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237A - 구조용 블록 - Google Patents

구조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237A
KR20030026237A KR1020020075139A KR20020075139A KR20030026237A KR 20030026237 A KR20030026237 A KR 20030026237A KR 1020020075139 A KR1020020075139 A KR 1020020075139A KR 20020075139 A KR20020075139 A KR 20020075139A KR 20030026237 A KR20030026237 A KR 20030026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locks
present
proje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구
Original Assignee
홍승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균 filed Critical 홍승균
Priority to KR1020020075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6237A/ko
Publication of KR20030026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23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공시 전후좌우로 연속배치되는 구조용 블록에 있어서, 동일형상을 갖는 적어도 세 개의 판상부재가 적층된 형상을 갖도록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상부재 중 중앙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재는 블록의 대각선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둘레면 일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2)가 형성되고, 둘레면의 나머지 부분에는 상기 오목부(12)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시공시 블록(10)의 오목부(12)와 돌출부(14)에는 각각 이웃되게 배치되는 블록의 돌출부(14)와 오목부(12)가 끼워져서 블록(10)의 단부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블록(10) 시공시 전후좌우로 연속배치되는 구조용 블록(10)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 블록(10)은 동일형상을 갖는 두개의 판상부재를 어긋나도록 적층시킨 형상으로서, 일측면에는 단차지게 형성된 리브(12)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는 측면에는 상기 리브(12)가 결합되는 삽입부(1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블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구조용 블록{Block}
본 발명은 구조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도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시공비용도 절감되는 새로운 구성의 구조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형상의 구조용 블록이 제공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블록은 이웃되는 블록과 접하는 둘레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므로 시공시 몰탈을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연결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블록을 사용하여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에는 몰탈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뿐만 아니라 블록과 블록 사이에 몰탈을 일일이 발라야 하므로 작업도 번거로워서 공사기간이 연장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블록으로 축조된 구조물을 철거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을 깨어 부셔야 하므로 철거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폐건축물 쓰레기가 많이 배출되므로 환경오염이 유발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의 둘레면이 이웃되게 배치되는 블록과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도 시공을 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편리하며 이에 따라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용도 절감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철거도 용이하며, 폐건축물 쓰레기의 발생량이 저하되어 환경친화적인 새로운 구성의 구조용 블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평면도
도 3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사시도와 사용상태도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사용상태도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블록 12. 오목부
14. 돌출부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시 전후좌우로 연속배치되는 구조용 블록에 있어서, 동일형상을 갖는 적어도 세 개의 판상부재가 적층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판상부재 중 중앙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재는 대각선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둘레면 일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2)가 형성되고, 둘레면의 나머지 부분에는 상기 오목부(12)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시공시 블록(10)의 오목부(12)와 돌출부(14)에는 각각 이웃되게 배치되는 블록의 돌출부(14)와 오목부(12)가 끼워져서 블록(10)의 단부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블록(10)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을 갖는 세 개의 판상부재가 적층되데, 가운데 위치되는 판상부재가 대각선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형상으로 성형되어, 블록(10)의 이웃하는 가로세로 두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2)가 형성되고, 오목부(10)가 형성된 둘레면에 대응되는 나머지 두면에는 상기 오목부(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블록(10)은 시공시 블록(10)의 오목부(10)가 이웃되게 배치되는 블록(10)의 돌출부(14)에 삽입되며, 돌출부(14)는 이웃되게 배치되는 블록(10)의 오목부(10)에 삽입된다. 따라서 블록(10)의 단부가 이웃되는 블록(10)들의 단부와 서로 맞물려 연결되므로 별도의 몰탈을 사용하지 않아도 블록들이 연결고정된다. 도 3은 이러한 블록(10)을 이용해 축조된 벽체를 보인 것이다. 또한, 이러한 블록(10)의 단부가 맞물려 블록들이 상호의존적으로 연결되므로 이러한 블록(10)을 이용해 보도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기초공사된 지면이 고르게 평탄화되지 않은 경우에도 블록이 수평으로 시공되며, 보도면이 부분적으로 침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블록(10)이 곡면을 이루도록 절곡형성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의 구조물을 축조하거나 관체를 조립할 때 사용된다.
도 6은 블록(10)이 직교되게 절곡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의 모서리부분 등의 각진 부분을 축조할 때 사용된다.
도 8은 블록(10)의 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로 이루어진 연결부(16)가 형성된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을 구획할 때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이 다섯 개의 판상부재를 적층시켜 놓은 형상으로 되어 각 오목부(12)와 돌출부(14)가 이중으로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블록의 단부가 이웃되게 배치되는 블록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므로 별도의 몰탈을 사용하지 않아도 블록들이 연결고정된다. 또한,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 축조되므로 축조된 구조물을 철거하는 경우에도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분리하기만 하므로 철거가 용이하며 블록이 손상되지 않은 이상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발생되는 폐건축물의 양의 상당히 감소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블록(10)은 오목부(12)와 돌출부(14)에 의해 블록(10)의 연결부분에서 수분이나 음향의 진행이 차단되기 때문에 방음, 방수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축사, 창고, 주차장, 재배시설, 방파제, 보도, 산사태방지벽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저렴한 비용으로 견고하게 축조가능하다.
이러한 블록은 시멘트나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폐자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블록이 사각형상으로 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육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배치되는 블록의 단부가 서로 맞물려서 시공되도록 구성되므로 별도의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도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비용과 공사시간이 절감, 단축되어 경제적이며, 건축물의 철거도 용이하며, 블록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폐건축물 쓰레기의 발생이 감소되므로 경제적이다.

Claims (1)

  1. 시공시 전후좌우로 연속배치되는 구조용 블록에 있어서, 동일형상을 갖는 적어도 세 개의 판상부재가 적층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판상부재 중 중앙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판상부재는 대각선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둘레면 일부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오목부(12)가 형성되고, 둘레면의 나머지 부분에는 상기 오목부(12)에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시공시 블록(10)의 오목부(12)와 돌출부(14)에는 각각 이웃되게 배치되는 블록의 돌출부(14)와 오목부(12)가 끼워져서 블록(10)의 단부들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용 블록(10).
KR1020020075139A 2002-11-29 2002-11-29 구조용 블록 KR20030026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139A KR20030026237A (ko) 2002-11-29 2002-11-29 구조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5139A KR20030026237A (ko) 2002-11-29 2002-11-29 구조용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417U Division KR200259307Y1 (ko) 2001-09-24 2001-09-24 구조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237A true KR20030026237A (ko) 2003-03-31

Family

ID=2772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5139A KR20030026237A (ko) 2002-11-29 2002-11-29 구조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6237A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721U (ja) * 1982-07-21 1984-01-31 アズミック株式会社 壁体組立用のブロツク
JPS60141314U (ja) * 1983-10-19 1985-09-19 宋 桓植 構築用コンクリ−トブロツク
KR920004529Y1 (ko) * 1989-10-26 1992-07-03 류재병 목욕탕의 저주파 장치
KR940026927U (ko) * 1993-05-13 1994-12-09 김명태 목재 건축물용 블럭
KR950027693U (ko) * 1994-03-03 1995-10-18 김윤국 조립식 블럭
US5507127A (en) * 1994-11-01 1996-04-16 Gates; Raymond H. Ecologicial building block including shredded, baled tires
KR200215053Y1 (ko) * 2000-09-28 2001-02-15 신명순 목재벽돌의 조적구조
KR200250600Y1 (ko) * 2001-07-10 2001-10-19 최팔도 시공이 용이한 순황토흙 벽돌
KR100357888B1 (ko) * 2000-03-14 2002-10-25 김찬호 인터넷을 이용한 대화형 세무회계관리방법
KR100384825B1 (ko) * 1994-10-20 2003-08-14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사전기록된디지털비디오를기록하기위한트릭재생스트림의생성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721U (ja) * 1982-07-21 1984-01-31 アズミック株式会社 壁体組立用のブロツク
JPS60141314U (ja) * 1983-10-19 1985-09-19 宋 桓植 構築用コンクリ−トブロツク
KR920004529Y1 (ko) * 1989-10-26 1992-07-03 류재병 목욕탕의 저주파 장치
KR940026927U (ko) * 1993-05-13 1994-12-09 김명태 목재 건축물용 블럭
KR950027693U (ko) * 1994-03-03 1995-10-18 김윤국 조립식 블럭
KR100384825B1 (ko) * 1994-10-20 2003-08-14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사전기록된디지털비디오를기록하기위한트릭재생스트림의생성방법
US5507127A (en) * 1994-11-01 1996-04-16 Gates; Raymond H. Ecologicial building block including shredded, baled tires
KR100357888B1 (ko) * 2000-03-14 2002-10-25 김찬호 인터넷을 이용한 대화형 세무회계관리방법
KR200215053Y1 (ko) * 2000-09-28 2001-02-15 신명순 목재벽돌의 조적구조
KR200250600Y1 (ko) * 2001-07-10 2001-10-19 최팔도 시공이 용이한 순황토흙 벽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327B1 (ko) 조립식 벽돌
KR20030026237A (ko) 구조용 블록
CN210622474U (zh) 一种可循环使用的装配式预制临时围墙
CN216042122U (zh) 一种建筑混凝土预制板
KR100995386B1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토류판
JP2012122313A (ja) 組立式ブロック及び仮設住宅
KR100401121B1 (ko) 조립식 옹벽 블록
CN112252648A (zh) 一种装配式无机质矿物板调平安装结构
KR200252709Y1 (ko) 구조용 블록
KR200493495Y1 (ko) 조립식 마루
KR101078219B1 (ko) 건식벽체용 강재패널 및 이를 사용한 건식벽체
JPH075141Y2 (ja) 建築用パネル
KR200168551Y1 (ko)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CN210134392U (zh) 生态边坡防护挡墙
KR200412673Y1 (ko) 반사현상을 방지한 방습프레임용 패널
KR200378751Y1 (ko) 조립식 건물의 용마루
CN217325515U (zh) 一种地下室侧墙混凝土抗裂结构
KR102295764B1 (ko) 곡선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
KR200163390Y1 (ko) 스테인레스타일
KR200201615Y1 (ko) 건축물용 거푸집
JP3648443B2 (ja) 角波成形プレート
JPH026120Y2 (ko)
KR100717410B1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인코너 및 아웃코너 겸용 패널 및 이를이용한 거푸집 시스템
KR20070082009A (ko) 건축용 블럭 조립체
KR200281826Y1 (ko) 방음벽용 분리형 방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