安装座
CN112393064B (zh) * 2019-08-21 2022-05-17 浙江厚达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减振效果可调的调长变阻式中药生产设备安装座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87066A (en) * 1944-03-22 1945-10-16 Edmund J Lada Mount support
JPS6054537B2 (ja) * 1980-10-09 1985-11-3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減衰付ゴム支承装置
US4583723A (en) * 1983-06-10 1986-04-22 Toyoda Gosei Co., Ltd. Elastically damping device for suspension of engine
DE3705579C2 (de) * 1987-02-21 1995-11-02 Bosch Gmbh Robert Verstellbares Motorlager
JPS646543A (en) * 1987-06-29 1989-01-11 Bridgestone Corp Vibration isolating device
DE68924324T2 (de) * 1988-11-07 1996-04-04 Bridgestone Corp Schwingungsdämpfungsvorrichtung für Transportzwecke.
JP2581701Y2 (ja) * 1989-11-16 1998-09-24 フオルクスウアーゲ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減衰支持体
DE4011827A1 (de) * 1990-04-12 1991-10-17 Daimler Benz Ag Abstuetzlager
JPH05312232A (ja) * 1992-05-08 1993-11-22 Bridgestone Corp 液体封入式防振装置
JPH0699849A (ja) * 1992-09-18 1994-04-12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ボデーマウント構造
WO1995007419A1 (fr) * 1993-09-08 1995-03-16 Kabushiki Kaisha Komatsu Seisakusho Support caoutchouc etanche au liquide
US5730429A (en) * 1993-10-29 1998-03-24 Lord Corporation Decouplers for active devices
US5772189A (en) * 1995-06-15 1998-06-30 Yamashita Rubber Kabuskiki Kaisha Antivibration rubber device
JP3526117B2 (ja) * 1994-11-07 2004-05-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液体封入サスペンション
DE19653571A1 (de) * 1996-12-20 1998-06-2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r Regelung oder Steuerung eines Stützlagers
US6422546B1 (en) * 1999-06-18 2002-07-2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ctive vibration isolating support device
US6474631B2 (en) * 2000-03-16 2002-11-05 Toyo Tire & Rubber Co., Ltd. Stabilizer bushing
US6439556B1 (en) * 2001-02-15 2002-08-27 Delphi Technologies, Inc. Active decoupler hydraulic mou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327B1 (ko) * 2017-12-29 2018-06-01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KR101886698B1 (ko) * 2018-02-13 2018-08-08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내진성이 향상되는 원추형 내진 모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59991A1 (en) 2004-08-19
WO2002081943A8 (de) 2003-03-06
WO2002081943A2 (de) 2002-10-17
EP1377760A1 (de) 2004-01-07
JP2004523714A (ja) 200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8748A (ko) 모듈형 지지시스템
US5642873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 having pushing member for controlling fluid communication through orifice passage
US6663090B2 (en) Hydraulic engine mount
US7210674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US6491290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having pressure receiving chamber whose spring stiffness is controllable
US6371462B2 (en) Active hydraulic anti-vibration support and active antivibration system incorporating said support
US20080054152A1 (en) Series-type engine mou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ries-type engine mount
JPH04277338A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装置
US4378936A (en) Engine mountings for trucks, motor coaches or the like utility vehicles
US6902156B2 (en) Pneumatically operated active vibration damping device
JP4075054B2 (ja) 車両用流体封入式エンジンマウント
US6598865B1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US20010026038A1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having pneumatically oscillated cylindrical member
US5782462A (en) Hydraulically damped powertrain mount
US5035407A (en) Fluid-filled power unit mount
EP0821181A2 (en) Fluid-filled elestic mount having low-and medium-frequency vibration damping orifices, and high-frequency vibration isolating movable member
US20020135113A1 (en) Elastic bearing with hydraulic damping properties
JP3505475B2 (ja) 液圧減衰軸受
US5114124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pressure in air chamber in resonance member in pressure-receiving chamber
JP4158110B2 (ja) 空気圧切換型の流体封入式エンジンマウント
JPH10169705A (ja) 制振器
JP4158108B2 (ja) 空気圧切換型の流体封入式エンジンマウント
JP4210851B2 (ja) 車両用流体封入式エンジンマウント
JP4023463B2 (ja) 防振装置用の空気圧式アクチュエータ
JPH0389044A (ja) 流体封入式防振マウ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