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670A - 무기질 수처리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기질 수처리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670A
KR20030027670A KR1020020056189A KR20020056189A KR20030027670A KR 20030027670 A KR20030027670 A KR 20030027670A KR 1020020056189 A KR1020020056189 A KR 1020020056189A KR 20020056189 A KR20020056189 A KR 20020056189A KR 20030027670 A KR20030027670 A KR 20030027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zeolite
weight
water treatment
o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4561B1 (ko
Inventor
김순호
오대민
성진경
진상환
진순한
황영석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쿠다구미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쿠다구미,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쿠다구미
Publication of KR2003002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5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2Naturally occurring clays or bleaching ear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65Natural alumino-silicates, e.g. 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atalyst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Glanul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水)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연의 풍부한 제올라이트와 황토 일라이트를 이용하여 중금속 및 유기물의 흡착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올라이트, 황토, 일라이트를 활용한 무기물 수처리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온능력과 탈취력을 갖춘 천연의 제올라이트, 황토의 특성은 알루미늄규산염 등의 미세한 광물의 집합체로서 콜로이드 성질을 가지며 가소성과 이온교환성을 나타내며 결정구조는 평면망상의 규산염이고, 탈취성능이 우수한 일라이트를 사용하여 무기질 수처리재로 개발하여 중금속 흡착성능이 높고 환경친화적이며, 천연의 원재료인 제올라이트와 황토, 일라이트의 특성을 최대한 갖춘 제품을 개발한 것이다.
천연의 제올라이트와 황토, 일라이트를 광산에서 채굴하여 수분제거하고, 조쇄한 후 100∼200℃로 건조과정을 거쳐 미분쇄기에서 200메쉬(Mesh) 이하의 입도로 분쇄하여 활용화한다. 이 분말을 이용하여 전체 중량부에서 제올라이트 20∼60중량부와 황토 10∼50중량부, 일라이트는 10∼40중량부 광촉매 이산화티탄을 0∼10중량부를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혼련한 후 볼(8mm, 15mm) 형태의 구형의 정수제와 막대형태(30×30×150mm, 30×150mm)로 물을 결합재로 성형한 후 110℃에서 12∼24시간 건조하여 건조로에서 300∼650℃로 1∼10℃/분의 승온속도로 승온하여 1∼6시간 유지 후 자연냉각하여 제조하였다. 본 발명으로 제품화된 수처리재의 특성은 원료자체 탈취율은 암모니아 가스시험실시 결과 제올라이트 98%, 황토 95%, 일라이트 98%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정수제의 중금속 납의 흡착능이 96%와 99%로 나타났으며, 뛰어난 흡착력으로 악취를 제거하고 우수한 항균성으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scription

무기질 수처리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Th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organic Materials using a Waters Purification}
본 발명은 무기질수처리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기물을 이용한 수처리에 관한 것으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0-0053716호, 공개특허 제2001-0037768호에서는 맥반석 탈황석고, 석탄재를 사용하여 무기물 수처리재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탈황석고 및 석탄재에는 오히려 부산물에 포함되어 있는 중금속 및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한국특허공개 2001-0036795호에는 황토와 고령토, 규조토를 사용하여 무기물 정수제를 1100∼1200℃ 이상의 고온으로 소성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소성비용이 고비용으로 소결반응으로 인하여 수처리 효율이 떨어진다.
황토와 제올라이트, 일라이트의 천연광물을 사용한 무기물의 수처리재는 없으며, 또한 고령토 맥반석 무기물을 사용하여 제조하는 방법은 고온소성 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많은 소성비용과 정수처리 효율이 낮은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의황토와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기존 방식으로 제조된 수처리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수처리효율이 높고, 특히 중금속의 흡착이 뛰어난 흡착율이 높고 광촉매에 의한 수질정화로 저렴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체 중량부 100에서 제올라이트 20∼60부, 황토 10∼50부와 일라이트 10∼40부, 광촉매 이산화티탄을 0∼10부의 분말을 혼합하고 입상에 성형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전체 중량부 100에서 제올라이트 20∼60부, 황토 10∼50부와 일라이트 10∼40부, 광촉매 이산화티탄을 0∼10부의 분말에 물을 결합재로서 첨가하고 혼련한 후 볼 형태 또는 봉(팰릿)상으로 성형하고, 봉(30×30×150mm)으로 성형 후 110℃에서 12~24시간 예비적으로 건조하고, 건조로에서 300∼650℃로 1∼10℃/분의 승온속도로 승온건조하여 1∼6시간 유지후 자연냉각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水)처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연의 풍부한 제올라이트와 황토 일라이트를 이용하여 중금속 및 유기물의 흡착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제올라이트, 황토, 일라이트를 활용한 무기물 수처리재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온교환능력과 탈취력을 갖춘 천연의 제올라이트, 황토의 특성은 알루미늄규산염 등의 미세한 광물의 집합체로서 콜로이드 성질을 가지며 가소성과 이온교환선을 나타내며 결정구조는 평면망상의 규산염이고, 탈취성능이 우수한 일라이트를 사용하여무기질 수처리재로 개발하여 중금속 흡착성능이 높고 환경친화적이며, 천연의 원재료인 제올라이트와 황토, 일라이트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한 수처리재로 된다.
천연의 황토와 제올라이트, 일라이트를 광산에서 채굴하여 수분제거하고, 조쇄한 후 100∼200℃로 건조과정을 거쳐 미분쇄기에서 200mesh 이하의 입도로 분쇄하여 활용화한다. 본 발명의 배합비율(적정비율)은 황토 전체 복합물을 중량부 100을 기준으로 볼 때, 전체 중량부에서 황토 10∼50부와 제올라이트 20∼60부, 일라이트는 10∼40부 광촉매 이산화티탄을 0∼10부로 하여 적정비율로 혼합하고 혼련한 후 볼(Φ8mm, 15mm) 형태의 구형의 정수제와 막대형태(30×30×150mm, Φ30×150mm)로 물을 결합재로 성형한 후, 110℃에서 12∼24시간 건조하여 건조로에서 300∼650℃로 1∼10℃/분의 승온속도로 가열하여 1∼6시간 유지 후 자연냉각한다. 본 발명으로 수처리재의 특성은 원료자체의 탈취력은, 암모니아가스 흡착시험실시 결과 제올라이트 98%, 황토 95%, 일라이트 98%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정수제의 중금속 흡착능이 96%와 99%로 나타났으며, 뛰어난 흡착력으로 악취를 제거하고 우수한 항균성으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정의 및 특성은 다음과 같다.
(1)제올라이트
구 분 제올라이트의 특성
성인 및 산지 경북 포항지역, 천연상태 산출
주성분 SiO240∼75%, CaO : 0∼5%, Al2O3: 5∼20%
범주 및 입자 200mesh이하
(2)황토
구 분 황토의 특성
성인 및 산지 암석 풍화에 의해 생성되고, 주로 채굴되는 장소는 산(山)
주성분 SiO2: 35∼60%, Al2O3: 25∼40%, Fe2O3: 3∼20%
범주 및 입자 넓게는 1차 점토에 속하며, 입자크기는 조립
(3)일라이트
구 분 일라이트의 특성
성인 및 산지 암석 풍화에 의해 생성되고, 주고 채굴되는 장소는 산(山)
주성분 SiO2: 55∼80%, Al2O3: 5∼30%, Fe2O3: 3∼20%
범주 및 입자 넓게는 1차 점토에 속하며, 입자크기는 조립
(4)이산화티탄
구 분 이산화티탄의 특징
성인 및 산지 티탄철광형으로 산출 황산법·염소법으로 제조
주성분 주성분이 이산화티탄으로 결정상은 정방정으로 티탄철광형 금홍석형과 애주석형이 있다.
범주 및 입자 4.1㎛∼0.1㎛로서 광촉매, 항균, 탈취, 산화분해 작용
상기 실시상태에서는 황토,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등의 천연광석은 은, 채굴후분쇄, 분급, 건조하고, 이산화티탄과 드라이믹싱한 후, 물은 첨가하고 혼련하여, 볼 형태 또는 막대형태로 성형한다. 그 후 습윤건조, 고온건조를 거치고 제품화한다.
황토와 제올라이트, 일라이트를 사용한 수처리재의 특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중금속 흡착시험은 위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8mm의 구상형 수처리재 시험편을 100㎖의 납용액이 들어있는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교반기에서 교반시키면서 황토, 제올라이트, 일라이트를 이용한 수처리재의 납 흡착능을 1∼24시간까지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는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성능 및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실시예 1)
제올라이트 분말의 시간경과에 따른 탈취율(암모니아 가스)
경과시간(분) Blank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초기 500 500 -
30 480 60 87
60 470 40 91
90 450 20 95
120 440 10 98
(실시예 2)
황토분말의 시간경과에 따른 탈취율(암모니아 가스)
경과시간(분) Blank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0 500 500 -
30 480 80 83
60 470 50 89
90 450 30 93
120 440 20 95
(실시예 3)
일라이트분말의 시간경과에 따른 탈취율(암모니아 가스)
경과시간(분) Blank 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0 500 500 -
30 490 60 88
60 470 40 91
90 450 20 96
120 420 10 98
(실시예 4)
수처리 시험체의 중금속 흡착능 시험측정결과(pb용액 100㎖, 25℃ PH6.3)
경과시간(시간) Blank 농도(ppm) 시료농도(ppm) 중금속 흡착율(%)
0 9.32 9.32 -
1.0 9.06 2.62 71
3.0 8.85 1.41 84
6.0 8.85 0.29 96
8.0 8.82 0.69 92
24.0 8.80 0.08 99
(실시예 5)
수처리 시험체의 중금속 흡착능 시험측정결과(pb용액 100㎖, 25℃ PH6.3)
경과시간(시간) Blank농도(ppm) 시료농도(ppm) 중금속 흡착율(%)
0 9.32 9.32 -
1.0 9.06 4.48 50
3.0 8.85 1.99 77
6.0 8.85 1.03 88
8.0 8.82 0.92 89
24.0 8.80 0.37 95
본 발명으로 개발된 제품인 수처리재의 특성은 원료자체 탈취율은 암모니아가스 시험실시 결과 제올라이트 98%, 황토 95%, 일라이트 98%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정수제의 중금속 흡착능이 96%와 99%로 나타났으며, 뛰어난 흡착력으로 악취를 제거하고 우수한 항균성으로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오염의 주요인이 되는 중금속과 악취를 제거하는 정수제로서 활용함으로서 자연환경 친화성을 만족하는 것이다.

Claims (2)

  1. 전체 중량부 100에서 제올라이트 20∼60부, 황토 10∼50부와 일라이트 10∼40부, 광촉매 이산화티탄을 0∼10부의 분말을 혼합하고 입상에 성형 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질 수처리재.
  2. 전체 중량부 100에서 제올라이트 20∼60부, 황토 10∼50부와 일라이트 10∼40부, 광촉매 이산화티탄을 0∼10부의 분말에 물을 결합재로서 첨가하고 혼련한 후 볼 형태 또는 봉(팰릿)상으로 성형하고, 봉(30×30×150mm)으로 성형 후 110℃에서 12~24시간 예비적으로 건조하고, 건조로에서 300∼650℃로 1∼10℃/분의 승온속도로 승온건조하여 1∼6시간 유지후 자연냉각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물 수처리재 제조방법.
KR10-2002-0056189A 2001-09-28 2002-09-16 무기질 수처리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484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04023 2001-09-28
JP2001304023A JP2003103254A (ja) 2001-09-28 2001-09-28 無機質水処理材と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670A true KR20030027670A (ko) 2003-04-07
KR100484561B1 KR100484561B1 (ko) 2005-04-22

Family

ID=1912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189A KR100484561B1 (ko) 2001-09-28 2002-09-16 무기질 수처리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3103254A (ko)
KR (1) KR10048456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61B1 (ko) * 2004-07-27 2007-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올라이트를 주재로 한 맥주의 정제 및 거품유지용세라믹 볼과 그 제조방법
KR100886170B1 (ko) * 2007-10-29 2009-02-2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은이온 및 세라믹을 함유한 살균용 고형물의 제조방법
KR100915172B1 (ko) * 2008-04-30 2009-09-03 이은경 항균력이 강화된 기능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의복
KR100915710B1 (ko) * 2008-02-26 2009-09-04 김종완 미생물 담지용 기포바이오세라믹 제조방법
RU2483034C2 (ru) * 2009-02-18 2013-05-27 Аисам ХАН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снижения жесткости воды
KR20190087688A (ko) * 2018-01-15 2019-07-25 김찬승 악취제거 및 모기퇴치 기능을 갖는 무소성 담체 및 그 제조 방법
CN114524481A (zh) * 2015-03-30 2022-05-24 迪睿合株式会社 水净化剂和水净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6838A (ko) * 2003-09-09 2005-03-16 (주) 실버라이트 개량된 이온교환일라이트(실버라이트)의 제조방법
JP5174341B2 (ja) * 2006-11-22 2013-04-03 武曽 繁和 水質改善剤、液状水質改善剤の製造方法および液状洗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128B1 (ko) * 1998-03-09 2000-11-01 신형철 수질,토양개선재의제조방법
KR20000006600A (ko) * 1998-11-11 2000-02-07 정일만 오폐수 정화제 제조방법
KR100317515B1 (ko) * 1999-11-02 2001-12-24 김동진 무기질 재료를 주원료로 하는 정화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21180A (ko) * 2000-08-31 2002-03-20 김봉경 황토와 일라이트, 이산화티탄을 활성화한 황토벽돌과황토타일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50882B1 (ko) * 2001-12-27 2004-10-02 강철호 유기폐기물 정화제 및 유기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
KR20020093653A (ko) * 2002-09-05 2002-12-16 차연선 제올라이트와 일라이트와 벤토나이트의 성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261B1 (ko) * 2004-07-27 2007-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올라이트를 주재로 한 맥주의 정제 및 거품유지용세라믹 볼과 그 제조방법
KR100886170B1 (ko) * 2007-10-29 2009-02-2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은이온 및 세라믹을 함유한 살균용 고형물의 제조방법
KR100915710B1 (ko) * 2008-02-26 2009-09-04 김종완 미생물 담지용 기포바이오세라믹 제조방법
KR100915172B1 (ko) * 2008-04-30 2009-09-03 이은경 항균력이 강화된 기능성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이용한 의복
RU2483034C2 (ru) * 2009-02-18 2013-05-27 Аисам ХАН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снижения жесткости воды
US8480921B2 (en) 2009-02-18 2013-07-09 Aisam Han Method for decreasing hardness of water
CN114524481A (zh) * 2015-03-30 2022-05-24 迪睿合株式会社 水净化剂和水净化方法
KR20190087688A (ko) * 2018-01-15 2019-07-25 김찬승 악취제거 및 모기퇴치 기능을 갖는 무소성 담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4561B1 (ko) 2005-04-22
JP2003103254A (ja)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445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친환경 미장용 첨가제, 이를 이용한 미장용 시멘트 및 몰탈
CN102604712A (zh) 用于煤粉燃烧脱硫的钢渣复合脱硫剂及使用其的脱硫方法
KR20030027670A (ko) 무기질 수처리재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4475015A (zh) 一种添加陶瓷纤维棉的活性炭硅藻土脱硫剂及其制备方法
KR100489600B1 (ko) 제올라이트와 황토, 일라이트를 활용한 건축용 모르타르조성물 및 제조방법
ES2385570A1 (es)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 producto cerámico a partir de cenizas volantes como materia prima.
KR20170067619A (ko) 하수슬러지 처리용 알칼리성 고화제 조성물
KR101793512B1 (ko) 수 처리용 세라믹 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세라믹 볼
KR102183269B1 (ko) 일라이트를 이용한 보차도용 블록
CA2056000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high porosity, high strength compositions
KR20020021180A (ko) 황토와 일라이트, 이산화티탄을 활성화한 황토벽돌과황토타일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02429B1 (ko) 항균성 금속 이온이 교환된 세리사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S62213842A (ja) 脱硫脱硝剤の製造方法
KR101722954B1 (ko) 황화수소 제거제 및 이의 제조방법
RU2415103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ерам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EP2226363A1 (en) Use of activated clay
KR20160036151A (ko) 폐석탄재를 이용한 복합 탈취제 제조방법
RU237510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гранулированного фильтру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KR100383454B1 (ko) 이온교환 일라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721560A (zh) 一种含氧化镁烟气脱硫剂及其制备方法
KR20220000044A (ko) 폐석탄재를 이용한 복합 탈취제 제조방법
CN105597670A (zh) 一种活性炭新型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H10291849A (ja) NOx浄化機能を有するセメント系水硬性組成物
KR100428248B1 (ko)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세라믹 필터
KR20070092183A (ko) 다공질 세라믹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