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551Y1 -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551Y1
KR200168551Y1 KR2019990017150U KR19990017150U KR200168551Y1 KR 200168551 Y1 KR200168551 Y1 KR 200168551Y1 KR 2019990017150 U KR2019990017150 U KR 2019990017150U KR 19990017150 U KR19990017150 U KR 19990017150U KR 200168551 Y1 KR200168551 Y1 KR 2001685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ing
sawdust
synthetic resin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종
Original Assignee
김호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종 filed Critical 김호종
Priority to KR2019990017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5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5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5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8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 E04B2002/0234Angular dov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폐기물을 활용한 재료를 가지고 용이하게 벽체를 시공할 수 있는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방형의 블럭과, 상기 장방형의 블럭이 엇갈리게 적층될 수 있도록 장방형 블럭의 절반 크기로 형성되는 정방형 블럭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블럭을 합성수지와 톱밥이 혼합된 혼합물로 제작하면서 양쪽 측면이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기 및 결합홈을 형성하면서 상하로 적층되며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에도 결합돌기와 결합홈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A block for construction made up of plastics and sawdust}
본 고안은 벽을 형성하기 위한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업폐기물을 활용한 재료를 가지고 용이하게 벽체를 시공할 수 있는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용 블럭은 주로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물로 만들어지는 모르타르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블럭은 시공 현장에서 블럭을 쌓아올린 다음 블럭과 블럭의 경계면에 모르타르를 채워서 결속력을 놓이고, 블럭 사이의 틈새를 메워주고 있다.
이렇게 모르타르를 채워주는 것은 블럭 사이의 결속력이 충분히 만족될 수 없으며 작업 공정이 증가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물은 압축강도는 대단히 우수하지만 취성과 내마모성이 약한 재질적 특성 때문에 충격이 가하여 졌을 때에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어서 운반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높으며, 시공후에도 충격에 쉽게 손상되고, 오랜 시간이 경과될 수록 비, 바람등의 침식으로 시멘트 구성 입자는 탈락하고 모래 구성 입자만 남게되는 풍화 작용에 의하여 벽면이 손상된다.
본 고안은 산업 폐기물로 처리되는 폐비닐 및 폐합성수지와 톱밥을 혼합한 자재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시공될 수 있는 건축용 블럭을 제작함으로서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하며, 견고한 조립 시공이 가능하고, 비 바람에 침식되지 않는 블럭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되는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상태의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설치되는 상태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2의 A부 확대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장방형의 블럭과, 상기 장방형의 블럭이 엇갈리게 적층될 수 있도록 장방형 블럭의 절반 크기로 형성되는 정방형 블럭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블럭을 형성함에 있어서, 합성수지와 톱밥이 혼합된 혼합물로 제작되면서;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상으로 블럭을 연결하기 위한 횡방향결합수단과; 상기 횡방향결합수단에 의하여 수평상으로 놓여지는 블럭의 상부로 또다른 행열을 이루는 블럭을 결합하기 위한 종방향결합수단과; 상기 횡방향결합수단 및 종방향결합수단에 의하여 다수의 층상으로 적층된 블럭을 일정한 구간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횡방향결합수단은 장방형블럭과 정방형블럭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된다.
종방향결합수단은 장방형블럭의 상부면과 저면의 어느 한쪽면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두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두개의 결합홈으로 되며, 정방형블럭은 상부면과 저면의 어느 한쪽면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하나의 결합홈으로 구성된다.
지지수단은 서로 엇갈리게 적층되는 장방형블럭과 정방형블럭이 수직면을 이루는 부위에서 장방형블럭과 정방형블럭의 단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장방형블럭과 정방형블럭이 이루는 수평상의 행렬과 일치하면서 수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상부면과 저면의 어느 한쪽 단부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수직블럭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폐기되는 합성수지와 톱밥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자재를 사용함으로써 자원을 재활용하여 환경 오염을 방지하고, 서로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에 의하여 장방형의 블럭과 정방형의 블럭이 수평 방향과 엇갈리는 종방향으로 견고하게 결합되며, 일정한 구간에서는 수직블럭에 의하여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결합되는 본 고안은 기후의 변화에 따라 블럭이 수축하여도 결합홈에 삽입된 결합돌기에 의하여 틈새가 발생하여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게 된다. 즉, 발생된 틈새로 인하여 반대편쪽으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일이 없어서 벽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이 구체화되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블럭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블럭은 장방형블럭(1)과 정방형블럭(2), 그리고 수직블럭(3)으로 구성된다.
장방형블럭(1)은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행을 이루고, 정방형블럭(2)은 장방형블럭(1)이 벽체의 마감부, 또는 수직블럭(3)에 접하는 마감부가 되는 측면이 수직면이 되도록 엇갈리게 결합된 장방형 블럭(1)의 마감부에 결합된다.
이들 블럭을 제작하기 위한 소재는 산업 폐기물로 처리되는 폐비닐 및 폐합성수지와 톱밥을 혼합한 자재로 제공되며, 이러한 자재는 특허출원 제 10-1999-9341 호에 제시된 자재로부터 제공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을 넣어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방형블럭(1)은 또다른 장방형블럭이나 정방형블럭(2)이 수평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 중앙에는 경사면을 가지고 돌출되는 제1측면결합돌기(4)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 측면의 중앙에는 안쪽으로 경사진 면으로 되는 제1측면결합홈(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적층되면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부면에는 두개의 제1상부결합돌기(6)(6a)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두개의 제1하부결합홈(7)(7a)이 형성되어 있다.
정방형블럭(2)은 장방형블럭(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쪽 측면 증앙에는 경사면을 가지고 돌출되는 제2측면결합돌기(8)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 측면의 중앙에는 안쪽으로 경사진 면으로 되는 제2측면결합홈(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적층되면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부면에는 하나의 제2상부결합돌기(10)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하나의 제2하부결합홈(11)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블럭(3)은 장방형블럭(1)과 정방형블럭(2)의 측면 단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양쪽 측면에 제3측면결합홈(12)(12a)이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는 제3상부결합돌기(13)가 형성되고,하부면에는 제3하부결합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이 결합되어 벽체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결합 상태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블럭체는 장방형블럭(1)이 수평상으로 하나의 행을 이루며 놓여지고, 그 상부로는 엇갈리게 또다른 행을 이루면서 놓여지며, 마감부에는 정방형블럭(2)이 놓여져서 수직면을 이루는 마감부를 형성하는 공지된 결합 구성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의 결합은 장방형블럭(1)의 제1측면결합돌기(4)가 또다른 장방형블럭의 제1측면결합홈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되고, 상부로 적층될 때에는 하나의 장방형블럭(1)이 아래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는 두 개의 장방형블럭이 결합된 측면 경계면의 상부에 결합된다. 즉, 두 개의 제1하부결합홈(7)(7a)이 각각 다른 장방형블럭의 제1상부결합돌기(6)(6a)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면서 엇갈리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장방형블럭(1)이 엇갈리게 결합되면서 양쪽 마감부에서 요철이 형성되는 부위에서는 정방형블럭(2)의 제2측면결합돌기(8)가 장방형블럭(1)의 제1측면결합홈(5)에 결합되어 마감부가 수직면을 형성하게 된다.
수직블럭(3)은 장방형블럭(1)과 정방형블럭(2)이 형성하는 벽체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장방형블럭(1)과 정방형블럭(2)이 이루는 벽체의 마감부가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되게 하고, 이 마감부가 제3측면결합홈(12)(12a)에 선택적으로 수용되게 하고, 상부면에 형성된 제3상부결합돌기(13)에는 또다른 수직블럭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3하부결합홈(14)이 결합되어 수직으로 적층되게 하는 것이다.
장방형블럭(1)과 정방형블럭(2)은 사방의 모서리 부위에서 단차를 형성하는 돌출면(15)(16)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면(15)(16)은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블럭이 접촉하는 경계면에서 양각과 음각으로 구분되는 홈(H)이 형성되어 벽체의 외관을 좋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돌출면을 수직블럭(3)에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블럭은 폐기되는 폐비닐과 폐합성수지에 톱밥을 혼합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서 자원을 재활용하는 측면에서는 폐기물 처리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하면서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럭과 같은 침식 및 파손 우려가 없으며, 각각의 블럭이 돌기와 홈에 의한 구조로 결합됨으로써 결합되는 부위에서 적정한 간격이 발생하여도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간격에 의하여 기후의 변화에 따른 수축과 팽창에 신속하게 대응하게 된다. 즉 결합홈 속에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수축이 발생하여도 틈새가 생기지 않아서 빛이 새지 않게 되어 좋은 미관을 유지할 수 있고, 돌출면에 의하여 미관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장방형의 블럭과, 상기 장방형의 블럭이 엇갈리게 적층될 수 있도록 장방형 블럭의 절반 크기로 형성되는 정방형 블럭으로 형성되는 건축용 블럭을 형성함에 있어서,
    합성수지와 톱밥이 혼합된 혼합물로 제작되면서;
    바닥면에 대하여 수평상으로 블럭을 연결하기 위한 횡방향결합수단과;
    상기 횡방향결합수단에 의하여 수평상으로 놓여지는 블럭의 상부로 또다른 행열을 이루는 블럭을 결합하기 위한 종방향결합수단과;
    상기 횡방향결합수단 및 종방향결합수단에 의하여 다수의 층상으로 적층된 블럭을 일정한 구간에서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횡방향결합수단은 장방형블럭과 정방형블럭의 한쪽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3. 제 1 항에 있어서, 종방향결합수단은 장방형블럭의 상부면과 저면의 어느 한쪽면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두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두개의 결합홈으로 되며, 정방형블럭은 상부면과 저면의 어느 한쪽면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하나의 결합홈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4.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수단은 서로 엇갈리게 적층되는 장방형블럭과 정방형블럭이 수직면을 이루는 부위에서 장방형블럭과 정방형블럭의 단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장방형블럭과 정방형블럭이 이루는 수평상의 행렬과 일치하면서 수직으로 적층될 수 있도록 상부면과 저면의 어느 한쪽 단부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수직블럭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5. 제 1 항에 있어서, 장방형블럭과 정방형블럭에서 전후면의 표면이 사방의 변부로부터 안쪽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돌출되는 돌출면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경계면에 수직 및 수평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KR2019990017150U 1999-08-19 1999-08-19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KR2001685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50U KR200168551Y1 (ko) 1999-08-19 1999-08-19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150U KR200168551Y1 (ko) 1999-08-19 1999-08-19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551Y1 true KR200168551Y1 (ko) 2000-02-15

Family

ID=1958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150U KR200168551Y1 (ko) 1999-08-19 1999-08-19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5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67B1 (ko) * 2006-12-20 2008-04-07 이재수 실내장식용 합성수지 벽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67B1 (ko) * 2006-12-20 2008-04-07 이재수 실내장식용 합성수지 벽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128A (en) Interlocking mortarless building block system
US5105595A (en) Mold panel unit and spring-water processing structure using mold panel units
US4640071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US4258522A (en) Construction blocks
US8443563B2 (en) Building block having the appearance of wood shake
KR200168551Y1 (ko) 합성수지와 톱밥 혼합물을 주재료로 한 건축용 블럭
US4719737A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block
JP2703274B2 (ja) 吸音性構成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460646Y (zh) 防水锁扣地板连接结构
EP0537277B1 (en) Wall element system
JPH0754360A (ja) 壁面構成用ブロック及び壁面構築方法
KR200252709Y1 (ko) 구조용 블록
KR930004840Y1 (ko) 건축용 블록
KR20080054662A (ko) 다각블럭을 이용한 수직벽체
EP0390702B1 (en) Mold panel unit and spring-water processing structure using mold panel units
JPH1068101A (ja) 舗装ブロック用合成樹脂製函型フレームとそれを使用したブロック舗装の施工法
KR102295764B1 (ko) 곡선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
KR200182638Y1 (ko) 조립식 합성수지 패널
GB2197358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KR19990012002U (ko) 구조용 블록
CN219045236U (zh) 一种防潮石砖
KR102444772B1 (ko) 프리캐스트 입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26561Y2 (ja) 舗装ブロック用の敷設枠
KR101436546B1 (ko) 친환경 건축용 슬래브 및 이의 결합체
CN213896718U (zh) 一种行人通道防护的钢过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